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마늉아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마늉아어족은 호주 원주민 언어의 어족으로, 1988년 케네스 헤일에 의해 명명되었다. 18세기부터 언어 소멸이 진행되어 2017년에는 약 200여 개의 언어만 남았으며, 파마늉아어족은 이들 언어의 강한 친연성을 바탕으로 한다. 파마늉아어족은 어휘, 음운론, 문법 등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보이며, 2004년 연구를 통해 공통 어휘, 세 가지 모음 체계, 독특한 자음 체계가 밝혀졌다. 파마늉아어족의 확산과 관련하여 문화와 의식의 전파가 언어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는 가설이 있으며, 2018년 전산계통학 연구에 따르면 호주 동북부 걸프 평원에서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파마늉아어족의 분류는 전통적 분류와 Bowern & Atkinson의 계산 계통학적 분류로 나뉘며, 다른 어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파마늉아어족 가설에 대한 논쟁도 존재하며, R. M. W. 딕슨의 회의론과 주류 언어학계의 반박이 오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마늉아어족 - 누왈라어
- 파마늉아어족 - 칼라우라가우야어
칼라우 라가우 야어는 호주 토레스 해협 제도의 서부 및 중부 섬에서 사용되는 파마-늉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이자 파푸아어족 및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특징을 공유하며, 명사 형태론이 발달했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파마늉아어족 | |
---|---|
개요 | |
유형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 어족 |
사용 지역 | 오스트레일리아 본토 대부분 (단, 노던 준주와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주의 북부 지역 제외) |
어족 분류 | |
어족1 | 매크로파마늉아어족? |
어족2 | 그레이터 파마늉아어족 |
하위 어족1 | 욜릉우어파 응가르나어파 칼카퉁구어파 마이어파 파마어파 칼라 라가우 야어 이디뉴어 지르발어파 마리어파 와카카비어파 두루불어파 반잘랑어파 굼바잉기르어파 아네완어 위라두리어파 유인쿠리어파 |
하위 어족2 | 깁스랜드어파 요타요타어파 쿨린어파 머리하류어파 투라유라어파 미르니니어파 늉가르어파 카르투어파 |
하위 어족3 | 카냐라만타타어파 응가야르타어파 마릉우어파 응움핀야파어파 와루뭉우어 와티어파 아란다어파 |
하위 어족4 | 칼랄리어 카르니어파 얄리어파 무루와리어 파아칸티어 |
기타 | 분류되지 않은 언어들 |
언어 코드 | |
글라톨로그 | pama1250 |
링구아리스트 | 29-A ~ 29-X (잠정) |
2. 역사
18세기 중엽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의 언어가 오스트레일리아 전 지역에서 널리 쓰였고, 당시에는 약 350여 개의 언어들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후 영국인들의 도래와 함께 침략과 전염병의 확산 등으로 원주민들이 몰살되면서 언어들도 점차 소멸하였다. 2017년 현재는 단 200여 개의 언어들만이 현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들이 서로 강한 친연성을 지닌다는 주장은 이미 18세기경부터 제기되었으나 당시에는 추측에 그쳤다. 1988년 미국의 언어학자 케네스 헤일이 이 주장을 다시 제기하며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의 대부분이 속한 어족을 '파마늉아어족'으로 명명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제어 연구의 권위자였던 영국의 언어학자 로버트 딕슨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언어의 대부분이 사멸하여 친연성을 입증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어 파마늉아어족 가설에 회의적이었으나, 2004년 파마늉아조어 재구에 성공하면서 가설이 점차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2. 1. 파마늉아어족의 확산
파마늉아조어는 약 5천 년 전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이 호주에 거주하기 시작한 4만~6만 년 전에 비하면 매우 최근이다.[3][4] 파마늉아어족이 어떻게 호주 대륙 대부분으로 확산되었고, 파마늉아어족 이전의 언어들을 몰아냈는지는 불분명하다. 한 가지 가설은 집단 간에 문화와 의식이 전파될 때 언어도 함께 전달되었다는 것이다.[3][4]파마늉아어족 하위 집단 간 동근어의 관계를 보면, 파마늉아어족은 여러 면에서 언어동조대의 특징을 지니는 듯하며, 이는 고대에 하위 집단 간 문화 접촉의 여러 물결이 있었음을 시사한다.[5] 특히 로버트 딕슨은 세계의 여러 어족에서 나타나는 계통수 구조가 파마늉아어족을 설명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했다.[6]
2018년 전산계통학적 연구에 따르면 파마늉아어족은 홀로세 중기에 호주 동북부의 걸프 평원 지역으로부터 확산되었다.[7]
3. 특징
2004년 연구에 따르면 파마늉아어족에 속한 언어들은 어휘, 음운론, 문법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보인다.
왈피리어와 같은 전형적인 파마늉아어족 언어는 의존어표시 언어이며 접미사만을 사용하고 문법적 성은 없다. 그러나 탕카어족처럼 파마늉아어족이 아닌 몇몇 언어들도 이 특징을 공유한다. 반대로 야뉴와어처럼 몇몇 파마늉아어족 언어는 핵어표시 언어이며 접두사를 사용하고 복잡한 성 체계를 지니고 있어 이 틀에서 벗어난다.[2]
어휘와 음운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어휘
2004년 연구에 따르면 파마늉아어족의 공통 어휘는 tjina(발), mara(손), pula(2), kuna(똥), nga-(먹다), nya-(보다)이다.[2] 케네스 헤일은 1982년 파마늉아어족에 고유한 어휘 목록을 발표하였다.[2] 그는 파마늉아어족의 고유한 단어들을 나열하고 파마늉아 조어 재구성을 위해 대명사와 격어미를 제안했지만, Evans와 McConvell은 그 중 일부 어원이 신뢰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2]3. 2. 음운론
2004년의 연구에 따르면 파마늉아어족에 속한 언어들은 몇몇 언어를 제외하면 a, i, u 세 가지 모음이 장음과 단음 형태로 존재하며, 대부분 권설음이 존재하지만 마찰음은 거의 없었다. 또한, 유음이 어두에 오지 않는 현상도 확인되었다.[2]Barry Alpher (2004)는 파마늉아조어의 음소 목록을 재구하였는데, 오늘날의 파마늉아어족 언어들과 상당히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파마늉아어족 언어는 어두자음이 최대 하나이고, 마찰음 음소가 없으며, 유음으로 시작하는 단어가 없는 음소배열론적 제약을 따른다.
그러나 유성 마찰음이 발달한 여러 언어가 산재해 있다. 예를 들어 앙구티므리어는 유일한 마찰음이 인데, 다른 언어학자들은 이를 로 분석하기도 한다. 칼라우라가우야어는 이웃한 파푸아 제어와의 접촉을 통해 마찰음을 얻었을 뿐 아니라 마찰음과 파열음의 유·무성 대립까지 얻은 사례이다. 빅토리아주의 여러 언어는 어두에서 을 허용하며, 그 중 하나인 구나이어는 어두의 과 어두 자음군 , 도 허용하는데, 이는 배스 해협 너머의 태즈메이니아 제어도 공유하는 특징이다.
3. 2. 1. 모음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장모음이 되고 강세가 놓인다.
3. 2. 2. 자음
Barry Alpher (2004)는 파마늉아조어의 음소 목록을 다음과 같이 재구하였는데, 오늘날의 파마늉아어족 언어들과 상당히 비슷하다.
파마늉아조어의 설단음 계열은 하나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여러 파마늉아 언어에서 나타나는 설단 치음과 설단 (치)경구개음의 대립은 대부분 특정 환경에서 일어난 음운 변화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2]
그러나 치음이 나타나야 할 자리에 치경구개음이 나타나는 단어가 소수 있으며, 이러한 자음을 *cʲ로 표기한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는 비음 *ɲʲ나 설측음 *ʎʲ가 존재했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는 없다.
3. 3. 음소배열론
일반적으로 파마늉아어족 언어는 다음과 같은 음소배열론적 제약을 따른다. 어두자음은 최대 하나이고, 마찰음 음소는 없으며, 유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없다. 그러나 유성 마찰음이 발달한 여러 언어가 산재해 있다. 예를 들어 앙구티므리어가 그렇다. 하지만 유일한 마찰음이 이고 다른 언어학자들은 이를 로 분석하는 경우도 많다. 더 좋은 예시는 칼라우라가우야어인데, 이웃한 파푸아 제어와의 접촉을 통해 마찰음을 얻었을 뿐 아니라 마찰음과 파열음의 유·무성 대립까지 얻은 사례이다.[2] 빅토리아 주의 여러 언어는 어두에서 을 허용하며, 그 중 하나인 구나이어는 어두의 과 어두 자음군 , 도 허용하는데, 이는 배스 해협 너머의 사멸된 태즈메이니아어족과 공유하는 특징이다.3. 4. 문법
2004년 연구에 따르면 왈피리어와 같은 전형적인 파마늉아어족 언어는 의존어표시 언어이며 접미사만을 사용하고 문법적 성은 없다. 그러나 탕카어족처럼 파마늉아어족이 아닌 몇몇 언어들도 이 특징을 공유한다. 반대로 야뉴와어처럼 몇몇 파마늉아어족 언어는 핵어표시 언어이며 접두사를 사용하고 복잡한 성 체계를 지니고 있어 이 틀에서 벗어난다.[2]4. 분류
파마늉아어족은 매우 다양한 하위 어파 및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 유럽인 정착 이전에는 약 300개의 언어가 존재했으며, 30여 개의 어군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Bowern (2011)의 목록에 따르면, 이들은 어군의 차이에 따라 같은 언어군에 속하는지 증명하기 어렵고, 언어 수에도 차이가 있다. 또한, 북유럽어군처럼 방언과 언어의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4. 1. 전통적 분류
다음은 파마늉아어족의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분류이다.동해안을 따라 케이프요크반도에서 배스 해협으로 내려가면 다음과 같은 언어와 어파가 있다.
남해안을 따라 멜버른에서 퍼스 방향으로 가면 다음과 같다.
어파/언어 | 속한 언어의 수 |
---|---|
요타요타어파 | 2 |
쿨린어파 | 13 |
머리하류어파 | 9 |
투라유라어파 | 8 |
늉어파 | 11 |
서해안을 따라 위로 올라가면 다음과 같다.
어파/언어 | 속한 언어의 수 |
---|---|
카투어파 | 5 |
카냐라만타타어파 | 8 |
응아야타어파 | 12 |
마릉우어파 | 3 |
호주 북부 비파마늉아어족 언어들의 바로 남쪽, 파마어파로부터 내륙으로 들어가면 다음과 같다.
어파/언어 | 속한 언어의 수 |
---|---|
응움빈야파어파 | 10 |
와루뭉우어 | 1 |
왈루와라어파 | 5 |
칼카퉁우어파 | 2 |
마이어파 | 7 |
위의 어파에 둘러싸인 어파들은 다음과 같다.
어파/언어 | 속한 언어의 수 |
---|---|
와티어파 | 15 |
아란다어파 | 9 |
카나어파 | 18 |
얄리어파 | 3 |
무루와리어 | 1 |
바간지어 | 2 |
다른 파마늉아어족 언어들의 북쪽에 홀로 떨어진 어파는 다음과 같다.
어파/언어 | 속한 언어의 수 |
---|---|
욜릉우어파 | 10 |
4. 2. Bowern & Atkinson의 분류 (2012)
Bowern & Atkinson (2012)는 계산 계통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마늉아어족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1]- '''남동부'''
- 빅토리아
- 로어 머레이어
- 빅토리아
- 동부 빅토리아
- 요타요타어
- 구나이어
- 팔란간미당어
- 매크로 쿨린
- 쿨린어
- 붕간디지어
- 뉴사우스웨일스
- 유인-쿠릭어
- 뉴사우스웨일스 중부어
- 북부 해안
- 듀러벌릭어
- 유감베-번잘룽어
- 검바잉기릭어
- 와카-캐빅어
- '''북부'''
- 걸프
- 칼카퉁어
- 마이아빅어
- 파마-마릭어 (약한 지지)
- 파만어
- 칼라우 라가우 야
- 마릭어
- (?) 지르발어
- '''중앙'''
- 아란딕-투라-유라
- 아란딕어
- 투라-유라어
- 퀸즐랜드 남서부
- 카닉어
- 뉴사우스웨일스 북서부
- 얄리어
- 파칸티어
- '''서부'''
- 욜누-나르나 (약한 지지)
- 욜누어
- 나르나어
- 늉기어
- 사막 늉기어
- 마릉구어
- 눔핀-야파어
- 와룸궁어
- 와티어
- 남서부 늉기어
- 필바라어
- 응아야르다어
- 카냐라-만타르타어
- 카르투-난다어
- 미르닝어
- 늉가어
- 잉가르다어
Bowern과 Atkinson은 계산 계통 발생 방법을 사용하여 파마늉아어가 이진 분기 언어족의 특성을 공유하지 않는다는 개념 대신, 언어 간 차용 비율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만큼 높지 않으며 계통 발생적 접근 방식을 허용하는 특징을 모호하게 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Dixon의 회의론에 대한 반론이 되었다.[1]
Bowern과 Atkinson의 계산 모델은 현재 파마늉아어 내부 관련성과 통시성에 대한 결정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5. 다른 어족과의 관계
언어학자 니컬러스 에반스는 파마늉아어족이 가라와어족과 가장 가깝고, 그 다음으로 탕카어족과 가깝다고 주장했다. 또한 군위뉴구어족과 함께 확대 파마늉아어족이라는 대어족을 이룬다고 제안했다.[8] 그러나 이 주장은 아직 학계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다.
6. 파마늉아어족 가설에 대한 논쟁
에번스와 매코널은 왈피리 어와 같은 전형적인 파마늉아어족 언어를 의존 표지 언어이며 성(gender) 구분이 없는 순수 접미사 부착 언어로 묘사했다. 반면, 탕크 어족과 같은 일부 비 파마늉아어족 언어가 이러한 유형을 공유하며, 얀유와 어와 같은 일부 파마늉아어족 언어는 머리 표지 언어이자 복잡한 성 체계를 가진 접두사 부착 언어라는 점에 주목했다.
6. 1. 딕슨의 회의론
R. M. W. 딕슨은 파마늉아어족을 유효한 어족으로 보기 어렵다고 보고했다.[6] 15년 후, 그는 오스트레일리아어족이나 파마늉아어가 어족이라는 생각을 버렸다. 그는 현재 오스트레일리아어를 언어 연합으로 간주한다.딕슨의 오스트레일리아 언어 통시 언어학 이론은 단속 평형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그는 오스트레일리아 언어가 고대부터 존재해 왔으며, 불규칙적인 분기 또는 종분화 사건을 제외하고는 거의 변함없이 평형 상태를 유지해 왔다고 믿는다. 딕슨이 파마늉아어족 분류에 반대하는 이유 중 하나는 그의 모델이 암묵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명확한 이분 분기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6. 2. 주류 언어학계의 반박
켄 헤일은 로버트 딕슨의 회의론을 "매우 기괴하게 결함이 있고 호주에서 비교 언어학의 탁월한 실무자들에게 모욕이 되므로 결정적인 반박이 필요하다"라며 비판했다.[3] 헤일은 파마늉아어족을 지지하는 증거로 호주 북동 해안의 케이프요크 반도에 위치한 Proto-Northern-and-Middle Pamic(pNMP) 계열과 호주 서부 해안의 Proto-Ngayarta 사이에서 발견되는 독특한 대명사 및 문법적 증거(보충을 포함)와 50개 이상의 기본 어휘 동족어(규칙적인 음운 대응 관계를 보임)를 제시했으며, 이 어족의 연령을 원시 인도유럽어와 비교했다.[3]Bowern은 방언 지리학의 원리에 기반하여 딕슨의 이진 계통수 모델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4] 그녀는 파마늉아어의 비이진 분기 특성은 방언이 언어학적으로 분화되면서도 지리적, 사회적 접촉을 유지하는 언어 연속체에서 예상할 수 있는 모습이라고 제안했다. Bowern은 이 지리적 연속체 모델이 단속 평형 모델보다 세 가지 주요 장점을 제시한다고 주장했다.[4]
Bowern과 Atkinson은 추가적인 계산 계통 발생 방법을 사용하여 파마늉아어가 이진 분기 언어족의 특성을 공유하지 않는다는 딕슨의 주장에 반박했다.[5] 이들은 언어 간 차용 비율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만큼 높지 않으며, 계통 발생적 접근 방식을 허용하는 특징을 모호하게 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냈다.[5]
Bowern과 Atkinson의 계산 모델은 현재 파마늉아어 내부 관련성과 통시성에 대한 결정적인 모델로 여겨진다.
참조
[1]
논문
Computational phylogenetics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Pama-Nyungan
http://elischolar.li[...]
2012
[2]
서적
The Enigma of Pama–Nyungan Expansion in Austral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9
[3]
문서
[4]
문서
[5]
간행물
Modeling Ancient Population Structures and Movement in Linguistics
http://www.azwater.g[...]
1997
[6]
서적
The rise and fall of langu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7]
논문
The origin and expansion of Pama–Nyungan languages across Australia
https://www.nature.c[...]
2018
[8]
서적
Archaeology and Linguistics: Global Perspectives on Ancient Australia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