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르카나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르카나 호는 동아프리카 열곡에 위치한 케냐의 사막 호수이다. 오모 강 등 3개의 강이 유입되지만, 유출되는 강이 없어 증발에 의해 수위가 유지되며, 주변은 화산암 지형으로 덥고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이 호수는 다양한 어종과 나일 악어, 철새 등 풍부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으며, "비취의 바다"라고 불리기도 한다. 투르카나 호 주변은 인류의 진화 연구에 중요한 호미닌 화석이 다수 발견되어 인류의 요람으로 여겨지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투르카나 호 국립공원군이 위치한다. 최근 에티오피아의 댐 건설로 인한 수위 감소 및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의 유적 - 오모강
    오모강은 에티오피아의 강으로, 기베강과 와베강이 합류하여 투르카나 호수로 흘러 들어가며, 하류 유역은 고고학적 중요성과 야생 동물의 서식지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지만, 수력 발전소 건설과 홍수로 인한 환경 및 인권 논란이 있는 곳이다.
  • 오모강 - 길겔 기베 1 발전소
    길겔 기베 1 발전소는 에티오피아에 건설된 수력 발전소이다.
  • 에티오피아-케냐 국경 - 일레미 삼각지구
    일레미 삼각지구는 케냐, 에티오피아, 남수단에 걸쳐 있는 분쟁 지역으로, 식민지 시대의 모호한 경계, 영유권 분쟁, 유목 민족들의 거주 및 가축 약탈 등의 역사적 배경을 가지며, 현재는 석유 매장 가능성으로 분쟁 심화 우려가 있는 곳이다.
투르카나호
개요
투르카나 호
위치케냐 북서부 및 에티오피아 남서부
좌표3°35′ 북위 36°7′ 동경
호수 유형염수호, 단순 혼합호, 알칼리성 내륙호
유입오모 강, 투르크웰 강, 케리오 강
유출증발
유역 면적130,860 km²
유역 국가에티오피아, 케냐, 남수단
길이290 km
32 km
면적6,405 km²
평균 깊이30.2 m
최대 깊이109 m
수량193 km³
염도0.244%
표고360.4 m
노스 섬, 센트럴 섬, 사우스 섬 (화산섬)
도시엘 몰로, 로양갈라니, 칼로콜, 엘리예 스프링스, 일레레트, 포트 반야
투르카나 호 주변 지역
유네스코 세계유산
공식 명칭투르카나 호 국립공원
기준자연: viii, x
ID801
등재 연도1997
확장2001
보호 구역 종류II

2. 지리 및 지형

투르카나호는 동아프리카 열곡의 특징적인 지형을 잘 보여준다. 열곡은 두 지각판이 분리되면서 지구 지각의 약한 부분에 형성되며, 호수 물이 모일 수 있는 그라벤(골짜기)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18] 동아프리카 열곡은 맨틀의 흐름에 의해 동아프리카가 아프리카 대륙에서 분리되어 북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시작되었다.[19] 현재 투르카나호 북쪽의 그라벤은 320km, 남쪽은 170km 너비이다. 이 열곡은 대열곡 또는 동부 열곡이라고 불리는 두 개의 열곡 중 하나이며, 서쪽에는 서부 열곡이 있다.

투르카나호는 영구적인 사막 호수이자, 두 개의 분리된 나일강 유역에서 기원하는 물을 유지하는 유일한 호수라는 점에서 동아프리카 지형의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투르카나호 배수 유역은 주로 케냐 고원과 에티오피아 고원에서 물을 끌어온다.

투르카나호 지도


이 지역의 기반암은 5억 2200만 년 전과 5억 1000만 년 전으로 측정되었다. 당시에는 열곡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열곡은 약화된 지각을 통한 화산 활동으로 그 신호를 보였다. 이 지역의 가장 오래된 화산 활동은 투르카나 북동쪽의 나브왈 언덕에서 발생했으며, 에오세 후기인 3480만 년 전으로 측정되었다.[20]

418만 년 전에서 399만 년 전 사이에는 투르카나-오모 분지 위에서 광범위한 현무암 분출이 일어났다.[21] 이를 곰베 그룹 현무암이라고 하며, 무르시 현무암과 곰비 현무암으로 세분된다. 이 두 현무암은 호수 주변의 바위산과 배드랜드(badlands)를 형성하는 노두로 확인된다. 분지의 오모 부분에서 무르시 현무암은 무르시 지층이 오모 서쪽에, 앤칼라봉은 오모에, 우스노와 슝구라는 오모 동쪽에 있다. 투르카나 동쪽에는 코비 포라, 서쪽에는 나추키 지층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호수 수위의 단기적인 변동과 주기적인 화산재 분출로 인해 기반암 위에 여러 지층이 형성되었다. 이 수평선은 응회암의 화학 분석으로 더 정확하게 연대를 측정할 수 있다.[22] 이 지역은 호미닌의 진화적 둥지로 여겨지기 때문에, 이러한 연대는 호미노이드와 비호미노이드 화석의 시차 배열을 생성하는 데 중요하며, 수천 점의 화석이 발굴되었다.

투르카나 분지에서는 고대 해안을 나타내는 테라스가 관찰된다. 가장 높은 곳은 호수 표면에서 100m 위에 있으며, 플라이스토세 말기인 약 9500년 전 아프리카 습윤기의 일부로 발생했다.[23] 일반적으로 투르카나는 당시 남쪽 끝에서 바링고호와 연결되고 북쪽에서 백나일강과 연결되는 상부 나일강 시스템의 일부였다고 추정되며, 화산 지형 조정으로 인해 연결이 끊어졌다. 이러한 가설은 악어와 나일 농어와 같은 호수의 나일강 종을 설명한다. 또한 약 9000년, 6000년, 5000년 전에 높은 수위가 나타났으며, 각 시기마다 200년도 안 되는 기간에 호수 수위가 40m 이상 떨어졌다.[23] 콩고 대기 경계의 위치 변화가 대서양에서 동아프리카로의 수분 도달 능력에 영향을 미쳐,[24][25] 투르카나호와 인접 수역의 수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23][26]

고대천문학 유적지인 나모라퉁가 II는 서기 300년경으로 연대가 측정되었으며, 투르카나호 근처에 위치해 있다.

2. 1. 수문학

댐과 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관개 사업이 투르카나 호수에 미치는 영향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2010년 11월 아프리카 개발 은행의 수문학 연구에서는 관개 사업이 없을 경우, 댐의 채수로 인해 호수 수위가 2미터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관개 사업은 호수 수위를 더 낮출 수 있다.[29]

투르카나 호수의 친구들(Friends of Lake Turkana)은 댐이 투르카나 호수의 수위를 최대 10미터까지 낮춰 최대 30만 명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추정했다.[30] 염분 농도가 높아져 호수 주변 원주민이 물을 마실 수 없게 될 수 있다. 현재 호수 염분 농도는 약 2332mg/L이며, 수위가 10미터 감소하면 3397mg/L까지 상승할 수 있다.[20] 염분 농도 증가는 호수 어류 개체 수를 감소시켜 주변 사람들의 생계와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비평가들은 "호수를 서서히 죽음에 이르게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9]

댐 지지자들은 투르카나 호수에 대한 영향은 저수지 채수 기간 동안의 일시적인 유량 감소로 제한될 것이라고 말한다. 채수는 1~3번의 우기 동안 진행될 수 있다.[9][26] 기베 3 댐의 총 저수량은 117억 5천만에서 140억 입방 미터 사이이다. 댐 건설 회사는 호수 수위를 "3년 동안 연간 50cm 미만"으로 감소시키고 염분 농도는 "전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26]

국제 호수 환경 위원회에 따르면, 투르카나 호수 물의 90%는 댐이 건설될 오모 강에서 공급된다.[31] 투르카나 호수는 출구가 없어 매년 2.3미터의 물을 증발로 잃고, 수위는 기후 및 계절적 변동에 민감하다. 1890년대에는 현재 수위보다 20m 높았고, 1940년대와 1950년대에 현재 수준으로 감소했다. 1980년경에 최고점에 도달한 후 다시 감소했다.[31]

프로젝트의 환경 및 사회 영향 평가(ESIA) 요약본은 투르카나 호수의 수위와 수질에 대한 댐의 영향을 평가하지 않았다.[32] 케냐 수자원 서비스 규제 위원회 이사인 존 냐오로(John Nyaoro)는 댐이 투르카나 호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33]

2021년 케냐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에서 2020년 사이에 투르카나 호수의 표면적이 10% 증가했다.[42][43]

오모 강 등 3개의 강이 투르카나 호로 흘러들지만, 투르카나 호에서 흘러나가는 강은 없으며, 물의 감소 요인은 증발뿐이다. 1975년부터 1993년 사이에 수위가 10m나 낮아졌다. 오모 강의 에티오피아 영토에는 대형 건설이 진행되고 있어, 물 이용이 진척되면 아랄 해처럼 소실될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

2. 2. 기후

호수 주변은 덥고 건조한 지역이며, 화산암이 많이 존재한다. 중앙의 섬은 활화산이다. 육지의 기온 변화에 비해 수온의 변화는 느리므로, 호수 주변에서는 강한 바람이 불기도 한다.[45]

3. 생태

투르카나 호는 짙은 염분에 적응한 녹색 식물 플랑크톤이 많아 "비취의 바다"[45]('''Jade Sea''')라고 불린다. 이 호수에는 나일 퍼치나 틸라피아 등의 물고기가 서식하며, 아프리카 최대의 나일 악어 서식지(약 14,000마리 서식)이기도 하다. 주변이 건조한 지역에서 귀중한 물가이기 때문에 철새의 중간 기착지로서도 중요하다. 사자, 치타, 기린 등의 포유류도 보인다. 텔레키의 보고서에서는 코끼리코뿔소가 많이 보였다고 하지만, 현재는 거의 볼 수 없다. 투르카나 호 국립공원군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록되어 있다[45]. 시빌로이 국립공원은 호수 남쪽에 있으며, 센트럴 아일랜드 국립공원과 사우스 아일랜드 국립공원은 호수 안에 있는데, 이 두 공원은 악어 번식지로 알려져 있다.

3. 1. 동식물

투르카나호의 주요 생물군계는 수생 생물군계인 호수 자체와 주변 지역으로 나뉘는데, 주변 지역은 사막 및 건성 관목지대로 분류된다. 찰비 사막은 호수의 동쪽에 위치한다. 더 습한 시기에는 ''Aristida adcensionis''와 ''A. mutabilis''가 특징인 건조한 초원이 나타나지만, 건조한 시기에는 풀이 사라진다. 관목지대에는 ''Duosperma eremophilum''와 ''Indigofera spinosa''와 같은 난쟁이 관목이 자라며, 호수 근처에는 둠 야자가 있다.

호수에는 식물성 플랑크톤동물성 플랑크톤이 모두 발견된다.[11] 식물성 플랑크톤으로는 시아노박테리아인 ''Microcystis aeruginosa''와 미세조류인 ''Botryococcus braunii''가 대표적이다. 그 외에도 ''Anabaenopsis arnoldii'', ''Planctonema lauterbornii'', ''Oocystis gigas'', ''Sphaerocystis schroeteri'' 등이 존재한다. 동물성 플랑크톤에는 요각류, 가지뿔류 및 원생동물이 포함된다.

다른 아프리카의 큰 호수에 비해 투르카나 호는 어종이 비교적 적다. 이 호수에는 약 50종의 어류가 서식하며, 12종의 고유종이 서식한다. 고유종은 다음과 같다.

어종 분류학명
시클리드Haplochromis macconneli, H. rudolfianus, H. turkanae, Hemichromis exsul
잉어Enteromius turkanae
메기Chrysichthys turkana
강탈 테트라Brycinus ferox, B. minutus
루돌프 레이트스Lates longispinis
램프아이Lacustricola jeanneli, Micropanchax rudolfianus
잉어과 어류Neobola stellae[12]



고유종이 아닌 종으로는 나일 틸라피아, 망고 틸라피아, 폴립테루스, 코끼리 물고기 ''Mormyrus kannume'', 아프리카 아로와나, 아프리카 칼고기, ''Distichodus niloticus'', 나일 농어 등이 있다.[11][13] 초기 홀로세 동안 호수의 수위가 더 높았고, 나일강으로 넘쳐흘러 물고기와 악어의 접근을 허용했기 때문에, 호수에 서식하는 고유종이 아닌 어류는 주로 나일강 기원의 강어종이다.[12] 일부 고유종이 아닌 어류는 호수에서 번식하지 않고 오모 강 및 기타 지류로 이동하여 번식한다.[12] 이 호수는 낚시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쇠청다리도요


투르카나호 지역은 케냐 고유의 수백 종의 새들의 서식지이다.[14] 동아프리카 지구대는 철새의 이동 경로 역할을 하여 수백 종의 새들을 더 불러들인다. 이 새들은 기본적으로 호수의 플랑크톤 덩어리에 의해 유지되며, 이는 또한 물고기의 먹이가 된다.

투르카나에서 더 흔하게 볼 수 있는 새들로는 쇠청다리도요, 넓적부리도요, 알락도요가 있다. 아프리카 검은물떼새(Rhyncops flavirostris)는 센트럴 아일랜드의 둑에서 둥지를 튼다. 흰가슴가마우지(Phalacrocorax lucidus)는 다른 많은 물새들과 마찬가지로 호수 전체에 걸쳐 분포한다. 큰홍학은 얕은 물에서 물갈퀴질을 한다. 회색가슴사막대머리(Neotis heuglinii)는 호수 지역의 동쪽에서 발견된다.

투르카나 진흙 거북


이 호수에는 한때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나일 악어 개체군이 서식했는데, 1968년 알리스테어 그레이엄의 연구에 따르면 14,000마리로 추정되었다.[15]

또한 이 호수에는 특히 센트럴 아일랜드 지역에 많은 수의 큰 물거북이 서식하고 있다. 투르카나 진흙 거북은 이 호수에 고유종이다.[16]

그레비얼룩말


건조한 초원에는 풀을 뜯는 포유류와 포식자의 취약한 개체군이 서식한다. 풀을 뜯는 동물로는 주로 그레비얼룩말, 버첼얼룩말, 비사오릭스, 그랜트가젤, 토피 그리고 그물무늬기린이 있다. 이들은 사자와 치타의 사냥감이다. 아프리카코끼리검은코뿔소는 더 이상 발견되지 않지만, 텔레키는 많은 코끼리와 코뿔소를 보고 (그리고 사냥했다고) 보고했다. 먼지 근처에는 쿠션저빌(''Gerbillus pulvinatus'')이 있다.[17]

4. 역사

188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탐험가 Teleki Sámuel (utazó)|텔레키 사뮤엘hu과 Ludwig von Höhnel|루트비히 폰 횔de 해군 중위가 이 호수를 발견하고, 황태자 루돌프의 이름을 따서 루돌프 호라고 명명했다. 1975년에는 주변, 주로 서안에 거주하는 투르카나족의 이름을 따서 투르카나 호로 개칭되었다.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에 있는 조모 케냐타 국제공항에서 호반의 로얀가라니까지는 차로 약 21시간이 걸릴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어[45] 이곳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적다. 현지에는 가브라족, 렌딜레족, 투르카나족이 많이 생활하고 있다.

호수 주변은 덥고 건조하며, 화산암이 많이 존재한다. 중앙의 섬은 활화산이다. 육지에 비해 수온 변화가 느려 호수 주변에서는 강한 바람이 불기도 한다.

오모 강 등 3개의 강이 투르카나 호로 흘러들지만, 투르카나 호에서 흘러나가는 강은 없으며, 물의 감소 요인은 증발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5년부터 1993년 사이에 수위가 10m나 낮아졌다. 게다가 오모 강의 에티오피아 영토에는 대형 건설이 진행되고 있어, 장래에 물 이용이 진척되면 아랄 해처럼 소실될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

4. 1. 명칭의 유래

케냐가 독립한 후, 조모 케냐타 대통령은 1975년에 호수 이름을 그곳의 주요 부족인 투르카나의 이름을 따서 변경했다.[8] 투르카나족은 이 호수를 "많은 물고기의 바다"라는 뜻의 ''Anam Ka'alakol''이라고 부른다.[45] 칼라콜은 투르카나호 서쪽 해안, 로드와르 동쪽에 있는 마을로, Ka'alakol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투르카나호의 이전 투르카나 원주민 이름은 ''Anam a Cheper''였다.

1888년 3월 6일, 새뮤얼 텔레키 백작과 그의 부관 루드비히 폰 횔은 오스트리아의 황태자 루돌프를 기리기 위해 호수 이름을 루돌프 호(Lake Rudolf)로 명명했다.[8] 텔레키 백작과 횔은 각각 헝가리인과 오스트리아인이었다.[8] 그들은 동아프리카를 가로지르는 긴 사파리 여행 후 호수를 방문한 최초의 유럽인이었다. 이 호수는 영국령 동아프리카 식민지 시대에도 유럽식 이름을 유지했다. 그러나 텔레키가 방문하기 오래 전부터 호수의 존재와 모양, 위치는 유럽에 잘 알려져 있었다.[9]

J. W. 그레고리는 1894년 《지리학 저널》에서 이 호수가 삼부루어로 "검은 호수"를 뜻하는 "바소 나록"(Basso Narok)이라고 불린다고 보고했다. 마찬가지로, 근처의 에티오피아 추 바히르 호는 삼부루어로 "하얀 호수"를 뜻하는 "바소 나이보르"(Basso Naibor)라고 불린다. 삼부루족은 탐험가들이 왔을 때 투르카나 호 지역의 지배적인 부족 중 하나였다.[10]

4. 2. 고고학적 중요성

투르카나호는 동아프리카 열곡 지형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 지역의 기반암은 5억 2200만 년 전과 5억 1000만 년 전에 형성되었으며, 당시에는 열곡이 나타나지 않았다. 열곡은 약화된 지각을 통한 화산 활동으로 시작되었고, 이 지역의 가장 오래된 화산 활동은 투르카나 북동쪽의 나브왈 언덕에서 발생했으며, 에오세 후기인 3480만 년 전으로 연대가 측정되었다.[20]

418만 년 전부터 399만 년 전 사이에는 투르카나-오모 분지 위에서 광범위하게 현무암이 분출되었다.[21] 이를 곰베 그룹 현무암이라고 하며, 무르시 현무암과 곰비 현무암으로 세분된다. 이 두 현무암은 호수 주변의 바위산과 배드랜드(badlands)를 형성하는 노두로 확인된다. 분지의 오모 부분에서 무르시 현무암은 무르시 지층이 오모 서쪽에, 앤칼라봉은 오모에, 우스노와 슝구라는 오모 동쪽에 있다. 코비 포라와 나추키는 투르카나 동쪽과 서쪽에 있는 가장 잘 알려진 지층이다.

호수 수위의 단기적인 변동과 화산재 분출로 인해 기반암 위에 지층이 형성되었다. 응회암의 화학 분석으로 이러한 지층의 연대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22] 이 지역은 호미닌의 진화적 둥지로 여겨지기 때문에, 이러한 연대는 호미노이드와 비호미노이드 화석의 시차 배열을 생성하는 데 중요하다.

투르카나 분지에서는 고대 해안을 나타내는 테라스가 관찰된다. 가장 높은 곳은 호수 표면에서 100m 위에 있으며, 플라이스토세 말기인 약 9500년 전에 발생했다.[23] 일반적으로 투르카나는 당시 남쪽 끝에서 바링고호와 연결되고 북쪽에서 백나일강과 연결되는 상부 나일강 시스템의 일부였다고 추정되며, 화산 지형 조정으로 인해 연결이 끊어졌다. 이러한 가설은 악어와 나일 농어와 같은 호수의 나일강 종을 설명한다. 또한 약 9000년, 6000년, 5000년 전에 높은 수위가 나타났으며, 각 시기마다 200년도 안 되는 기간에 호수 수위가 40m 이상 떨어졌다.[23]

고대천문학 유적지인 나모라퉁가 II는 서기 300년경으로 연대가 측정되었으며, 투르카나호 근처에 위치해 있다.

200만 년에서 300만 년 전, 이 호수는 더 넓고 비옥했으며, 인류의 생활 중심지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리처드 리키는 이 주변에서 인류 진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발견을 했다. 1972년에는 200만 년 전의 호모 루돌펜시스 화석인 "두개골 1470"이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호모 하빌리스와 동일한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인류학자들의 검증을 통해 새로운 종으로 판단되었다. 호모 루돌펜시스라는 명칭은 당시 호수의 이름이었던 루돌프 호에서 유래되었다. 1984년에는 코모야 키메우가 호모 에렉투스의 거의 완전한 화석인 투르카나 보이를 발견했다. 최근에는 미브 리키가 350만 년 전의 두개골을 발견했다.

5. 인류학

호미닌 화석 중 가장 초기의 인류 조상으로 여겨지는 화석이 투르카나 분지에서 발견되었다. 투르카나 호는 수백만 년 동안 이 사막 지대에서 서로 다른 시기에 살았던 다양한 호미니드 종이 발견되어 인류의 요람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화석은 역동적인 인류 진화 과정에 대한 인류의 이해를 돕고, 여러 공통 조상에서 분기되어 여러 계통으로 나뉘었음을 시사한다.[27]

환경 변화는 초기 인류가 위협적인 포식자에게 더 많이 노출되는 열린 초원으로 적응하도록 강요했다. 화산재와 건조한 기후는 이러한 인류 화석을 보존하는 데 이상적이었지만, 때로는 호수가 줄어들거나 사라지게 만들기도 했다.

마른 강바닥인 로메키 3 부지에서 원시적인 망치, 모루, 절단 도구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아슐리안 기술의 등장은 도구 사용이 ''호모'' 종 사이의 구별되는 요소였다는 가정을 더 이상 하지 않는데,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역시 속 ''호모''가 등장하기 전인 330만 년 전에 간단한 도구를 사용했기 때문이다.[28]

미브 리키가 1994년에 발견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나멘시스'' 화석은 약 40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이족 보행의 시작 시점을 50만 년 앞당겼다. 리처드 리키는 이 지역에서 수많은 인류 진화에 관한 탐사를 이끌었으며, 이를 통해 호미닌 유해의 중요한 발견이 이루어졌다.

1972년에 발견된 200만 년 전의 두개골 1470은 처음에는 ''호모 하빌리스''로 여겨졌지만, 1986년 V. P. 알렉세예프는 이 호수의 옛 이름(루돌프)에서 유래한 학명 ''호모 루돌펜시스''를 제안했다. 1984년에는 카모야 키메우가 거의 완전한 ''호모 에르가스터'' 청소년의 골격인 투르카나 보이를 발견했다. 더 최근에는 미브 리키가 350만 년 된 두개골을 발견했는데, 이는 ''케냐인류 플라티옵스''(“케냐의 납작한 얼굴을 가진 사람”)로 명명되었다.

마르타 미라존 라흐르는 고대 투르카나 호의 해안 근처에 위치한 나타루크 부지에서 인류 전쟁의 초기 증거를 발견했는데, 머리, 목, 갈비뼈, 무릎 및 손에 심각한 외상을 입은 다수의 인골은 10,000년 전 유목 수렵 채집인 사이의 집단 간 갈등의 증거로 여겨진다.[29] 서쪽 해안을 따라 있는 코비 포라 부지에서 230명이 넘는 개인이 발견되었고, 동쪽 해안의 나타루크 부지에서 뼈 자국이 있는 흩어진 ''호모 사피엔스'' 골격이 발견되면서, 이 지역은 초기 인류가 호수 해안을 따라 그리고 그 너머의 일관되지 않은 기후에서 어떻게 번성하고 생존했는지에 대한 상당한 통찰력을 제공한다.[30]

''호모 에렉투스''는 ''호모 사피엔스''의 가장 가까운 조상이며, 180만 년 전에 레반트 회랑을 건너 아프리카에서 유럽과 아시아로 처음 진출한 호미닌이라고 주장된다.[31]

투르카나 호 주변 지역에는 여러 언어 집단이 존재하며,[32] 이는 수천 년 동안 다양한 사람들이 여러 차례 이주했음을 나타낸다. 현재 언어 집단에는 최소 3개의 서로 다른 하위 그룹인 나일어족 (나일사하라어족)과 쿠시어족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오늘날 호수 주변에서 12개 이상의 언어로 더 세분화되었다.[33] 초기 홀로세 (홀로세 기후 최적기) 동안 호수 수위가 높았고 어업과 채집이 주요 생계 경제였다. 이는 호수 수위가 급격하게 변동하는 시기인 5000년 전까지 주로 동물 기반의 농업으로 대체되었다.[34] 후기 홀로세 동안 기후 변화에 대한 인간의 대응에는 호수 수위가 높을 때의 집중적인 어업과 수위가 낮아졌을 때의 가축 사육으로의 전환이 포함되었다.[34] 거석 무덤은 호수 해안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약 5000년 전에 가축이 처음 이 지역에 도입된 시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며,[35] 이후에는 작은 무덤 돌무더기에 시신을 매장했다.[36] 오늘날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혼합 생계를 유지하며, 매년 가능한 것에 따라 수렵, 어업 및 가축 사육을 번갈아 한다.[34] 그러나 기독교 선교 기지, 에너지 추출(풍력, 석유) 및 비정부 기구 지원 분배 지점과 같은 인프라 건설로 인해 이 지역은 생계를 위해 외부 자원에 더 많이 연결되고 의존하게 되었다.[37][38] 목축과 어업과 같은 전통적인 생계 방식은 이제 현금 기반 경제로 보완되고 있다.

6. 환경 문제 및 개발

투르카나 호는 덥고 건조한 화산암 지대에 위치하며, 중앙에 활화산 섬이 있다. 수온 변화는 육지보다 느려 강한 바람이 불기도 한다. 오모 강 등 3개의 강이 유입되지만, 유출되는 강은 없어 증발이 유일한 물 감소 요인이다. 1975년부터 1993년 사이 수위가 10m나 낮아졌고, 오모 강 상류에 건설 중인 길겔 기베 III 댐으로 인해 아랄 해처럼 소실될 위기에 처해있다.

길겔 기베 III 댐 건설은 투르카나 호로 유입되는 수량을 감소시켜 호수 생태계와 주민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국경 분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투르카나 호 풍력 발전소 건설 또한 환경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188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탐험가 Teleki Sámuel (utazó)|텔레키 사뮤엘hu과 Ludwig von Höhnel|루트비히 폰 횔de 해군 중위가 발견하여 황태자 루돌프의 이름을 따 루돌프 호라고 명명했다. 1975년 투르카나족의 이름을 따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나이로비에서 차로 약 21시간 거리에 있어[45] 관광객이 적고, 가브라족, 렌딜레족, 투르카나족이 주로 거주한다. 투르카나족은 호수를 "많은 물고기"를 의미하는 "''anam Ka'alakol''"이라 부르며, 칼로콜(Kalokol) 마을 이름의 어원이 되었다.

2021년 케냐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에서 2020년 사이에 투르카나 호수의 표면적이 10% 증가했다.[42][43]

6. 1. 길겔 기베 III 댐

길겔 기베 III 댐은 에티오피아에서 오모 강을 따라 건설 중이며, 강 하류의 주요 수량 감소와 케냐의 투르카나호로의 유입량 감소를 야기할 것이라는 점이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투르카나 호는 강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90%를 공급받는다.[31] 이러한 변화는 오모 강 유역과 투르카나 호 주변의 많은 사람들의 생존 수단을 파괴하여, 국경을 넘는 폭력적인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댐이 투르카나 호수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2010년 11월 아프리카 개발 은행을 위해 수행된 수문학 연구에 따르면, 관개 사업이 시행되지 않는다면 댐의 채수로 인해 호수의 수위가 2미터 감소할 것으로 결론지었다. 관개는 호수 수위를 더욱 낮출 것이다.[29]

투르카나 호수의 친구들(Friends of Lake Turkana)은 케냐 단체로, 댐이 투르카나 호수의 수위를 최대 10미터까지 낮추어 최대 30만 명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정했다.[30] 이는 염분 농도가 높아져 호수 주변의 원주민이 더 이상 마실 수 없게 될 수 있다. 현재 호수물의 염분 농도는 약 2332mg/L이며, 투르카나 호수의 수위가 10미터 감소하면 염분 농도가 3397mg/L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20] 염분 농도가 높아지면 투르카나 호수 주변 사람들이 생계와 생존을 위해 의존하는 호수의 어류 개체 수도 대폭 감소할 수 있다.

댐 지지자들에 따르면, 투르카나 호수에 대한 영향은 저수지 채수 기간 동안의 일시적인 유량 감소로 제한될 것이다. 다양한 출처에 따르면, 채수는 1~3번의 우기 동안 진행될 수 있다.[9][26] 기베 3 댐의 총 저수량은 출처에 따라 117억 5천만에서 140억 입방 미터 사이가 될 것이다. 댐을 건설하는 회사에 따르면, 이는 호수의 수위를 "3년 동안 연간 50cm 미만"으로 감소시키고, 염분 농도는 "전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26]

프로젝트의 환경 및 사회 영향 평가(ESIA) 요약본은 투르카나 호수의 수위와 수질에 대한 댐의 영향을 평가하지 않았다.[32] 케냐 수자원 서비스 규제 위원회 이사인 존 냐오로(John Nyaoro)는 댐이 투르카나 호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33]

6. 2. 투르카나 호 풍력 발전소

투르카나 호 풍력 발전소는 투르카나 호 주변의 독특한 풍력 조건을 활용하여 케냐의 국가 전력망에 310MW의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소이다.[39] 이 발전소는 각각 850 킬로와트의 명판 용량을 가진 365개의 풍력 터빈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6년 10월에는 155기의 터빈이 설치되었으며, 2017년에 완료될 예정이었다.[40] 이 프로젝트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풍력 발전 프로젝트이다.[40]

2019년 3월에 완전 상업 운전이 시작되었으며, 2021년 3월에는 100% 가동률(310MW 전체 발전)을 달성했다.[41]

7. 문화

투르카나 호 주변에는 투르카나족, 엘몰로족, 삼부루족, 렌딜레족 등 다양한 민족 집단이 거주하며, 이들의 독특한 문화와 전통이 어우러져 있다.


  • 투르카나족: 호수 서쪽에 거주하는 반유목 민족이다. 소, 염소, 낙타 등을 기르며 생활하며, 전통 의상과 장신구를 착용한다.
  • 엘몰로족: 케냐에서 가장 작은 부족 중 하나로, 호수 남동쪽 해안에 거주한다. 주로 어업에 종사하며, 독특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삼부루족: 투르카나 호 남쪽에 거주하며, 투르카나족과 유사한 문화를 가진 반유목 민족이다. 화려한 장신구와 의상이 특징이다.
  • 렌딜레족: 호수 동쪽에 거주하는 유목 민족으로, 낙타를 중심으로 생활한다. 이슬람교를 믿으며, 독특한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들 부족은 각자의 언어, 관습, 의식, 예술 등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으며, 투르카나 호는 이러한 문화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역이다.

7. 1. 세계 유산

투르카나 호 국립공원군은 유네스코의 세계 유산에 등록되어 있다.[45] 호수 남쪽에는 시빌로이 국립공원이 있으며, 호수 안에는 센트럴 아일랜드 국립공원과 사우스 아일랜드 국립공원이 있다. 호수 안에 있는 두 공원은 악어 번식지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간행물 Hydrological Impacts of Ethiopia’s Omo Basin On Kenya’s Lake Turkana Water Levels & Fisheries (2010), page 2-65 http://www.afdb.org/[...]
[2] 웹사이트 Ethiopia – Kenya Boundary http://www.law.fsu.e[...] 2009-03-18
[3] 웹사이트 Lake Turkana in Kenya - The Jade Sea http://www.kenyasafa[...] 2020-05-25
[4] 뉴스 A way of life under threat in Kenya as Lake Turkana shrinks http://www.thenewhum[...] The New Humanitarian 2017-05-23
[5] 뉴스 For villages in Turkana, Kenya, a new initiative that brings clean water to the community is life-changing https://www.unicef.o[...] UNICEF 2012-11-29
[6] 서적 The Ni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B.V
[7] 웹사이트 World Lakes Database http://www.ilec.or.j[...] 2006-01-18
[8] 웹사이트 University of Trieste http://www.sslmit.un[...] 2007-12-06
[9] 저널 Routes of Native Caravans From the Coast to the Interior of Eastern Africa, Chiefly from Information Given by Said Bin Ahedi, a Native of a District Near Gazi, in Udigo, a Little North of Zanzibar
[10] 저널 Contributions to the Physical Geography of British East Africa
[11] 웹사이트 World Lakes Database http://www.ilec.or.j[...] 2006-01-18
[12] 웹사이트 Lake Turkana. http://www.feow.org/[...] 2011-10-05
[13] 웹사이트 Freshwater Fish Species in Lake Turkana [East Africa] http://www.mongabay.[...] 2023-02-07
[14] 웹사이트 The Sibiloi National Park http://www.sibiloi.c[...] 2006-10-29
[15] 서적 Eyelids of Morning
[16] 서적 Turtles of the World: Annotated Checklist and Atlas of Taxonomy, Synonymy,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atus
[17] 웹사이트 Lake Turkana http://www.kenya-and[...] 2016-09-21
[18] 웹사이트 Regions of Kenya http://www.visitkeny[...] 2007-05-13
[19] 저널 Tertiary Mafic Lavas of Turkana, Kenya: Constraints on East African Plume Structure and the Occurrence of High-μ Volcanism in Africa 2006-03-21
[20] 저널 Geochronology of the Nabwal Hills: a record of earliest magmatism in the northern Kenyan Rift Valley https://www.cambridg[...] 2006-01-01
[21] 문서 Mineral chemistry of Turkana basalts and implications for basin development http://www.people.ca[...]
[22] 저널 Precise 40Ar/39Ar geochronology for the upper Koobi Fora Formation, Turkana Basin, northern Kenya https://doi.org/10.1[...] 2006-01-01
[23] 저널 Water level history for Lake Turkana, Kenya in the past 15,000 years and a variable transition from the African Humid Period to Holocene aridity 2015-09-01
[24] 저널 Isotopic reconstruction of the African Humid Period and Congo Air Boundary migration at Lake Tana, Ethiopia https://academiccomm[...] 2014-01-01
[25] 저널 Late Quaternary behavior of the East African monsoon and the importance of the Congo Air Boundary 2011-04-01
[26] 저널 The effects of solar irradiation changes on the migration of the Congo Air Boundary and water levels of paleo-Lake Suguta, Northern Kenya Rift, during the African Humid Period (15–5 ka BP) 2014-02-15
[27] 웹사이트 Discoveries at Lake Turkana https://education.na[...] 2022-05-20
[28] 웹사이트 Lake Turkana remains https://www.britanni[...] 2016-01-21
[29] 저널 Inter-group violence among early Holocene hunter-gatherers of West Turkana, Kenya https://www.reposito[...]
[30] 웹사이트 The Meaning of Time in the Place Where Humanity's Earliest Ancestors Arose https://www.scientif[...] 2020-06-27
[31]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Lake Turkana https://www.bradshaw[...] 2015-12-09
[32] 저널 Cushitic and Nilotic Prehistory: New Archaeological Evidence from North-West Kenya https://www.cambridg[...] 1979-07-01
[33] 서적 Eastern and Southern Africa in World History 1000 BC to AD 400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34] 저널 Lakeside View: Sociocultural Responses to Changing Water Levels of Lake Turkana, Kenya 2015-06-27
[35] 저널 The context of early megalithic architecture in eastern Africa: the Turkana Basin c. 5000–4000 BP 2013-06-01
[36] 웹사이트 Stone Cairns and Material Culture of the Middle to Late Holocene, Lake Turkana http://www.african-a[...] 2017-03-07
[37] 간행물 Success and Failure: The Breakdown of Traditional Drought Coping Institutions Among the Pastoral Turkana of Kenya 2017-03-07
[38] 간행물 Refugee Camps or Cities? The Socio-economic Dynamics of the Dadaab and Kakuma Camps in Northern Kenya 2000-06-01
[39] 웹사이트 Home - Lake Turkana Wind Power https://ltwp.co.ke/ 2023-02-07
[40] 웹사이트 Africa's Largest Wind Project Advances https://archive.nyti[...] 2023-02-07
[41] 웹사이트 Lake Turkana Wind Project - Our journey https://ltwp.co.ke/o[...] 2024-03-13
[42] 웹사이트 Rising Water Levels in Kenya's Rift Valley Lakes, Turkwel Gorge Dam and Lake Victoria http://www.environme[...] 2022-03-16
[43] 웹사이트 A drowning world: Kenya's quiet slide underwater https://www.theguard[...] 2022-03-17
[44] 뉴스 世界最大の砂漠湖を脅かす隣国のダム、ケニア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 2012-09-23
[45] 뉴스 "翡翠の海」に浮かぶ火口 ケニア" 日本経済新聞 2021-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