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인상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인상주의는 인상주의 이후 등장한 화가들을 아우르는 용어이다. 1910년 로저 프라이가 런던 그래프턴 갤러리에서 "마네와 탈인상주의자들" 전시회를 개최하면서 이 용어가 사용되었다. 탈인상주의는 인상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려 했으며, 형태, 색채, 사상 등 여러 면에서 19세기 미술과 야수파, 표현주의, 입체주의 등의 20세기 미술과의 가교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주요 화가로는 폴 세잔, 빈센트 반 고흐, 폴 고갱, 조르주 쇠라 등이 있다. 이 용어는 일본에서 "후기 인상파"로 번역되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포스트 인상파"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된다. 탈인상주의는 한국 미술에도 영향을 미쳐, 일제강점기 한국 미술계에 서양 미술을 수용하고 현대 미술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탈인상주의 - 점묘법
점묘법은 색점을 사용하여 시각적 혼합을 통해 표현하는 회화 기법으로, 조르주 쇠라, 폴 시냐크 등의 작품에서 나타나며, 20세기 음악에도 적용되기도 한다.
탈인상주의 | |
---|---|
개요 | |
종류 | 미술 사조 |
시기 | 1886년 – 1905년 |
국가 | 프랑스 |
이전 사조 | 인상주의 |
이후 사조 | 야수주의 입체주의 표현주의 |
특징 | |
설명 | 인상주의의 주관적이고 감각적인 표현에 반발하여, 더욱 깊이 있는 감정과 개성을 추구한 미술 사조이다. |
주요 기법 | 형태 단순화 강렬한 색채 사용 상징적 표현 주관적 감정 표현 |
주요 인물 | |
화가 | 폴 세잔 빈센트 반 고흐 폴 고갱 조르주 쇠라 앙리 드 툴루즈로트레크 앙리 루소 오딜롱 르동 폴 시냑 에밀 베르나르 루이 앙크탱 피에르 보나르 에두아르 뷔야르 모리스 드니 펠릭스 발로통 케르-자비에 루셀 |
사조 | |
영향 받은 사조 | 인상주의 |
영향을 준 사조 | 야수주의 입체주의 표현주의 나비파 |
2. 정의
탈인상주의는 영국의 예술비평가 로저 프라이가 프랑스의 새로운 미술을 영국에 소개하기 위해 기획한 전시회 《마네와 탈인상주의자들》(Manet and the Post-Impressionists)(1910~1911)에서 유래한 용어이다. 이 전시회에는 마네 외에도 빈센트 반 고흐, 폴 고갱, 르동, 폴 세잔느 등 다양한 화가들이 참여했다. 프라이는 처음에 '인상주의자'(''Impressionist'')라는 명칭을 제안했으나, 참가자들의 반대로 '탈인상주의자'(Post-Impressionist)라는 이름을 확정했다.[9]
탈인상주의 화가들은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았지만,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통해 인상주의와 차별점을 보였다.
존 레월드는 자신의 저서 《탈인상주의: 반 고흐에서 고갱까지》(1956)에서 탈인상주의의 범위를 1886년에서 1892년 사이로 제한했다.
'인상파'라는 명칭은 일본의 백화파에 의해 번역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백화파가 펴낸 잡지인 1912년 1월호 《백화》(白樺)에서 야나기 무네요시가 '혁명의 화가'라는 글에서 '후기 인상파'라고 번역한 것이다.
3. 주요 특징
이들은 인상주의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자신들만의 특징을 발전시켜 20세기 미술의 선구자가 되었다. 형태, 색채, 사상 면에서 19세기 미술과 야수파, 표현주의, 입체파 등 20세기 미술 사이의 다리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3. 1. 형태의 강조
폴 세잔은 "인상주의를 미술관의 예술처럼 견고하고 영속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해 회화에 질서와 구조 감각을 되살리려 했다.[5] 그는 대상을 기본적인 형태로 단순화하면서 인상주의의 채색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이를 달성했다. 이처럼 탈인상주의 화가들은 인상주의의 순간적인 빛과 색채 변화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나, 대상의 본질적인 형태와 구조를 탐구하고 표현하는 데 집중했다.
3. 2. 색채의 표현성 강화
빈센트 반 고흐는 자신의 감정과 심리 상태를 전달하기 위해 종종 생생한 색상과 눈에 띄는 붓 터치를 사용했다.[7] 이처럼 탈인상주의 화가들은 색채를 자연의 모방 수단이 아닌, 감정과 심리 상태를 표현하는 주관적인 도구로 활용했다.
3. 3. 다양한 기법과 주제
조르주 쇠라와 그의 추종자들은 작은 색점들을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점묘주의에 관심을 가졌다. 신인상주의는 동시대 미술 비평가들과 예술가들에 의해 점묘주의로 조롱받았으며, 조르주 쇠라와 폴 시냐크는 분할주의와 같은 다른 용어를 선호했다.[10] 미술 평론가 에두아르 뒤자르댕은 1888년에 루이 앙케탱의 작품을 홍보하기 위해 클루아조니슴이라는 단명한 용어를 소개했으며, 나중에는 그의 친구 에밀 베르나르의 동시대 작품에도 적용되었다. 이들은 원시적인 소재, 상징적인 주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10]
4. 주요 화가
탈인상주의의 주요 화가들은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았지만, 각자의 독자적인 화풍을 발전시켰다.
- 폴 세잔: 형태의 단순화와 기하학적 구성을 추구.
- 빈센트 반 고흐: 강렬한 색채와 붓터치로 감정 표현.
- 폴 고갱: 원시주의적 화풍과 상징적 주제.
- 조르주 쇠라: 점묘법을 사용한 과학적 색채 분석.
오딜롱 르동, 앙리 루소,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레크, 폴 시냑 등도 탈인상주의에 속한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를 포함시키기도 하는데, 이는 그가 1880년대 인상주의 기법에서 벗어나 독자적 화풍을 모색했기 때문이다.[17]
이름 | 출생-사망 연도 | 주요 작품 |
---|---|---|
오딜롱 르동 | 1840년–1916년 | -- |
앙리 루소 | 1844년-1910년 | -- |
샤를 앙그랑 | 1854년–1926년 | -- |
앙리 에드몽 크로스 | 1856년–1910년 | -- |
막시밀리옹 뤼스 | 1858년–1941년 | -- |
외젠 시고 | 1860년-1923년 | -- |
르네 쉬첸베르거 | 1860년–1916년 | -- |
마리우스 보르주 | 1861년–1924년 | -- |
샤를 라발 | 1862년–1894년 | -- |
테오 반 뤼셀베르그 | 1862년–1926년 | -- |
폴 시냑 | 1863년–1935년 | -- |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레크 | 1864년–1901년 | -- |
폴 세뤼지에 | 1864년–1927년 | -- |
로베르 드본 | 1870년–1944년 | -- |
폴 랑송 | 1864년–1909년 | -- |
조르주 렘멘 | 1865년–1916년 | -- |
펠릭스 발로통 | 1865년–1925년 | -- |
피에르 보나르 | 1867년–1947년 | -- |
에두아르 뷔야르 | 1868년–1940년 | -- |
에밀 베르나르 | 1868년–1941년 | -- |
모리스 드니 | 1870년–1943년 | -- |
카를 슈미츠-플라이스 | 1877년– 1943년 | -- |
로베르 앙투안 팽숑 | 1886년–1943년 | -- |
4. 1. [[폴 세잔]]
폴 세잔은 형태의 단순화와 기하학적인 구성을 통해 회화의 구조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했다.4. 2. [[빈센트 반 고흐]]
빈센트 반 고흐는 강렬한 색채와 붓 터치를 통해 자신의 격정적인 감정을 표현했다.
4. 3. [[폴 고갱]]
폴 고갱은 원시주의적인 화풍과 상징적인 주제를 통해 문명 이전의 순수함을 갈망했다.4. 4. [[조르주 쇠라]]
조르주 쇠라는 신인상주의 화가로 분류되기도 하며, 점묘법을 사용하여 과학적인 방법으로 색채를 분석하고 표현했다.[16]4. 5. 기타
오딜롱 르동, 앙리 루소,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레크, 폴 시냑, 샤를 앙그랑, 앙리 에드몽 크로스, 테오 반 뤼셀베르그, 폴 세뤼지에, 폴 랑송, 에밀 베르나르, 펠릭스 발로통, 에두아르 뷔야르, 막시밀리옹 뤼스, 르네 쉬첸베르거 등이 탈인상주의에 속한다. 문헌에 따라서는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를 탈인상주의 화가로 소개하기도 하는데, 이는 르누아르가 1880년대에 인상주의 기법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화풍을 모색했다는 공통점에 주목한 것이다.[17] 이러한 관점에서는 신인상주의 화가인 조르주 쇠라를 포함하기도 한다.이름 | 출생-사망 연도 |
---|---|
오딜롱 르동 | 1840년–1916년 |
앙리 루소 | 1844년-1910년 |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레크 | 1864년–1901년 |
폴 시냑 | 1863년–1935년 |
샤를 앙그랑 | 1854년–1926년 |
앙리 에드몽 크로스 | 1856년–1910년 |
테오 반 뤼셀베르그 | 1862년–1926년 |
폴 세뤼지에 | 1864년–1927년 |
폴 랑송 | 1864년–1909년 |
에밀 베르나르 | 1868년-1941년 |
펠릭스 발로통 | 1865년–1925년 |
에두아르 뷔야르 | 1868년–1940년 |
막시밀리옹 뤼스 | 1858년–1941년 |
르네 쉬첸베르거 | 1860년-1916년 |
5. 영향
탈인상주의는 인상파의 영향을 받았지만, 이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엄격한 형태의 부활, 원시적인 소재와 강렬한 색채 도입 등 자신만의 특징을 만들어 20세기 미술의 선구자가 되었다. 형태, 색채, 사상 면에서 19세기의 예술과 20세기 미술 사이의 다리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탈인상주의'라는 용어는 영국의 예술비평가 로저 프라이가 프랑스의 새로운 미술을 영국에 소개하기 위해 기획한 전시회 《마네와 탈인상주의자들》(Manet and the Post-Impressionists)(1910년~1911년)에서 유래한다. 이 전시회에는 빈센트 반 고흐, 폴 고갱, 르동, 폴 세잔 등 다양한 작풍의 화가들이 참여했다. 프라이는 당초 '인상주의자'라는 명칭을 제안했으나, 참가자들의 반대로 '탈인상주의자'로 확정했다.
일본에서는 백화파가 펴낸 잡지 《백화》(白樺) 1912년 1월호에서 야나기 무네요시가 '후기 인상파'로 번역하여 소개하면서 이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post'는 '~의 후'를 의미하는 접두사로, '탈인상주의'는 인상파를 초극하려 했던 화가들을 지칭하는 말이기에, '후기 인상파'라는 번역은 오해의 소지가 있어 최근에는 피하는 경향이 있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는 탈인상주의와 같은 시기에 인상파 기법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화풍을 모색했다는 공통점 때문에 탈인상주의 화가로 분류되기도 한다.[17] 조르주 쇠라도 이러한 기준으로 신인상파와 함께 탈인상주의에 포함될 수 있다.
5. 1. [[야수파]]
앙리 마티스, 앙드레 드랭, 모리스 드 블라맹크 등 야수파 화가들은 탈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아 강렬한 색채를 도입하는 등 자신들만의 특징을 낳았고, 20세기 미술의 선구자가 되었다.[15] 탈인상주의는 19세기의 예술과 야수파를 포함한 20세기 미술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5. 2. [[표현주의]]
탈인상주의는 주관적인 감정과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표현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탈인상주의 화가들은 인상주의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도, 엄격한 형태의 부활, 원시적인 소재와 강렬한 색채 도입 등 자신들만의 특징을 만들어 20세기 미술의 선구자가 되었다. 이들은 형태뿐만 아니라 색채, 사상에서도 19세기의 예술과 20세기 미술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했다.5. 3. [[입체파]]
폴 세잔은 대상을 여러 시점에서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입체파에 영향을 주었다.[15]6. 한국 미술에의 영향
일본의 백화파는 1912년 잡지 《백화》에서 야나기 무네요시가 '후기 인상파'를 소개하면서 한국에 알려지게 되었다.[15] 이는 일제강점기 한국 미술계에 서양 미술을 수용하고 현대 미술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특히, 한국의 많은 화가들이 탈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아 자신만의 독창적인 화풍을 구축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Timeline, Post-Impressionism
http://www.metmuseum[...]
[2]
서적
Modern Art, 1851-1929: Capitalism and Represent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9-03-31
[3]
서적
The Advent of Modernism. Post-Impressionism and North American Art, 1900-1918
High Museum of Art
1986
[4]
서적
Post-impressionists in England
Routledge
1988
[5]
서적
Impressionism
Chartwell Books Inc.
1973
[6]
서적
Pissarro
Crown
1975
[7]
웹사이트
The Collection | MoMA
https://www.moma.org[...]
[8]
웹사이트
Manet and the post-impressionists; Nov. 8th to Jan. 15th, 1910-11... (under revision)
http://archive.org/d[...]
London : Ballantyne
1910-03-31
[9]
서적
Facts on File Encyclopedia of Art
Facts on File
2005
[10]
서적
Post-Impressionism: From Van Gogh to Gauguin
Secker & Warburg
1978
[11]
간행물
Christie's Review of the Season
1986
[12]
서적
The Birth of the Modern: Post-Impressionism in Canadian Art
http://library.galle[...]
Robert McLaughlin Gallery
2022-07-25
[13]
학술지
Adieux, Matisse
https://search.libra[...]
2021-01-29
[14]
웹사이트
Impressionism and Post-Impressionism
https://www.oxfordar[...]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2-20
[15]
서적
Manet and the post-impressionists; Nov. 8th to Jan. 15th, 1910-11... (under revision)
https://archive.org/[...]
London : Ballantyne
1910
[16]
서적
世界美術大全集 西洋編 第23巻 後期印象派時代
小学館
1993
[17]
서적
세계미술대전집 서양편 제23권 후기인상파시대
小学館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