킬리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킬리섬은 마셜 제도에 위치한 환초로, 1797년 영국 선박에 의해 발견되었다. 1885년 독일 제국에 의해 점령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의 통치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통치를 받았다. 1948년 미국 정부는 핵실험을 위해 비키니 환초 주민들을 킬리섬으로 강제 이주시켰으며, 킬리섬은 식량 생산의 어려움과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다. 현재 킬리섬에는 학교와 교회 등의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셜 제도의 섬 - 자바트섬
자바트 섬은 마셜 제도의 섬으로, 스페인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고 독일, 일본을 거쳐 미국의 통치를 받다가 1986년 마셜 제도의 영토가 되었다. - 마셜 제도의 섬 - 리브섬
리브섬은 1565년 알론소 데 아레야노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고, 이후 브리타니아호 선장에 의해 프린세스 섬으로 명명되었으며, 현재 마셜 제도 공립 학교 시스템에서 리브 초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 랄리크 열도 - 비키니 환초
비키니 환초는 마셜 제도에 위치한 환초로, 1946년부터 1958년까지 미국의 핵무기 실험으로 인해 주민들이 강제 이주되었고, 2010년에는 핵실험의 역사적 증거를 보존하는 곳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으며, 현재는 관광지로 활용된다. - 랄리크 열도 - 자바트섬
자바트 섬은 마셜 제도의 섬으로, 스페인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고 독일, 일본을 거쳐 미국의 통치를 받다가 1986년 마셜 제도의 영토가 되었다.
킬리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 |
위치 | 북태평양 |
군도 | 랄리크 열도 |
총 섬 수 | 1 |
면적 | 0.93km2 |
최고 고도 | 3m |
행정 | |
국가 | 마셜 제도 |
인구 | |
인구 (2021년) | 415명 |
민족 | 마셜 제도 사람 |
기타 | |
언어 | (마셜어) |
2. 역사
1797년 영국 선박 ''브리타니아''호의 토마스 데넷 선장이 발견하여 헌터 섬으로 명명하였다.[5] 이후 독일 제국, 일본 제국, 미국의 통치를 차례로 받았다.[6]
2. 1. 초기 역사
1797년, 영국 선박 브리타니아호의 토마스 데넷 선장이 호주에서 중국으로 항해하던 중 이 환초를 발견하고 헌터 섬이라고 명명했다.[5]킬리 환초는 1885년 독일 제국에 의해 다른 마셜 제도와 함께 영유되었다.[6]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 섬은 일본 제국의 남양 군도 통치 하에 놓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의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의 일부로서 미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2. 2. 식민지 시대
킬리 환초는 1885년 독일 제국에 의해 다른 마셜 제도와 함께 영유되었다.[6]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 섬은 일본 제국의 남양 군도 통치 하에 놓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태평양 제도 신탁통치령의 일부로서 미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3. 비키니 환초 주민들의 이주와 정착
미국 정부의 핵실험으로 인해 비키니 환초의 원주민들은 고향을 떠나야 했다. 처음에는 롱게릭 환초와 콰잘레인 환초 등으로 임시 이주했으나 생활 환경이 열악했고, 결국 1948년 11월, 당시 무인도였던 킬리 섬으로 최종 이주하게 되었다. 주민들은 몇 년 안에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미국의 약속을 믿었으나, 이는 지켜지지 않았다.[7]
킬리 섬에서의 정착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섬에는 비키니 환초와 같은 석호가 없어 전통적인 어업을 통한 식량 확보가 어려웠고, 이는 주민들의 기존 생활 방식과 충돌하며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7] 설상가상으로 1957년, 비키니 주민들은 법적 대리인 없이 미국과 계약을 체결하여 비키니 환초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는 대가로 미미한 보상금과 신탁 기금을 받았다. 이 계약은 주민들에게 매우 불리한 조건이었다.
이후 수십 년간 소송 등을 통해 추가적인 신탁 기금이 마련되었으나,[8] 21세기 들어 기금 운영상의 문제로 인해 심각한 재정 위기를 맞게 되었다. 2017년 이후 기금에 대한 통제권이 이전되면서 자금이 급격히 고갈되었고, 이는 킬리 섬 공동체의 재정 붕괴와 서비스 중단 등 심각한 위기로 이어졌다.[9] 이처럼 비키니 환초 주민들은 핵실험으로 인한 강제 이주 이후 킬리 섬에서 계속되는 어려움과 좌절을 겪고 있다.
3. 1. 강제 이주
킬리 섬은 1948년 11월 2일까지 사람이 살지 않던 곳이었다. 미국 정부는 비키니 환초 원주민들을 핵실험을 이유로 고향에서 내쫓아 처음에는 콰잘레인 환초로 이주시키려 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롱게릭 환초를 거쳐 최종적으로 킬리 섬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미국 정부는 주민들에게 핵실험이 잠시 동안만 이루어질 것이며, 몇 년 안에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약속했지만, 이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콰잘레인 환초에 임시로 머무는 동안, 섬 주민들은 공항 활주로 옆 풀밭에 텐트를 치고 생활하는 열악한 환경에 놓였다. 1948년 6월, 비키니 주민들은 결국 킬리 섬을 장기 거주지로 선택하게 되었다.[7] 킬리 섬은 작고 사람이 살지 않았으며, 전통적인 부족장의 통치 하에 있지도 않은 곳이었다. 그 해 6월, 비키니 공동체는 24명의 남성을 선발하여 미 해병대원 8명과 함께 킬리 섬에 마을 건설을 시작했다. 1948년 11월, 총 184명으로 늘어난 주민들은 킬리 섬으로 이주했지만, 곧 새로운 환경이 전통적인 식단과 석호에서의 어업에 기반한 자신들의 생활 방식과 맞지 않다는 사실을 깨달았다.[7]
3. 2. 정착과 좌절
킬리 섬은 1948년 11월 2일까지 사람이 살지 않던 곳이었다. 미국 정부는 핵실험을 위해 비키니 환초 원주민들을 롱게릭 환초와 콰잘레인 환초를 거쳐 최종적으로 킬리 섬으로 이주시켰다. 비키니 주민들은 핵실험이 끝나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미국의 약속을 믿고 잠시 섬을 비우는 데 동의했다.콰잘레인 환초에서 주민들은 공항 활주로 옆 풀밭에 마련된 텐트에서 임시로 거주해야 했다. 1948년 6월, 비키니 주민들은 결국 킬리 섬을 장기 거주지로 선택하게 되었다.[7] 킬리 섬은 사람이 살지 않았고 특정 부족의 통치 하에 있지도 않은 작은 섬이었다. 같은 해 6월, 비키니 공동체는 24명의 남성을 선발하여 8명의 미 해병대 대원들과 함께 킬리 섬에 마을 건설을 시작했다. 마침내 1948년 11월, 총 184명의 비키니 주민들이 킬리 섬으로 이주했지만, 곧 새로운 환경이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맞지 않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킬리 섬에는 비키니 환초와 같은 석호가 없어 전통적인 방식의 어업이 불가능했고, 이는 심각한 식량 부족 문제로 이어졌다.[7]
정착의 어려움이 계속되던 1957년, 비키니 주민들은 자신들을 대변할 법적 대리인 없이 미국과 계약을 체결해야 했다. 이 계약으로 미국은 비키니 환초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했으며, 비키니 주민들은 향후 이 문제에 대해 미국에 어떠한 청구도 제기할 권리를 포기하게 되었다. 그 대가로 주민들은 현금 2.5만달러와 함께, 반기마다 약 5천달러의 이자를 지급하는 30만달러 규모의 신탁 기금을 받았다. 이는 당시 주민 1인당 연간 약 15USD에 불과한 금액이었다. 또한, 그들은 킬리 섬의 소유권과 잘루잇 환초 내 여러 섬들을 받았다.
3. 3. 재정 위기
1980년대 미국과의 소송 이후, 비키니 환초 주민들의 재정착과 생활 지원을 위해 수백만 달러 규모의 신탁 기금 두 개가 조성되었다.[8] 이 기금은 총 7000만달러가 넘는 규모로 수십 년간 안정적으로 운영되며 주민들에게 꾸준한 수입을 제공하는 듯 보였다.그러나 2017년, 킬리/비키니/에짓(KBE) 공동체 지도자들은 신탁 기금 전체에 대한 무제한적인 접근 권한을 미국 정부에 요구했다. 이전까지 기금 지출을 감독해왔던 미국 정부는 이 요구를 받아들였다. KBE 지도부가 기금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한 이후 상황은 급변했다. 불과 몇 년 만인 2023년 초, 7000만달러가 넘었던 기금은 10만달러 수준으로 급감했다.[9]
신탁 기금의 고갈은 킬리섬의 재정 시스템 붕괴를 초래했다. 대출 상환 불능 사태가 발생하고, 공공 부문 노동자들의 급여가 지급되지 않았으며, 필수적인 서비스들이 중단되는 등 심각한 사회적 혼란과 위기가 닥쳤다. 이 사태는 광범위한 비난을 불러일으켰다. 비록 기금 지출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권은 KBE 지도부에 넘어갔지만, 기금 관리 감독을 소홀히 한 미국 정부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 1980년대의 합의가 법적으로는 '최종' 합의로 간주되었음에도, 미국 정부가 비키니 주민들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책임을 사실상 인정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주민 지원을 위해 마련된 자금이 거의 소진되면서,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고, 이 문제에 대한 조사와 항의가 이어지고 있다.[9]
4. 제한된 해상 접근성
킬리섬은 거친 바다 때문에 1년 중 4개월은 배로 접근하기 어려우며, 킬리 공항을 통한 항공 교통도 운항 중단이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활주로 침수 문제 등으로 인해 불안정한 편이다.[10]
4. 1. 해상 접근의 어려움
킬리섬은 거친 바다로 인해 1년에 4개월 동안 배로 접근할 수 없다. 에어 마셜 제도가 운항하는 킬리 공항이 있지만, 항공기의 운항이 중단되거나, 활주로가 해수면 상승으로 침수될 경우 항공편이 결항된다.[10]4. 2. 불안정한 항공 교통
킬리섬에는 에어 마셜 제도가 운항하는 킬리 공항이 있다. 하지만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거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활주로가 물에 잠길 경우 항공편 운항이 취소되는 등 항공 교통이 불안정한 편이다.[10]5. 교육
마셜 제도 공립 학교 시스템은 킬리섬의 유일한 학교인 킬리 초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11] 킬리 초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잘루이트 환초에 위치한 잘루이트 고등학교로 진학하게 된다.[12] 킬리섬의 교육 환경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5. 1. 마셜 제도 공립 학교 시스템
마셜 제도 공립 학교 시스템은 킬리 초등학교를 운영한다.[11] 킬리 초등학교는 유치원부터 8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각 학년별로 한 반과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반 하나로 구성되어 있다. 학급당 학생 수는 보통 6명에서 18명 사이이다. 교사는 킬리섬 출신이거나 인근 섬에서 온 인력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다트머스 자원 봉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2000년부터 매년 2~4명의 미국인 자원봉사 교사가 파견되어 1년 이상 머물며 가르치고 있다.[16][17] 이들은 마셜어로 된 교육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영어 교육 등을 담당한다. 학생들은 8학년 말에 표준화된 시험을 통과해야 하며, 이후 잘루이트 환초에 위치한 잘루이트 고등학교에 배정된다.[12]5. 2. 교육 환경
마셜 제도 공립 학교 시스템은 킬리섬의 유일한 학교인 킬리 초등학교를 운영한다.[11] 이 학교는 유치원부터 8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각 학년별로 한 반씩 운영된다. 또한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반도 마련되어 있다. 학급 규모는 보통 6명에서 18명 사이로 작은 편이다. 교사들은 킬리섬 출신이거나 인근 섬에서 온 이들로 구성된다.2000년부터는 다트머스 자원 봉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2명에서 4명의 미국인 자원 봉사 교사가 파견되고 있다.[16][17] 이들은 주로 영어 교육을 담당하는데, 이는 마셜어로 된 교육 자료나 책이 부족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인 자원 봉사자들은 보통 1년 이상 머물면서 학생들을 가르친다.
8학년 과정을 마친 학생들은 잘루이트 환초에 위치한 잘루이트 고등학교나 마주로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된다.[12] 고등학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8학년 말에 치러지는 표준화된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5. 3. 다트머스 자원 봉사 교육 프로그램
다트머스 자원 봉사 교육 프로그램은 2000년부터 매년 2~4명의 미국인 자원 봉사 교사를 킬리섬의 초등학교에 파견하고 있다.[16][17] 이 교사들은 마셜어로 된 교육 자료나 책이 거의 없기 때문에 다른 교육 과정 외에도 영어 교육을 제공한다.[16][17] 미국인 자원 봉사자들은 1년 이상 머물면서 가르친다.[16][17]6. 식량 생산
킬리섬은 이주해 온 주민들에게 충분한 식량을 자급자족하기 어려운 환경이다.[7] 섬의 주요 농산물은 코프라이며, 몇몇 다른 작물도 재배되지만 산호 토양이 비옥하지 않아 농업 생산량은 제한적이다.[7] 또한 섬 주변에 석호가 없어 파도가 거세기 때문에 어업 활동도 쉽지 않다.[7] 이러한 식량 생산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민들은 미국 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외부로부터 정기적인 식량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13][7]
6. 1. 열악한 환경
킬리섬은 이주해 온 주민들에게 충분한 식량을 제공하지 못한다.[7] 섬의 주요 농산물은 코프라이며, 그 외에 코코넛, 라임, 빵나무 열매, 호박, 바나나, 파파야, 사탕수수 등이 소량 생산된다. 그러나 산호섬 특유의 척박한 토양 때문에 농업 생산량은 매우 부족하다.[7] 정부 차원에서 농업을 장려하려는 노력이 있지만, 토양이 비옥하지 않아 멜론이나 일부 채소를 생산하는 작은 농장이 있을 뿐이다.[7] 또한, 섬 주변에 석호가 없어 파도가 거세고, 이로 인해 어업 활동도 매우 어렵다.[7] 과거 1949년 신탁통치령 행정부가 킬리섬과 잘루이트 환초 사이의 코프라 운송을 위해 약 12.19m 길이의 선박을 기증했으나, 1951년 거센 파도에 휩쓸려 킬리섬의 암초에 부딪혀 침몰하기도 했다.[7]섬의 면적은 비키니 환초의 1/6에 불과할 정도로 작아[7] 인구 과밀 문제도 심각하다. 2015년 기준으로 약 1,00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비키니 환초에서 강제 이주된 난민의 후손들이다.[13][7] 부족한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민들은 미국 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외부에서 식량을 공급받고 있다.[13][7] 1년에 2~3차례 냉동 닭고기 1~2상자, 50파운드짜리 밀가루 2~4포대, 쌀 2~4포대 등이 배송되는데, 이는 미국 정부와 협력하여 비키니 정부에서 제공하며 비키니 공공사업부가 배급을 감독한다.[7] 섬에는 소금, 타바스코 소스, 사탕, 통조림 등 기본적인 물품을 파는 작은 가게들이 집에서 운영되고 있다.[7]
주거 환경은 대부분 시멘트 블록으로 지어진 집에 에어컨과 전기가 공급되지만,[7] 많은 주민들은 여전히 야외 오두막에서 불을 피워 요리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선호한다.[7] 비키니 공공사업부는 섬의 주택 관리와 발전소 운영도 담당하고 있다.[7]
6. 2. 주요 농산물
섬의 주요 농산물은 코프라이다.[7] 그 외에도 생산되는 농산물로는 (수량 내림차순으로) 코코넛, 라임, 빵나무 열매, 호박, 바나나, 파파야, 사탕수수 등이 있다.[7]그러나 킬리섬은 이주해 온 주민들에게 충분한 식량을 제공하지 못하며, 석호가 없어 섬 주변 바다에서의 어업도 어렵다.[7] 또한 산호 토양은 비옥하지 않아 농업에 어려움이 따른다.[7] 현재 섬에서 농업을 증진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있지만, 멜론과 일부 채소를 생산하는 작은 농장이 있는 정도이다.[7]
이러한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민들은 현지에서 재배하는 것 외에 미국 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식량을 수입해야 한다.[13][7] 각 가구는 1년에 2~3번 냉동 닭고기, 밀가루, 쌀 등으로 구성된 식량을 배송받는다. 이 배송은 미국 정부와 협력하여 비키니 정부에서 제공하며, 비키니 공공사업부에서 감독한다.[7]
6. 3. 외부 지원에 의존
킬리 섬은 이주해 온 주민들에게 충분한 식량을 제공하지 못한다.[7] 섬의 주요 농산물은 코프라이며, 그 외 코코넛, 라임, 빵나무 열매, 호박, 바나나, 파파야, 사탕수수 등이 생산되지만 양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석호가 없어 섬 주변 바다에서의 어업도 어렵다.1949년 신탁통치령 행정부는 킬리 섬과 잘루이트 환초 사이의 코프라 운송을 위해 약 12.19m짜리 선박을 기증했으나, 이 배는 1951년 킬리 섬의 암초에 거센 파도로 휩쓸려 침몰하면서 운송 수단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었다.[7]
이러한 환경 때문에 주민들은 미국 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식량을 수입에 의존해야 한다.[13][7] 섬의 각 가구는 1년에 2~3번, 미국 정부와 협력하는 비키니 정부로부터 식량 배급을 받는다. 주요 배급 품목은 냉동 닭고기 1~2상자, 밀가루 2~4 50파운드 봉지, 쌀 2~4봉지 등이다.[7] 식량 수입은 비키니 공공사업부에서 감독하며, 이 부서는 섬의 주택 관리와 발전소 운영도 담당한다.[7]
현재 섬에서 농업을 증진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있지만, 산호 토양은 비옥하지 않아 한계가 있다. 다만, 멜론과 일부 채소를 생산하는 작은 농장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주민들은 소금, 타바스코 소스, 사탕, 통조림 등 보존성이 낮은 식료품을 판매하는 여러 개의 작은 상점을 집에서 운영하기도 한다.[7]
6. 4. 농업 증진 노력
현재 섬에서 농업을 증진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있지만, 산호 토양은 비옥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7] 섬의 주요 농산물은 코프라이며,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작물들이 재배된다.
이러한 농산물만으로는 주민들의 식량을 충당하기 어려워, 현지에서 재배하는 것을 보충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식량을 수입해야 한다.[13][7] 각 가구는 1년에 2~3번 냉동 닭고기 1~2상자, 밀가루 약 22.68kg 봉지 2~4개, 쌀 2~4봉지 등을 배송받는다. 이 배송은 미국 정부와 협력하여 비키니 정부에서 제공한다.[7]
비록 토양 조건이 좋지 않지만, 멜론과 일부 채소를 생산하는 작은 농장도 운영되고 있다.[7]
7. 기후 변화의 영향
2011년부터 킬리섬으로 재정착한 주민들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심각한 해수 범람 현상을 겪기 시작했다.[14][15] 섬의 고도가 낮아 바닷물 침수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는 식수원 오염과 교통 인프라 마비 등 주민들의 생존 기반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7. 1. 해수면 상승
2011년부터 킬리섬으로 재정착한 주민들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해수 범람 현상을 겪고 있다. 킬리 섬의 최고점은 해수면에서 3m에 불과하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바닷물은 최소 5차례 섬의 일부를 뒤덮었으며, 이로 인해 섬의 모든 우물이 오염되었다. 또한 섬의 활주로는 비가 오거나 비가 온 후에는 매우 질퍽해져 사용할 수 없게 된다. 2015년 8월, 비키니 의회는 비키니 주민 재정착 신탁 기금의 조건을 변경하여, 이번에는 마셜 제도 밖으로 주민들을 다시 이주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14][15]7. 2. 활주로 침수
킬리 섬의 활주로는 비가 오거나 비가 온 뒤에는 땅이 매우 질퍽해져 사용할 수 없게 된다.[14][15] 이로 인해 항공 교통 운행에 차질이 빚어진다.7. 3. 재정착 요구
2011년부터 킬리섬으로 이주한 주민들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 범람 문제를 겪기 시작했다. 킬리섬의 가장 높은 지점은 해수면에서 겨우 3m에 불과하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바닷물이 최소 다섯 차례 섬 일부를 덮쳐 모든 우물이 오염되었다. 섬의 활주로는 비가 오거나 비 온 뒤에는 땅이 매우 질퍽해져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도 발생했다. 결국 2015년 8월, 비키니 의회는 비키니 주민 재정착 신탁 기금의 조건을 변경하여 마셜 제도 밖으로 이주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14][15]8. 종교와 교육 시설
(내용 없음)
8. 1. 종교 시설
킬리에는 두 개의 기독교 교회가 있다. 하나는 하나님의 성회이고 다른 하나는 개신교 교회이다.8. 2. 교육 시설
킬리에는 유치원부터 8학년까지의 학생들을 위한 초등학교가 있다. 각 연령대별로 한 반씩 있으며, 특수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반도 하나 있다. 학급 규모는 보통 6명에서 18명 사이이다. 일부 교사는 킬리 출신이며, 일부는 인근 섬에서 온다.다트머스 자원 봉사 교육 프로그램은 2000년부터 매년 2~4명의 미국인 자원 봉사 교사를 이 학교에 배치해 왔다. 이 교사들은 다른 교육 과정 외에도 영어 교육을 제공하는데, 이는 마셜어로 된 교육 자료나 책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16][17] 미국인 자원 봉사자들은 1년 이상 머물면서 가르친다. 8학년 말 무렵, 학생들은 잘루이트 또는 마주로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입학을 위해 표준화된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Marshallese-English Dictionary – Place Name Index
http://www.trussel2.[...]
[2]
웹사이트
Republic of the Marshall Islands 2021 Census Report, Volume 1: Basic Tables and Administrative Report
https://spccfpstore1[...]
Pacific Community
2023-09-27
[3]
웹사이트
Commodore Ben H. Wyatt addressing the Bikini Island natives
https://americanhist[...]
2024-07-27
[4]
서적
The Bikinians : a study in forced migration
https://www.osti.gov[...]
Cummings Pub. Co
2024-07-28
[5]
서적
The Discovery of the Pacific Islands
Clarendon Press
1962
[6]
간행물
Germany's Lost Pacific Empire
1920
[7]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People of Bikini Atoll
http://www.bikiniato[...]
2013-08-07
[8]
간행물
A history of the people of Bikini following nuclear weapons testing in the Marshall Islands: with recollections and views of elders of Bikini Atoll
https://pubmed.ncbi.[...]
1997-07
[9]
웹사이트
Bikini resettlement trust fund money is history
https://www.mvariety[...]
2024-06-24
[10]
웹사이트
Air Marshall Islands only plane grounded
http://www.rnzi.com/[...]
2011-09-19
[11]
웹사이트
Public Schools
http://pss.edu.mh/en[...]
[12]
간행물
Annual Report 2011-2012
http://www.pss.edu.m[...]
[13]
뉴스
Pacific's A-bomb refugees now face climate threat
https://news.yahoo.c[...]
2016-04-29
[14]
웹사이트
Exiled by nuclear testing, rising seas force Bikinians to flee again
http://www.radionz.c[...]
RNZI
2016-04-28
[15]
간행물
Paradise With an Asterisk
http://www.outsideon[...]
2016-04-28
[16]
웹사이트
Dartmouth Volunteer Teaching Program – Idealist
https://www.idealist[...]
2018-05-18
[17]
웹사이트
The Educational Priorities of the People of Bikini
http://www.bikiniato[...]
Bikini Atoll
2009-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