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은 로마 군단으로, 트라야누스 황제에 의해 창설되었다. 창설 연도는 불분명하나, 서기 101년으로 추정된다. 이 군단은 파르티아 원정, 유대 반란 진압, 알렉산드리아 포위전, 시리아 반란 진압 등 다양한 전투에 참전했으며, 3세기 초에는 게르만족 원정에 참여하여 '게르마니카'라는 칭호를 받았다. 5세기 초에는 이집트 아폴로노폴리스 마그나에 배치되어 이집트 국경 부대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세기 이집트 -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아비디우스 카시우스는 2세기 로마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파르티아 전쟁에서의 공훈과 시리아 총독 역임 후 175년 반란을 일으켰으나 암살당했다.
  • 2세기 이집트 - 바실리데스주의
    바실리데스주의는 2세기 알렉산드리아에서 바실리데스에 의해 창시된 영지주의의 한 분파로, 아브락사스를 숭배하고 마법과 신비로운 믿음을 가지며 이레나이우스 등에 의해 이단으로 비판받았다.
  • 트라야누스 - 트라야누스 포룸
    트라야누스 포룸은 트라야누스 황제가 다키아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한 고대 로마의 광장으로, 바실리카 울피아, 트라야누스 원주, 도서관, 신전 등을 포함한 복합 건축물이었으나 현재는 일부만 남아있다.
  • 트라야누스 - 알칸타라 다리
    알칸타라 다리는 루시타니아 속주 시대에 건설되어 전쟁으로 파괴된 후 재건되었으며, 현재 181.7m 길이의 6개 아치로 구성되었고 로마 비문과 설계자를 기리는 신전이 존재한다.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의 문장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의 문장
존속 기간105년 ~ 4세기
충성 대상로마 제국
병종군단병
규모약 5,000명
별칭안토니니아 (Antoninia)
포르티스 (Fortis)
모토없음
역사
창설105년, 트라야누스 황제
활동 지역이집트 (125년 ~ ?)
유대 속주 (132년 ~ 136년)
다키아
주요 전투 및 활동
전투제2차 다키아 전쟁 (105년 ~ 106년)
키토스 전쟁 (115년 ~ 117년)
바르 코흐바의 난 (132년 ~ 136년)
주둔지알렉산드리아 (125년 ~ ?)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

2. 기원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트라야누스 황제가 제2군단 트라이아나와 제30군단 울피아 빅트릭스를 창설했다.[8][1] 하지만 자세한 내용과 순서는 불분명하다. H.M.D. 파커는 제30군단 울피아가 먼저 창설되었고, 당시에는 29개의 군단이 있었으며, 이후 제21군단 라팍스가 야만족 침략과의 전투 또는 내전으로 멸망한 후 제2군단 트라이아나가 창설되었다고 주장했다.[9][2]

군단 창설 연도는 불확실하지만, 그레이엄 웹스터는 서기 101년으로 추정한다.[10][3] 루키우스 코소니우스 갈루스가 그의 경력 동안 맡았던 직책들이 열거된 초기 명문에 따르면, 갈루스는 처음에 제21군단 라팍스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이었고, 제1차 다키아 전쟁에서 공로를 세운 뒤 몇 년 후에 제2군단 트라이아나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11][4] 확실한 기록은 갈루스가 보조 집정관으로 있던 시기인 108년에 제2군단 트라이아나가 존재했다는 것이다.[11][4]

3. 참전

115년,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은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 대군에 포함되었다.[12] 117년에는 유대 속주에서 반란이 막 끝난 후 평화 유지를 위해 배치되었다.[12] 123년 파르티아인들과 충돌 동안,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콰르티누스는 트라이아나 제2군단과 키레나이카 제3군단 병력들로 이뤄진 부대를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수행원단에 앞에 서서 유프라테스강 유역으로 이끌었다.[12] 125년에, 트라이아나 군단은 데이오타리아나 제22군단과 같이 니코폴리스 (알렉산드리아 바로 옆)에 있는 주둔지를 같이 쓰도록 아이깁투스 속주로 처음 보내졌다.[12] 132년136년 사이, 이들은 바르 코크바의 난을 처리하기 위해 다시 유대 지역으로 보내졌다.[13]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시절의 한 비문은 이 당시에 트라이아나 제2군단이 아이깁투스에 배치된 유일한 군단이라는 것을 나타냈다.[13]

172년 이집트 남부에서 로마 지배에 대한 반란이 발생하여, 트라이아나 제2군단이 주둔하던 알렉산드리아가 몇 달간 포위되었다. 역병과 기근에도 불구하고, 알렉산드리아 방어군은 굳건히 맞섰다.

아비디우스 카시우스가 시리아 군단을 이끌고 도착하여 트라이아나 제2군단과 데이오타리아나 제22군단을 구원하였다. 트라이아나 제2군단은 "로마의 빵 바구니"인 이집트를 용감하게 방어한 공로로 '포르티스'(Fortis, 용감한)라는 칭호를 받았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가 마르코만니 전쟁으로 바쁜 동안, 아비디우스 카시우스는 스스로 황제라 칭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아우렐리우스가 살아있다는 것과 다뉴브 군단을 이끌고 온다는 것을 알게 된 트라이아나 제2군단은 다른 군단들과 함께 카시우스를 처형하고 그의 머리를 황제에게 보냈다. 아우렐리우스는 반란에 가담했던 병력들에 처벌을 하지 않았다.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의 역사는 로마 군단들의 정치적 역할에 관한 예시를 보여준다. 194년에, 시리아 속주의 총독 페스켄니우스 니게르는 트라이아나 군단 및 다른 군단들의 지지로 반란을 일으켰다. 그의 적수는 황제가 되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였다. 최후의 결전이 벌어지기 전 날에, 트라이아나 군단은 편을 바꾸어 세베루스에게 충성을 맹세하였다. 이 행위가 페스켄니우스의 패배에 결정적이었을 수 있다.

3세기 초,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은 카라칼라 황제의 게르만족 원정에 참여하여 '''''게르마니카'''''라는 코그노멘을 수여받았다.

3. 1. 파르티아 원정 (115년 ~ 117년)

115년에,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은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 대군에 포함되었다.[12][5] 117년에, 군단은 유대에서 반란이 막 끝난 후 평화 유지를 위해 유대 속주에 배정되었다.[12] 123년에 파르티아인들과 충돌 동안,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콰르티누스는 트라이아나 제2군단과 키레나이카 제3군단 병력들로 이뤄진 부대를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수행원단에 앞에 서서 유프라테스강 유역으로 이끌었다.[12] 125년에, 트라이아나 군단은 데이오타리아나 제22군단과 같이 니코폴리스 (알렉산드리아 바로 옆)에 있는 주둔지를 같이 쓰도록 아이깁투스 속주로 처음 보내졌다.[12]

3. 2. 유대 반란 진압 (117년, 132년 ~ 136년)

115년,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은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 대군에 포함되었다.[12] 117년에는 유대 속주에서 반란이 막 끝난 후 평화 유지를 위해 배치되었다.[12] 123년 파르티아인들과 충돌 동안,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콰르티누스는 트라이아나 제2군단과 키레나이카 제3군단 병력들로 이뤄진 부대를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수행원단에 앞에 서서 유프라테스강 유역으로 이끌었다.[12] 132년136년 사이, 이들은 바르 코크바의 난을 처리하기 위해 다시 유대 지역으로 보내졌다.[13]

3. 3. 알렉산드리아 포위전 (172년)

172년 이집트 남부에서 로마 지배에 대한 반란이 발생하여, 트라이아나 제2군단이 주둔하던 알렉산드리아가 몇 달간 포위되었다.[7] 역병과 기근에도 불구하고, 알렉산드리아 방어군은 굳건히 맞섰다.[7]

아비디우스 카시우스가 시리아 군단을 이끌고 도착하여 트라이아나 제2군단과 데이오타리아나 제22군단을 구원하였다.[7] 트라이아나 제2군단은 "로마의 빵 바구니"인 이집트를 용감하게 방어한 공로로 '포르티스'(Fortis, 용감한)라는 칭호를 받았다.[7]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가 마르코만니 전쟁으로 바쁜 동안, 아비디우스 카시우스는 스스로 황제라 칭하며 반란을 일으켰다.[7] 그러나 아우렐리우스가 살아있다는 것과 다뉴브 군단을 이끌고 온다는 것을 알게 된 트라이아나 제2군단은 다른 군단들과 함께 카시우스를 처형하고 그의 머리를 황제에게 보냈다.[7] 아우렐리우스는 반란에 가담했던 병력들에 처벌을 하지 않았다.

3. 4. 시리아 반란 진압 (194년)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의 역사는 로마 군단들의 정치적 역할에 관한 예시를 보여준다. 194년에, 시리아 속주의 총독 페스켄니우스 니게르는 트라이아나 군단 및 다른 군단들의 지지로 반란을 일으켰다. 그의 적수는 황제가 되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였다. 최후의 결전이 벌어지기 전 날에, 트라이아나 군단은 편을 바꾸어 세베루스에게 충성을 맹세하였다. 이 행위가 페스켄니우스의 패배에 결정적이었을 수 있다.

3. 5. 게르만족 원정 (3세기 초)

3세기 초,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은 카라칼라 황제의 게르만족 원정에 참여하여 '''''게르마니카'''''라는 코그노멘을 수여받았다.

4. 아폴로노폴리스 마그나 배치 (5세기 초)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트라이아나 포르티스 제2군단5세기 초에 아이깁투스 남부 아폴로노폴리스 마그나에 배치되어, 몇몇 벡실라티오들과 같이 이집트 국경 부대 (Comes limitis Aegypti)로 활동했다.

참조

[1]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2] 서적 The Roman Legions 1928
[3] 서적 The Roman Imperial Army Funk and Wagnalls 1969
[4] 간행물 CIL 3 6813
[5] 서적 Hadrian: The Restless Emperor Routledge 1997
[6] 간행물 CIL 6 3492
[7] 서적 Life in Egypt under Roman Rule University Press 1985
[8] 서적 Roman History http://penelope.uchi[...]
[9] 서적 The Roman Legions 1928
[10] 서적 The Roman Imperial Army Funk and Wagnalls 1969
[11] 간행물 CIL 3 6813
[12] 서적 Hadrian: The Restless Emperor Routlege 1997
[13] 간행물 CIL 6 34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