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학제간 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학제간 연구는 둘 이상의 학문 분야를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과 해결책을 창출하는 연구 방식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그 역사를 찾아볼 수 있으며, 20세기 이후에는 사회 문제 해결, 새로운 기술 개발, 지식 통합 등의 목적으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학제간 연구는 다학문적, 간학문적, 교차학문적, 탈학문적 연구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커뮤니케이션 과학, 환경 과학, 재료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한국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학제간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지만, 연구 평가, 예산 배분 등 제도적 장벽과 학문 분야 간의 소통 부족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제간 연구 - 여성학
    여성학은 여성의 경험과 젠더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페미니즘 이론과 사회 정의를 바탕으로 교육 및 사회 개혁에 기여하며, 다양한 비판과 논란이 존재한다.
  • 학제간 연구 - 정보과학
    정보과학은 정보의 수집, 분류, 조작, 저장, 검색 및 배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컴퓨터 과학, 커뮤니케이션 연구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사회적 가치 창조를 목표로 한다.
학제간 연구
학제간 연구란
정의둘 이상의 학문 분야의 방법론과 언어를 통합하여 새로운 수준의 이해를 추구하는 지식 및 연구의 한 형태이다.
목표복잡한 문제 해결, 새로운 관점 개발, 다양한 분야 간의 통합 촉진
관련 용어
다학제성 (Multidisciplinarity)여러 학문 분야를 함께 고려하지만, 각 분야의 방법론과 관점을 유지하는 접근 방식이다.
간학제성 (Transdisciplinarity)학문 분야 간의 경계를 넘어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학문 외부의 지식과 경험을 통합하는 접근 방식이다.
특징
학문 간 융합둘 이상의 학문 분야를 결합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 또는 지식 체계를 창출한다.
문제 중심적 접근특정 학문 분야의 관점에 갇히지 않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학문적 자원을 동원한다.
방법론적 다양성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의 깊이와 폭을 넓힌다.
협력적 연구다양한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연구를 수행한다.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
복잡한 사회 문제 해결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는 단일 학문 분야의 관점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
새로운 지식 창출학문 간 융합을 통해 기존 학문 분야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다.
융합 인재 양성다양한 학문 분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학제간 연구의 예시
뇌 과학신경과학, 심리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여 뇌의 기능과 작동 원리를 연구한다.
기후 변화 연구대기과학, 해양학, 경제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여 기후 변화의 원인과 영향, 그리고 대응 방안을 연구한다.
디지털 인문학인문학적 지식과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연구 방법론과 지식 창출 방식을 모색한다.
학제간 연구의 과제
학문 간 소통의 어려움서로 다른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용어와 개념이 달라 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연구 방법론의 차이서로 다른 학문 분야의 연구 방법론이 달라 연구 결과의 통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평가 기준의 부재학제간 연구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부족하다.
추가 정보
관련 학문 분야다양한 학문 분야 (예: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의학 등)
관련 기관대학, 연구소, 정부 기관, 기업
관련 협회학제간 연구 관련 학회 및 협회

2. 학제간 연구의 발전

"학제간 연구"와 "학제간성"은 20세기 용어로 자주 여겨지지만, 그 개념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선례를 가지고 있다.[3]

학제간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학문 분야가 중요한 문제를 다룰 수 없거나 다루려 하지 않는다는 공통된 확신에서 비롯되기도 하고, 나노기술과 같이 두 개 이상의 분야의 접근 방식을 결합하지 않고는 다룰 수 없는 새로운 연구 개발에서 비롯되기도 한다.

학제간성은 정보 사일로에서 과도한 전문화와 고립으로 인한 해로운 영향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학제간성이 한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빚을 지고 있다고 보지만, 다른 이들은 학문을 초월해야 할 필요성에 초점을 맞춘다. 학제간 협업이나 연구가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면, 관련된 다양한 학문 분야에 많은 정보가 다시 제공되므로, 학문 분야의 전문가와 학제간 연구자는 서로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학문은 지식이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으로, 내용의 일관성, 정리, 이해의 용이성 등을 위해 대상을 한정하여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첨단 연구에서는 종래와는 다른 관점, 발상, 수법, 기술 등이 새로운 성과를 창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종래에는 별로 연결되지 않았던 복수의 학문 분야에 정통한 연구자나, 복수의 학문 분야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연구하는 것 등에서 비롯되며, 이를 '''학제간 연구'''라고 부른다.

2. 1. 역사적 기원

고대 그리스에서는 역사가나 극작가들이 의학, 철학 등 다른 지식 영역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자료를 더 잘 이해하고자 했다. 이는 학제간 연구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다.[5] 줄리 톰슨 클라인은 "이 개념의 뿌리는 통일된 과학, 일반 지식, 종합, 지식 통합과 같이 현대 담론에 공명하는 여러 아이디어에 있다"고 주장했다.[4] 로마 도로 건설에는 측량, 재료 과학, 물류 및 기타 여러 분야를 이해하는 사람들이 필요했는데, 이 역시 학제간 연구의 사례이다.[6] 17세기 라이프니츠는 언어학, 경제학, 경영, 윤리학, 법 철학, 정치, 심지어 중국학까지 아우르는 보편적 정의 시스템을 만들고자 했는데, 이 또한 학제간 연구의 한 예시이다.[6]

2. 2. 현대적 발전

현대 사회에서 학제간 연구는 기존 학문 분야가 다루지 못하는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다. 예를 들어, 인류학사회학과 같은 사회 과학 분야는 20세기 대부분 동안 기술에 대한 사회적 분석에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 결과, 기술에 관심이 있는 많은 사회 과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참여하는 과학 기술 사회 프로그램에 합류했다.[7]

또한, 나노기술과 같이 두 개 이상의 분야의 접근 방식을 결합하지 않고는 다룰 수 없는 새로운 연구 개발에서 비롯될 수도 있다. 예로는 양자 물리학과 컴퓨터 과학의 융합인 양자 정보 처리와 분자 생물학과 컴퓨터 과학을 결합한 생물 정보학이 있다. 지속 가능한 개발은 경제, 사회, 환경 분야 전반에 걸쳐 분석과 종합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다루는 연구 분야이며, 종종 여러 사회 과학 및 자연 과학 분야의 통합을 필요로 한다. 학제간 연구는 질병에 대한 최적의 해결책 연구와 같은 건강 과학 연구에도 핵심적이다.[7]

3. 학제간 연구의 어려움과 장벽

학제간 연구는 여러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해야 하므로, 서로 다른 관점과 방법론을 이해하고 조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과 장벽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장벽 때문에 학제간 연구 분야는 스스로 학문 분야가 되려는 강력한 동기를 갖게 된다. 성공하면 자체 연구 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자체 테뉴어 및 승진 결정을 내릴 수 있어 진입 위험을 낮출 수 있다. 학문 분야가 된 이전 학제간 연구 분야의 예로는 신경과학, 사이버네틱스, 생화학, 생명공학 등이 있으며, 이들 중 많은 분야가 모학문 분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분야는 때때로 "학제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반면에, 학제간 활동은 학습과 교육을 장려하는 기관, 교육과 관련된 조직 및 사회적 실체들의 초점이 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복잡한 장벽, 심각한 도전과 비판에 직면해 있다. 지난 20년 동안 학제간 활동이 직면한 가장 중요한 장애물과 과제는 "전문적", "조직적", "문화적" 장애물로 나눌 수 있다.[9]

몇 안 되는 학제적 조사 사례 중 하나로 "JICA 인도네시아 모자 수첩 프로젝트"가 있다. 1998년부터 2003년에 걸쳐 실시된 이 프로젝트는 2004년 8월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주에서 학제적 조사를 진행했다. 나카무라 야스히데 등 일본인 8명과 인도네시아인 2명이 참여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했다.[40]


  • 조사 전, 전원이 참가하여 평가 조사 디자인 책정
  • 기간 중 인터뷰는 분담 연구원 전원 동석 하에 실시, 이후 각자 개별 관심사 청취
  • 1대의 마이크로 버스에 동승, 같은 숙소에 묵으며 동일한 여정
  • 주 위생국, 병원, 보건소, 조산원, 포시안두 등 방문
  • 인터뷰 조사 후, 학제적 연구와 질문 조사의 최종판 확정


이 조사에서는 두 가지 접근법이 사용되었다.

  • '''「오월동주」 접근법:''' 서로 다른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자연 과학・인문 과학・사회 과학 분야의 협동, 모든 일정을 함께하며 이벤트를 공유하는 "완전한 공동" 현장 조사, 참가자 전원의 의견 교환 및 논의 공유
  • '''핀포인트・접근법:''' 초점을 좁힌 학제적 연구를 통해 개발 도상국의 다양한 현실을 복합적으로 파악하고, 다면적으로 해석하며, 포괄적인 전략 제시 (다양하고 복잡하며 방대한 대상을 다면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렵다).

3. 1. 학문적 장벽

학제간 연구는 서로 다른 학문 분야의 관점과 방법론을 이해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대부분의 학제간 연구 참여자들은 전통적인 학문 분야에서 훈련을 받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양적 엄격성을 강조하는 분야는 과학적 훈련을 받은 실무자를 배출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양적 접근을 어려워하는 "소프트"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은 문제의 더 넓은 차원, 이론적, 질적 논증의 낮은 엄격성을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8] 구성원들이 자신의 학문 분야에 갇혀 있거나, 학제간 협업 경험이 없는 경우, 다른 학문 분야의 기여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해 학제간 프로그램이 실패할 수 있다.[8]

학문은 지식이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내용의 일관성, 정리, 이해의 용이성 등을 위해 대상을 한정하여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학문 분야 또는 학문 영역(Discipline)이라 한다. 특히 교육에서는 학문을 비교적 정리된 단위로 분할하여 초학자의 이해를 돕는다. 학문 연구 또한 특정 학문 영역을 배경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학문 분야별 구분이 일정한 기능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특히 연구 기관으로서의 대학에서는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 때문에 연구자(교원)가 교육을 담당하는 학문 분야별 그룹으로 나뉘어 소속되며, 이것이 연구 그룹이 되는 경우도 많아 기존 학문 분야의 범주에 속하는 연구가 이루어지는 토대가 된다.

최첨단 연구에서는 종래와 다른 관점, 발상, 수법, 기술 등이 새로운 성과를 창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종래에 별로 연결되지 않았던 복수의 학문 분야에 정통한 연구자나, 복수의 학문 분야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한다. 이것이 바로 '''학제간 연구'''이다.

3. 2. 제도적 장벽

대부분의 학제간 연구 참여자들은 전통적인 학문 분야에서 훈련받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관점과 방법론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학문적 관점에서 볼 때, 많은 학제간 연구는 "소프트"하고, 엄격성이 부족하거나, 이념적으로 동기 부여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러한 믿음은 학제간 연구를 선택한 사람들의 경력에 장벽을 만든다.[8]

예를 들어, 학제간 연구 지원서는 종종 기존 학문 분야에서 선정된 동료 심사자들에 의해 심사되므로, 학제간 연구자들은 연구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테뉴어를 받지 못한 연구자들은 승진 (직급) 및 테뉴어를 신청할 때 일부 평가자들이 학제간성에 대한 몰입도가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고, 학제간 연구에 대한 몰입이 테뉴어 거부 위험을 증가시킬까 두려워할 수 있다.

학제간 프로그램은 충분한 자율성이 주어지지 않을 경우에도 실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제간 교수진은 일반적으로 공동 임명을 통해 채용되며, 여성학과 같은 학제간 프로그램과 역사와 같은 전통적인 학문 분야에서 책임을 갖는다. 전통적인 학문 분야에서 테뉴어 결정을 내리는 경우, 새로운 학제간 교수진은 학제간 연구에 전적으로 몰두하기를 꺼릴 것이다.

대부분의 학술 저널이 학문 분야를 중심으로 운영된다는 점도 학제간 연구의 출판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또한, 대부분의 대학에서 예산은 학문 분야를 통해 배분되므로, 학제간 연구 프로그램은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다. 예산 축소 시기에는 전통적인 학문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자원이 배분되기 때문에, 학제간 연구는 더욱 소외될 수 있다.

일본에서는 학제적인 연구가 쉽지 않은 환경이다. 연구비 획득 측면에서도 그 연구를 평가해야 할 그 분야의 전문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한 성과가 나올 때까지는 평가를 받기 어렵다. 과학기술 시스템 중 연구 보조 시스템(펀딩 에이전시)에서 학제 연구 지원을 저해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40]

학제 영역의 연구 지원 저해 요인
복수 분야의 연구자에 의한 학제 연구 팀 체제 구축이 어려워 연구 기관에서 질・양 모두 충분한 연구 신청서(프로포절)가 모이지 않는다.
대규모 심사 팀에 의한 심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심사 비용이 비교적 높아진다.
전문가에 의한 평가의 한계로 인해 학제 연구의 성과를 충분히 평가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학제 연구에 대한 연구 지원 프로그램 전체가 낮은 평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세계적으로도 다분야의 전문가가 참가하여 학제적인 접근법을 실시한 평가 조사는 매우 적다.

4. 학제간 연구의 유형

학제간 연구는 여러 학문 분야의 지식, 기술, 관점을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이해를 추구하는 연구 방식이며, 그 발전 단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아카시[39]는 학제간 연구를 발전 단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Trans-disciplinary (탈학문적 연구)기존의 학문 체계의 틀이 무너지고 새로운 학문 체계가 생겨난다[39].
Cross-disciplinary (교차학문적 연구)복수의 학문 체계에 걸쳐 새로운 전문 분야가 생겨난다[39].
Inter-disciplinary (간학문적 연구)복수의 학문 체계의 공동 작업에 의해, 새로운 지식을 공유한다[39].
Multi-disciplinary (다학문적 연구)복수의 학문 체계가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한다[39].



또한, 학제간 연구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서도 분류될 수 있다.

학문은 지식이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으로, 내용의 일관성, 정리, 이해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대상을 한정하여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을 학문 분야 또는 학문 영역(Discipline)이라고 한다. 특히 교육에서는 학문을 비교적 정리된 단위로 분할함으로써 초학자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학문 연구를 수행할 때에도 특정 학문 영역을 배경으로 연구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학문을 분야별로 나누는 방식이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최첨단 연구가 진전될 때는 종래와는 다른 관점, 발상, 수법, 기술 등이 새로운 성과를 창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종래에는 별로 연결되지 않았던 복수의 학문 분야에 걸쳐 정통한 연구자나, 복수의 학문 분야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연구하는 경우 등에 발생한다. 이것이 '''학제간 연구'''이다. 학제간 연구가 발전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체계화된 지식으로서 정리되어 새로운 학문 분야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지만, 그렇게 된 시점에서는 학제간 연구라고 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학문 분야를 경계 영역이라고 부른다.

4. 1. 발전 단계에 따른 분류 (아카시)

Trans-disciplinary (탈학문적 연구)기존의 학문 체계의 틀이 무너지고 새로운 학문 체계가 생겨난다[39].
Cross-disciplinary (교차학문적 연구)복수의 학문 체계에 걸쳐 새로운 전문 분야가 생겨난다[39].
Inter-disciplinary (간학문적 연구)복수의 학문 체계의 공동 작업에 의해, 새로운 지식을 공유한다[39].
Multi-disciplinary (다학문적 연구)복수의 학문 체계가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한다[39].


4. 2. 목적에 따른 분류

학문은 지식이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으로, 내용의 일관성, 정리, 이해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대상을 한정하여 다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을 학문 분야 또는 학문 영역(Discipline)이라고 한다. 특히 교육에서는 학문을 비교적 정리된 단위로 분할함으로써 초학자의 이해를 돕는다. 또한 학문 연구를 수행할 때에도 특정 학문 영역을 배경으로 연구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학문을 분야별로 나누는 방식이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최첨단 연구가 진전될 때는 종래와는 다른 관점, 발상, 수법, 기술 등이 새로운 성과를 창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종래에는 별로 연결되지 않았던 복수의 학문 분야에 걸쳐 정통한 연구자나, 복수의 학문 분야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연구하는 경우 등에 발생한다. 이것이 '''학제간 연구'''이다. 학제간 연구가 발전하면, 경우에 따라서는 체계화된 지식으로서 정리되어 새로운 학문 분야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지만, 그렇게 된 시점에서는 학제간 연구라고 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학문 분야를 경계 영역이라고 부른다.

5. 학제간 연구의 중요성

"학제간 연구"와 "학제간성"은 20세기 용어로 자주 여겨지지만, 그리스 철학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3] 줄리 톰슨 클라인은 "이 개념의 뿌리는 통일된 과학, 일반 지식, 종합, 지식 통합과 같이 현대 담론에 공명하는 여러 아이디어에 있다"고 주장했다.[4]

학제간 연구는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데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인류학사회학과 같은 사회 과학 분야는 20세기 대부분 동안 기술에 대한 사회적 분석에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 결과, 기술에 관심이 있는 많은 사회 과학자들이 여러 분야의 학자들이 참여하는 과학 기술 사회 프로그램에 합류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속 가능한 개발은 경제, 사회, 환경 분야 전반에 걸쳐 분석과 종합을 필요로 하는 연구 분야이며, 종종 여러 사회 과학 및 자연 과학 분야의 통합을 필요로 한다. 학제간 연구는 질병에 대한 최적의 해결책 연구와 같은 건강 과학 연구에도 핵심적이다.[7]

학제간성은 정보 사일로에서의 과도한 전문화와 고립으로 인한 해로운 영향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일부 견해에 따르면 학제간성은 한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전적으로 빚을 지고 있다고도 한다. 즉, 전문가가 없으면 학제간 연구자들은 정보를 얻을 수 없고 자문할 선도적인 전문가도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5. 1. 창의성과 혁신 촉진

학제간 연구는 창의성을 촉진하는데, 이는 종종 학제간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33]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과 아이디어가 결합될 때,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는 창의적인 문제 해결과 혁신적인 기술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최첨단 연구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이전에는 서로 연결되지 않았던 여러 학문 분야 (학제간 연구)의 관점, 발상, 방법, 기술 등이 결합되어 새로운 성과를 창출하는 경우가 많다.[33]

5. 2. 사회 문제 해결 기여

학제간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하다.

  • 창의성은 종종 학제간 지식을 필요로 한다.
  • 이민자들은 종종 새로운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은 종종 둘 이상의 학문에 익숙한 사람들이 가장 잘 감지할 수 있는 오류를 범한다.
  • 몇몇 가치 있는 연구 주제는 전통적인 학문 분야 사이의 틈새에 속한다.
  • 많은 지적, 사회적 및 실용적 문제는 학제간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한다.
  • 학제간 지식과 연구는 우리에게 지식 통합의 이상을 상기시켜 준다.
  • 학제간 연구자들은 연구에서 더 큰 유연성을 누린다.
  • 좁은 의미의 학문 분야 전문가보다 학제간 연구자들은 종종 새로운 땅을 여행하는 것과 같은 지적 경험을 한다.
  • 학제간 연구자들은 현대 학계의 소통 격차를 해소하고, 더 큰 사회적 합리성과 정의를 위해 방대한 지적 자원을 동원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분열된 학문 분야를 연결함으로써 학제간 연구자들은 학문의 자유를 옹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33]


특히, 많은 지적, 사회적, 실용적 문제는 학제간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한다.[33]

5. 3. 지식 통합과 소통 증진

사회과학 저널에 실린 한 논문에서는 학제간 연구를 "둘 이상의 학문 분야의 독특한 구성 요소를 결합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학제간 연구는 지식, 연구, 교육, 이론의 네 가지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33]

학제간 지식과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창의성은 종종 학제간 지식을 필요로 한다.
  • 여러 학문에 익숙한 사람들이 학문 분야 전문가의 오류를 더 잘 발견할 수 있다.
  • 가치 있는 연구 주제 중 일부는 전통적인 학문 분야 사이의 틈새에 존재한다.
  • 많은 지적, 사회적, 실용적 문제는 학제간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한다.
  • 학제간 지식과 연구는 지식 통합의 이상을 상기시킨다.
  • 학제간 연구는 학계의 소통 격차를 해소하고, 사회적 합리성과 정의를 위해 지적 자원을 동원하는 데 기여한다.
  • 분열된 학문 분야를 연결하여 학문의 자유를 옹호한다.[33]


최첨단 연구가 발전하면서, 이전에는 연결되지 않았던 여러 학문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는 학제간 연구가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새로운 관점, 발상, 수법, 기술 등을 통해 새로운 성과를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6. 학제간 연구의 사례

학제간 연구는 여러 학문 분야의 지식과 방법론을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거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 방식이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교양 교육: 인문학, 사회 과학, 자연 과학을 넘나드는 학문 분야로, 균형 잡힌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일부 교양 석사 과정은 이러한 학제간 연구 과정을 제공한다.
  • 퍼머컬처: 토지 이용과 자원 안보 등 인간의 모든 노력 분야에서 설계 결정을 내리기 위한 전체론적 설계 과학이다.
  • 출처 연구: 공공 및 사립 미술품 소장품으로 유입된 예술 작품의 경로를 명확히 하고, 자연사 소장품의 인체 유해와 관련된 경우 학제간 연구가 수행된다.[27]
  • 운송 과학: 사람, 상품, 메시지의 이동 변화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법률, 생태, 기술, 심리, 교육 분야와 협력하는 과학 분야이다.[29]


일본에서는 학제간 연구 환경이 충분히 조성되지 않아 연구비 획득 및 연구 평가에 어려움이 있으며, 연구 지원 시스템 역시 미흡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40]

학제 영역 연구 지원의 저해 요인은 다음과 같다.[40]

저해 요인
여러 분야 연구자 간 학제 연구팀 구축이 어려워 연구 기관에서 충분한 연구 신청서를 확보하기 어렵다.
대규모 심사 팀 구성에 따른 심사 비용이 증가한다.
전문가 평가의 한계로 학제 연구 성과를 충분히 평가하기 어려워 학제 연구 지원 프로그램 전체가 낮은 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


6. 1. 커뮤니케이션 과학

커뮤니케이션 과학은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등 다른 독립적인 학문의 이론, 모델, 개념 등을 차용하여 발전한 학문 분야이다.[21]

6. 2. 환경 과학

환경 과학은 지구 과학의 한 분야로, 지구 온난화, 오염 등 여러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질학, 화학, 물리학, 생태학, 해양학 등 다양한 과학 분야를 통합한 학제간 연구 분야이다.[22] 환경 프로그램 교수진은 복잡한 국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제간 팀으로 협력하기도 한다.[23] 환경 정책 분야, 예를 들어 환경법, 지속 가능성, 환경 정의 등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전문 지식과 해당 분야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환경 과학 분야의 지식을 활용하기도 한다.[24]

6. 3. 지식 관리

지식 관리 분야는 컴퓨터 과학, 경제학, 인적 자원 관리, 정보 시스템, 조직 행동, 철학, 심리학, 전략 경영 분야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며, 포괄적인 지식 관리라는 큰 틀 아래 다양한 사고 학파들이 모여 있는 형태이다.[25]

6. 4. 재료 과학

물리학, 화학, 공학의 요소를 통합하여 새로운 재료의 설계, 발견 및 적용을 다루는 학문 분야이다.[26] 특히 고체 재료의 과학적 측면과 공학적 측면을 결합한 분야이다.[26]

6. 5. 스포츠 과학

스포츠 과학은 스포츠 및 운동 분야의 문제와 현상을 연구하는 학제간 과학으로, 사회학, 윤리학, 생물학, 의학, 생체역학, 교육학 등 여러 과학과 협력한다.[28]

6. 6. 벤처 연구

벤처 연구는 인문 과학에 위치한 학제간 연구 분야로, 의식적인 경계 상황의 진입과 경험을 다룬다. 이를 위해 진화 이론, 문화 인류학, 사회 과학, 행동 연구, 차등 심리학, 윤리학, 교육학의 연구 결과를 협력적으로 처리하고 평가한다.[30][31]

6. 7. 모자 보건 수첩 프로젝트 (인도네시아)

JICA영어 인도네시아 모자 수첩 프로젝트는 몇 안 되는 학제간 연구의 예시 중 하나이다. 1998년부터 2003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2004년 8월에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주에서 조사가 이루어졌다.[40]

이 조사에는 나카무라 야스히데 등 일본인 연구자 8명과 인도네시아인 연구자 2명이 참여하였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40]

# 조사 전, 참가자 전원이 모여 평가 조사 설계를 함께 만들었다.

# 조사 기간 동안 모든 연구원이 함께 인터뷰에 참여하고, 이후 각자의 관심사에 따라 추가적인 질문을 하였다.

# 연구자들은 모두 마이크로 버스 한 대에 함께 타고, 같은 숙소에 머물며 모든 일정을 함께했다.

# 주 위생국, 병원, 보건소, 조산원 등 다양한 장소를 방문하였다.

# 인터뷰 조사 후, 학제적 연구와 질문 조사의 최종 버전을 확정하였다.

이 조사에서는 두 가지 주목할 만한 접근법이 사용되었다.[40]

  • "오월동주" 접근법: 서로 다른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자연 과학, 인문 과학, 사회 과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였다. 모든 일정을 함께하고, 모든 경험을 공유하는 "완전 공동"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참가자 전원이 의견을 교환하고, 논의를 공유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 핀포인트 접근법: 초점을 좁힌 학제적 연구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다양한 현실을 복합적으로 파악하고, 다면적으로 해석하여, 포괄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7. 한국의 학제간 연구 현황과 과제

대한민국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융합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해짐에 따라 학제간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학제간 연구는 기존 학문 분야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창출하는 데 기여하며, 특히 과학기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가져올 수 있다.

1998년 이후, 학제간 연구 및 교육의 가치가 증대되면서 대한민국 정부는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과학기술 분야의 융합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목표로 한다. 그러나 많은 대학들이 학제간 연구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학문 분야 중심의 교육 및 연구 평가 시스템은 여전히 학제간 연구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1]

학제간 연구가 활성화되려면 학문 분야 간의 경계를 허물고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과 개념을 융합하는 사고방식을 장려하는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며, 학제간 연구에 대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시스템 마련, 연구비 지원 확대, 제도적 지원 강화 등의 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7. 1. 정부 지원 정책

1998년 이후, 학제간 연구 및 교육의 가치가 증대되면서, 대한민국 정부도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는 학제간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연구비 지원, 인력 양성, 제도 개선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과학기술 분야의 융합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를 통해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목표로 한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은 학제간 연구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고,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7. 2. 대학의 노력

대학은 연구 기관이자 교육 기관으로서, 연구자(교원)는 교육을 담당하는 학문 분야별 그룹으로 나뉘어 소속되어 있다. 이는 연구 그룹이 되기도 하여, 기존 학문 분야의 범주에 속하는 연구가 이루어지는 토대가 된다.[1] 그러나 많은 대학들이 학제간 연구를 위한 융합 학과, 연구소, 특성화 사업 등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학문 분야 중심의 교육 및 연구 평가 시스템은 학제간 연구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1]

7. 3. 과제

학제간 연구가 활성화되려면 여러 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우선, 학문 분야 간의 경계를 허물고,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과 개념을 융합하는 사고방식을 장려하는 교육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학제간 연구에 대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기존의 학문 분야별 평가 방식으로는 학제간 연구의 성과를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제간 연구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평가 기준과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아울러, 학제간 연구에 대한 연구비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학제간 연구는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경우가 많아 연구비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부와 대학은 학제간 연구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늘려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제간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학제간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연구 공간, 장비, 행정 지원 등을 제공하고, 학제간 연구 성과를 인정하는 인사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조

[1] 논문 Fruits, Salads, and Smoothies: A Working definition of Interdisciplinarity
[2] 논문 College Student Motivation: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an Integrated Learning Systems Model https://jbam.scholas[...] 2005-05-01
[3] 서적 Becoming Interdisciplinary: An Introduction to Interdisciplinary Studies Kendall/Hunt Publishing
[4] 서적 Interdisciplinarity: History, Theory, and Practice https://archive.org/[...] Wayne State University
[5] 서적 Introduction to Scholarship in Modern Language and Literatures Modern Language Association
[6] 논문 Are Humanism and Mixed Methods Related? Leibniz's Universal (Chinese) Dream
[7] 논문 Research and Development Priorities to Achieve the "Grand Convergence": An Initial Scan of Priority Research Areas for Public Health, Implementation Science and Innovative Financing for Neglected Diseases: Working Paper for the Lancet Commission on Investing in Health http://globalhealth2[...] 2016-07-31
[8] 논문 Does increased interdisciplinary contact among hard and social scientists help or hinder interdisciplinary research? 2019-09-04
[9] 서적 Interdisciplinary Higher Education; Criticism, Challenges and Obstacles http://ir.lib.uwo.ca[...] 2011-07-18
[10] 웹사이트 Association for Interdisciplinary Studies Homepage - Association for Interdisciplinary Studies - Oakland University http://www.units.muo[...] 2004-11-06
[11] 웹사이트 INIT-Home http://www.inidtd.or[...] 2013-04-15
[12] 웹사이트 PIN / HOME http://pin-net.gatec[...] 2013-04-15
[13] 웹사이트 Center for the Study of Interdisciplinarity https://webarchive.l[...] 2017-11-26
[14] 웹사이트 Experiments of Field Psychology http://opinionator.b[...] 2010-11-23
[15] 논문 Philosophy in the Age of Neoliberalism
[16] 논문 What is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Reflections on the very idea of disciplinary integration https://digital.libr[...] 2019-01-29
[17] 논문 Logics of interdisciplinarity http://users.sussex.[...] 2016-07-31
[18] 논문 Interdisciplinarity: a critical assessment https://proseminarcr[...] 2016-07-31
[19] 서적 Commons and borderlands: working papers on interdisciplinarity, accountability and the flow of knowledge Sean Kingston Publishing
[20] 논문 Accountability and the academy: producing knowledge about the human dimensions of climate change
[21] 간행물 Wie viel Politik steckt in der Kommunikationswissenschaft? Zum Stellenwert politikwissenschaftlicher Theorien in der Kommunikationswissenschaft. Frank & Timme
[22] 웹사이트 Environmental Science & Engineering https://www.seas.har[...] Harvard John A. Paulson Schoo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 2022-08-28
[23] 웹사이트 Research https://evsc.as.vir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s - College and Graduate School of Arts and Sciences, University of Virginia 2022-08-28
[24] 웹사이트 Environmental Policy and Planning https://seas.umich.e[...] University of Michigan School for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2022-08-28
[25] 논문 A Structured Literature Review of Scientometric Research of the Knowledge Management Discipline: A 2021 Update http://www.aserenko.[...]
[26] 서적 Materials : engineering, science, processing and design https://www.worldcat[...]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2007
[27] 간행물 The Charité Human Remains Project -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restitution of human remains.
[28] 서적 Sportwissenschaft interdisziplinär - Geschichte, Struktur und Gegenstand der Sportwissenschaft Feldhaus Verlag
[29] 간행물 Glossary of Transport and Transport Sciences https://tu-dresden.d[...]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2022-12-07
[30] 서적 Im Rausch der Gefahr. Why more and more people seek the thrill
[31] 간행물 Vom Sinn des Wagens. Why people take on dangerous challenges. German Alpine Association (ed.): Tyrolia Publishing House
[32] 웹사이트 Understanding Media http://www9.georgeto[...]
[33] 논문 Ten cheers for interdisciplinarity: The Case for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 Research 1997
[34] 논문 Fruits, Salads, and Smoothies: A Working Definition of Interdisciplinarity http://www.uta.edu/f[...] 1995
[35] 서적 The Greeks https://archive.org/[...] Penguin
[36] 서적 The Revolt of the Masses New American Library
[37] 서적 Lives in the Balance: the Cold War and American Politics, 1945-1991 https://web.archive.[...] Hollowbrook 2016-10-15
[38] 서적 Higher education at the crossroads of disruption, the university of the 21st century Emerald
[39] 서적 学際研究入門―超情報化時代のキーワード
[40] 간행물 学際研究とその評価 三菱総合研究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