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디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디샤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군주 칭호로, 오스만 제국, 이란, 무굴 제국 등 다양한 국가와 시대에 사용되었다. 오스만 제국에서는 황제를 지칭하는 가장 일반적인 칭호였으며, 외교 관계에서 타국 군주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이란에서는 샤보다 상위의 칭호였으나, 샤한샤보다는 낮은 지위로 사용되었으며, 무굴 제국에서는 최고 군주를 의미했다. 몽골 제국 시대 이후에는 다양한 지역에서 군주 또는 황제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일 칸국과 명나라 시기 기록에서 그 사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
오스만 제국에서 파디샤는 황제를 지칭하는 칭호로, 술탄과 칼리프의 권위를 모두 가진 최고 통치자를 의미했다. 오스만 제국의 군주는 술탄 칭호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지만, 제국 내에서는 술탄이 군주의 후비나 딸 등에게도 사용되는 칭호였기 때문에, 군주의 칭호로는 파디샤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란에서 파디샤(پادشاه|pādshāhfa)는 샤보다 상위 칭호였으나, 샤한샤(왕 중의 왕)보다는 낮은 지위로 사용되었다.[1]
2. 오스만 제국
아흐메디의 《이스켄데르나메》에 따르면, 오스만 제국의 초기 자료 중 하나에서 오르한과 무라드 1세는 술탄 및 베그와 함께 파디샤 칭호를 사용했다.[18] 오스만 제국은 외교상 프랑스 등 유력한 동맹국의 군주에게는 "파디샤" 칭호를 사용하고, 그 외 국가의 군주에게는 "왕(크랄)", 샤, 베이 등의 칭호를 사용하여 차등을 두었다.
2. 1. 오스만 제국의 파디샤
오스만 제국에서 파디샤 칭호는 오스만 황제에게만 사용되었으며, 오스만 재무부는 외국 군주를 파디샤로 언급하는 것을 거의 꺼렸다.[15] 따라서 합스부르크 황제는 이 칭호를 받지 못했고, 단지 "빈의 왕"(beç kıralı)으로 불렸다.[15] 1606년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섭정 포르테는 처음으로 루돌프 2세를 파디샤와 동등하게 인정했다.[16] 1774년 퀴취크 카이나르자 조약은 러시아 제국에도 비슷한 양보를 했다.[17]
아흐메디의 《이스켄데르나메》에 따르면, 오스만 제국의 초기 자료 중 하나에서 오르한과 무라드 1세는 술탄 및 베그와 함께 파디샤 칭호를 사용했다.[18]
오스만 제국에서 군주의 가장 일반적인 호칭은 파디샤였으며, 말기에는 "파디샤"(터키어: padişah)는 세속 권력인 술탄 권과 종교적 권위인 칼리프 권을 겸비한다고 규정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군주는 술탄 칭호로 불리는 경우가 많지만, 제국 내에서는 술탄 칭호가 군주의 후비나 딸의 칭호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오히려 군주의 칭호는 파디샤였다.
또한, 오스만 제국은 외교상 프랑스 등 유력한 동맹국의 군주를 통상 "파디샤"라고 불렀으며, 그 외 국가의 군주에게 사용하는 "왕(크랄)", 샤, 베이 등과 구별하여 우대했다. 유럽에서 본래 황제의 칭호를 가진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 파디샤 칭호가 인정된 것은 17세기 오스만 제국의 군사력이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되면서부터였다. 18세기에는 러시아 제국 황제에게도 파디샤 칭호가 인정되었으며, 점차 파디샤는 오스만 제국과 외교상 대등한 외국 군주에게 널리 사용되는 칭호가 되었다.
2. 2. 외교 관계에서의 사용
오스만 제국은 외교적으로 동맹국 군주에게는 파디샤 칭호를 사용했지만, 다른 국가 군주에게는 왕, 샤, 베이 등의 칭호를 사용하며 차등을 두었다. 프랑스와 같은 유력한 동맹국의 군주는 "파디샤"라고 불렀지만,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는 이 칭호를 인정하지 않고 "빈의 왕"(beç kıralı)이라고 불렀다.[15]
17세기에 오스만 제국의 군사력이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해지면서 합스부르크 황제에게도 파디샤 칭호가 인정되기 시작했다. 1606년 지트바토로크 조약을 통해 루돌프 2세를 파디샤와 동등하게 인정했다.[16] 18세기에는 러시아 제국 황제에게도 파디샤 칭호가 인정되었다. 1774년 퀴취크 카이나르자 조약을 통해 러시아 제국도 이러한 칭호를 받게 되었다.[17]
이처럼 파디샤 칭호는 점차 오스만 제국과 외교적으로 대등한 외국 군주에게 널리 사용되는 칭호가 되었다.
3. 이란
3. 1. 카자르 왕조
이란 고원에서 "파디샤"(پادشاه|pādshāhfa)는 "샤"보다 상위의 칭호였지만, "샤 중의 샤"를 의미하는 샤한샤가 더 높은 지위를 나타내는 칭호로 사용되었다. 카자르 왕조 등에서는 샤한샤가 군주의 칭호였던 반면, 파디샤는 지방 영주 등이 사용했다.[1]
4. 인도
무굴 제국에서 파디샤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군주의 칭호였다. 바부르가 처음 파디샤를 칭했으며, 칸, 라자 등 다양한 칭호를 가진 무슬림(이슬람교도) · 힌두교도 유력자들을 거느린 무굴 제국에서 파디샤는 최고 군주를 의미하는 칭호였다.[1]
4. 1. 무굴 제국의 파디샤
무굴 제국 인도에서 페르시아어 '파디샤'라는 칭호가 군주의 칭호로 사용되었다. 바부르가 처음 파디샤를 칭한 이래, 무굴 제국은 칸, 라자 등 다양한 칭호를 가진 무슬림(이슬람교도) · 힌두교도 유력자들을 거느렸으며, 파디샤는 최고 군주를 의미하는 칭호였다.5. 몽골 제국 시대 이후
몽골 제국은 행정 언어로 위구르어를 사용했지만, 마 와라 안나후르와 호라산의 많은 무슬림들이 궁정 안팎에서 활약했다. 제국 통치하의 지역적 언어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해 몽골어, 위구르어를 비롯한 튀르크어, 페르시아어, 한어, 티베트어 등 행정 용어의 번역을 통일하고 호환성을 갖게 했다고 여겨진다. 일 칸국의 『집사』 등에서는 몽골어의 "카안"이나 "칸"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카안"을 카아안(قاآن|qā'ānfa)으로, "칸"을 한(خان|khānfa)으로 음차하고, "군주", "황제", "제왕"의 의미로 "파디샤"( پادشاه|pādshāhfa)를 사용했다.
『집사』의 「프랑크 역사」에서는 아우구스투스 이래 역대 로마 황제나 카롤루스 대제 등의 프랑크-로마 군주, 오토 1세 이후의 신성 로마 황제를 "룸의 카이사르(Qaysar-i Rūm)"와 함께 "룸의 군주위"( pādshāhī-yi Rūmī) 등으로 표현했다.
5. 1. 일 칸국
가잔은 이슬람교로 개종한 후에 "이슬람의 제왕(파디샤히 이슬람)"(پادشاه اسلام|Pādshāh-i Islāmfa)이라고 칭했다.[1] 일 칸국에서는 몽골 왕족 일반을 "샤흐자다"(شاهزاده|Shāh-zādafa)라고 불렀고, 가잔 등의 군주는 단독으로 "칸", "술탄", "파디샤"를 사용했다.[1] 이러한 페르시아어 칭호 양식은 잘라이르 왕조, 흑양 왕조, 백양 왕조, 티무르 왕조, 무굴 제국, 사파비 왕조, 오스만 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1]5. 2. 명나라
명나라에서 편찬된 한어와 주변 외국어의 대역 어휘집인 『화이역어』의 한 편인 페르시아어판 「회회관역어」라는 자료가 있다.[1] 이 책의 「인물문」에서 "파디샤"( پادشاه|pādshāhfa)를 "[립바]득사흑"으로 한자 음차하여 "군(군주)"의 의미로 사용하고, "샤"( شاه|shāhfa)를 "傻諕중국어"로 한자 음차하여 "군"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다른 곳에서는 "파디샤"를 "[립바]득사"로 한자 음차하여 "천황제"의 의미로 사용하기도 하여, "파디샤"는 일반적인 "군주"와 "황제" 두 가지 의미를 모두 포함하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1]참조
[1]
웹사이트
pasha
http://www.etymonlin[...]
2018-09-22
[2]
웹사이트
Bartbleby.com Dictionary & Etymology
https://web.archive.[...]
[3]
서적
A concise Pahlavi dictionary
1971
[4]
웹사이트
pad(i)shah
https://www.encyclop[...]
2021-09-22
[5]
웹사이트
pādixšā(y) – Encyclopedia Pahlavica
https://www.pahlavic[...]
2021-10-05
[6]
서적
Grundriss der neupersischen Etymologie
https://archive.org/[...]
Strassburg, K.J. Trübner
1893
[7]
웹사이트
Pad – Encyclopedia Pahlavica
https://www.pahlavic[...]
2021-10-08
[8]
웹사이트
Pādis̲h̲āh
https://referencewor[...]
[9]
서적
Byzantium and the Turks in the Thirteenth Century
2014
[10]
웹사이트
Padshah-i Islam: the conversion of Sultan Mahmud Ghazan Khan
https://www.academia[...]
1990
[11]
서적
Hammer and Anvil: Nomad Rulers at the Forge of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2]
웹사이트
Countries Ab-Am
http://www.rulers.or[...]
2005-06-22
[13]
뉴스
श्रद्धा के साथ मनाया पंच पातिशाही गुरु अर्जुनदेव महाराज का शहीदी पर्व
https://www.bhaskar.[...]
1916
[14]
서적
Guru Gobind Singh: Historical and Ideolog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Unistar Books
2021-05-15
[15]
서적
Universal Empire: A Comparative Approach to Imperial Culture and Representation in Eurasi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Venice, Austria, and the Turks in the Seventeenth Century
[17]
서적
What Went Wrong?: Western Impact and Middle Eastern Response
[18]
웹사이트
PADİŞAH پادشاه İslâm devletlerinde çok geniş ülkelere sahip hükümdarlara verilen unvan.
https://islamansikl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