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리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인은 오스트리아 국적을 가진 사람 또는 오스트리아의 전통 문화와 풍습을 계승하는 민족을 의미한다. 오스트리아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으며 오스트리아 대공국으로 시작하여 오스트리아 제국을 거쳐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으로 독립했다. 1938년 나치 독일과의 합병(안슐루스)을 겪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오스트리아인은 독일어를 사용하며, 로마 가톨릭교를 주로 믿는다. 오스트리아는 음악, 문학, 요리 등 다양한 문화적 유산을 가지고 있으며, 빈은 오스트리아의 수도이자 문화적 중심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이족 - 바이에른주
    바이에른주는 독일 남부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와 독자적인 문화를 통해 발전해왔고, 현재는 독일 경제를 이끄는 주요 주 중 하나이다.
  • 보이족 - 톨리스토보기이족
    앙카라 서쪽 에스키셰히르 주 일대에 거주했던 톨리스토보기이족은 켈트족의 일파로, 기원전 279년 델포이 약탈에 가담하며 역사에 등장했고 로마에 대항하여 강력한 국가로 통합되었으며, 그 명칭은 켈트조어 어근에서 유래되었다.
오스트리아인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그룹 명칭오스트리아인
로마자 표기Österreicha
독일어 명칭Österreicher
인구약 800만 ~ 850만 명
거주 지역오스트리아 7,427,759명
미국 거주 인구684,184명
독일 거주 인구345,620명
캐나다 거주 인구197,990명
스위스 거주 인구67,000명
호주 거주 인구45,530명
영국 거주 인구39,600명
프랑스 거주 인구20,000명
이스라엘 거주 인구18,200명
스페인 거주 인구13,000명
브라질 거주 인구12,500명
아르헨티나 거주 인구10,500명
기타 국가 거주 인구 (1,000명 ~ 10,000명)
네덜란드 거주 인구9,900명
이탈리아 거주 인구8,500명
터키 거주 인구5,500명
체코 거주 인구5,000명
헝가리 거주 인구5,000명
스웨덴 거주 인구4,500명
벨기에 거주 인구4,400명
터키 거주 인구3,700명
이집트 거주 인구3,200명
멕시코 거주 인구3,200명
루마니아 거주 인구3,200명
노르웨이 거주 인구3,100명
세르비아 거주 인구3,000명
아랍에미리트 거주 인구3,000명
리히텐슈타인 거주 인구2,500명
폴란드 거주 인구2,500명
포르투갈 거주 인구1,700명
콜롬비아 거주 인구1,700명
칠레 거주 인구1,600명
덴마크 거주 인구1,600명
태국 거주 인구1,600명
중국 거주 인구1,500명
크로아티아 거주 인구1,500명
뉴질랜드 거주 인구1,500명
필리핀 거주 인구1,400명
도미니카 공화국 거주 인구1,100명
룩셈부르크 거주 인구1,000명
대한민국 거주 인구1,000명
언어
주요 언어독일어 (오스트리아 독일어, 바이에른오스트리아어, 알레만어)
종교
역사적 종교주로 로마 가톨릭교 (16세기 짧은 기간 동안 동부 오스트리아의 많은 지역이 루터교로 개종했음)
현재 종교기독교 (68%)
무종교 또는 기타 (24%)
관련 민족
관련 민족게르만족,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헝가리인(마자르인),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대표 이미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
마리아 테레지아
마리 앙투아네트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아돌프 히틀러
프란츠 요제프 1세
오이겐 폰 자보이엔
레오폴트 6세 (오스트리아 공작)
막시밀리안 1세 (신성 로마 황제)
로미 슈나이더
아널드 슈워제네거
프리드리히 폰 비저
크리스티안 도플러
한스 아스페르거
요한 슈트라우스 2세
안톤 브루크너
에르빈 슈뢰딩거
에곤 실레
니키 라우다
오토 바그너
로베르트 무질
하인리히 하러
에밀 아르틴
잉게보르크 호흐마이어

2. 역사

오스트리아인이라는 단어는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변화해왔다. 처음에는 오스트리아 대공국니더외스터라이히주 주민만을 가리켰지만, 17~18세기에는 합스부르크 군주국 전체 인구를, 19세기에는 오스트리아 제국 백성을, 19세기 후반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시스라이타니아 지역 시민권자를 의미했다. 현대에는 오스트리아 국민 전체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오스트리아인들은 오랫동안 독일인으로 여겨졌다.[45] 하지만 오스트리아는 체코, 헝가리 등 슬라브 민족의 영역도 포함했으며, 신성 로마 제국에서 가장 강력한 제후국이었다. 19세기부터 오스트리아인들은 여러 차례 정체성 변화를 겪었다.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프로이센 왕국은 오스트리아를 "독일 국가의 정의"에서 제외했다.[46] 1867년, 오스트리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변모하며 단일 민족 국가 이념을 포기하고 다민족 국가로 전환했다. 1871년, 독일 제국 통일로 오스트리아인이 독일인이 아님이 국제 사회에 의해 재확인되었다.[47]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고, 독일어를 사용하는 지역은 "독일-오스트리아 공화국"으로 성립하여 독일 합병을 요구했다. 그러나 1919년 생제르맹 조약으로 오스트리아의 요구는 거부되었다. 이후 오스트리아는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으로 개칭했다. 1938년 나치 독일은 강제로 오스트리아를 합병했다.

1945년 나치 독일 패배 후, 범독일주의 사상은 나치의 유산으로 간주되어 오스트리아인들은 독자적인 정체성을 발전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수십 년간의 의무 교육을 거쳐 현대에는 자신을 독일인이라고 생각하는 오스트리아인은 거의 없다.[47]

원래 오스트리아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토인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계승한 나라이며, 오스트리아는 "독일 제후들의 맹주" 자리에 있었다. 신성 로마 제국 붕괴 후, 오스트리아 제국이 성립했지만, 합스부르크 제국에는 11개 민족과 5천만 명의 국민이 거주하여 통합에 어려움이 있었다.

신성 로마 제국 멸망 후 독일 연방의 의장국은 오스트리아 제국이었다. 독일 연방 해체 후 프로이센 왕국 중심의 독일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분열되었지만, 오스트리아의 독일어 사용자들은 자신들을 "독일인"으로 인식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해체되고, 1918년 오스트리아 혁명으로 제1공화국이 성립했다. 오스트리아는 독일과의 통합을 원했지만, 생제르맹 조약으로 금지되었다.

1938년 나치 독일에 의한 독일-오스트리아 합병(안슐루스)이 이루어졌지만, 군사적 압력 하에 이루어졌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참화에 휘말렸다. 아돌프 히틀러는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독일 민족의 통합"을 주장했지만, 그의 뿌리는 보헤미아(체코)계였다.

나치 독일 통치 시대를 거쳐 오스트리아인들은 자신들이 독일인이 아니라 오스트리아인이라는 정체성을 갖게 되었고, 1955년 오스트리아 제2공화국이 성립했다. 그러나 지금도 우익 정당은 국호에 독일의 글자를 넣자고 주장한다.

최근(2021년 1월), 통합 EU 발족 후, 동유럽인이나 터키인에 대한 차별 의식을 배경으로 독일 민족주의 부흥이 현저하다. 오스트리아 지명에는 '도이체'(독일인의)라는 말이 붙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이민족과의 경계에 접해 온 역사를 반영한다.

종교적으로 오스트리아인들은 바이에른 주민과 마찬가지로 가톨릭이 주류이며, 복음주의 교회 신자가 적다.

2. 1. 초기 역사

할슈타트 문화와 라 테네 문화 개요:
*

  • 후기 라 테네 시대 주요 켈트족의 영토.]]

오늘날 오스트리아 지역은 로마 시대에 레티아, 노리쿰, 파노니아로 나뉘었다. 노리쿰은 켈트 왕국이었던 반면, ''파노니이''는 일리리아계였다. 레티아인들은 고대 알프스 지역 사람들로, 아마도 에트루리아인과 관련이 있었을 것이다. 민족 대이동 동안 이 지역들은 서쪽(보라르베르크의 알레만니, 티롤의 롬바르드족)에서는 바이에른인과 다른 게르만 집단들에 의해, 동쪽에서는 슬라브 집단들(카란타니아 공국), 훈족, 아바르족에 의해 정착되었다. 8세기에 레티아와 노리쿰의 옛 영토는 카롤링거 통치하에 들어가 슈바벤, 바이에른 공국과 카란타니아 공국으로 나뉘었다. 파노니아는 8세기 말까지 아바르 카간국의 일부였다. 9세기의 "동부 변경"(''Ostmark'')은 동프랑크 왕국과 아바르족, 마자르족을 구분하는 경계 지역이었다. 지역은 켈트 시대부터 (''빈도보나''로) 정착되어 있었지만, 도시로서의 중요성은 중세 후기에 오스트리아 변경의 주요 정착지로 부상하면서 생겨났다.

955년 레흐펠트 전투에서 마자르족이 패배한 후, 동부 변경 또는 오스트리아 변경은 신성 로마 제국의 동쪽 끝 부분이 되어 북쪽으로는 모라비아, 동쪽으로는 헝가리 왕국과 접했다. 그 결과, 오스트리아의 오스트리아-바이에른어를 사용하는 다수 인구의 국민적 성격은 근대 초기와 근대 역사를 통틀어 북쪽의 서슬라브족(체코인, 슬로바키아인), 남쪽의 남슬라브족(슬로베니아인, 카린티아 슬로베니아인, 부르겐란트 크로아티아인), 그리고 동쪽의 헝가리인과의 이웃 관계로 특징지어졌다고 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 변경 자체를 제외한 오스트리아의 여러 영토 (즉, 바이에른, 슈바벤, 카린티아의 일부)의 통일은 중세 후기와 말기에 봉건 정치의 점진적인 과정이었다. 처음에는 12세기부터 13세기까지 바벤베르크 가문의 지배하에 있는 오스트리아 대공국에서, 그리고 1278년 이후 14세기와 15세기 내내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하에 이루어졌다. 이 지역의 다양한 인구는 근세 초기 이전까지는 "오스트리아인"이라는 단일 이름으로 통합되지 않았다.

2. 2. 중세 및 근세 초기

합스부르크 가문은 중세 후기부터 오스트리아 영토를 통치해 왔으며, 1526년 헝가리보헤미아 왕관의 영토를 획득하면서 정치적 위신과 권력을 크게 증대시켰다. 헝가리 귀족들은 다민족 국가인 헝가리에서 마자르인의 문화적, 정치적 우위를 보헤미아보다 더 성공적으로 유지했다. 보헤미아는 독일 이웃 국가들에 삼면이 둘러싸여 있어 강력한 독일 식민지화 시대를 겪었고, 체코 사람들의 지배 계층이 독일화되기도 했다. 카린티아, 슈티리아, 티롤과 같은 지역의 공통된 독일 정체성과 통치 왕조는 이들 지역이 18세기 중반 비엔나에 설립된 중앙 정부를 더 쉽게 받아들이도록 만들었다.

이 시대에 "오스트리아인"이라는 용어는 민족적 조상에 관계없이 유럽에서 왕조가 불린 이름인 도무스 아우스트리아에(Domus Austriae), 즉 합스부르크 가문의 신하들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었다. 공식적으로 통일된 국가는 아니었지만, 합스부르크 가문이 통치하는 영토는 때때로 "오스트리아"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실제로 이들은 대부분 신성 로마 제국의 복잡한 국가 네트워크의 일부였던 다양한 준자치 국가들이었다.(신성 로마 제국의 제도 자체는 후기 대부분을 합스부르크가가 통제했다.) 그러나 18세기 후반,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와 그의 아들 요제프 2세의 통치하에 점점 더 중앙집권화된 국가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2. 3. 근대

중앙 유럽(1820년경): 프로이센 왕국(파란색), 오스트리아 제국(노란색), 기타 독립적인 독일 국가들(회색)을 보여주는 지도. 빨간 선은 독일 연방의 경계를 나타낸다.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모두 연방 밖의 영토를 통치했다.


1849년 독일 연방의 지도. 39개의 독립된 국가를 보여준다.


모든 독일인을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려는 생각은 독일 연방 내에서, 특히 두 강대국인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에서 독일 민족주의가 빠르게 성장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통일된 독일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하는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었다. 독일 문제는 오스트리아 제국과 그 지지자들이 주장한 "대독일 해결책"(''Großdeutsche Lösung'')처럼 모든 독일어 사용 인구를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거나, 프로이센 왕국과 그 지지자들이 선호한 "소독일 해결책"(''Kleindeutsche Lösung'')처럼 오스트리아를 제외하고 북부 독일 국가들만 통합하는 방식으로 해결될 수 있었다. 이러한 논쟁은 독일 이중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815년부터 독일 연방의 회원이었던 오스트리아는 1848년까지 총리인 메테르니히 공과 함께 독일 연방을 압도적으로 지배했다. 프랑스 혁명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집권 이후 중앙 유럽을 휩쓴 정치적 혼란과 전쟁의 결과로 독일 국민성에 대한 인식이 크게 증가했다. 나폴레옹 몰락 이후 평화 시대에는 반동적인 절대주의에 의해 독일 민족주의가 공공 정치 영역에서 크게 배제되었지만, 1848년 혁명으로 거의 100년 동안 중요한 정치적 문제로 자리매김했다.

정치적 논쟁은 이제 연방을 대체할 미래 독일 국가의 성격에 집중되었고, 그 논쟁의 일부는 오스트리아 영토가 독일 정체에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것이었다.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는 1860년 빈에 1809년 아스페른-에슬링 전투에서 나폴레옹을 물리친 찰스 대공의 기념비를 건설하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여기에는 "독일의 명예를 위해 끊임없이 싸운 자에게"라는 헌사가 새겨져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게르만 사명을 강조했다.

모든 민족 독일인을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려는 생각은 오스트리아 민족주의, 특히 주로 프로테스탄트 종교적 정체성을 가진 프로이센인들과 달리 주로 가톨릭 종교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오스트리아인을 정의한 기독교사회당 내에서의 부상으로 오스트리아에서 도전받기 시작했다.[16]

독일 연방에 대한 합스부르크의 영향력은 점점 더 강력해지는 프로이센 국가에 의해 경쟁되었다. 프로이센 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정치적 책략은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의 군사적 패배와 연방의 붕괴로 이어져 독일 정치적 사건에 대한 오스트리아의 미래 영향력을 효과적으로 종식시켰다.

에드워드 7세가 영국과의 협력을 위해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독일과의 동맹을 포기하라고 요청했을 때, 프란츠 요제프는 "나는 독일의 왕자입니다"라고 대답했다.[17][18]

프랑스-프로이센 전쟁과 1871년 프로이센이 주도하고 오스트리아 영토를 명확하게 제외한 독일 제국의 수립은 오스트리아가 독일에서 등을 돌리고 발칸 반도로 눈을 돌리게 했다. 범독일주의의 영향력은 합스부르크 영토에서 감소했지만, "오스트리아인"이라는 용어가 여전히 초국가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독일어를 사용하는 오스트리아인들은 자신을 독일인으로 여겼다. 비스마르크가 오스트리아를 독일에서 배제한 후 많은 오스트리아인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딜레마에 직면했고, 이는 사회민주당 지도자 오토 바우어가 "우리의 오스트리아적이고 독일적인 성격 사이의 갈등"이라고 말하게 했다. 국가 전체는 독특한 오스트리아 정체성을 만들어내려고 노력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독일계 오스트리아인과 제국의 다른 민족 집단 사이에 민족 갈등을 야기했다. 제국 내의 많은 범독일 운동은 민족 독일인 정체성을 강화하고 제국이 붕괴하여 오스트리아가 독일로 빠르게 병합될 수 있기를 원했다.[19] 비스마르크의 정책 때문에 오스트리아와 독일계 오스트리아인이 독일에서 제외되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많은 오스트리아 범독일주의자들은 그를 우상화했다.[20]

오스트리아의 고위 관료와 많은 오스트리아 군 장교들은 자신을 "흑황색"(합스부르크 색깔) 즉 왕조에 충성하는 사람으로 여겼지만, "독일 오스트리아"(Deutschösterreich)라는 용어는 언론에서 주민 중 민족 독일인이 다수인 모든 오스트리아 지역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다. 게오르크 리터 폰 셰너러와 그의 추종자들과 같은 오스트리아 범독일주의자들은 "다민족"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반대하고 독일 오스트리아가 독일 제국에 합류할 것을 주장했다. 많은 오스트리아인들이 같은 견해를 공유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합스부르크 군주제에 충성을 보였고 오스트리아가 독립국으로 남기를 바랐다. 셰너러와 그의 추종자들만큼 과격하지는 않았지만, 칼 루거와 같은 포퓰리스트들은 반유대주의와 범독일주의를 포퓰리즘의 한 형태로 사용하여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했다.

2. 4. 19세기 민족주의

프랑스 혁명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집권으로 중앙 유럽에서 정치적 혼란과 전쟁이 발생하면서, 독일 국민성에 대한 인식이 크게 증가했다.[16] 나폴레옹 몰락 이후 평화 시대에는 반동적인 절대주의로 인해 독일 민족주의가 공공 정치 영역에서 크게 배제되었지만, 1848년 혁명으로 거의 100년 동안 중요한 정치적 문제로 부상했다.[16]

모든 독일인을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려는 생각은 독일 연방 내에서, 특히 두 강대국인 오스트리아프로이센에서 독일 민족주의가 급성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통일된 독일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었다. 독일 문제오스트리아 제국과 그 지지자들이 주장한 "대독일 해결책"(''Großdeutsche Lösung'')처럼 모든 독일어 사용 인구를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는 방식으로 해결될 수 있었다. 반면, "소독일 해결책"(''Kleindeutsche Lösung'')은 오스트리아를 제외하고 북부 독일 국가들만 통합하는 것을 주장했는데, 이는 프로이센 왕국과 그 지지자들이 선호하는 방안이었다. 이러한 논쟁은 독일 이중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6]

훗날 치슬레이타니아(갈리시아와 달마티아 제외)로 불리게 된 지역은 1806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였기 때문에 1815년부터 독일 연방의 회원이었다. 1848년까지 오스트리아와 그 총리인 메테르니히 공은 독일 연방을 압도적으로 지배했다. 정치적 논쟁은 이제 연방을 대체할 미래 독일 국가의 성격에 집중되었고, 그 논쟁의 일부는 오스트리아 영토가 독일 정체성에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것이었다.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는 1860년 빈에 1809년 아스페른-에슬링 전투에서 나폴레옹을 물리친 찰스 대공의 기념비를 건설하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여기에는 "독일의 명예를 위해 끊임없이 싸운 자에게"라는 헌사가 새겨져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게르만 사명을 강조했다.[16]

모든 민족 독일인을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려는 생각은 오스트리아 민족주의, 특히 주로 개신교 종교적 정체성을 가진 프로이센인들과 달리 주로 가톨릭 종교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오스트리아인을 정의한 기독교사회당 내에서의 부상으로 오스트리아에서 도전받기 시작했다.[16]

남부 회원국에서 가장 강력했던 독일 연방에 대한 합스부르크의 영향력은 점점 더 강력해지는 프로이센 국가에 의해 경쟁되었다. 프로이센 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정치적 책략은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의 군사적 패배와 연방의 붕괴로 이어져 독일 정치적 사건에 대한 오스트리아의 미래 영향력을 효과적으로 종식시켰다.[16]

에드워드 7세가 영국과의 협력을 위해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독일과의 동맹을 포기하라고 요청했을 때, 프란츠 요제프는 "나는 독일의 왕자입니다"라고 대답했다.[17][18]

프랑스-프로이센 전쟁과 1871년 프로이센이 주도하고 오스트리아 영토를 명확하게 제외한 독일 제국의 수립은 오스트리아가 독일에서 등을 돌리고 발칸 반도로 눈을 돌리게 했다. 그리하여 범독일주의의 영향력은 합스부르크 영토에서 감소했지만, "오스트리아인"이라는 용어가 여전히 초국가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독일어를 사용하는 오스트리아인들은 자신을 독일인으로 여겼다(그리고 인구 조사에서 그렇게 계산되었다). 비스마르크가 오스트리아를 독일에서 배제한 후 많은 오스트리아인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딜레마에 직면했고, 이는 사회민주당 지도자 오토 바우어가 "우리의 오스트리아적이고 독일적인 성격 사이의 갈등"이라고 말하게 했다.[16] 국가는 독특한 오스트리아 정체성을 만들어내려고 노력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독일계 오스트리아인과 제국의 다른 민족 집단 사이에 민족 갈등을 야기했다. 제국 내의 많은 범독일 운동은 민족 독일인 정체성을 강화하고 제국이 붕괴하여 오스트리아가 독일로 빠르게 병합될 수 있기를 원했다.[19] 비스마르크의 정책 때문에 오스트리아와 독일계 오스트리아인이 독일에서 제외되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많은 오스트리아 범독일주의자들은 그를 우상화했다.[20]

오스트리아의 고위 관료와 많은 오스트리아 군 장교들은 자신을 "흑황색"(합스부르크 색깔) 즉 왕조에 충성하는 사람으로 여겼지만, "독일 오스트리아"(Deutschösterreich)라는 용어는 언론에서 주민 중 민족 독일인이 다수인 모든 오스트리아 지역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다. 게오르크 리터 폰 셰너러와 그의 추종자들과 같은 오스트리아 범독일주의자들은 "다민족"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반대하고 독일 오스트리아가 독일 제국에 합류할 것을 주장했다.[19] 많은 오스트리아인들이 같은 견해를 공유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합스부르크 군주제에 충성을 보였고 오스트리아가 독립국으로 남기를 바랐다.[19] 칼 루거와 같은 포퓰리스트들은 반유대주의와 범독일주의를 포퓰리즘의 한 형태로 사용하여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했다.[19]

2. 5.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해에 합스부르크 왕가의 권위는 제국 전역에서 무너졌다. 1918년 10월 16일, 카를 1세 황제는 오스트리아 여러 민족들에게 민족 평의회를 설립할 것을 요청했지만, 여러 민족들은 황제의 의지를 무시하고 완전한 독립을 목표로 했다.

1918년 10월 21일, 독일계 의원들은 독일 오스트리아 임시 국민의회를 설립했고, 10월 30일에는 첫 번째 독일 오스트리아 정부를 수립했다. 초기에는 "독일 오스트리아"라는 이름을 채택했는데, 이는 공화국이 옛 오스트리아의 독일 지역이었고 새로운 독일 공화국과의 통합에 대한 대중의 열망을 보여주었다. 1918년 11월 12일, 임시 국민의회는 공화국과 독일과의 통일을 압도적인 다수결로 결정했다.

체코슬로바키아와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니아 왕국의 건국, 헝가리와의 해체, 그리고 승전국 연합군이 부과한 전후 조약은 새로 설립된 오스트리아 공화국이 오늘날의 국경을 갖게 했다. 1919년 9월 생제르맹 조약에서 독일과의 통합은 금지되었고, "오스트리아 공화국"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많은 독일 오스트리아 공동체들이 다른 새로운 국가들에 흩어져 남게 되었다.

제1공화국 시대에 어느 정도 오스트리아 정체성이 등장했지만, 오스트리아는 여전히 대부분 "독일 민족"의 일부로 간주되었다. 1934년부터 1938년까지 오스트로파시즘으로 알려진 반나치/반사회주의 성직자 권위주의 국가 이데올로기가 오스트리아 애국심을 고무시켰다. 엥겔베르트 돌푸스/쿠르트 폰 슈슈니크 정부는 오스트리아가 "독일 국가"임을 받아들이고 오스트리아인들이 "더 나은 독일인"이라고 믿었지만, 오스트리아를 나치 독일과 합병하는 것에 강력히 반대했다.[21]

안슐루스 당시 비엔나에서 나치를 환영하는 오스트리아인들


1938년 3월, 오스트리아는 독일에 합병((''안슐루스''))되어 ''동부 마르크''가 되었다. 1942년에는 "알펜-운트-도나우-라이히스가우에"("알프스와 다뉴브 가우")로 이름이 바뀌면서 특별한 오스트리아 과거와의 모든 연관성이 없어졌다. 아돌프 히틀러,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아르투르 자이스-인크바르트를 포함한 일부 나치는 오스트리아 출신이었고,[22] 나치 절멸 수용소 직원의 40%도 오스트리아 출신이었다.[23]

전쟁 중에 오스트리아인들의 독일에 대한 열정은 히틀러의 일련의 승리가 끝나면서 사라졌다. 1945년부터 오스트리아의 당수 겸 부총리, 그리고 1957년부터 오스트리아 연방 대통령을 지낸 사회민주당의 아돌프 셰어프는 "오스트리아인들의 독일 사랑은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연합군은 오스트리아를 전쟁 당사국으로 간주하고 점령했지만, 1945년 4월 27일 오스트리아 정치인들이 서명한 독립 선언을 받아들였고, 그해 가을 첫 번째 총선을 가능하게 했다. 1945년 말까지 오스트리아는 다시 민주적인 의회와 정부를 갖게 되었다.

나치 통치에 대한 오스트리아 저항 운동은 1938년 안슐루스와 함께 시작되었다. 역사가들은 오스트리아에서 70만 명의 NSDAP 당원에 맞서 약 10만 명의 저항 운동 당원이 있었을 것으로 추산한다.[24] 오스트리아 저항 운동의 표식은 O5였는데, 여기서 5는 E를 나타내고 OE는 Ö를 OE로 표기한 오스트리아(Österreich)의 약자이다.

2. 6. 오스트리아 제2공화국 (1955년 ~ 현재)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오스트리아는 독립했지만, 연합국은 1955년 오스트리아 국가 조약을 체결하여 점령을 끝내고 오스트리아의 주권을 회복할 때까지 오스트리아를 점령했다.

1945년 직후 대다수의 오스트리아인들은 여전히 자신을 독일인으로 여겼으며, 더 폭넓은 오스트리아 국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는 시간이 걸렸다. 1956년 조사에서는 오스트리아인의 46%가, 1964년 조사에서는 15%만이 자신을 독일인으로 여겼다.[47]

오스트리아 정치 엘리트는 강제 수용소와 감옥에서의 경험을 언급하며, 이는 상실된 오스트리아 국가의 독립에 대한 열망을 불러일으켰다. 오스트리아인들은 독일 이웃과 명확하게 구분되는 자아상을 발전시켰다. 그것은 과거의 문화적 업적, 모스크바 선언, 지정학적 중립성, 언어적 차이, 합스부르크 유산, 그리고 19세기 후반 두 제국의 분리에 기반을 두었다. 독일 제국소독일 해결책(Kleindeutsche Lösung)에 따라 오스트리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없이 형성되었다. 오스트리아가 나치 독일의 '''피해자'''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 대량 학살 및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되는 것은 오스트리아인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했지만, 일부 역사가들은 이것을 "거짓말"이라고 부르며 이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47]

1987년에는 오스트리아인의 6%만이 자신을 "독일인"으로 확인했다.[26] 오늘날 90% 이상의 오스트리아인들은 자신을 독립적인 국가로 여긴다.[27][28] 독립적인 오스트리아 국가의 존재 논리는 더 이상 전간기에 있었던 것처럼 의문시되지 않는다.

오스트리아의 다문화 역사와 지리적 위치는 슬로베니아, 체코 공화국, 헝가리, 슬로바키아, 루마니아폴란드에서 소련 붕괴 이후 이민을 초래했다. 인접한 독일과 마찬가지로 터키와 유고슬라비아 국가들(예: 크로아티아세르비아)에서도 대규모 이민이 있었다.

나치 독일 통치 시대를 거쳐 오스트리아인들은 자신들이 독일인이 아니라 오스트리아인이라는 정체성을 처음으로 갖게 되었고, 1955년에 카를 레너 총리가 이끄는 오스트리아 제2공화국이 성립한다. 그러나 지금도 우익 정당은 국호에 독일의 글자를 넣자고 주장하고, 또 종종 위의 두 가지 의미에서 독일인이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특히 최근(2021년 1월), 통합 EU의 발족 후, 동유럽인이나 터키인에 대한 차별 의식을 배경으로 독일 민족주의의 부흥이 현저하다.

3. 정체성

오스트리아인의 정체성은 역사적으로 독일 민족과의 강한 연관성 속에서 변화해왔다. 원래 오스트리아인과 독일인은 게르만족의 후계 민족으로서 독일 민족 정체성을 공유했으며, 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다. 독일 민족주의가 등장하면서 대독일주의자들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통합을 주장해왔다.

"오스트라이히"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하는 문서; 해당 단어는 빨간 원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오스트리아"를 뜻하는 영어 단어 ''Austrian''은 독일어 명칭인 ''Österreich''(외스터라이히)의 라틴어 표기에서 유래했다. 이 단어는 996년에 처음 등장하는 ''Ostarrîchi''(오스타리히)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동쪽 국경 지대"를 의미하는 라틴어 ''Marcha Orientalis''(마르카 오리엔탈리스)의 번역어일 가능성이 높다. 12세기 동안 바벤베르크 가문 치하의 ''Marcha Orientalis''(마르카 오리엔탈리스)는 바이에른으로부터 독립했다.

형용사 ''Austrian''(오스트리아의)은 17세기 초 영어에 등장했는데, 처음에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스트리아 계열 구성원을 의미했지만, 18세기부터는 "오스트리아 출신 또는 거주자"를 의미하기도 했다.[14]

'''오스트리아인'''은 Österreicherde(남성) 또는 Österreicherinde(여성)으로 구분된다. 오스트리아인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오스트리아 국적을 가진 모든 사람

# 오스트리아의 전통 문화와 풍습을 계승하는 민족. 특히 오스트리아 독일어, 바이에른-오스트리아어, 알레만어군의 일부 등을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치가 집권했던 독일에 대한 반감이 커지면서, 오스트리아인이라는 독자적인 정체성이 강화되었다.

3. 1. 독일인과의 관계

협의의 독일인과 오스트리아인은 게르만족의 후계 민족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독일 민족으로서의 민족 정체성도 상당히 강하게 공유한다. 본래 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고 독일 민족주의가 등장한 이래로 대독일주의자들이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통합을 꾸준히 주장해 왔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리아인들이 나치가 집권했던 독일에 대해 반감을 가지게 되며 오스트리아인이라는 독자적 정체성이 더욱 강화되었다.[47]

모든 독일인을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려는 사상은 독일 연방 내에서, 특히 두 강대국인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에서 독일 민족주의의 급속한 성장으로 이어졌다. 통일된 독일을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었다. 독일 문제는 오스트리아 제국과 그 지지자들이 주장한 "대독일 해결책"(''Großdeutsche Lösung'')처럼 모든 독일어 사용 인구를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는 방식으로 해결될 수 있었다. 반면, "소독일 해결책"(''Kleindeutsche Lösung'')은 오스트리아를 제외하고 북부 독일 국가들만 통합하는 것을 주장했는데, 이는 프로이센 왕국과 그 지지자들이 선호하는 방안이었다. 이러한 논쟁은 독일 이중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후에 치슬레이타니아(갈리시아와 달마티아 제외)로 불리게 된 지역은 1806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였기 때문에 1815년부터 독일 연방의 회원이었다. 1848년까지 오스트리아와 그 총리인 메테르니히 공은 독일 연방을 압도적으로 지배했다. 프랑스 혁명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집권 이후 중앙 유럽을 휩쓴 정치적 혼란과 전쟁의 결과로 독일 국민성에 대한 인식이 크게 증가했다. 나폴레옹의 몰락 이후 평화 시대에는 반동적인 절대주의에 의해 독일 민족주의가 공공 정치 영역에서 크게 배제되었지만, 1848년 혁명은 거의 100년 동안 중요한 정치적 문제로 자리매김했다.

정치적 논쟁은 이제 연방을 대체할 미래 독일 국가의 성격에 집중되었고, 그 논쟁의 일부는 오스트리아 영토가 독일 정체에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것이었다.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는 1860년 빈에 1809년 아스페른-에슬링 전투에서 나폴레옹을 물리친 찰스 대공의 기념비를 건설하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여기에는 "독일의 명예를 위해 끊임없이 싸운 자에게"라는 헌사가 새겨져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게르만 사명을 강조했다.

모든 민족 독일인을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려는 사상은 오스트리아 민족주의, 특히 주로 프로테스탄트 종교적 정체성을 가진 프로이센인들과 달리 주로 가톨릭 종교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오스트리아인을 정의한 기독교사회당 내에서의 부상으로 오스트리아에서 도전받기 시작했다.[16]

남부 회원국에서 가장 강력했던 독일 연방에 대한 합스부르크의 영향력은 점점 더 강력해지는 프로이센 국가에 의해 경쟁되었다. 프로이센 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정치적 책략은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의 군사적 패배와 연방의 붕괴로 이어져 독일 정치적 사건에 대한 오스트리아의 미래 영향력을 효과적으로 종식시켰다.

에드워드 7세가 영국과의 협력을 위해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독일과의 동맹을 포기하라고 요청했을 때, 프란츠 요제프는 "나는 독일의 왕자입니다"라고 대답했다.[17][18]

프랑스-프로이센 전쟁과 1871년 프로이센이 주도하고 오스트리아 영토를 명확하게 제외한 독일 제국의 수립은 오스트리아가 독일에서 등을 돌리고 발칸 반도로 눈을 돌리게 했다. 그리하여 범독일주의의 영향력은 합스부르크 영토에서 감소했지만, "오스트리아인"이라는 용어가 여전히 초국가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독일어를 사용하는 오스트리아인들은 자신을 독일인으로 여겼다(그리고 인구 조사에서 그렇게 계산되었다). 비스마르크가 오스트리아를 독일에서 배제한 후 많은 오스트리아인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딜레마에 직면했고, 이는 사회민주당 지도자 오토 바우어가 "우리의 오스트리아적이고 독일적인 성격 사이의 갈등"이라고 말하게 했다. 국가는 독특한 오스트리아 정체성을 만들어내려고 노력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독일계 오스트리아인과 제국의 다른 민족 집단 사이에 민족 갈등을 야기했다. 제국 내의 많은 범독일 운동은 민족 독일인 정체성을 강화하고 제국이 붕괴하여 오스트리아가 독일로 빠르게 병합될 수 있기를 원했다.[19] 비스마르크의 정책 때문에 오스트리아와 독일계 오스트리아인이 독일에서 제외되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많은 오스트리아 범독일주의자들은 그를 우상화했다.[20]

오스트리아의 고위 관료와 많은 오스트리아 군 장교들은 자신을 "흑황색"(합스부르크 색깔) 즉 왕조에 충성하는 사람으로 여겼지만, "독일 오스트리아"(Deutschösterreich)라는 용어는 언론에서 주민 중 민족 독일인이 다수인 모든 오스트리아 지역을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다. 게오르크 리터 폰 셰너러와 그의 추종자들과 같은 오스트리아 범독일주의자들은 "다민족"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반대하고 독일 오스트리아가 독일 제국에 합류할 것을 주장했다. 많은 오스트리아인들이 같은 견해를 공유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합스부르크 군주제에 충성을 보였고 오스트리아가 독립국으로 남기를 바랐다. 셰너러와 그의 추종자들만큼 과격하지는 않았지만, 칼 루거와 같은 포퓰리스트들은 반유대주의와 범독일주의를 포퓰리즘의 한 형태로 사용하여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했다.

역사 속의 오스트리아인들은 오랫동안 독일인과 같은 민족으로 여겨졌다.[45][46] 하지만 오스트리아의 영토는 예로부터 독일 지역뿐만 아니라 체코헝가리 등 슬라브 민족의 영역도 포함하고 있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에서 가장 강력한 제후국이었다.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오스트리아인들은 여러 차례 정체성 변화를 겪었다. 1866년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이후, 프로이센 왕국은 오스트리아를 "독일 국가의 정의"에서 제외했다. 또한 1867년, 오스트리아는 스스로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변모시키며, 독일 민족을 중심으로 하는 단일 민족 국가의 이념을 포기하고, 국민은 민족에 관계없이 평등하게 살 수 있는 다민족 국가로 전환했다. 그리고 1871년, 독일 지역이 "독일 제국"으로 통일됨에 따라, 오스트리아인이 독일인이 아님이 국제 사회에 의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47]

1918년제1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고, 지배하에 있던 각 민족이 국가로 독립하면서, 제국 내의 독일어를 사용하는 지역은 "독일-오스트리아 공화국"으로 성립하여 독일 합병을 국제 사회에 요구했다. 그러나 1년 후인 1919년, 연합국은 독일의 과도한 강대화를 막기 위해 『생제르맹 조약』을 체결하고 오스트리아의 요구를 거부했다. 그 후, 오스트리아인들은 "독일-오스트리아"라는 국명을 포기하고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으로 개칭했다. 1938년, 나치 독일은 "오스트리아인도 독일인이다"라는 이념 아래 국제 조약을 무시하고 강제로 합병했다.

7년 후인 1945년, 나치 독일의 패배로 전쟁이 끝나고, 모든 범독일주의적인 사상은 나치의 유산으로 간주되면서, 오스트리아인들은 다시 한번 독자적인 정체성을 발전시켜야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수십 년간의 의무 교육을 거쳐 현대에 이르러서는 자신을 독일인이라고 생각하는 오스트리아인은 거의 없다.[47]

4. 문화

오스트리아는 을 중심으로 음악, 문학, 요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부한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후원에 힘입어 18세기와 19세기에 걸쳐 유럽 고전 음악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프란츠 슈베르트, 요한 슈트라우스 2세와 같은 유명한 작곡가들이 빈에서 활동했다. 바로크 시대에는 슬라브와 헝가리 민속 음악이 오스트리아 음악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오스트리아는 예술뿐만 아니라 문학 분야에서도 뛰어난 인물들을 배출했다. 소설가 아르투어 슈니츨러, 슈테판 츠바이크, 토마스 베른하르트, 로베르트 무질, 시인 게오르크 트락, 프란츠 베르펠, 프란츠 그릴파르처, 라이너 마리아 릴케, 아달베르트 슈티프터 등이 대표적이다. 현대에는 엘프리데 옐리네크와 페터 한다이크가 저명한 극작가이자 소설가로 활동하고 있다. 철학 분야에서는 어른스트 마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칼 포퍼빈 학파 구성원들이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오스트리아 요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요리에서 유래했으며, 독일, 헝가리, 체코, 유대인, 이탈리아, 폴란드 등 주변 국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굴라쉬는 이러한 영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오스트리아는 특히 페이스트리와 과자로 유명하다.

4. 1. 음악

은 오스트리아의 수도로 오랫동안 음악 혁신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18세기와 19세기의 작곡가들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후원에 이끌려 빈으로 모여들었고, 빈을 유럽 고전 음악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프란츠 슈베르트, 요한 슈트라우스 2세 등이 이 도시와 관련이 있다. 바로크 시대에는 슬라브과 헝가리 민속 형태가 오스트리아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

4. 2. 문학

예술가의 나라로서의 지위를 보완하듯, 오스트리아는 항상 위대한 시인, 작가, 소설가들의 나라였다. 이곳은 소설가 아르투어 슈니츨러, 슈테판 츠바이크, 토마스 베른하르트, 로베르트 무질과 시인 게오르크 트락, 프란츠 베르펠, 프란츠 그릴파르처, 라이너 마리아 릴케, 아달베르트 슈티프터의 고향이었다. 저명한 현대 오스트리아 극작가이자 소설가로는 엘프리데 옐리네크와 페터 한다이크가 있다. 철학자 작가로는 어른스트 마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칼 포퍼빈 학파의 구성원들이 있다.

4. 3. 요리

오스트리아 요리는 비엔나 요리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요리에서 유래하였다. 지역 전통 외에도, 독일, 헝가리, 체코, 유대인, 이탈리아, 폴란드 요리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요리와 조리법이 자주 차용되었다. 굴라쉬가 그 한 예이다. 오스트리아 요리는 전 세계적으로 주로 페이스트리와 과자로 알려져 있다.

5. 언어

오스트리아인들은 역사적으로 독일어를 사용해 왔다. 오스트리아 연방 차원의 유일한 공용어는 독일어이며, 영어와 같이 다중 중심어로 간주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표준어는 오스트리아 독일어라고 한다. 오스트리아 독일어는 오스트리아 교육, 예술 및 문화 연방부의 권한 하에 출판된 오스트리아 사전(Österreichisches Wörterbuchde)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모든 웹사이트, 공식 발표 및 대부분의 미디어는 오스트리아 독일어로 제공된다. 모국어 측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오스트리아 독일어가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오스트로-바이에른어 및 알레만어(포어아르베르크와 티롤 아우서페른 지역) 계열의 지역 방언이 사용된다. 오스트로-바이에른어 방언은 중앙 오스트로-바이에른어 또는 남부 오스트로-바이에른어 하위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후자는 티롤, 카린티아 및 슈타이어마르크의 언어를 포함하고, 전자는 , 부르겐란트, 오스트리아 상부, 오스트리아 하부의 방언을 포함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오스트리아인들은 현대 학교에서 가르치기 때문에 모국어 방언 외에도 오스트리아 표준 독일어를 구사할 수 있다.

소수 언어슬로베니아어, 크로아티아어, 헝가리어는 오스트리아의 일부 주에서 사용되고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6. 종교

오스트리아인 대다수는 전통적으로 가톨릭 신자이다. 오스트리아의 가톨릭은 문화와 정치 양쪽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빈 고전파 전통의 성스러운 음악에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c단조 대미사, 요제프 하이든의 미사곡(1750-1802),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C장조 미사(1807), 안톤 브루크너테 데움(1903)과 같은 작품들이 포함된다.

1980년대 이후로 세속주의가 증가하고 있다. 2009년 오스트리아 인구의 약 66%가 로마 가톨릭교를 신봉한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1991년 78%, 1961년 89%에 비해 감소한 수치이다. 전통적인 루터교 신자는 소수로, 2009년 인구의 4%(1961년 6%에서 감소)를 차지했다. 2005년 기준으로 약 17%는 무종교이다.

오스트리아의 이슬람은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급속도로 성장하여, 1971년 0.8%에서 2010년 약 6%로 증가하여 오스트리아의 전통적인 루터교 공동체의 규모를 넘어섰다.[35] 이러한 급속한 성장은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터키유고슬라비아에서의 상당한 오스트리아 이민 때문이었다.

그러나 종교적으로 오스트리아인들은 독일 바이에른 주의 주민과 마찬가지로 가톨릭이 주류이며, 독일 국내의 다른 지역에서 신자가 많은 복음주의 교회 신자가 적다.

7. 주요 거주 국가

} ||

|-

| -- 미국 || ||

|-

| -- 아르헨티나 || ||

|-

| -- 이탈리아 || || 인구의 거의 대부분이 남부 티롤 지방에 밀집되어 있다.

|-

| -- 독일 || || 인구의 거의 대부분이 바이에른 자유주에 밀집되어 있다.

|-

| -- 스위스 || ||

|-

| -- 영국 || ||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0,204명 ||

|-

| -- 오스트레일리아 || ||

|-

| -- 체코 || 9,300명 ||

|-

| -- 스웨덴 || 6,300명 ||

|-

| -- 슬로바키아 || 5,400명 || 인구의 거의 대부분이 브라티슬라바에 밀집되어 있다.

|-

| -- 브라질 || 4,000명 ||

|-

| -- 헝가리 || 3,000명 || 인구의 거의 대부분이 쇼프론에 밀집되어 있다.

|-

| -- 그리스 || 1,800명 ||

|-

| -- 뉴질랜드 || 1,300명 ||

|-

| -- 슬로베니아 || 181명 ||

|}

8.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Bevölkerung 2018 nach detaillierter Staatsangehörigkeit, Geschlecht und Bundesland http://statistik.at/[...] 2021-06-14
[2] 웹사이트 Results https://archive.toda[...] 2020-02-12
[3] 웹사이트 Zensusdatenbank - Ergebnisse des Zensus 2011 https://ergebnisse.z[...]
[4] 웹사이트 Statistics Canada 2011 National Household Survey http://www12.statcan[...]
[5] 웹사이트 Austrians abroad https://www.statisti[...]
[6] 간행물 Monash University ARROW Repository | People and Place https://web.archive.[...] 2005-04-15
[7] 웹사이트 Relations bilatérales entre l'Autriche et la France https://www.diplomat[...] 2023-08-06
[8] 기타
[9] 웹사이트 Kirchenaustritte gingen 2012 um elf Prozent zurück http://derstandard.a[...] 2013-01-08
[10] 간행물 Staat und Religion http://www.wienerzei[...] Wiener Zeitung 2016-01
[11] 서적 Austria in World War II: An Anglo-American Dilemma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1990-07-01
[12] 서적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3] 뉴스 Österreicher fühlen sich heute als Nation http://derstandard.a[...] 2008-03-12
[14] 사전 OED s.g. "Austrian, adj. and n."
[15] 서적 Germany and Austria 1814-2000
[16] 서적 Austria: From Habsburg Empire to a Small Nation in Europe Ashgate
[17] 서적 Österreich, der "zweite deutsche Staat"?: der nationale Gedanke in der Ersten Republik Stocker
[18] 서적 For God and Kaiser: The Imperial Austrian Army, 1619-1918
[19] 웹사이트 Das politische System in Österreich (The Political System in Austria) http://www.politisch[...] Austrian Federal Press Service 2000
[20] 서적 The Germans and the East Purdue University Press 2008
[21] 서적 Constructing and Deconstructing National Identity: Dramatic Discourse in Tom Murphy's The Patriot Game and Felix Mitterer's In Der Löwengrube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08-01-01
[22] 서적 German-speaking exiles in Great Britain https://books.google[...] Rodopi
[23] 서적 The politics of the Nazi past in Germany and Austr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Dokumentationsarchiev des österreichischen Widerstands http://www.doew.at/t[...]
[25] 서적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Die Entwicklung des Österreichbewußtseins http://iiss210.joann[...]
[27] 웹사이트 Österreicher fühlen sich heute als Nation - 1938 - derStandard.at › Wissenschaft http://derstandard.a[...]
[28] 간행물 Austria.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004. http://www.photoglob[...] 2006-10-01
[29] 서적 Encyclopedia of European Peoples Infobase Publishing
[30] 서적 Who Were the Celts? Barnes & Noble Publishing
[31] 뉴스 Turkey's ambassador to Austria prompts immigration spat https://www.bbc.co.u[...] 2010-11-10
[32] 서적 Migration and Citizenship: Legal Status, Right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msterdam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statistik.at http://www.statistik[...]
[34] 뉴스 Foreign Nationals living in Austria https://de.statista.[...] 2018
[35] 블로그 Austria-Muslims to overtake Protestants http://islamineurope[...]
[36]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 Austria - People: Ethnic Groups https://www.cia.gov/[...]
[37] 웹사이트 Us Census 2000: Ancestry http://www.census.go[...]
[38] 웹사이트 Statistics Canada 2001: Ethnic Origins http://www12.statcan[...]
[39] 기타
[40] 기타
[41] 웹사이트 http://www.provincia[...]
[42]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State Austria http://www.state.gov[...]
[43] 웹사이트 http://www.da-vienna[...]
[44] 뉴스 The sound of success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07-11-22
[45] 서적 Austria in World War II: An Anglo-American Dilemma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1990-07-01
[46] 서적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9
[47] 뉴스 Österreicher fühlen sich heute als Nation http://derstandard.a[...] 2008-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국가인구비고
-- 오스트리아{{cvt|8|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