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당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당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팔당리에 있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전철역이다. 1939년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화물 취급을 하다가 중단되었다. 2007년 수도권 전철 중앙선 연장 개통과 함께 종착역이 되었고, 이후 중간역으로 변경되었다. 구 팔당역사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남양주역사박물관, 팔당대교, 한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일산역
    일산역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1933년에 건설된 구 역사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경기도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파주 영국군 설마리전투비
    파주 영국군 설마리전투비는 한국전쟁 설마리 전투에서 전사한 영국군 글로스터셔 연대와 왕립 포병대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파주에 건립된 기념비로, 기념 공원 확장과 '글로스터 영웅교' 출렁다리를 통해 한국과 영국의 우호 관계를 상징한다.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진접역
    진접역은 2022년 3월 19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종착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하역이며, 주변에 해밀마을, 학교, 공원, 경복대학교 등이 위치하고 다음 역은 오남역이다.
  • 남양주시의 전철역 - 오남역
    오남역은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4호선 진접선의 지하역으로, 2022년 3월 19일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진접(경복대)역과 별내별가람역 사이에 위치한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1939년 개업한 철도역 - 춘천역
    춘천역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 ITX-청춘이 정차하며, 1939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한국 전쟁 후 재건되었고, 2027년 춘천속초선 개통으로 교통 허브로 발전할 예정이다.
팔당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현재의 역舎
모국어 표기팔당역
로마자 표기Paldang-yeok
주소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로 107 (팔당리 399-7)
좌표37°32′53.78″N 127°14′38.35″E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노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2면 4선
구조고가역
개업일1939년 4월 1일
역 번호K128
역 등급3급
통계
2023년 승차 인원961명
2023년 승강 인원1,958명
노선 정보
노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영업 거리청량리 기점 22.9km
이전 역K127 도심역 (4.2km)
다음 역K129 운길산역 (6.4km)
역사 (驛舍)
팔당역 舊 역사
유형등록문화재
지정 번호295
소재지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98-1 외
제작 시기일제강점기
지정 연월일2006년 12월 4일

2. 역사

팔당역은 1939년 4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8], 1944년 4월 11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10] 2007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덕소역에서 팔당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종착역이 되었고[8], 2008년 12월 29일에는 국수역까지 연장 개통되어 중간역이 되었다.[9]

구 팔당역사는 일제 강점기 후반부의 철도 역사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아 2006년 12월 4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1] 현재 사용하지 않는 옛 역사는 보존되어 있으며, 쌍용양회공업의 화물 취급을 위해 계속 사용되고 있어 일반인의 접근은 불가능하다.

2010년 4월 27일에는 팔당역사 바로 옆에 남양주역사박물관이 개관하였다. 팔당역은 한강을 마주보고 있는 경기도 하남시 천현동과 가까워 남양주시 시민뿐만 아니라 하남시 시민들도 자주 이용한다.

수도권 전철 5호선의 팔당역 연장 계획이 논의되었으나, 건설 비용 문제와 낮은 경제성으로 인해 무산되었다.[15]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D노선의 팔당역 추가 개통이 예정되어 있다.

2. 1. 연혁

2. 2. 5호선 연장 무산

수도권 전철 5호선 팔당역 연장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해당 계획이 확정된다면 수도권 전철 5호선은 최초로 한강을 3번 건너는 노선이 되는데 건설 비용이 너무 컸다. 단 1개 역을 연장함에도 불구하고, 한강을 건너야 한다는 점으로 인해 건설 비용이 큰 데다 경기도 양평군이 진행한 용역 결과 B/C값이 0.55로 나타나 국가 예산 지원 및 연장 가능성이 크게 낮아졌다.[15]

그럼에도 양평군은 해당 연장을 성사시키고자 팔당대교 교통량 포화로 제2팔당대교 계획이 잡히면서 하남선 연장 사업과 합쳐서 추진하려는 시도를 하였고, 제2팔당대교가 왕복 2차선에 불과하기 때문에 잠실철교와 같은 구조건설되면 양 구조물을 통합함으로써 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리라는 효과를 노렸으나 결국 수도권 전철 5호선연장은 무산되었다.[15]

3. 역명 유래

원시 시대에는 수목이 울창하고 인가가 없었으나, 할 시대에 웃마을과 아래마을에 각각 여덟 호(八戶)의 인가가 생겨 이를 팔당(八堂)이라 부른 데서 비롯되었다.[1]

4. 역 구조

팔당역의 출입구는 1개이다. 2면 4선의 곡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6]

4. 1. 승강장

2면 4선의 곡선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6]

1[17]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용문기지 입고 열차 당역 종착
2양수·양평·용문·지평 방면
3덕소·구리·회기·문산 방면
4문산 방면 회차 및 열차 당역 종착


5. 이용객 변동

2007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7년 12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 5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18]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경의·중앙선승차9341,331777776800847928983953[18]
하차1,1981,3837898078478929701,017949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
경의·중앙선승차8781,0671,0181,008915968985961[18]
하차8631,0541,0161,0229421,0111,041997


5. 1. 경의·중앙선

팔당역 인근의 많은 주민들은 매일 서울로 통근하지만, 이전에는 여객 열차 운행 횟수가 적어 이 지역은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민들은 지역 정치인들과 건설교통부에 청원했다.[2] 이에 따라 팔당역과 도심역이 원래 계획보다 일찍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통근 철도 시스템에 편입되었다.[3] 이 노선의 개통으로 통근 시간이 30분 이상 단축되었다.[4]

2007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7년 12월 27일(목요일)부터 12월 31일(월요일)까지 5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최근 일평균 이용 인원 추이는 다음과 같다.

노선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승차9341,3317777768008479289839538781,0671,0181,008915968985961
하차1,1981,3837898078478929701,0179498631,0541,0161,0229421,0111,041997

[18]

6. 역 주변

이 역은 한강을 마주보고 있는 경기도 하남시 천현동과 가까워 남양주시 시민들뿐만 아니라 팔당대교를 통해 하남시 시민들도 수도권 전철 이용 수단으로 사용한다. 2010년 4월 27일에는 팔당역 바로 옆에 남양주역사박물관이 개관하였다.[15] 2007년에 현재의 역사가 완공되면서 사용하지 않게 된 옛 팔당역사는 보존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드물게 승강장에 역사가 설치된 점, 일제 강점기 후반부의 철도 역사 건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 점 등이 인정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다만, 옛 역사가 있는 舊 팔당역 구내는 쌍용양회공업 사이로의 화물취급을 위하여 계속 사용되고 있어 일반인의 접근은 불가능하다. 舊 역사의 선로는 남한강 자전거길로 향하나 역사를 벗어난 이후 얼마 안 가 선로가 단절된다.[15]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을 제외한 ITX-새마을, 무궁화호와 같은 일반열차는 모두 무정차 통과한다. 수도권 전철 5호선 팔당역 연장이 논의되었으나, 건설 비용 문제와 낮은 경제성으로 인해 무산되었다.[15]

팔당역 인근의 많은 주민들은 서울로 통근하지만, 여객 열차 운행 횟수가 적어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었다. 주민들은 지역 정치인들과 건설교통부에 청원했고,[2] 팔당역과 도심역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통근 철도 시스템에 조기 편입되었다.[3] 이 노선 개통으로 통근 시간이 30분 이상 단축되었다.[4]

주변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이 있다.

7. 인접한 역

한국철도공사
도심역 (K127)-- 경의·중앙선 완행운길산역 (K129)


8. 문화 유산

구 팔당역은 잘 보존되어 있으며, 일제강점기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가장 훌륭한 사례 중 하나이다. 파란색 지붕은 한국 초창기 기차역의 전형적인 모습이며, 이 때문에 국가 문화재로 지정되었다.[1] 구 역사는 현재 2007년에 완공된 신축 역과 나란히 위치해 있으며,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한국 철도가 얼마나 빠르게 발전했는지를 보여주는 놀라운 사례이다.

참조

[1] 뉴스 문화재지정 앞둔 간이역 ‘남양주 팔당역’ http://news.naver.co[...] 국민일보 2006-10-26
[2] 뉴스 팔당주민, 팔당역 조기개통 요구 Newsis 2007-01-19
[3] 뉴스 전철 조기개통으로 지역민원 해결 YTN 2007-12-27
[4] 웹사이트 First-Class경제신문 파이낸셜 뉴스 http://www.fnnews.co[...]
[5] 웹사이트 統計資料 – 韓国鉄道公司 https://info.korail.[...]
[6] 문서 임진강 기점 89.2km
[7] 문서 역명과 위치 정보
[8]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224호 조선총독부관보 1939-04-01
[9]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468호 조선총독부관보 1940-05-10
[10]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593호 조선총독부관보 1944-04-10
[11]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7호 대한민국관보 1977-04-23
[12]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0호 대한민국관보 1977-05-07
[13]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6·7호 대한민국관보 1991-03-09
[14]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1997-20호 대한민국관보 1997-04-21
[15] 문서 수도권 전철 5호선 연장 및 역 구조
[16] 문서 팔당역~아신역 승강장 구조
[17] 문서 열차 탑승 금지 안내
[18]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한국철도공사 2022-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