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트모세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트모세 3세는 기원전 15세기 이집트를 통치한 파라오로, 그의 이름은 "멘케페레 투트모세"이다. 그는 투트모세 2세와 이세트의 아들이며, 하트셉수트의 섭정 이후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여 20년 동안 16차례 이상의 원정을 통해 시리아와 팔레스타인, 누비아 등지를 정복했다. 그는 카르나크 신전에 많은 건축물을 남겼으며, 하트셉수트의 기록을 훼손했다. 투트모세 3세는 54년간의 통치 끝에 왕가의 계곡(KV34)에 묻혔으며, 그의 미라는 1881년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트모세 3세 - 메기도 전투 (기원전 15세기)
    메기도 전투는 기원전 15세기 이집트 파라오 투트모세 3세가 가나안 연합군을 상대로 승리한 결정적인 전투로, 이집트의 레반트 지역 지배력 강화와 제국 위상 확립에 기여했으며, 아마겟돈이라는 단어의 유래가 되었다.
  • 투트모세 3세 - 라테라노 오벨리스크
    라테라노 오벨리스크는 이집트에서 제작되어 로마로 옮겨진 후 복원되어 라테라노 궁전 근처에 세워졌으며, 현재는 십자가가 올려져 있고 역사와 콘스탄티누스 대제에 대한 비문이 새겨져 있다.
  • 기원전 15세기 사망 - 하트셉수트
    하트셉수트는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여왕이자 파라오로서, 섭정에서 스스로 파라오가 되어 이집트를 통치하며 무역로 재건, 푼트 원정, 건축물 건설 등 이집트의 번영을 이끌었고, 사후 업적 말소에도 불구하고 현대에 재평가받는 강력한 여성 통치자이다.
  • 기원전 15세기 사망 - 파르샤타타르
    파르샤타타르는 미탄니 왕국의 확장기에 통치하며 주변 지역에 영향력을 확대하고, 이집트 파라오와 만났을 가능성이 있는 왕이다.
투트모세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투트모세 3세
다른 이름투트모시스 3세, "마나피(르)야" (아마르나 편지)
이미지 파일Thutmosis III-2.jpg
이미지 설명투트모세 3세 동상 (룩소르 박물관)
즉위명 (노멘)'제후티메스 네페르케페루'
즉위명 (노멘) (로마자 표기)Djehutymes Neferkheperu
즉위명 (노멘) (번역)토트가 태어났다, 아름다운 모습으로
왕명 (프레노멘)'멘케페르레'
왕명 (프레노멘) (로마자 표기)Menkheperre
왕명 (프레노멘) (번역)의 현현은 영원하다
황금 호루스 이름'세켐파흐티드세제르카우'
황금 호루스 이름 (로마자 표기)Sekhempahtydsejerkhaw
황금 호루스 이름 (번역)힘이 강하고, 성스러운 왕관을 가진 자
네브티 이름'와흐네시트미레엠페트'
네브티 이름 (로마자 표기)Wahnesytmireempet
네브티 이름 (번역)하늘의 레처럼 왕권이 영원하다
호루스 이름'카나크트 카엠와세트'
호루스 이름 (로마자 표기)Kanakht Khaemwaset
호루스 이름 (번역)강력한 황소, 테베에서 일어남
통치 정보
통치 기간54년
재위 시작기원전 1479년 4월 28일 (LC)
재위 종료기원전 1425년 3월 11일 (LC)
선왕투트모세 2세
공동 통치자하트셉수트
후왕아멘호테프 2세
가족 정보
배우자사티아흐
하트셉수트-메리이트레
네브투
멘위, 메르티, 멘헤트
네브세미
자녀아멘엠하트
아멘호테프 2세
베케타문
이세트
멘케페르레
메리타멘 C 및 메리타멘 D
네베티우네트
네페르티리
시아문
왕조이집트 제18왕조
아버지투트모세 2세
어머니이세트
출생기원전 1481년
사망기원전 1425년 (56세)
매장 정보
매장지KV34; 미라는 데르 엘바흐리 왕실 은닉처에서 발견됨
기념물
기념물클레오파트라의 바늘
테오도시우스 오벨리스크
기타 정보
공동 통치하트셉수트 (재위 22년까지)
참고토트모세, 투트모세, 타트모스, 투트모세 등으로도 표기됨
3월 4일 출생설도 있음
출병을 15회로 기록한 서적도 있음

2. 이름

투트모세 3세의 즉위명이 새겨진 벽돌 조각. 현재 런던의 페트리 이집트 고고학 박물관 소장.


투트모세의 두 가지 주요 이름은 '''mn-ḫpr-rꜥ'''와 '''ḏḥwtj-ms'''로 음역된다. 첫 번째 이름은 일반적으로 '멘케페레'로 음역되며 "의 현현이 확립된 자"를 의미하는 즉위명이다. 두 번째 이름은 '투트모세' 또는 '투트모시스'로 음역되며 "토트로부터 태어난 자" 또는 "토트가 태어났다"를 의미하는 탄생명이다.[1][11] 마네토는 유세비우스가 요약한 그의 저서 ''아이깁티아카''(''이집트 역사'')에서 투트모세 3세를 Μίφρης|미프리스el와 Μισφραγμούθωσις|미스프라그무토시스el라고 불렀다.[12]

3. 가족

투트모세 3세의 조각상 상반신


투트모세 3세는 투트모세 2세와 그의 왕비 외의 부인인 이셋(Iset, 또는 아셋 Aset) 사이에서 태어났다.[13][14] 투트모세 2세의 대왕비(정실 왕비)는 하트셉수트였으며, 그녀의 딸 네페르레(Neferure)는 투트모세 3세의 이복 누이였다.

투트모세 2세가 사망했을 때 투트모세 3세는 통치하기에는 너무 어렸다. 이에 계모인 하트셉수트가 그의 섭정이 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공동 통치자가 되었으며, 결국 스스로 파라오를 선언했다. 하지만 하트셉수트는 투트모세 3세의 왕위를 공식적으로 부정하지는 않았다.[94] 하트셉수트는 당시 "통치자는 남자여야 한다"는 관념에 따라 공식 석상에서는 남장을 하고 인조 수염을 붙이기도 했다.[94] 투트모세 3세가 어렸던 시기, 이집트는 실질적으로 하트셉수트의 통치 아래 있었으며, 이 기간 동안 이집트는 상당한 번영과 발전을 이루었다. 투트모세 3세가 성장하여 능력을 보이자 하트셉수트는 그를 군대의 수장으로 임명했고, 그녀가 사망했을 때 투트모세 3세는 통치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투트모세 3세에게는 여러 명의 부인이 있었다. 일부 이집트학자들은 그가 이복 누이인 네페르레(Neferure)와 결혼했다고 추측하지만,[15] 이를 뒷받침할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 네페르레나 혹은 대왕비 사티아(Satiah)가 투트모세 3세의 첫째 아들인 아메네므햇(Amenemhat)의 어머니였을 것으로 여겨진다.[15][16] 아메네므햇은 아버지 투트모세 3세보다 먼저 사망하여 왕위를 잇지 못했다.[16]

사티아가 죽은 후, 메리트레-하트셉수트(Merytre-Hatshepsut)라는 여인이 새로운 대왕비가 되었다. 그녀는 투트모세 3세의 후계자인 아멘호테프 2세를 비롯하여 또 다른 아들 멘케페르레(Menkheperre), 그리고 네베티우네트(Nebetiunet), 메리타멘 C(Meritamen C), 메리타멘 D(Meritamen D), 이셋(Iset) 등 최소 네 명의 딸을 포함한 여러 자녀를 낳았다.[15]

이 외에도 투트모세 3세의 무덤 기둥에 이름이 기록된 네브투(Nebtu)라는 부인이 있었으며,[16] 함께 매장된 기록이 남아 있는 외국인 부인 멘헤트(Menhet), 멘위(Menwi), 메르티(Merti)도 있었다.[16]

4. 통치 기간

카르나크의 투트모세 3세 연대기. 그의 외국 원정 후 그에게 바쳐진 제물 앞에 서 있는 그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고대 이집트의 낮은 연대기에 따르면 투트모세 3세는 기원전 1479년부터 기원전 1425년까지 통치했다. 이는 1960년대 이후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이집트 연대기이다.[17]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집트 고연대기에 따라 기원전 1504년부터 기원전 1450년까지로 보기도 한다.[18] 이 연대는 18왕조의 모든 연대와 마찬가지로, 소티스의 묘출 기록과 관련된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19] 아멘호테프 1세 통치 시대의 파피루스에는 이 천문 관측 기록이 있는데, 이론적으로 이를 사용하여 이집트 연대기를 현대 달력과 완벽하게 연관 지을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하려면 관측이 이루어진 위도를 알아야 한다. 이 문서에는 관측 장소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멤피스헬리오폴리스와 같은 델타 도시 또는 테베에서 관측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관측 장소의 위도 차이에 따라 고연대기와 저연대기 사이에 약 20년의 편차가 발생한다.

투트모세 3세의 재위 기간은 군 사령관 아메네엠헤브-마후의 무덤에서 발견된 자료 덕분에 하루 단위까지 알려져 있다.[20] 아메네엠헤브-마후는 투트모세 3세가 그의 주인의 재위 54년째[21] 페레트(파종기) 세 번째 달 30일에 사망했다고 기록하고 있다.[22] 투트모세 3세의 즉위일은 셰무 첫 번째 달 4일로 알려져 있으며, 천문 관측을 통해 (저연대기설을 가정할 경우) 기원전 1479년 4월 28일부터 기원전 1425년 3월 11일까지 그의 재위 기간의 시작과 끝 날짜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23]

아메네엠헤브-마후의 기록에 따르면 투트모세 3세는 총 "53년 10개월 26일" 동안 이집트를 통치했다. 이 총 재위 기간에는 계모이자 공동 통치자였던 하트셉수트와 함께한 기간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제외한 투트모세 3세의 단독 통치 기간은 약 30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5. 군사 원정

투트모세 3세는 20년 동안 최소 16차례[24] 또는 17차례[94]의 군사 원정을 수행하며 이집트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정복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미국의 이집트학자 제임스 브레이스테드는 그의 뛰어난 군사적 업적과 팽창주의 정책 때문에 그를 "이집트의 나폴레옹"이라고 불렀다.[13][25][94] 그는 통치 기간 동안 350개에 달하는 도시를 함락시켰으며,[94] 북쪽으로는 유프라테스 강에서 남쪽으로는 누비아 지역까지 근동의 광대한 영역을 정복했다.[26][94] 특히 미타니 원정 중에는 할아버지인 투트모세 1세 이후 처음으로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기도 했다.[94]

이러한 원정 기록은 카르나크아문 신전 벽(우르쿤덴 IV)에 "투트모세 3세 연대기"로 새겨져 전해지며,[100] 그의 왕실 서기관이자 군 사령관이었던 타누니가 기록한 내용도 중요한 자료가 된다.[27] 투트모세 3세의 성공적인 정복 활동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히크소스와의 전쟁 과정에서 습득한 말이 끄는 전차와 같은 발전된 군사 기술을 적극 활용했으며,[27] 당시 주변 왕국들의 저항이 비교적 약했던 점도 영토 확장에 유리하게 작용했다.[27] 또한 육상으로 배를 운반하는 혁신적인 전술도 사용했다.[27] 그의 원정은 단순한 정복을 넘어 조공 징수를 위한 무력 시위의 성격도 포함했다.[100]

이러한 군사 활동을 통해 투트모세 3세는 이집트를 국제적인 초강대국으로 만들었다.[26] 한편, 이러한 대규모 원정이 가능했던 배경에는 선왕 하트셉수트의 평화로운 통치 기간 동안 축적된 국력이 있었다는 견해도 존재한다.[100]

5. 1. 메기드 전투

투트모세 3세가 적을 무찌르는 모습. 카르나크의 7번째 파일론 부조


하트셉수트가 사망한 투트모세 3세 즉위 21년 6번째 달 10일, 카데시(시리아)의 왕이 군대를 이끌고 메기드로 진격했다.[28] 이에 투트모세 3세는 군대를 소집하여 이집트를 출발, 8번째 달 25일에 국경 요새인 티아루(실레)를 통과했다. 그는 해안 평야를 따라 야브네(야므니아)를 거쳐 메기드 근처의 작은 도시인 예헴까지 진군하여 같은 해 9번째 달 중순에 도착했다.[29]

이어진 메기드 전투는 투트모세 3세의 17차례 원정 중 가장 큰 규모의 전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투트모세의 군대와 메기드 사이에는 카르멜 산에서 내륙으로 뻗은 산등성이가 가로막고 있었으며, 그는 세 가지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30] 산을 돌아가는 북쪽과 남쪽 경로는 그의 전쟁 평의회에서 가장 안전하다고 판단했지만 거리가 멀었다. 반면 중앙 경로는 와디 아라의 좁은 협곡을 통과해야 하는 위험이 있었지만 거리가 짧았다. 이 길은 "말 뒤에 말, 사람 뒤에 사람"이 겨우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좁다고 묘사되었는데,[29] 만약 적군이 협곡 끝에서 기다리고 있었다면 이집트 군대는 차례로 격파될 위험이 있었다. 장군들은 안전한 북쪽 또는 남쪽 경로를 건의했지만, 투트모세 3세는 적군 역시 이집트 군대가 안전한 경로를 택할 것이라 예상하고 그곳에 병력을 집중할 것이라 판단했다. 따라서 그는 적의 허를 찌르기 위해, 카데시 왕이 거의 방비하지 않은 중앙 경로를 선택하기로 결정했다.[30] 이집트 기록에는 투트모세가 대단한 용기를 발휘하여 이 결정을 내렸다고 서술되어 있으나, 파라오의 업적을 과장하는 경향을 고려할 필요는 있다. 실제 이 고개가 존재하지만, 기록만큼 극단적으로 좁지는 않다.[32] 이 고개는 에스드라엘론 평야로 이어지며, 가나안 군대의 후방과 메기드 도시 사이를 효과적으로 갈라놓는 전략적 요충지였다.[30]

어떤 이유에서인지 가나안 군대는 협곡을 통과한 이집트 군대를 즉시 공격하지 않았고,[31] 투트모세 3세는 이들을 결정적으로 격파했다.[30] 카르나크의 아문 신전에 있는 투트모세 3세의 연대기실 기록에 따르면, 전투는 "즉위 23년, 셰무(Smw)월 21일, 신월 축제의 정확한 날"에 벌어졌다.[35] 이는 투트모세 3세의 즉위를 기원전 1479년으로 가정할 경우, 기원전 1457년 5월 9일에 해당한다. 양측 군대의 규모는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레드퍼드는 각각 약 1만 명이었을 것으로 추정했고,[34]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집트 군대가 더 많았을 것으로 본다.

전투 승리 후 이집트 군대가 적의 물품을 약탈하느라 지체하는 사이, 패잔병들은 메기드 성 안으로 도망쳤다.[33] 결국 투트모세 3세는 도시를 포위해야 했고, 7~8개월간의 긴 포위 공격 끝에 마침내 메기드를 함락시켰다.[33][100]

메기드 전투와 도시 함락은 고대 근동의 정치 지형을 크게 바꾸었다. 투트모세 3세는 북부 가나안 전역을 장악하게 되었고, 시리아의 제후들은 이집트에 조공을 바치고 자녀들을 인질로 보내야 했다.[36] 유프라테스 강 너머의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히타이트 왕들 또한 투트모세에게 선물을 보냈으며, 그는 이를 카르나크 신전 벽에 "조공"으로 기록했다.[37] 다만, 미타니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았는데, 이들은 이후 이집트의 서아시아 진출 과정에서 주요 적대 세력이 된다.

투트모세 3세는 가장 약한 도시나 주부터 차례로 공격하여 항복을 받아내는 전술을 즐겨 사용했으며, 이를 통해 시리아 남부와 팔레스타인, 남쪽으로는 누비아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확보하여 이집트를 국제적인 강대국으로 만들었다. 일부 학자들은 과거 투트모세 3세의 영향력이 에게 해 섬들까지 미쳤다고 보기도 했으나, 현재 이 주장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메소포타미아나 알라시야(키프로스)가 이집트에 복속되었는지 여부도 불확실하다.

5. 2. 시리아-팔레스타인 원정

핫셉수트가 사망하고 투트모세 3세가 이집트의 실권을 장악했을 때, 아시아 지역의 정세는 이집트에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었다.[95] 핫셉수트의 평화적인 외교 정책 시기[94] 동안, 이집트의 아시아 진출에 위협을 느낀 미탄니 왕국은 카데시 왕을 중심으로 반(反)이집트 동맹을 결성하여 대비하고 있었다. 이는 과거 히크소스에 의한 이민족 통치(이집트 제15왕조)를 경험했던 이집트에게 큰 위협으로 다가왔다.[100][95] 이에 투트모세 3세는 즉위 직후 핫셉수트 시대에 약화된 서아시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회복하고, 주변국의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대규모 원정에 나섰다.[94][95] 이는 정복지를 이집트의 국가 체제 안으로 편입시켜 침략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줄이려는 목적이었다.[100]

투트모세 3세는 원정에서 가장 약한 도시나 지역부터 차례로 공격하여 항복을 받아내는 전술을 선호했다. 이를 통해 적대 세력을 개별적으로 격파하며 시리아 남부와 팔레스타인 지역, 그리고 남쪽으로는 누비아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확보하여 이집트를 국제적인 강대국으로 만들었다.

메기도 전투 이후 투트모세 3세의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원정은 주로 시리아가나안(이집트인들은 레트예누라고 불렀다) 지역을 순회하며 공물을 징수하는 데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46] 두 번째 원정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부족하며, 현재 전해지는 공물 기록은 투트모세 3세 즉위 40년 이후의 것일 가능성이 제기된다.[38][39] 세 번째 원정(즉위 25년)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가나안 지역의 동식물을 조사하여 카르나크의 특별한 방 벽화로 남긴 점이 특징이다.[40][41] 네 번째 원정 기록 역시 남아있지 않지만, 이 시기에 레바논 남부에 요새를 건설하고 함선 건조용 목재를 확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2][43]

메기도 전투의 승리로 투트모세 3세는 팔레스타인 전역을 거의 장악하고, 이 지역을 여러 행정 구역으로 나누어 감독관을 파견하는 등 본격적인 식민지화 정책을 추진했다.[100] 또한, 시리아 지역의 왕자들을 인질로 데려와 이집트식 교육을 시킨 뒤, 부왕이 사망하면 돌려보내 이집트에 충성하는 통치자로 삼는 정책을 시행했다.[100][98][95] 이 정책의 효과는 후대의 아마르나 서판에 기록된 친이집트 성향의 봉신 군주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투트모세 3세의 공세 이전 이집트 지배 영역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그림. 미탄니(Mitanni) 왕국의 알레포(Aleppo) 및 카르케미시(Carchemish)까지 정복하고 유프라테스 강을 국경으로 삼았다.


이러한 이집트의 세력 확장에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히타이트의 왕들은 투트모세 3세에게 예물을 보냈는데, 투트모세 3세는 이를 카르나크 벽화에 조공으로 기록하며 위상을 과시했다.[95] 그러나 미탄니 왕국만은 유일하게 이집트에 복속하지 않고 저항을 계속했다.

북시리아의 반이집트 세력은 상당 부분 약화되었지만, 미탄니와 그 동맹인 카데시는 여전히 반격의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투트모세 3세는 이에 대응하여 여러 차례 추가 원정을 감행했다. 제7차 원정에서는 페니키아 지역에 해상 수송 기지를 확보했고, 제8차 원정에서는 알레포카르케미시 전투에서 승리하여 적군을 유프라테스 강 동쪽까지 추격했다. 그는 유프라테스 강 서쪽 기슭에 할아버지인 투트모세 1세의 경계비 옆에 자신의 경계비를 세워 제국의 북방 한계를 명확히 했다. 그럼에도 반이집트 세력의 저항은 계속되었고, 총 9차례의 아시아 원정을 거쳐 마침내 제17차 원정(즉위 42년)에서 카데시를 점령함으로써 오론테스 강 중하류 이남 지역에 대한 이집트의 지배를 확립했다. 이로써 투트모세 3세는 북쪽의 유프라테스 강에서 남쪽의 나일 강 제4급류에 이르는 광대한 제국을 다스리게 되었다.[95]

투트모세 3세의 원정으로 확립된 제국의 지배 체제는 그의 후계자인 아멘호테프 2세와 투트모세 4세 시대에도 유지되었다. 이들 역시 유능한 군사적 역량을 바탕으로 왕위 계승기의 혼란을 틈탄 반란을 쉽게 진압했다. 특히 투트모세 4세 시대에는 동쪽에서 히타이트 세력이 부상하자 이에 위협을 느낀 미탄니 왕 아르타타마 1세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오랜 적대 관계를 청산하고 동맹을 맺었으며, 이 동맹은 미탄니가 멸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후 식민지의 대규모 반란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고, 아멘호테프 3세 시대에 이집트 제18왕조는 최고의 번영을 누리게 된다.[95]

5. 3. 미탄니 원정

시리아 도시들을 장악한 후, 투트모세 3세의 여덟 번째 원정은 미타니 왕국을 목표로 삼았다. 미타니는 후리인 국가였으며 인도-아리아인 지배 계급을 가지고 있었다.[48] 미타니에 도달하려면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야 했기에, 투트모세 3세는 비블로스로 직접 항해하여 배를 만들고, 이를 육로로 운반하며 마치 시리아를 순찰하는 것처럼 이동하는 전략을 사용했다.[52][48]

그는 이미 점령한 땅들을 지나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평소처럼 약탈과 파괴를 자행했고,[53] 아직 정복되지 않은 알레포카르케미시 도시의 영토를 통과했다. 이후 준비된 배를 이용해 유프라테스 강을 신속히 건너 미타니 왕을 완전히 기습했다.[53] 미타니는 침략을 예상하지 못해 제대로 된 군대를 준비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이며, 유프라테스 강에 있던 그들의 함선으로 이집트군의 도하를 방해하려 했으나 역부족이었다.[52]

투트모세 3세는 별다른 저항 없이 미타니의 도시들을 자유롭게 약탈했으며, 당시 이집트 기록은 미타니 귀족들이 동굴에 숨었다고 선전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는 수십 년 전 자신의 조부인 투트모세 1세가 세운 기념비 옆에 유프라테스 강 도하를 기념하는 두 번째 스텔레를 세워 자신의 업적을 과시했다.[53] 민병대가 조직되어 침입자들과 싸우려 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53] 이후 투트모세 3세는 니이를 거쳐 시리아로 돌아왔는데, 그곳에서 코끼리 사냥을 했다는 기록을 남겼다.[54] 그는 외국 세력으로부터 조공을 받고 승리하여 이집트로 귀환했다.[52]

이 승리로 투트모세 3세는 팔레스타인 전역을 거의 정복했으며, 이 지역을 여러 행정구역으로 나누고 감독관을 파견하는 등 식민지화 정책을 추진했다.[100] 이는 고대 오리엔트의 정치 지형을 극적으로 바꾸는 결과를 낳았다. 시리아의 왕자들은 이집트에 공물을 바칠 뿐 아니라 자신의 아들을 인질로 보내야 했고, 이 왕자들은 이집트에서 교육을 받은 뒤 고국으로 돌아가 이집트에 충성하는 통치자가 되었다.[100][98][95] 이러한 정책의 효과는 후대의 아마르나 서판에 나타나는 친이집트 성향의 봉신들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프라테스 강 너머의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히타이트의 왕들도 투트모세 3세에게 예물을 보냈는데, 투트모세 3세는 카르나크의 벽화에서 이를 조공이라고 기록하며 자신의 위상을 높였다.[95] 그러나 이웃 국가 중 유일하게 미탄니 왕국만이 이집트에 아무것도 보내지 않고 저항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제8차 미탄니 원정의 성공에도 불구하고,[95] 미탄니와 그 동맹인 카데시의 저항은 끊이지 않았다. 결국 투트모세 3세는 총 17차례에 걸친 아시아 원정을 감행했고, 즉위 42년에 이루어진 제17차 원정에서 카데시를 점령함으로써 오론테스 중하류 이남 지역에 대한 이집트의 지배를 최종적으로 확립했다. 이로써 투트모세 3세는 북쪽으로는 유프라테스 강에서 남쪽으로는 나일 강 제4급류에 이르는 광대한 제국의 지배자가 되었다.[95]

5. 4. 누비아 원정

기원전 1457년, 투트모세 3세는 그의 마지막 군사 원정을 남쪽의 누비아 지역으로 감행했다. 그는 군대를 이끌고 나일 강의 제4폭포까지 진격했는데, 이는 이전의 어떤 이집트 왕보다 군대를 더 남쪽으로 이끈 기록이다.[48] 하지만 투트모세 3세가 처음으로 이 지역에 도달한 것은 아니었다. 이전 파라오들의 원정을 통해 이미 이집트 문화의 영향력이 해당 지역까지 미치고 있었으며, 실제로 게벨 바르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이집트 관련 문서는 투트모세 3세의 원정보다 3년 앞선 시기의 것이다.[48] 이 원정을 통해 투트모세 3세는 이집트의 남방 국경을 더욱 공고히 하고 영향력을 확대했다.

6. 건축 사업

투트모세 3세 재위 기간 동안 유리 제작이 발전했으며, 이 잔에는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투트모세 3세는 위대한 건축가로서 50개가 넘는 신전을 건설했으나, 그중 일부는 현재 소실되어 기록으로만 남아 있다.[18] 그는 또한 귀족들을 위해 이전보다 훨씬 뛰어난 기술로 만들어진 많은 무덤 건설을 의뢰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하트셉수트 통치 때 시작된 대규모 건축 활동과 더불어 조각, 회화, 건축 부조 등에서 큰 양식적 변화가 나타난 시기이기도 하다.

투트모세 3세의 건축가와 장인들은 이전 왕들의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몇 가지 중요한 발전을 이루어 그를 차별화했다. 그는 재위 기간 대부분 동안 전통적인 부조 양식을 따랐지만, 즉위 42년 이후부터는 자신을 하(下)이집트의 붉은 왕관과 쉰디트 킬트를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이전에는 볼 수 없던 양식이다.[68]

건축적으로 그의 기둥 사용 방식 또한 독특했다. 그는 이집트에서 유일하게 알려진 상징적인 기둥 세트, 즉 지붕을 지탱하는 구조적 역할 없이 독립적으로 서 있는 두 개의 큰 기둥을 건설했다. 그의 축제 기념 홀(아크메누) 역시 혁신적인 건물로, 바실리카 양식으로 지어진 가장 초기의 건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69]

투트모세 3세 시대의 장인들은 회화 기술에서도 새로운 수준에 도달했다. 그의 통치 시기에 만들어진 무덤들은 부조에만 색을 칠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무덤 전체를 채색한 최초의 사례들에 속한다.[68] 또한, 그의 기념물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투트모세 3세 시대의 장인들은 18왕조 초기에 발전한 유리 제작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코어 형성법으로 술잔 등을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70]

6. 1. 카르나크 신전

룩소르 박물관에 전시된 투트모세 3세의 그림 부조


헤지(hD) 지팡이와 세켐(sxm) 홀(아바 홀)을 들고 있는 투트모세스 3세가 그가 세운 두 개의 오벨리스크 앞에 서 있는 벽화. 카르나크에서.


투트모세 3세는 다른 어떤 유적지보다 카르나크에 훨씬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카르나크 신전 단지 내 여러 건축물을 대대적으로 건설하고 개조했다.

중앙에 위치한 주 신전인 이푸트-이수트에서는 할아버지 투트모세 1세가 세운 히포스타일 홀을 재건했으며, 하트셉수트의 붉은 예배당을 해체했다. 또한 여섯 번째 피론(탑문)을 건설하고 그 자리에 아문 신의 신성한 배를 위한 신전을 세웠다. 이 신전 앞에는 전실을 만들고, 자신의 문장이 새겨진 기둥으로 천장을 지탱했다. 그는 중앙 성소 주변에 작은 예배당들과 함께 작업장, 창고 등을 포함하는 테메노스 벽(신성 구역)을 쌓았다.[69]

주 신전 동쪽에는 자신의 셉 축제(왕의 즉위 기념 축제)를 기념하기 위한 '아크메누'(Akh-menu), 즉 '기념물의 영광'이라 불리는 축제 기념 홀을 건설했다. 이 홀의 중앙 부분은 바실리카 양식으로 지어졌는데, 통로 양쪽에 기둥들이 늘어서 천장을 받치고 있으며, 중앙의 두 줄은 다른 기둥들보다 높아 그 사이로 빛이 들어오는 클리어스토리 창문 구조를 갖추었다.[69] 이 건물 내의 작은 방 두 곳에는 투트모세 3세가 세 번째 시리아 원정에서 가져온 가나안 지역의 다양한 식물과 동물을 묘사한 부조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투트모세 3세의 식물원으로 알려져 있다.[71]

이푸트-이수트 동쪽에는 아텐 신을 위한 또 다른 사원을 세웠으며, 이 사원에는 투트모세 3세가 아문 신의 지지를 받는 모습이 묘사되었다.[72] 투트모세 3세는 바로 이 사원 안에 '테켄 와티'(Tekhen Waty), 즉 '독특한 오벨리스크'를 세울 계획이었다.[72] 이 오벨리스크는 쌍으로 세워지는 일반적인 오벨리스크와 달리 단독으로 서도록 설계되었고, 성공적으로 채석된 것 중 가장 높다. 하지만 이 오벨리스크는 투트모세 3세 생전에 세워지지 못하고, 35년 후 투트모세 4세에 의해 세워졌다.[72] [73] 이후 로마 황제 콘스탄티우스 2세에 의해 로마로 옮겨져 현재 라테란 오벨리스크로 알려져 있다.

서기 390년에는 기독교도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가 카르나크 신전에서 가져온 또 다른 오벨리스크를 콘스탄티노플의 히포드롬에 세웠는데, 이것이 오늘날 테오도시우스의 오벨리스크이다.

투트모세 3세는 아문 신전과 무트 여신 신전 사이, 주 신전 남쪽에도 건축 활동을 했다. 주 신전 바로 남쪽, 남북으로 이어지는 길에는 일곱 번째 피론을 건설했다. 이 피론은 그의 쥬빌리 축제 때 사용하기 위해 지어졌으며, 표면에는 패배시킨 적들의 모습이 새겨졌다. 그는 피론 양쪽에 자신의 거대한 석상을 세웠고, 문 앞 남쪽 면에는 두 개의 오벨리스크를 더 세웠다. 동쪽 오벨리스크의 기단은 아직 제자리에 남아 있지만, 서쪽 오벨리스크는 콘스탄티노플의 히포드롬으로 옮겨졌다.[72] 길을 따라 더 남쪽으로 가면 하트셉수트가 짓기 시작한 여덟 번째 피론이 있다.[69] 길 동쪽에는 가로 약 76.20m × 세로 약 121.92m 크기의 신성한 호수를 파고, 그 근처에 설화석고로 만든 배 모양의 신전을 지었다.[69]

투트모세 3세는 이집트 역사상 가장 많은 건축물을 남긴 파라오 중 한 명으로, 50개가 넘는 신전을 건설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일부는 소실되어 기록으로만 전해진다. 그는 또한 귀족들을 위해 이전 시대보다 훨씬 정교한 무덤 건설을 지원했다. 그의 통치 시기는 하트셉수트 시대에 시작된 대규모 건축 양식이 이어지면서도 조각, 회화, 부조 등 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변화가 나타난 시기이기도 하다. 투트모세 3세의 건축과 예술 기법은 하트셉수트의 영향을 받았지만, 기술적인 발전을 통해 독자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특히 투트모세 3세의 기둥 사용 방식은 독특했다. 그는 지붕을 지지하는 구조적인 역할 외에 순수하게 장식적인 목적으로 독립된 두 개의 큰 기둥을 세운 유일한 파라오로 알려져 있다. 그의 축제 기념 홀(아크메누) 역시 혁신적인 양식으로 바실리카 양식으로 지어진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로 추정된다.

7. 하트셉수트 기록 말소

오랫동안 이집트학자들은 투트모세 2세 사후 그의 왕비 하트셉수트가 계승자인 투트모세 3세로부터 왕위를 찬탈했다고 여겨왔다. 초기 학자들은 투트모세 3세가 공동 통치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가린 계모 하트셉수트를 용서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측했다.[75] 실제로 하트셉수트가 사망한 후, 데이르 엘 바흐리의 유명한 장례 사원 단지를 포함하여 그녀의 많은 기념물과 묘사가 훼손되거나 파괴되었다. 이는 투트모세 3세가 즉위 직후 복수심에 차서 행한 ''기억의 저주''(기록 말살)로 해석되었으며, 고대 로마의 다므나티오 메모리아에와 유사한 조치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연구는 이러한 '원한설'에 강한 의문을 제기한다. 찰스 님스와 피터 도어먼 같은 학자들은 하트셉수트 기념물 훼손 시점을 재검토한 결과, 연대를 확인할 수 있는 파괴 행위는 투트모세 3세 통치 말기인 재위 46년 또는 47년(기원전 1433년 또는 1432년경)에 시작되었음을 발견했다.[76] 이는 하트셉수트가 사망한 지 최소 25년이 지난 시점이다. 또한, 하트셉수트 통치와 밀접하게 연관된 최고 관리였던 세넨무트의 기념물 역시 발견된 곳에서 유사하게 훼손되었다.[77]

더욱이, 하트셉수트는 투트모세 3세를 신뢰하여 군대를 지휘하게 했으며, 이는 두 사람의 관계가 적대적이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투트모세 3세가 왕위를 주장하려 했다는 강력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고, 그는 하트셉수트 사후에도 그녀가 임명했던 종교 및 행정 지도자들을 유임시켰다. 심지어 그는 자신의 장례 사원을 하트셉수트의 사원 바로 옆에 건설했는데, 이는 그녀에 대한 깊은 원한을 품었다면 이해하기 어려운 행동이다.

이러한 증거들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하트셉수트 기록 말소의 원인을 다른 곳에서 찾고 있다. 유력한 가설 중 하나는 여성 파라오의 존재가 관례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정치적 조치였다는 것이다. 또 다른 설은 투트모세 3세가 자신의 아들 아멘호테프 2세와의 공동 통치 시기에, 아들의 원활한 왕위 계승을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조치를 취했다는 것이다. 투트모세 3세 본인과 그의 아버지 투트모세 2세 모두 서자였기에, 하트셉수트 계열의 다른 적통 친척들이 왕위를 주장할 가능성을 차단하려 했을 수 있다. 실제로 나중에 아멘호테프 2세는 하트셉수트의 기념물을 훼손한 뒤, 마치 자신이 건설한 것처럼 주장하기도 했다. 또한, 하트셉수트와 투트모세 3세 모두를 섬겼던 강력한 관리들이 사망하기 전까지는 하트셉수트의 기록을 지우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한편, 카르나크 신전의 대대적인 증축 과정에서 하트셉수트가 건설한 구조물을 해체하고 그 자재를 재활용한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재정 절약 등의 이유로 이전 파라오의 건축 자재를 재활용하는 경우가 흔했기 때문에, 투트모세 3세의 행위가 반드시 악의적인 파괴는 아니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8. 죽음과 매장

투트모세 3세의 무덤(KV34), 왕가의 계곡에 있는 암두앗 벽화의 한 장면


투트모세 3세의 관


감싸기 전의 투트모세 3세의 미라. 무덤 도굴꾼들에 의해 손상된 모습이 보인다.


풀린 후의 투트모세 3세의 미라 머리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있는 투트모세 3세의 구슬과 스카라베 반지.


투트모세스 3세의 석관. 타원형이며, 적색 규암으로 만들어졌다.


관리 아메네므헤브(Amenemheb)의 무덤 전기에 따르면, 투트모세 3세는 53년 10개월 26일간 이집트를 통치한 후, 재위 54년 3월 페레트(Peret) 30일에 사망했다. 이는 그의 54번째 재위년이 시작되기 한 달하고 4일 전이다.[79] 하트셉수트아멘호테프 2세와의 공동 통치 기간을 제외하면, 그는 30년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단독으로 통치했다.

투트모세 3세의 무덤(KV34)은 1898년 빅토르 로레(Victor Loret)에 의해 왕가의 계곡에서 발견되었다. 이 무덤은 고대에 도굴당해 그 위치가 잊혔었다. 무덤 구조는 18왕조 무덤의 전형적인 형태로, 매장실로 이어지는 통로가 급격히 방향을 튼다. 입구에는 두 개의 계단과 두 개의 복도가 있으며, 그 앞에는 사각형의 수직갱 또는 "우물"이라 불리는 구조가 있다.

매장실 앞 현관에는 중요한 신왕국 시대 장례 문헌인 암두앗(Amduat)의 완전한 사본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이 문헌의 완전한 판본이 발견된 최초의 무덤이다. 두 개의 기둥으로 받쳐진 매장실은 카르투시 모양의 타원형이며, 천장에는 죽음과 부활의 신 세케르(Seker, 혹은 소카르(Sokar))의 동굴을 상징하는 별들이 장식되어 있다. 방 중앙에는 도굴의 피해에도 불구하고 카르투시 모양의 큰 적색 규암 석관이 놓여 있다.

방 중앙의 두 기둥에는 당시 파라오와 동일시되었던 후기 태양신을 찬양하는 레의 찬가(Litany of Re) 구절이 새겨져 있다. 다른 기둥에는 투트모세 3세가 나무의 모습을 한 이시스 여신에게 젖을 먹는 독특한 그림이 묘사되어 있다.

무덤의 벽 장식은 다른 왕릉의 화려한 장식과는 달리, 장례 파피루스의 필기체 양식을 모방한 단순한 "도해적" 방식으로 그려졌다. 채색 역시 크림색 배경에 붉은색과 분홍색으로 강조된 간단한 검은색 그림과 텍스트로 이루어져 소박하다. 이 장식은 파라오가 혼돈의 뱀 아펩(Apep)을 물리치는 데 신들을 돕는 모습을 묘사하여, 매일 태양의 재생과 파라오 자신의 부활을 보장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78]

투트모세 3세의 미라는 1881년 데이르 알바흐리의 DB320 왕릉 은닉처에서 발견되었다. 이곳은 하트셉수트 여왕의 장례 사원 위쪽에 위치한다. 그의 미라는 아흐모세 1세, 아멘호테프 1세, 투트모세 1세, 투트모세 2세, 람세스 1세, 세티 1세, 람세스 2세, 람세스 9세 등 다른 18왕조 및 19왕조 파라오들과 21왕조의 파라오 피네젬 1세, 피네젬 2세, 시아문의 미라와 함께 발견되었다.

흔히 가스통 마스페로가 1886년에 처음 미라를 풀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1881년 데이르 알바흐리에서 미라들을 옮기는 작업을 감독했던 이집트학자 에밀 브뤼슈가 먼저 풀었다. 미라가 부락 박물관에 도착한 직후, 마스페로가 프랑스에 가 있는 동안 브뤼슈가 미라를 풀었고, 이후 이집트 고고학 서비스의 사무총장은 미라를 다시 감싸도록 지시했다. 따라서 1886년 마스페로가 "공식적으로" 미라를 풀었을 때, 그는 이미 미라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80]

미라는 고대에 무덤 도굴꾼들에게 심하게 훼손되었으며, 이후 미라를 재발견한 라술(Rasul) 가족에 의해 붕대가 잘리고 찢어졌다.[81] 마스페로는 미라의 상태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그의 미라는 안전하게 숨겨지지 못했다. 20왕조 말기에 도굴꾼들이 관에서 꺼내 보석을 훔치고, 전리품을 가져가려는 서두름 속에 손상시켰다. 이후 다시 매장되었고 오늘날까지 방해받지 않았다. 그러나 재매장 전에 붕대를 어느 정도 수리해야 했고, 시신의 일부가 느슨해졌기 때문에, 복원가들은 미라에 필요한 단단함을 주기 위해 흰색으로 칠한 네 개의 노 젓개 모양의 나무 조각 사이에 압축하여, 세 개는 붕대 안에, 하나는 붕대 밖에, 그리고 덮개 천을 고정하는 띠 아래에 놓았다.[82]


손상되지 않은 얼굴에 대해 마스페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다행히도 미라를 만든 당시 피치로 덧칠했던 얼굴은 이러한 거친 취급으로 전혀 손상되지 않았고, 보호용 가면을 제거했을 때 온전한 모습을 드러냈다. 그 모습은 우리가 생각하는 정복자의 이상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의 조각상들은 그를 남성적인 아름다움의 전형으로 묘사하지는 않지만, 세련되고 지적인 특징을 보여주지만, 미라와 비교해 보면 예술가들이 모델을 이상화했음을 알 수 있다. 이마는 비정상적으로 낮고, 눈은 깊이 들어가 있으며, 턱은 무겁고, 입술은 두껍고, 광대뼈는 매우 돌출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투트모세 2세의 얼굴과 닮았지만 더 큰 활력을 보여준다.[82]


마스페로는 미라의 상태와 다른 모든 미라도 비슷하게 손상되었을 가능성에 너무 실망하여 몇 년 동안 다른 미라를 풀지 않았다.[81]

데이르 알바흐리 왕가의 계곡의 다른 많은 예와 달리, 시신을 담았던 나무 미라 형태의 관은 파라오에게 원래 있던 것이었지만, 있었을지도 모르는 금박이나 장식은 고대에 깎여 나갔다.

해부학자 그래프턴 엘리엇 스미스는 미라를 조사하면서 투트모세 3세 미라의 키를 1.615m라고 밝혔지만,[83] 발이 없었으므로 투트모세 3세는 스미스가 제시한 수치보다 키가 더 컸을 것이다.[84] 이 미라는 이집트 박물관의 왕가의 미라 홀, 목록 번호 CG 61068에 있었다.[85] 2021년 4월, 이집트 문명 국립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다른 17명의 왕과 4명의 여왕의 미라와 함께 파라오의 황금 행렬에 참여했다.[86]

참조

[1]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 Hudson Ltd.
[2] 웹사이트 Ancient Egypt's Greatest Warrior: TuthmosIs The 3rd – Egypt's Napoleon (Full History Documentary) http://dokus.w4f.eu/[...] 2019-03-30
[3] 서적 Fighting Pharaohs: Weapons and warfare in ancient Egypt Peartree
[4] 서적 Thutmose III: A Military Biography of Egypt's Greatest Warrior King https://archive.org/[...] Potomac Books
[5]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2, Part 2: The Middle East and the Aegean Region, c. 1380–1000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utmose III: A Military Biography of Egypt's Greatest Warrior King https://archive.org/[...] Potomac Books
[7] 서적 An Introduction to Egyptology Crescent Books
[8] 서적 Thutmose III: A Military Biography of Egypt's Greatest Warrior King https://archive.org/[...] Potomac Books
[9] 서적 Great Captains of Antiquity Greenwood Press
[10] 서적 Great Captains of Antiquity Greenwood Press
[11] 서적 The Great Name: Ancient Egyptian Royal Titulary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12] 서적 History of Egypt and Other Works https://penelope.uch[...] Harvard University Press – Loeb Classical Library no. 350
[13]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Sterling Publishing Co., Inc.
[14] 서적 Hatchepsut: The Female Pharaoh Viking
[15] 서적 Thutmose III: A New Biography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6] 서적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Thames and Hudson
[17] 서적 The Chronology of the Amarna Letter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Hypothetical Coregency of Amenophis III and Akhenaten The Johns Hopkins Press
[18]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20] 간행물 The Chronology of the Eighteenth Dynas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서적 Ancient Egyptian Coregencies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23] 서적 Chronologie des Pharaonischen Ägypten Philipp von Zabern
[24]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9-10-22
[25] 서적 Ancient Times: A History of the Early World;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Ancient History and the Career of Early Man. Outlines of European History 1 Ginn and Company
[26] 백과사전 Thutmose https://www.britanni[...] 2024-10
[27] 간행물 The Euphrates Campaign of Tuthmosis III
[28]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9] 서적 When Egypt Ruled the East University of Chicago
[30]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in Ancient Tim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서적 When Egypt Ruled the East University of Chicago
[32]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When Egypt Ruled the East University of Chicago
[34] 서적
[35] 기타 Urkunden der 18. Dynastie
[36] 서적 When Egypt Ruled the East University of Chicago 1942
[37]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38] 서적 undefined 2003
[39]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06
[40]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06
[41] 서적 undefined 2003
[42]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06
[43] 서적 undefined 2003
[44]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Vol. I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06
[45] 서적 undefined 2003
[4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1988
[47] 서적 undefined 2003
[4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1988
[49] 서적 undefined 2003
[50] 서적 The lost tombs of Thebes: life in paradise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009
[51] 서적 Science in the Study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52] 서적 undefined 2003
[53] 서적 undefined 2003
[54]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1988
[55] 서적 undefined 2003
[56] 서적 undefined 2003
[57] 서적 undefined 2003
[58] 서적 undefined 2003
[59] 서적 undefined 2003
[60] 서적 undefined 2003
[61] 서적 undefined 2003
[62] 서적 undefined 2003
[63] 서적 undefined 2003
[64] 서적 undefined 2003
[65] 서적 undefined 2003
[66] 서적 undefined 2003
[67]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1994
[68] 서적 Thutmose III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69] 서적 Thutmose III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70] 간행물 Review of Glass Vessels before Glass-Blowing by Poul Fossing The Burlington Magazine for Connoisseurs 1941
[7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7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Librairie Arthéme Fayard
[73]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Vol. II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4] 박물관자료 Berlin, Ägyptisches Museum
[75] 서적 The Dictionary of Ancient Egypt Harry N. Abrams, Inc.
[76]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77] 서적 Eternal Egypt: Masterworks of Ancient Art from the British Museu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8] 서적 Treasures of the Pharaohs Chronicle Books LLC
[79] 서적 Studies in the Reign of Amenophis II Hildesheimer Ägyptologische Beiträge (HÄB) Verlag
[80] 서적 Tombs, Treasures, Mummies: Seven Great Discoveries of Egyptian Archaeology KMT Communications, Inc.
[81] 서적 The Valley of the Kings Castle Books
[82] 서적 History Of Egypt, Chaldaea, Syria, Babylonia, and Assyria, Volume 5 (of 12) http://www.gutenberg[...] 2005-12-16
[83] 서적 The Royal Mummies Duckworth
[84] 서적 Tombs, Treasures, Mummies: Seven Great Discoveries of Egyptian Archaeology KMT Communications, Inc.
[85] 학술지 Identifications of ancient Egyptian royal mummies from the 18th Dynasty reconsidered 2016-01-25
[86] 뉴스 22 Ancient Pharaohs Have Been Carried Across Cairo in an Epic 'Golden Parade' https://www.sciencea[...] 2021-04-05
[87] 기타
[88]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89]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90]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91]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92] 기타
[93]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ニッポニカ
[98] 서적 ブリタニカ
[99] 서적
[100] 서적 世界の歴史I
[101] 서적 이집트 역사 100장면 가람기획
[102] 서적 The Pageant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Allyn & Bacon
[103] 서적 Egypt of the Pharaohs Oxford: Clarendo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