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키디데스의 함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키디데스의 함정은 고대 아테네의 역사가 투키디데스가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설명하며 제시한 개념으로, 신흥 강대국의 부상과 기존 강대국의 위협 인식이 충돌하여 전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2012년 미국 정치학자 그래엄 T. 앨리슨이 이 용어를 현대 국제 정치에 적용하여, 신흥 강대국인 중국과 기존 강대국인 미국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했다. 앨리슨은 과거 16가지 사례 연구를 통해 12번의 전쟁 발발을 확인했으나,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하며, 미중 관계 외에도 한반도 안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쟁 - 시가전
    시가전은 도시나 마을과 같은 시가지에서 벌어지는 전투로, 복잡한 지형과 민간인 때문에 개활지 전투와 다른 전술 및 전략이 필요하며, 방어에 유리하고 공격 측 화력 사용이 제한되는 특징을 가진다.
  • 전쟁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투키디데스의 함정
개요
이름투키디데스 함정
로마자 표기Tukidideseu Hamjeong
주요 내용신흥 강대국이 기존 강대국을 위협할 때 발생하는 전쟁의 불가피성
유래고대 그리스 역사가 투키디데스펠로폰네소스 전쟁사
개념 창시자그레이엄 앨리슨
역사적 사례
사례펠로폰네소스 전쟁 (아테네스파르타)
제1차 세계 대전 (영국과 독일 제국)
현대적 적용
주요 논쟁미국중국 간의 관계
함정 회피 가능성외교적 노력, 상호 이해 증진, 협력적 관계 구축
비판적 시각
한계점역사적 단순화, 결정론적 시각, 복잡한 국제 관계 간과
대안적 해석지정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국내 정치 요인 등 다양한 변수 고려 필요

2. 기원 및 정의

이 개념은 고대 아테네의 역사가이자 군인이었던 투키디데스가 기원한 것으로, 그는 기원전 431년 아테네스파르타 간에 발발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스파르타가 아테네의 성장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불가피했다고 주장했다.[8][9] 투키디데스가 저술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서 "아테네의 부상과 이것이 스파르타에 심어준 두려움이 전쟁을 불가피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한 구절을 바탕으로 한다.[10][11]

이 용어는 2012년 미국 정치학자 그래엄 T. 앨리슨(Graham T. Allison)이 ''파이낸셜 타임스''에 기고한 기사에서 처음 사용했다.[1] 앨리슨은 2017년 저서 ''파멸로 가는 길''(Destined for War)에서 이 용어를 대폭 확장하여 "중국과 미국은 현재 전쟁의 충돌 코스에 있다"고 주장했다.[12][1] 앨리슨은 ''파멸로 가는 길''에서 "지배 강대국"과 "떠오르는 강대국" 간의 전쟁이 불가피하지 않다고 주장하지만, 투키디데스의 함정의 경우 전쟁을 피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으며 광범위하고 집중적인 외교적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12]

그레이엄 앨리슨(Graham Allison)에 따르면 투키디데스의 함정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투키디데스의 함정은 신흥 강대국이 지배 강대국을 대체하려 할 때 발생하는 자연스럽고 불가피한 혼란을 의미한다... [그리고] 신흥 강대국이 지배 강대국을 대체하려 할 때, 그로 인한 구조적 스트레스는 폭력적인 충돌을 예외가 아닌 규칙으로 만든다.

앨리슨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하버드 대학교 벨퍼 과학 국제 문제 연구소(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에서 사례 연구를 진행했으며, 지배 강대국에 도전하는 신흥 강대국의 16가지 역사적 사례 중 12건이 전쟁으로 끝났음을 발견했다.[8][14]

투키디데스 함정 사례 파일[15]
사례 번호기간지배 강대국신흥 강대국결과
115세기 후반포르투갈스페인전쟁 없음
216세기 전반프랑스합스부르크전쟁
316세기와 17세기합스부르크오스만 제국
417세기 전반스웨덴
517세기 중후반네덜란드 공화국영국
617세기 후반~18세기 중반프랑스영국
718세기 후반~19세기 초영국프랑스
819세기 중반프랑스 및 영국러시아
9프랑스독일
1019세기 후반~20세기 초중국 및 러시아일본
1120세기 초영국미국전쟁 없음
12영국(프랑스, 러시아 지원)독일전쟁
1320세기 중반소련, 프랑스 및 영국
14미국일본
151940년대~1980년대소련전쟁 없음
161990년대~현재영국 및 프랑스독일



고대 그리스 당시 해상 무역을 장악한 경제 대국으로 아테네가 부상하고, 육상에서의 군사적 패권을 사실상 장악한 스파르타와의 사이에 대립이 생겨, 오랜 기간에 걸친 전쟁(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발발했다. 이것이 확대되어, 급속도로 부상하는 대국이 기존의 지배적인 대국과 경쟁 관계가 될 때, 각자의 입장을 둘러싸고 마찰이 일어나, 서로 원치 않는 직접적인 항쟁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표현하는 말이다.[37]

3. 앨리슨의 연구와 사례

그레이엄 앨리슨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하버드 대학교 벨퍼 과학 국제 문제 연구소에서 사례 연구를 진행했다.[8][14] 그 결과, 지배 강대국에 도전하는 신흥 강대국의 16가지 역사적 사례 중 12건이 전쟁으로 끝났음을 발견했다.[15]

투키디데스 함정 사례[15]
사례 번호기간지배 강대국신흥 강대국결과
115세기 후반포르투갈스페인전쟁 없음
216세기 전반프랑스합스부르크전쟁
316세기와 17세기합스부르크오스만 제국
417세기 전반스웨덴
517세기 중후반네덜란드 공화국영국
617세기 후반~18세기 중반프랑스영국
718세기 후반~19세기 초영국프랑스
819세기 중반프랑스영국러시아
919세기 중반프랑스독일
1019세기 후반~20세기 초중국러시아일본
1120세기 초영국미국전쟁 없음
1220세기 초영국(프랑스, 러시아 지원)독일전쟁
1320세기 중반소련, 프랑스영국
1420세기 중반미국일본
151940년대~1980년대소련전쟁 없음
161990년대~현재영국프랑스독일



앨리슨과 그의 저서 『Destined For War』(번역서: 『미중 전쟁 전야: 신구 강대국을 충돌시키는 역사의 법칙과 회피 시나리오』)[40]에 따르면, 지난 500년간의 패권 경쟁 16건 중 12건은 전쟁으로 발전했지만, 20세기 초 영국미국의 관계, 냉전 등 4건은 신구 강대국의 양보로 전쟁을 회피했다.[41][42]

4. 미중 관계와 투키디데스의 함정

그래엄 T. 앨리슨


'''투키디데스의 함정'''은 주로 미국중화인민공화국 간의 잠재적인 군사적 충돌 가능성과 관련하여 사용된다.[1]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 용어를 언급하며 "우리 모두는 투키디데스의 함정을 피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경고했다.[20]

미중 무역 전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대미 수출의 거의 절반에 관세를 부과하면서 시작되었고, 이로 인해 2018년 미중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투키디데스의 함정이라는 용어가 더욱 영향력을 얻었다.[1][21]

서방 학자들은 미중 양국이 투키디데스의 함정에 빠질 가능성을 높이는 몇 가지 긴급한 문제에 대해 의견 차이를 보인다고 언급했다. 주요 갈등 요인은 다음과 같다.[13][19][21][22]

일부에서는 시진핑의 권력 강화, 가치관의 화해할 수 없는 차이에 대한 믿음, 무역 적자를 두 국가가 투키디데스의 함정에 빠질 수 있다는 추가적인 증거로 지적하기도 한다.[21][23]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미·중 관계에 투키디데스 함정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중국의 경제적 취약성, 고령화, 중국인들의 국외 이주, 국내 생태 문제, 미국에 비해 열세인 군사력, 약한 동맹 시스템, 혁신을 제한하는 검열 체제 등을 지적하며 중국이 아직 그러한 갈등을 겪기에는 너무나 약하다고 주장한다.[25][26]

4. 1. 대한민국에 대한 함의

미국중국의 갈등은 한반도 안보와 직결되는 문제이다. 북한 핵 문제, 주한미군 주둔, 한미동맹 등 주요 안보 현안은 미중 관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미중 갈등이 심화되면 한국의 외교적 입지가 좁아질 수 있으며,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 어려워져 한국의 전략적 자율성이 제약될 수 있다. 그레이엄 앨리슨은 미중 간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높으며, 그 시발점이 한반도나 대만 등 제3지역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한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5. 비판과 반론

일부 학자들은 미중 관계에 투키디데스의 함정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로렌스 프리드먼은 중국의 주요 관심사가 지역적 지위에 있으며, 경제적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인내심을 가져야 할 이유가 있다고 주장했다.[24] 베이징 대학 해양연구소 교수 후보는 현재 미국과 중국 간의 세력 균형이 투키디데스 가설을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9]

아서 왈드론과 이안 부루마 등은 중국의 경제적 취약성, 고령화, 중국인들의 국외 이주, 국내 생태 문제, 군사력 열세, 약한 동맹 시스템, 검열 체제 등을 지적하며 중국이 아직 미국과 충돌할 만큼 강력하지 않다고 주장했다.[25][26] 할 브랜즈와 마이클 베클리는 투키디데스의 함정이 중국의 현재 위치를 잘못 진단한다며, 미국이 아닌 중국이 정체에 직면해 있다고 주장했다.[18] 조셉 나이는 중국의 부상보다는 국내 문제로 인한 약화, 즉 "킨들버거 함정"이 더 큰 위협이라고 주장했다.[22][31]

일부는 투키디데스의 함정을 현대에 적용할 수 없는 고풍스러운 역사 조각으로 폄하했다. 포린 폴리시의 제임스 팔머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현대 지정학에 대한 신뢰할 수 없는 지침이며, 훨씬 더 관련성이 있을 수 있는 광대한 세계 역사를 간과한다고 비판했다.[27] 로렌스 프리드먼은 앨리슨의 사례 연구가 오늘날과 다른 방식으로 전쟁과 권력의 문제를 보았던 시대에서 비롯되어 우리에게 가치 있는 정보를 거의 제공하지 못하며, 투키디데스 함정은 도움이 되지 않는 구조라고 결론지었다.[24]

리다오쿠이는 투키디데스 함정 이론이 미·중 관계에 적용될 때 결함이 있으며, 서구 및 고대 그리스 비유에 기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28] 그는 1910년대의 독일과 같은 사례는 현대 중국과 상당히 다르다고 주장한다.[28]

일부는 중국 국가 선전 매체가 중국에 유리한 권력 관계를 홍보하기 위해 투키디데스의 함정 이야기를 활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29][30]

그레이엄 앨리슨의 연구는 비판을 받아왔다. 조지프 나이는 앨리슨이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을 신흥 독일이 패권국 영국에 도전한 것으로 잘못 해석했다고 주장하며, 실제로는 독일의 러시아 부상에 대한 두려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슬라브 민족주의의 부상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다고 지적했다.[31] 아서 왈드론은 러일 전쟁에 대해, 일본이 떠오르는 강국이었고 러시아는 오랫동안 자리를 잡고 있었지만, 일본이 러시아를 기습 공격했다고 지적하며 앨리슨의 해석을 비판했다.[26] 로렌스 프리드먼 역시 제1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오스트리아와 세르비아 간의 분쟁과 동맹국인 독일과 러시아의 잘못된 관리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24]

할 브랜즈와 마이클 벡클리는 앨리슨이 투키디데스의 함정으로 식별한 많은 사례에서 전쟁을 유발한 것은 패권 국가에 추월당할 위협이 아니라, 신흥 강대국의 급격한 부상이 정체로 변하면서 나타나는 공격성이라고 주장했다.[18] 그들은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이 투키디데스의 함정 패턴이 아닌 이 패턴을 따른다고 주장하며, 중국이 경제적으로 둔화되고 전 세계적인 저항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가 미중 충돌을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한다.

빅터 데이비스 핸슨은 신흥 강대국이 항상 기존 강대국의 선제 공격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하며, 미국과 영국의 관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에서는 나타나는 핵심 요인으로 국가 간의 근본적인 차이점을 든다.[32]

비평가들은 앨리슨의 동아시아 역사 지식뿐만 아니라 고대 그리스 역사 지식에 대해서도 비판했다.[33] 조지프 나이도널드 케이건의 연구를 언급하며, 앨리슨이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잘못 해석했다고 주장했다. 전쟁은 떠오르는 아테네가 스파르타에 도전한 결과가 아니라, 아테네의 정체로 인해 스파르타가 일련의 "아테네 정책의 실수"로 전쟁을 감수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게 된 결과라는 것이다.[31] 언스트 바디언은 펠로폰네소스 전쟁과 관련하여 "투키디데스의 함정"과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오래전에 증명했다고 주장했다.[26] 아타나시오스 플라티아스와 바실리스 트리그카스는 투키디데스의 함정이 "부주의한 확전"에 기반하는 반면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합리적인 계산의 결과였다고 주장했다.[34]

국가 전략 연구소의 앨런 그리리 미센하이머는 투키디데스의 텍스트가 앨리슨의 규범적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으며, 투키디데스와 강대국 경쟁의 위험성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현대 사건 분석에서 발견법적 장치나 예측 도구로서는 실패한다고 지적했다.[17]

제프리 크린은 앨리슨이 투키디데스의 핵심 교훈, 즉 패권 국가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은 내부에서 온다는 점을 오해하고 있다고 썼다.[33] 투키디데스는 아테네가 시라쿠사를 정복하려 한 시도를 민주주의가 군중 심리로 변질되는 사례로 묘사했고, 이는 결국 스파르타의 승리를 이끌었다.[33]

참조

[1] 뉴스 Year in a Word: Thucydides's trap https://www.ft.com/c[...] 2020-07-08
[2] 웹사이트 The Thucydides Trap https://foreignpolic[...] 2023-08-27
[3] 웹사이트 What the Thucydides Trap gets wrong about China https://www.newstate[...] 2023-07-30
[4] 웹사이트 Can the US and China Avoid the Thucydides Trap? https://daily.jstor.[...] 2023-07-30
[5] 간행물 The Thucydides Trap https://newrepublic.[...] 2023-07-30
[6] 웹사이트 The Thucydides Trap: Are the U.S. and China Headed for War? https://www.theatlan[...] 2023-07-30
[7] 웹사이트 Stop seeing US-China relations through lens of Thucydides or Cold War https://www.scmp.com[...] 2023-07-30
[8] 뉴스 The Thucydides Trap: Are the U.S. and China Headed for War? https://www.theatlan[...] 2020-07-08
[9] 뉴스 The Thucydides Trap https://foreignpolic[...] 2020-07-08
[10] 뉴스 Thucydides's trap has been sprung in the Pacific https://www.ft.com/c[...] 2020-07-08
[11]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http://classics.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20-07-08
[12] 서적 Destined for War: Can America and China Escape Thucydides's Trap? Houghton Mifflin Harcourt
[13] 웹사이트 Can the U.S. and China Avoid the Thucydides Trap? https://daily.jstor.[...] 2020-07-08
[14] 웹사이트 Thucydides's Trap https://www.belferce[...] Harvard Kennedy School 2020-07-08
[15] 웹사이트 Thucydides's Trap https://www.belferce[...] Harvard Kennedy School 2020-07-08
[16] 뉴스 Virus offers a way out of Thucydides trap https://www.chinadai[...] 2020-07-08
[17] 웹사이트 Thucydides' Other "Trap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the Prospect of "Inevitable" War https://inss.ndu.edu[...] National Defense University 2020-07-08
[18] 웹사이트 China Is a Declining Power—and That's the Problem https://foreignpolic[...] 2021-09-29
[19] 뉴스 Could an ancient Greek have predicted a US-China conflict? https://www.bbc.com/[...] 2020-07-08
[20] 뉴스 China needs patience to achieve a peaceful rise https://www.scmp.com[...] 2019-07-08
[21] 뉴스 The 21st-century Thucydides trap https://asiatimes.co[...] 2020-07-08
[22] 뉴스 Can we avoid the 'Thucydides Trap'? https://www.japantim[...] 2020-07-08
[23] 뉴스 Can U.S. And China Escape The Thucydides Trap? https://www.forbes.c[...] 2020-07-08
[24] 웹사이트 Book Review : Destined for War: Can America and China Escape Thucydides's Trap? https://cco.ndu.edu/[...] National Defense University 2020-07-13
[25] 뉴스 Are China and the United States Headed for War? https://www.newyorke[...] 2020-07-10
[26] 뉴스 There is no Thucydides Trap https://supchina.com[...] 2020-07-08
[27] 뉴스 Oh God, Not the Peloponnesian War Again https://foreignpolic[...] 2020-07-29
[28] 서적 China's World View: Demystifying China to Prevent Global Conflict W. W. Norton & Company 2024
[29] 서적 Insidious Power: How China Undermines Global Democracy https://books.google[...] Eastbridge Books 2020
[30] 웹사이트 The Harvard man who became Xi Jinping's favourite academic https://www.spectato[...] 2024-05-15
[31] 웹사이트 The Kindleberger Trap https://www.belferce[...] Harvard Kennedy School 2020-07-08
[32] 웹사이트 Secrets Of Statecraft: What The Greeks And Romans Can Teach Us https://www.hoover.o[...] 2024-11-26
[33] 서적 The Fear of Chinese Power: an International History Bloomsbury Academic 2024
[34] 논문 Unravelling the Thucydides Trap: Inadvertent Escalation or War of Choice https://academic.oup[...]
[35] 뉴스 The Thucydides Trap http://schott.blogs.[...] 2016-04-30
[36] 웹사이트 http://www.theatlant[...]
[37] 웹사이트 http://the-liberty.c[...]
[38] 웹사이트 http://belfercenter.[...]
[39] 서적 Destined for War: Can America and China Escape Thucydides’s Trap? Houghton Mifflin Harcourt
[40] 서적 米中戦争前夜――新旧大国を衝突させる歴史の法則と回避のシナリオ ダイヤモンド社
[41] 뉴스 米中の衝突 対話で避けよ 米ハーバード大教授 グレアム・アリソン氏 http://www.nikkei.co[...] 2017-09-11
[42] 뉴스 The Thucydides Trap: Are the U.S. and China Headed for War? https://www.theatlan[...] 2017-09-11
[43] 뉴스 한국에 경제 주도권 뺏길라…‘투키디데스의 함정’ 빠진 일본 https://news.naver.c[...] 2019-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