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인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인문학은 인간의 가치, 의미, 문화, 역사 등을 탐구하는 학문 분야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양에서 시작되어 동양에서도 독자적으로 발전해왔다. 문학, 역사학, 철학, 언어학, 예술학 등 다양한 하위 분야를 포함하며, 비판적 사고, 공감 능력, 소통 능력, 문화 다양성 존중, 민주 시민 의식 함양 등 개인적, 사회적 가치를 제공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기술 발전과의 융합, 문화 간 소통 및 이해 증진,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사회과학과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추구한다.

2. 역사

서양에서 인문학에 대한 연구는 시민들에 대한 광범위한 교육의 기준으로서,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37][114] 로마 시대에는, 4과(음악, 기하, 산술, 천문)와 함께, 3학(문법, 수사 그리고 논리)을 포함하여, 7가지의 자유 인문 학문의 개념이 만들어졌다.[114] 이들 과목들은 인문학에서 기술들 또는 "행위의 방법들"로써 강조되어, 중세 교육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 하나의 중요한 전환이 발생했으며, 그때 인문학은 전통적인 분야로부터 문학 및 역사와 같은 분야로의 전환에 상응하는, 실용적이기보다 학문적인 성향이 큰 과목으로 간주되기 시작하였다. 단어 ''인문학''은 르네상스 라틴어 구절 studia humanitatisl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인류의 연구"로 번역된다. 이 구절은 르네상스 시대에 세련된 교육의 중요한 측면으로 여겨졌던 고전 문학과 언어 연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15세기 초에 studia humanitatisla는 라틴어와 그리스어 고전 연구에서 주로 파생된 문법, 시, 수사학, 역사, 도덕 철학으로 구성된 일련의 학문 과정을 의미했다. humanitasla라는 단어는 또한 르네상스 이탈리아 신조어 umanistiit를 낳았으며, 여기서 "인문주의자", "르네상스 인문주의"가 파생되었다.[7]

20세기에는, 민주사회에서 평등원칙에 더 적합한 용어로써, 인문학을 재정의하려는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에 의해 재차 논의되었다.[39][115]

2. 1. 서양 인문학의 발전

서양에서 인문학에 대한 연구는 시민들에 대한 광범위한 교육의 기준으로서,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14] 로마 시대에는 삼학(문법, 수사학, 논리학)과 사과(산술, 기하학, 천문학, 음악)를 포함하는 일곱 자유 인문 학문 개념이 만들어졌다.[114] 이들 과목은 중세 교육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으며, 인문학에서 기술들 또는 "행위의 방법들"로써 강조되었다.[114]

15세기의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함께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때 인문학은 실천보다는 연구 대상이 되기 시작했으며, 전통적인 분야에서 문학 및 역사(''studia humaniora'')와 같은 분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39] ''인문학''이라는 단어는 르네상스 라틴어 구절 studia humanitatisla에서 유래되었으며, 15세기 초에 studia humanitatisla는 라틴어와 그리스어 고전 연구에서 주로 파생된 문법, 시, 수사학, 역사, 도덕 철학으로 구성된 일련의 학문 과정을 의미했다. humanitasla라는 단어는 또한 르네상스 이탈리아 신조어 umanistiit를 낳았으며, 여기서 "인문주의자", "르네상스 인문주의"가 파생되었다.[7]

20세기에는 이러한 관점이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에 의해 다시 도전받았는데, 이는 인문학이 기원한 그리스와 로마 사회가 엘리트적이고 귀족적이었기 때문에 민주주의 사회에 적합한 더욱 평등주의적인 용어로 인문학을 재정의하고자 했다.[39][115]

2. 2. 동양 인문학의 발전

동양에서도 서양과 유사하게 인문학적 전통이 발전해 왔다. 고대 중국에서는 유교, 도교, 법가 등의 사상이 발전하면서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이루어졌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유교, 불교, 도교 등 다양한 사상이 융합되면서 독자적인 인문학적 전통이 형성되었다. 특히, 실학 사상은 조선 후기 사회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3. 한국 인문학의 특수성

한국의 인문학은 전통적으로 유교적 가치관을 중시하면서도 실용적인 학문과 실천적인 지식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이러한 특징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한국의 인문학은 민족 정체성과 주체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인문학의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지만, 동시에 인문학적 가치에 대한 재조명과 새로운 융합 학문의 등장 등 긍정적인 변화도 나타나고 있다.

3. 하위 분야


일본의 대학에서는 대개 "인문계" 학문 분야의 교육·연구를 주로 문학부 등이 실시하지만, 대학에 따라서는 "인문(과학)부"라는 학부를 설치하는 곳도 있다[107]

3. 1. 고전학

서양의 학문 전통에서 고전학은 고전고대의 문화, 즉 그리스로마 문화를 말한다.[8] 고전 연구는 예전에는 인문학의 토대의 하나로 간주되었으나, 20세기 동안에 그 중요성은 감소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문학과 같은 인문학에서 고전적 관념들의 영향은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다.[8] 다시 말하면, 고전은 초기 세계의 주요 문명에서 집필된 기본적인 책들이다. 서양 이외의 주요 전통에서, 고전은 인도에서는 베다우파니샤드, 중국에서는 공자노자 장자의 저서, 이집트사자의 서와 마찬가지로 메소포타미아에서는 함무라비 법전길가메시 서사시 등과 같은 책들을 가리킨다.

그리스 시인, 호메로스의 흉상


가장 유명한 그리스 시인 호메로스의 흉상

3. 2. 역사학

역사는 체계적으로 집적한 과거라 불리는 어떤 것에 대한 정보의 재창조이다. 일종의 학문 분야 이름으로 사용할 때, 역사학은 인간과 사회, 제도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해 왔다 여겨지는 어떤 주제에 관한 연구와 해석, 재창조를 가리킨다.[107] 역사에 대한 지식은 때로는, 지난 사건들에 대한 지식과 역사적 사고 기술의 두 가지 모두를 망라한다.

전통적으로 역사에 대한 연구는 인문학의 한 분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근현대 학문에서 역사학은, 특히 미국과 프랑스에서, 연대기가 초점이 될 때는 점차 사회 과학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서울대학교는 역사학을 분명히 인문학으로 구분하여, 역사학의 인문학성을 강조하였다. 인문학과 사회과학 등과 같은 학문 분류는 다양한 학문분야 간의 융합의 결과인 역사학에 대한 지나친 협소한 정리이다.

3. 2. 1. 한국사 연구의 중요성

한국사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학문이다. 특히,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민주화 운동 등 격동의 역사를 통해 한국 사회의 발전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역사 교육 강화를 통해 올바른 역사 인식 확립과 민주시민 양성을 추구한다.

3. 3. 언어학

언어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언어학으로 알려져 있으며,일반적으로 사회 과학으로 간주되지만,[9] 자연 과학[10] 또는 인지 과학으로 간주되기도 한다.[11] 언어 연구는 인문학의 핵심이기도 하다. 20세기와 21세기의 상당한 철학이 언어 분석과, 비트겐슈타인이 주장했듯이, 우리의 많은 철학적 혼란이 우리가 사용하는 어휘에서 비롯되는지에 대한 질문에 할애되었다; 문학 이론은 언어의 수사적, 연상적, 질서정연한 특징을 탐구해왔고; 역사 언어학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른 언어의 발달을 연구해왔다. 언어는 인류가 발전시킨 최고 수준의 정보체계인 동시에 의사소통수단이다. 고전과 근현대 언어들 각각에 대한 연구는 근대 인문학 연구의 뼈대를 형성한다. 근대과학으로서의 언어학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으며 19세기 특히 독일을 중심으로 언어의 역사성과 민족성을 규명하는데 중심을 둔 역사언어학이 중심을 이루었으나 20세기 이후 르네 드 소쉬르에 의해서 언어를 기호체계로 이해하는 관점이 생겨나면서 소위 현대언어학이 발전하게 되었다. 언어에서의 변화는 다른 인문학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다.

3. 4. 문학

문학은 언어예술이며 달리 문예라고도 한다. 문예학은 예술학의 핵심이며 인문학의 중심 학문 중 하나이다. 문학은 언어를 통해 인간의 경험과 감정을 표현하고, 사회와 문화를 반영하는 예술 작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문학은 모든 저술물, 문학적 가치를 지닌 글, 그리고 일상 언어와는 대조적으로 문학적 특징을 강조하는 언어를 다양하게 포함하며, 구술 문학 텍스트도 포함된다. 문학은 소설 또는 논픽션, 또는 산문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소설, 단편 소설 또는 희곡과 같은 주요 형식이나 역사적 시대, 특정 미학적 특징이나 기대 (장르)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문학 비평은 문학 작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평가를 통해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고, 비판적 사고 능력을 함양하는 데 기여한다. 사람들은 문학과 대중적인 형태의 작품 사이의 차이를 감지하기도 하며, "본격 소설"과 "문학적 가치"라는 용어는 가끔 개별 작품들을 구별하는 용도로 쓰인다. 이전에는 순수문학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나 현대에는 소위 대중문학 및 통속문학 또한 연구영역으로 흡수하는 추세다.

영문학에서 중요한 작품을 쓴 세익스피어

3. 5. 음악사학

음악악보로 기록된 소리예술이자 시간예술이다. 인간의 정신과 밀접하게 닿아 있는 예술로, 인간의 고도의 이성과 감성의 조화의 산물이기에 음악과 음악의 역사, 음악을 통해 본 역사에 대한 탐구는 인문학에서 필수적이다. 음악사학은 음악과 음악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동양에서는 고대 중국과 인도 등에서부터 연구되던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학문이다. 음악사학은 고대 그리스 시대를 거쳐 4과에도 포함되어 있었고 중세대학에서 자유 7과중 하나로 교육 및 연구되었으며 르네상스시대를 거쳐 19세기 포르켈 등을 위시한 독일을 중심으로 근대과학으로서의 인문학으로 발전되었다. 음악사학은 크게 지역적으로 서양음악사학과 동양음악사학, 한국음악사학 등으로 나뉘며 작곡가와 작품에 대한 연구라는 기본적인 영역에서 시작하여 음악이론과 분석담론 및 (소위 음악철학이나 음악미학으로 알려져 있는)사상, 장르와 사조의 변천, 악기의 연구, 음악과 문학 및 무용 등 타 예술장르와의 관계, 음악과 정치 사회 경제 문화와의 관계 등의 역사를 다룬다. 단 음악연주는 실기의 영역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학문의 대상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하지만 미술사학에서 화가의 역할이 있듯, 시각적 기록 매체인 악보를 해석하고 소리예술로 재현하는 것은 실기의 영역을 넘어선 학문의 영역이다.

서양중세음악의 네우마기보법으로 기보된 성가 악보


조선시대『악학궤범』 당부악기도설에 나오는 당비파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 위치한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국립음대의 콘서트


음악학은 학문 분야로서 역사 음악학, 음악 문헌학, 음악인류학, 음악 이론 등을 포함하여 여러 갈래로 나아갈 수 있다. 학부 음악 전공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이 모든 분야의 과목을 수강하며, 대학원생들은 특정 분야에 집중한다. 인문학 전통에서 음악학은 집중력과 청취력을 포함한 기술을 가르침으로써 비음악가의 기술을 넓히는 데에도 사용된다.

3. 6. 공연예술학

공연예술학은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예술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공연예술은 예술가가 자신의 신체, 얼굴, 존재를 매개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조형 예술과 다르다. 곡예, 무용, 마술, 오페라, 뮤지컬,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저글링, 연희, 취주 악단, 연극 등을 포함한다.

관객 앞에서 이러한 예술을 공연하는 예술가들을 행위 예술가, 배우, 희극 배우, 무용가 등으로 부르며, 작사각색 등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도움을 받는다. 공연자들은 의상분장 등으로 자신의 겉모습을 꾸미기도 한다. 예술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관객에게 공연하는 미술의 특수한 형식은 행위 예술이라고 부른다. 대부분의 무대 예술은 소품 제작과 같은 조형 예술 형식을 포함하며, 근대 무용 시대에는 무용이 종종 "조형 예술"로 간주되기도 했다.

연극(그리스어 ''θέατρον'')은 이야기, 연설, 몸짓, 춤, 소리, 스펙터클 등 다양한 요소를 조합하여 관객 앞에서 이야기를 연기하는 무대 예술의 한 분야이다. 연극 대본은 희곡이라고 하며 문학의 하위 장르 중 하나이다. 연극은 오페라, 발레, 마임, 가부키, 고전 인도 무용, 중국 오페라, 가장극, 판토마임과 같은 다양한 형식을 취한다.

춤은 인간의 움직임으로, 표현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사회적, 정신적 또는 공연 장치에서 나타난다. 춤은 인간과 동물 간의 비언어 의사소통(신체 언어 참조) 방법이나 무생물의 운동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안무는 춤을 만드는 예술이며, 안무를 하는 사람을 안무가라고 부른다. 춤은 사회적, 문화적, 심미적, 미학적, 도덕적 제약에 따라 그 정의가 달라지며, 포크 댄스와 같은 기능주의 운동에서부터 발레와 같이 일정한 틀에 따른 비르투오소 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스포츠에서 체조, 피겨 스케이팅,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은 무용 과목에 속하며, 무예 등도 춤에 비유되기도 한다.

3. 7. 철학

고대 그리스에서 철학은 학문 그 자체, 고대 그리스에서 지혜에 대한 사랑을 의미했고 전통상으로 철학은 세계인간과 사물과 현상의 가치와 궁극적인 뜻을 향한 본질적이고 총체스러운 천착을 뜻했다. 이에 더하여 현대철학은 철학에 기초한 사고인 전제나 문제 명확화, 개념 엄밀화, 명제 간 관계 명료화를 이용해 제 주제를 논하는 언어철학논리학에 상당한 비중을 둔다.[116] 철학이라는 단어는 고대 희랍어의 필로소피아(φιλοσοφία, 지혜에 대한 사랑)에서 유래하였는데 여기서 지혜는 일상생활에서의 실용하는 지식이 아닌 인간 자신과 그것을 둘러싼 세계를 관조하는 지식을 뜻한다. 이를테면 세계관, 인생관, 가치관이 포함된다. 이런 일반 뜻으로서 철학은 어느 문화권에나 오래전부터 존재하여 왔다. 심지어 문자가 없는 사회에서도 세계를 향한 깊은 지혜는 발견된다. 서구화 이후, “철학”은 대체로 고대 희랍 철학에서 시작하는 서양철학 일반을 지칭하기도 하나 철학 자체는 동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윤리 형이상학의 정초》의 첫 부분에서, 이마누엘 칸트는 고대 그리스 철학을 자연학과 윤리학 그리고 논리학의 세 학문으로 나눈다. 그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 17세기의 물리학(또는 자연 철학), 19세기의 심리학과 20세기의 인공 지능과 언어학에 이르기까지 - 개별 학문 분야로 분리되었다.

쇠렌 키르케고르의 저작은 철학, 문학, 신학, 음악, 고전학 등 인문학의 여러 분야와 중첩된다.


철학은 어원적으로 "지혜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존재, 지식, 정당화, 진리, 정의, 옳고 그름, 아름다움, 타당성, 마음, 언어 등과 관련된 문제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철학은 비판적이고 일반적으로 체계적인 접근 방식과 실험보다는(예외적으로 실험 철학이 존재한다.) 추론된 논증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다루는 다른 방식과 구별된다.[15]

철학은 한때 매우 포괄적인 용어였으며, 이후 물리학과 같이 별개의 학문이 된 분야도 포함했다. (이마누엘 칸트는 "고대 그리스 철학은 물리학, 윤리학, 논리학의 세 가지 과학으로 나뉘었다"고 언급했다.)[16] 오늘날 철학의 주요 분야는 논리학, 윤리학, 형이상학, 인식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학문 분야와 계속 중첩된다. 예를 들어 의미론 분야는 철학을 언어학과 연결한다.

20세기 초부터 영어를 사용하는 대학교의 철학은 인문학에서 벗어나 형식 과학에 더 가까워지면서 훨씬 더 ''분석적''이 되었다. 분석 철학은 논리 및 형식적 추론 방법, 개념 분석 사용, 기호 논리 및/또는 수학적 논리 사용에 중점을 둔 것이 특징이며, 이는 대륙 철학 스타일과 대조된다.[17] 이러한 탐구 방법은 고틀로프 프레게, 버트런드 러셀, G.E. 무어,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같은 철학자들의 연구에 크게 힘입었다.

3. 7. 1. 윤리학의 중요성

윤리학은 도덕적 가치와 행동 규범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사회 정의와 공정성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응용 윤리학은 생명 윤리, 환경 윤리, 정보 윤리 등 현대 사회의 다양한 윤리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3. 8. 종교학

컴퍼스는 신의 창조 행위를 나타내는 하나의 상징이다.(13세기 사본)


종교학은 종교 현상과 신앙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일반적으로 사회 과학으로 여겨진다.[19][20] 현재까지 알려진 모든 문화는 어떤 형태의 신념 체계나 종교적 관습을 가지고 있으며, 종교를 전혀 실천하지 않는 고립된 개인이나 집단이 있을 수 있지만, 종교적 신념이 전혀 없는 사회가 있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종교의 정의는 보편적이지 않으며, 다른 문화는 종교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해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질 수 있다. 종교는 '''공동체'''로 특징지을 수 있고,[19][20] '''의례'''는 공동체를 결속시키는 데 사용된다.[21][22]

종교는 '''윤리'''와 연관되기도 하지만, 신토교, 도교 및 기타 민속 종교 또는 자연 종교는 윤리 강령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일부 종교는 신의 개념을 포함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 초자연적인 현상이 반드시 신의 존재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과학이나 이성으로 설명할 수 없는 모든 현상으로 광범위하게 정의될 수 있다.[23][24] '''마술적 사고'''는 경험적 검증이 불가능한 설명을 만들어내며, '''이야기''' 또는 신화는 교훈적이면서 동시에 재미있는 서술로 인간의 곤경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25]

종교의 다른 가능한 특징으로는 정화와 부정,[26]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인 것,[27] 성전,[28] 종교 기관 및 조직,[29][30] 그리고 제물과 기도가 있다. 종교가 직면하고 해결하려는 주요 문제 중 일부는 혼돈, 고통, 악,[31] 그리고 죽음이다.[32]

비 창시 종교에는 힌두교, 신토교, 토착 또는 민속 종교가 있고, 창시 종교에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유교, 도교, 몰몬교, 자이나교, 조로아스터교, 불교, 시크교, 그리고 바하이교가 있다. 종교는 신봉자들에게 계속 유효하려면 시대에 따라 적응하고 변화해야 하며, 전통적인 종교가 새로운 문제에 대처하지 못하면 새로운 종교가 등장한다.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종교의 기원을 신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탐색한다. 이 시기 동안의 대부분의 종교적 믿음은 모계 신과 하늘 신에 대한 숭배, 또한 신으로서의 해와 달에 대한 숭배(태양 신앙 참조)로 이루어져 있다.

기원전 6세기경, 동서양에서 새로운 철학과 종교가 나타났다. 인도의 힌두교와 불교,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 등 세계 곳곳의 종교에서 다양한 변화가 생겨났다. 동양에서는 도가법가, 유가가 근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인들의 지배적인 사상이었다. 서양에서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 대표되는 그리스 철학 전통이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전쟁으로 유럽과 중동에 퍼졌다.

아브라함 종교들은 하나의 공통된 고대 셈족 전통으로부터 유래한 종교들이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를 포괄하며, 세계 종교 신자의 약 절반을 차지한다.

3. 9. 미술사학

미술사학은 미술 작품의 역사와 양식, 의미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107][108][109]

남송 고종 황제의 ''천산사구시''; 비단에 부채 형태로 장착된 앨범 잎, 초서체로 4행


미술의 주요 전통은 고대 일본, 그리스, 로마, 중국, 인도, 대(大)네팔, 메소포타미아, 중앙아메리카와 같은 고대 문명 중 하나의 예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고대 그리스 미술은 인간 신체의 형태를 숭배하고 근육, 균형, 아름다움 및 해부학적으로 정확한 비율을 보여주는 기술의 발달을 보였다. 고대 로마 미술은 신들을 특징적인 구별 특징(예: 제우스의 번개)으로 묘사된 이상화된 인간으로 묘사했다.[33]

중세 시대의 비잔틴 및 고딕 예술에서 영적 및 종교적 주제에 대한 강조는 교회의 지배를 반영했다. 그러나 르네상스 시대에는 신체와 풍경을 더욱 자연스럽고 3차원적인 방식으로 묘사하는 예술 형식에 물리적 세계에 대한 새로운 초점이 반영되었다.[33]

동양 예술은 일반적으로 서양 중세 미술과 유사한 스타일로 작업해 왔으며, 즉 표면 패턴과 국지적 색상(빛, 음영 및 반사에 의해 생성된 해당 색상의 변조가 아닌, 빨간색 로브의 기본 빨간색과 같은 물체의 평범한 색상을 의미)에 집중했다. 이 스타일의 특징은 국지적 색상이 종종 윤곽선으로 정의된다는 것이다(현대적 등가물은 만화이다). 이는 예를 들어 인도, 티베트 및 일본의 예술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종교적 이슬람 예술은 도상학을 금지하고 기하학을 통해 종교적 아이디어를 표현한다.[34] 19세기 계몽주의가 묘사한 물리적이고 합리적인 확실성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35]과 프로이트의 보이지 않는 심리학에 대한 새로운 발견뿐만 아니라 전례 없는 기술 발전으로 인해 무너졌다.[36] 이 시대의 증가하는 세계적 상호 작용은 서양 미술에 다른 문화의 동등한 영향을 미쳤다.

4. 인문학의 가치와 사회적 역할

4. 1.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 함양

스탠리 피시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인문학이 사회적 유용성이나 개인에게 고상한 영향을 주는 것과 같은 외부적 이점을 정당화하려는 시도는 근거가 없다고 주장하며, 인문학 자체의 즐거움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81] 또한, 비판적 사고는 인문학적 훈련의 결과일 수 있지만 다른 맥락에서도 습득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82]

피시와 같은 학자들은 인문학이 지식 공동 추구에 기반한 독특한 종류의 즐거움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즐거움은 현대 서구 소비 사회에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사이의 연결 고리를 제공하고, 위르겐 하버마스가 주장하는 현대 민주주의의 기반이 되는 공론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본다.

반면, 마크 바우어라인과 같은 사람들은 인문학 교수들이 세뇌를 선호하여 학습, 연구 및 평가에서 지속적인 실수가 나타난다고 주장한다.[83]

4. 2. 공감 능력과 소통 능력 향상

4. 3. 문화 다양성 존중과 사회 통합 증진

4. 4. 민주 시민 의식 함양과 민주주의 발전 기여

빌헬름 딜타이와 한스 게오르크 가다머는 인문학이 자연 과학과 구별되는 지점으로, 인류가 자신의 경험을 이해하려는 욕구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이러한 이해가 비슷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결속시키고, 철학적 과거와의 문화적 연속성을 제공한다고 보았다.[74]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 학자들은 "서사적 상상력"[75]을 개인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 밖의 실제 경험 기록을 이해하는 능력으로 확장했다. 이러한 서사적 상상력을 통해 인문학 연구자와 학생들은 다문화 세계에 더 적합한 양심을 발전시킨다고 주장한다.[76] 이러한 양심은 보다 효과적인 자기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수동적인 형태를 취하거나, 책임감 있는 세계 시민이 참여해야 하는 시민적 의무의 수행을 돕는 적극적인 공감으로 확장될 수 있다.[76] 그러나 인문학 연구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인문학적 노력에서 생성된 이해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78] 19세기 후반부터 인문학의 주요 정당성은 자기 성찰을 돕고 장려한다는 점에 있었으며, 이러한 자기 성찰은 개인적인 의식 또는 적극적인 시민 의식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고 여겨졌다.

5. 현대 사회와 인문학의 과제

5. 1. 기술 발전과 인문학의 융합

디지털 인문학 분야에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역사적 텍스트를 디지털화하고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65] 이러한 기술 발전은 인문학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규모 및 소규모 디지털 기업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인문학 연구자들은 자료에서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 연구 데이터를 새롭고 획기적인 방식으로 시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65]

하지만, 미국에서는 STEM 분야에 대한 자금 지원이 증가하는 반면, 인문학 분야에 대한 연방 자금 지원은 상대적으로 적어 대학 및 대학 이전 인문학 교육의 질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66]

이러한 상황에서 에드윈 에드워즈는 2014년 학술 회의 영상 연설을 통해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67][68] 그는 인문학이 기술과 과학의 발전을 올바르게 이끌고, 기술 사용에 대한 논의를 구성하며, 더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 방법을 가르쳐주지 않는다면, 기술과 과학은 결국 소수의 영향력 있는 사람들에게 독점될 것이라고 경고했다.[69]

5. 2. 세계화 시대의 문화 간 소통과 이해 증진

5. 3. 기후 변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

6.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관계

인문학은 특정 주제가 아니라 접근 방식을 통해 자연 과학과 구별된다.[80] 인문학은 사건의 인과 관계를 설명하거나 자연 세계의 진실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의미, 목적, 목표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80] 독특한 역사적, 사회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해석적 방법을 통해 "진실"을 찾는다.[80] 이야기적 상상력은 역사, 문화, 문학에서 이해된 의미를 (재)생산하는 중요한 도구이다.[80]

예술가나 학자의 상상력은 청중의 반응을 이끌어내는 의미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80] 인문학자는 삶의 경험의 결절점 안에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절대적" 지식은 불가능하며, 지식은 텍스트가 읽히는 맥락을 끊임없이 발명하고 재발명하는 절차이다.[80] 포스트구조주의는 의미, 의도성, 저작권에 대한 질문에 기반한 인문학 연구에 대한 접근 방식을 문제 삼았다. 롤랑 바르트의 작가 사망 선언 이후, 해체주의담론 분석과 같은 다양한 이론적 흐름은 의미 있는 객체와 인문학 연구의 해석학적 주체를 생산하는 데 작용하는 이데올로기와 수사를 폭로하고자 한다.

사회과학은 사회 현상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통계적 분석, 실험 등의 방법을 통해 인과 관계를 밝히고, 미래를 예측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등이 이에 속한다.

인문학과 사회과학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맺으며, 인간과 사회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협력해야 한다. 인문학은 인간의 가치와 의미를 탐구하고, 사회과학은 사회 현상과 구조를 분석한다.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가 이러한 상호 보완적 관계 속에서 발전하고 있다.

6. 1. 인문학: 가치, 의미, 해석에 중점

인문학은 특정 주제가 아니라 접근 방식을 통해 자연 과학과 구별된다.[80] 인문학은 사건의 인과 관계를 설명하거나 자연 세계의 진실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의미, 목적, 목표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80] 독특한 역사적, 사회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해석적 방법을 통해 "진실"을 찾는다.[80] 이야기적 상상력은 역사, 문화, 문학에서 이해된 의미를 (재)생산하는 중요한 도구이다.[80]

예술가나 학자의 상상력은 청중의 반응을 이끌어내는 의미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80] 인문학자는 삶의 경험의 결절점 안에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절대적" 지식은 불가능하며, 지식은 텍스트가 읽히는 맥락을 끊임없이 발명하고 재발명하는 절차이다.[80] 포스트구조주의는 의미, 의도성, 저작권에 대한 질문에 기반한 인문학 연구에 대한 접근 방식을 문제 삼았다. 롤랑 바르트의 작가 사망 선언 이후, 해체주의담론 분석과 같은 다양한 이론적 흐름은 의미 있는 객체와 인문학 연구의 해석학적 주체를 생산하는 데 작용하는 이데올로기와 수사를 폭로하고자 한다.

6. 2. 사회과학: 객관적 사실, 법칙, 예측에 중점

사회과학은 사회 현상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통계적 분석, 실험 등의 방법을 통해 인과 관계를 밝히고, 미래를 예측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등이 이에 속한다.

6. 3. 상호 보완적 관계

인문학과 사회과학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맺으며, 인간과 사회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협력해야 한다. 인문학은 인간의 가치와 의미를 탐구하고, 사회과학은 사회 현상과 구조를 분석한다.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가 이러한 상호 보완적 관계 속에서 발전하고 있다.

7. 결론

참조

[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2]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3
[3] 웹사이트 Arts and Humanities Majors and Degrees https://bigfuture.co[...] 2023-12-13
[4] 웹사이트 What are the Humanities http://shc.stanford.[...] 2016-07-16
[5] 웹사이트 Humanist https://oed.com/view[...]
[6] 서적 undefined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humanism https://www.britanni[...] 2012-04-11
[8]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Critical Theory https://www.penguin.[...] 2004-12-02
[9] 웹사이트 Social Science Majors, University of Saskatchewan https://web.archive.[...] 2016-02-06
[10] 웹사이트 Language as a Natural Object; Linguistics as a Natural Science https://web.archive.[...]
[11] 웹사이트 Cognitive Science http://plato.stanfor[...] 2008
[12] 서적 Crimes Against Humanity Penguin
[13] 웹사이트 Etymonline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07-08-14
[14] 웹사이트 Merriam-Webster's Dictionary http://www.m-w.com/d[...] 2007-08-14
[15] 서적 What Does It All Mean? A Very Short Introduct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Groundwork of the Metaphysic of Morals
[17] 웹사이트 'Analytic' philosophy https://web.archive.[...]
[18] 서적 The SAGE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SAGE 2007-10-29
[19] 서적 Politica Oxford
[20] 서적 The Sacred Canopy Doubleday and Company
[21] 서적 Rituals Oxford
[22] 서적 Ritual Oxford
[23] 서적 The Science of Superstition HarperOne
[24] 서적 The Anthropology of Religion: An Introduction Wiley-Blackwell 2000-02-29
[25] 서적 Myth Oxford
[26] 서적 Purity and Danger Routledge
[27] 서적 The Sacred and the Profane Harvest
[28] 서적 Sacred Word and Sacred Text Orbis Books
[29] 서적 The Sacred Canopy Anchor
[30] 서적 Religion: The Social Context Wadsworth
[31] 서적 The Problem of Evil in the Western Tradition Liturgical Press
[32] 서적 The denial of death Macmillan
[33] 서적 History of Art: The Western Tradition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Professional
[34] 논문 The royal veil: early Islamic figural art and the Bilderverbot reconsidered http://dx.doi.org/10[...] Routledge 2023-10-19
[35] 뉴스 Does time fly? http://books.guardia[...] 2008-05-01
[36] 웹사이트 Internet Modern History Sourcebook: Darwin, Freud, Einstein, Dada http://www.fordham.e[...] www.fordham.edu 2008-05-01
[37] 서적 A New History of the Human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38] 서적 The Humanities Today Indiana University Press 1970
[39] 서적 Under Construction: The Role of the Arts and Humanities in Postmodern Schooling Phi Delta Kappa Educational Foundation 1997
[40] 서적 The Closing of the American Mind Simon and Schuster 2012
[41] 학술지 Intention and Perceptions A National Survey of Public Attitudes Toward Liberal Arts Education 1997-03-01
[42] 웹사이트 Hooray for "worthless" education! http://www.salon.com[...] 2014-03-27
[43] 웹사이트 Humanities graduates and the British economy: The hidden impact http://torch.ox.ac.u[...]
[44] 학술지 The Liberal Arts Graduate College Hiring Market https://canvas.wisc.[...] 2010
[45] 웹사이트 Ten Years After College: Comparing the Employment Experiences of 1992–93 Bachelor's Degree Recipients With Academic and Career Oriented Majors https://nces.ed.gov/[...]
[46] 웹사이트 The Cumulative Earnings of Postsecondary Graduates Over 20 Years: Results by Field of Study http://www.statcan.g[...] 2014-10-28
[47] 웹사이트 Earnings of Humanities Majors with a Terminal Bachelor's Degree http://www.humanitie[...]
[48] 웹사이트 Career earnings by college major http://www.hamiltonp[...]
[49] 서적 The State of the Humanities 2018: Graduates in the Workforce & Beyond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8
[50] 학술지 The Labour Market Value of Liberal Arts and Applied Education Programs: Evidence from British Columbia http://journals.sfu.[...] 2006
[51] 웹사이트 Boost in Median Annual Earnings Associated with Obtaining an Advanced Degree, by Gender and Field of Undergraduate Degree http://www.humanitie[...]
[52] 웹사이트 Earnings of Humanities Majors with an Advanced Degree http://www.humanitie[...]
[53] 웹사이트 Why Google Hires Humanities Majors? https://imagine.jhu.[...] Johns Hopkins University 2024-02-15
[54] 웹사이트 Soft Skills and Humanities https://www.amacad.o[...]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2024-09-25
[55] 웹사이트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http://www.amacad.or[...] Amacad.org 2013-11-14
[56] 웹사이트 Humanities Indicators http://www.humanitie[...] Humanities Indicators
[57] 뉴스 Humanities, social sciences critical to our future https://www.usatoday[...] 2013-06-18
[58] 웹사이트 The Colbert Report: Richard Brodhead http://www.colbertna[...] 2013-08-15
[59] 서적 The Marketplace of Ideas W. W. Norton 2010
[60] 서적 A Guidebook to Learning: For the Lifelong Pursuit of Wisdom
[61] 웹사이트 A Crisis in the Humanities? (10 June 2013) http://www.chronicle[...] 2013-06-10
[62] 뉴스 Census: More Americans have college degrees than ever before https://thehill.com/[...] 2017-03-04
[63] 뉴스 Humanities Committee Sounds an Alarm https://www.nytimes.[...] 2013-06-18
[64] 웹사이트 Bachelor's Degrees in the Humanities https://www.amacad.o[...]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24-04-28
[65] 웹사이트 Whitehouse.gov https://www.whitehou[...]
[66] 웹사이트 America Is Raising A Generation Of Kids Who Can't Think Or Write Clearly http://www.businessi[...]
[67] 웹사이트 Edwin W. Edwards Honorary Chair, Enlightenment Conference, Montreal, 18 Oct. 2014 https://www.youtube.[...] 2014-10-21
[68] 웹사이트 2014 Annual Conference Revolutions in Eighteenth-Century Sociability https://web.archive.[...] Université du Québec à Montréal
[69] 웹사이트 Introductory remarks by former four-term Louisiana Governor Edwin W. Edwards, Honorary Chair, Montreal Enlightenment Conference, October 18, 2014 https://www.academia[...]
[70] 서적 What Are Universities For? Penguin 2012
[71] 서적 The Value of the Human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72] 논문 The future of research assessment in the humanities: Bottom-up assessment procedures 2017
[73] 논문 Measuring impact in the humanities: Learning from accountability and economics in a contemporary history of cultural value 2017-10-31
[74] 서적 The Formation of the Historical World in the Human Sciences
[75] 논문 Narrative imagination and taking the perspective of others 2002-07
[76] 서적 Cultivating Humanity
[77] 논문 Beneath and Beyo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2005
[78] 문서
[79] 서적 The Transformative Humanities: A Manifesto Bloomsbury Academic 2012
[80] 서적 The Formation of the Historical World in the Human Sciences
[81] 웹사이트 Will the Humanities Save Us? https://web.archive.[...] 2008-01-06
[82] 웹사이트 The Laws of Cool: Knowledge Work and the Culture of Information (Catalogue Copy & Table of Contents) http://liu.english.u[...] 2004
[83] 웹사이트 Theory and the Humanities, Once More https://www.insidehi[...] 2014-11-13
[84] 서적 "Theory," Anti-Theory, and Empirical Criticism ICUS Books 1999
[85] 웹사이트 Bill Nye says I convinced him that philosophy is not just a load of self-indulgent crap https://qz.com/96030[...] 2017-04-15
[86] 웹사이트 Health Fetishism among the Nacirema: A fugue on Jenny Reardon's The Postgenomic Condition: Ethics, Justice, and Knowledge after the Genome (Chicago University Press, 2017) and Isabelle Stengers' Another Science is Possible: A Manifesto for Slow Science (Polity Press, 2018) https://ojs.uniroma1[...]
[87] 웹사이트 「人文科学」の英語・英語例文・英語表現 - Weblio和英辞書 https://ejje.weblio.[...] GRASグループ株式会社 2022-12-22
[88] 웹사이트 「人文」の英語・英語例文・英語表現 - Weblio和英辞書 https://ejje.weblio.[...] 2024-04-18
[89] 웹사이트 紀要『人文科学研究』|新潟大学人文学部 -Faculty of Humanities, Niigata University- https://www.human.ni[...] 2024-04-18
[90] 웹사이트 「人文学」の英語・英語例文・英語表現 https://ejje.weblio.[...] GRASグループ株式会社 2022-12-22
[91] 웹사이트 https://ura.sec.tsuk[...]
[92] 웹사이트 https://sy.rikkyo.ac[...]
[93]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3
[94] 웹사이트 https://www.meiji.ac[...]
[95] 웹사이트 Faculty of Humanities {{!}} Study at NU {{!}} https://www.niigata-[...] 2024-04-18
[96] 서적 宗教と学問 弘文堂 2004-02
[97] 백과사전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023-01-24
[98] 백과사전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 2023-01-24
[99] 백과사전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2023-01-24
[100] 백과사전 デジタル大辞泉 2023-01-24
[101]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2023-01-24
[102]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内の文化科学の言及 2023-01-24
[103] 웹사이트 humanism https://www.britanni[...] 2012-04-11
[104] 서적 田中美知太郎全集 筑摩書房 1987
[105] 웹사이트 現在、あらためて≪人文学≫を問う https://www.waseda.j[...] 2024-09-02
[106] 서적 日本古代史を科学する https://www.google.c[...] PHP研究所 2012-02-01
[107] 웹사이트 人文科学部 http://www.shujitsu.[...] 就実大学・就実短期大学 2023-01-25
[108] 문서 인류학에서의 자연인류학은 자연과학에 분류된다.
[109] 문서 지리학에서의 자연지리학은 자연과학에 분류된다.
[110] 웹사이트 2020年 学部系統別実就職率ランキング 大学通信 https://univ-online.[...] 2020-08-18
[111] 간행물 人文学報第247~251号 1994
[112] 웹사이트 PORTキャリア 文学部は就職で不利なのか | 文学部の強みや就職先を徹底解説 https://www.theport.[...] 2024-07-15
[113] 서적 クーリエジャポン 講談社 2013-09-25
[114] 서적 오늘날의 인문과학 (The Humanities Today) 인디애나 대학 출판부 1970
[115] 서적 Under Construction: The Role of the Arts and Humanities in Postmodern Schooling Phi Delta Kappa Educational Foundation 1997
[116] 서적 철학이란 무엇인가 지와사랑
[117] 웹인용 Does time fly? - Review - guardian.co.uk Books https://web.archive.[...] guardian.co.uk 2008-05-01
[118] 웹인용 근대의 역사 Internet Sourcebook: 다윈, 프로이트, 아인슈타인, 다다이즘 http://www.fordham.e[...] www.fordham.edu 2008-05-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