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은 일제강점기 잔재 청산과 근현대 유산의 체계적 보존 및 관리를 위해 문화재청이 지정하는 문화유산이다. 선정 기준과 절차에 따라 건축물, 시설물, 기타 유산 등 다양한 유형의 문화재가 등록되며, 국가등록문화재는 번호순으로 목록화되어 있다. 이 제도는 근대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기여하지만, 향후 지속적인 관리와 활용 방안 마련이 과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301호 ~ 제400호)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지정된 문화재로, 일제강점기 건축물, 철도 관련 유물, 태극기 등 근현대사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형의 문화유산을 포함하며, 일부는 보물로 승격되거나 지정 해제되기도 하였다.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01호 ~ 제800호)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01호 ~ 제800호)는 2017년부터 2024년까지 문화재청에 등록된 문화재 목록으로, 건축물, 유물, 기록물 등 다양한 유형의 문화재를 통해 한국 근현대사의 여러 모습을 보여준다.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
---|---|
개요 | |
명칭 | 국가등록문화유산 |
한글 명칭 | 국가등록문화유산 |
한자 명칭 | 國家登錄文化遺産 |
일본어 가나 명칭 | こっかとうろくぶんかいさん |
일본어 가타카나 명칭 | クッカドゥンノンムンファユサン |
![]() | |
![]() | |
참고 자료 | |
문화재 검색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국가등록문화재 |
관련 뉴스 | 문화재의 총칭이 '국가유산'으로 국가유산청도 발족=한국 - 연합뉴스 (2024년 5월 17일) |
2. 국가등록문화재 제도의 도입 배경
2. 1. 일제강점기 잔재 청산과 역사 바로 세우기
2. 2. 근현대 유산의 체계적 보존 및 관리
3. 국가등록문화재의 선정 기준 및 절차
3. 1. 선정 기준
3. 2. 선정 절차
4. 국가등록문화재의 유형별 분류
4. 1. 건축물 및 시설물
4. 2. 기타 유산
5. 국가등록문화재 목록 (번호순)
- 제1호 ~ 제100호
- 제101호 ~ 제200호
- 제201호 ~ 제300호
- 제301호 ~ 제400호
- 제401호 ~ 제500호
- 제501호 ~ 제600호
- 제601호 ~ 제700호
- 제701호 ~ 제800호
- 제801호 ~ 제900호
5. 1. 제1호 ~ 제100호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는 문화재청이 지정하는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제1호부터 제100호까지는 다음과 같다.[1]번호 | 등록명 | 소재지 | 관리자 |
---|---|---|---|
001 |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 서울 | 한국전력공사 |
002 |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 서울 | 서울시교육청 |
003 | 서울 이화여자고등학교 심슨 기념관 | 서울 | 학교법인 이화학원 |
004 | 대구 효목동 조양회관 | 대구 | 동구 |
005 | 구 대구사범학교 본관 및 강당 | 대구 | 중구 |
006 | 청주 대성고등학교 본관 | 충북 | 청주시 |
007 | 옥천성당 | 충북 | 옥천군 |
008 |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 충북 | 진천군 |
009 | 청주 문화동 일양절충식 가옥 | 충북 | 청주시 |
010 | 강경 구 연수당 건재약방 | 충남 | 논산시 |
011 | 서울 구 국회의사당 | 서울 | 중구 |
012 |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본관 및 교사 | 서울 | 노원구 |
013 | 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 | 서울 | 동작구 |
014 |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 서울 | 학교법인 이화학원 |
015 | 대구 동산병원 구관 | 대구 | 동구 |
016 |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 | 광주 | 동구 |
017 |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 · 별관 · 체육관 | 광주 | 동구 |
018 |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 대전 | 충청남도 |
019 | 구 산업은행 대전지점 | 대전 | 한국산업은행 |
020 | 구 조흥은행 대전지점 | 대전 | 신한은행 |
021 | 태백 철암역 두 선탄시설 | 강원 | 태백시 |
022 | 철원 노동당사 | 강원 | 철원군 |
023 | 구 철원감리교회 | 강원 | 철원군 |
024 | 철원 얼음 창고 | 강원 | 철원군 |
025 | 철원 농산물 검사소 | 강원 | 철원군 |
026 | 철원 승일교 | 강원 | 철원군 |
027 | 화천 인민군 사령부 막사 | 강원 | 화천군 |
028 | 진안성당 어은공소 | 전북 | 진안군 |
029 | 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 전남 | 목포시 |
030 | 구 목포공립심상소학교 | 전남 | 목포시 |
031 | 여수 구 청년회관 | 전남 | 여수시 |
032 | 여수 구 애양원교회 | 전남 | 대한예수교장로회 애양교회 |
033 | 여수 애양병원 | 전남 | 사회복지법인 애양원 |
034 | 구 나주경찰서 | 전남 | 나주시 |
035 | 진주 문산성당 | 경남 | 진주시 |
036 | 구 통영청년단회관 | 경남 | |
037 | 함양 구 임업시험장 하동 · 함양지장 | 경남 | 함양군 |
038 | 남제주 강병대교회 | 제주 | 서귀포시 |
039 | 남제주 비행기 격납고 | 제주 | 서귀포시 |
040 | 서울 창녕위궁 재사 | 서울 | 서울시 중부 푸른도시사업 |
041 |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 부산 | |
042 | 구 강경성결교회 예배당 | 충남 | 논산시 |
043 | 목포 구 청년회관 | 전남 | 목포시 |
044 | 나주 노안성당 | 전남 | 나주시 |
045 | 연천역 급수탑 | 경기 | |
046 | 삼척 도계역 급수탑 | 강원 | 국가철도공단 |
047 | 영동 추풍령역 급수탑 | 충북 | 국가철도공단 |
048 | 논산 연산역 급수탑 | 충남 | 국가철도공단 |
049 | 안동역 급수탑 | 경북 | |
050 | 영천역 급수탑 | 경북 | 국가철도공단 |
051 | 밀양 삼랑진역 급수탑 | 경남 | 국가철도공단 |
052 | 구 서울특별시청사 | 서울 | |
053 | 서울 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 회관 | 서울 | |
054 |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 강원 | |
055 | 청주 충청북도청 본관 | 충북 | |
056 | 대한통운 제천 영업소 | 충북 | 제천시 |
057 | 옥천 죽향초등학교 구 교사 | 충북 | |
058 | 진천 덕산 양조장 | 충북 | 진천군 |
059 | 영동 노근리 쌍굴교 | 충북 | 국가철도공단 |
060 | 강경중앙초등학교 강당 | 충남 | |
061 | 김제 죽산리 구 일본인 농장 사무소 | 전북 | 김제시 |
062 | 목포 정명여자중학교 구 선교사 사택 | 전남 | |
063 | 함평 구 학교역 급수탑 | 전남 | |
064 | 군산 동국사 대웅전 | 전북 | |
065 | 제천엽연초생산조합 구 사옥 | 충북 | 제천시 |
066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검시실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067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감금실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068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사무본관 및 강당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069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만령당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070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식량 창고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071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신사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072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등대 | 전남 | 여수지방해양수산청 |
073 | 고흥 소록도 구 녹산초등학교 교사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074 | 고흥 소록도 구 성실중고등성경학교 교사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075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원장 관사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076 | 파주 구 장단면 사무소 | 경기 | |
077 | 파주 경의선 구 장단역 터 | 경기 | |
078 | 경의선 장단역 증기 기관차 | 경기 | 경기관광공사 |
079 | 파주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 | 경기 | |
080 | 서울 | 덕수궁 관리소 | |
081 | 서울 | 덕수궁 관리소 | |
082 | 서울 | 덕수궁 관리소 | |
083 | 창경궁 대온실 | 서울 | 창경궁 관리소 |
084 | 서울 원서동 고희동 가옥 | 서울 | |
085 | 서울 계동 배렴 가옥 | 서울 | |
086 | 서울 | ||
087 | 서울 홍지동 이광수 별장 터 | 서울 | |
088 | 서울 | ||
089 | 서울 평창동 박종화 가옥 | 서울 | |
090 | 서울 홍파동 홍난파 가옥 | 서울 | |
091 | 서울 돈암장 | 서울 | |
092 | 서울 의릉 구 중앙정보부 강당 | 서울 | 의릉관리소 |
093 |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생활관 | 서울 | |
094 | 광주 조선대학교 본관 | 광주 | |
095 | 광주 수창초등학교 본관 | 광주 | |
096 | 광주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1호관 | 광주 | |
097 | 광주교육대학교 본관 | 광주 | 광주교육대학교 |
098 | 구 동양척식회사 대전지점 | 대전 | |
099 | 한국전력공사 대전 급전소 | 대전 | 한전대전급전소 |
100 | 대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구 충청지원 | 대전 |
5. 2. 제101호 ~ 제200호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제101호 ~ 제200호는 다음과 같다.[1]번호 | 등록명 | 소재지 | 관리자 |
---|---|---|---|
101 | 대전 충청남도청 구 관사 1 · 2 · 5 · 6호 및 부속 창고 | 대전 | |
102 | 울산 구 상북면 사무소 | 울산 | 상북면사무소 |
103 | 울산 언양성당 및 사제관 | 울산 | 개인 |
104 | 울산 구 삼호교 | 울산 | 울산시 |
105 | 울산 남창역사 | 울산 | |
106 | 울산 울기등대 구 등탑 | 울산 | 울산광역시 해양수산청 |
107 | 춘천 강원도지사 구 관사 | 강원 | 춘천문화원 |
108 | 구 홍천군청 | 강원 | 홍천읍사무소 |
109 | 화천수력발전소 | 강원 | 화천수력발전소 |
110 | 화천 코모크교 | 강원 | |
111 | 태백 장성 제2교 | 강원 | |
112 | 철원 금강산 전기철도 교량 | 강원 | 철원군 |
113 | 제주 이승만 별장 | 제주 | |
114 | 목포 양동교회 | 전남 | |
115 | 여수 장천교회 | 전남 | |
116 | 여수 마래 제2터널 | 전남 | |
117 | 구 함평성당 | 전남 | |
118 | 함평 월호리 일본식 가옥 및 창고 | 전남 | |
119 | 영광 법성리 일본식 여관 | 전남 | |
120 | 구례읍 사무소 | 전남 | |
121 | 구례 구 방광국민학교 교사 | 전남 | |
122 | 구 곡성역사 | 전남 | |
123 | 순천 매산중학교 매산관 | 전남 | |
124 | 구 순천선교부 외국인 어린이 학교 | 전남 | |
125 | 전남 | ||
126 | 순천 구 선교사 프레스톤 가옥 | 전남 | |
127 | 순천 구 남장로교회 조지 왓츠 기념관 | 전남 | |
128 | 순천 구 원창역사 | 전남 | |
129 | 나주 영산포 자기수위표 | 전남 | |
130 | 장흥 회령리 일본식 가옥 | 전남 | |
131 | 장흥 기양리 일본식 가옥 | 전남 | |
132 | 구 보성여관 | 전남 | 문화유산국민신탁 |
133 | 서울 한국기독교 장로회 총회선교교육원 | 서울 | |
134 | 서울 돈의동 권진규 아틀리에 | 서울 | |
135 | 서울 | ||
136 | 서울 구 신촌역사 | 서울 | |
137 | 구 철원 제2금융조합 건물 터 | 강원 | |
138 | 원주역 급수탑 | 강원 | 국가철도공단 |
139 | 원주 원동성당 | 강원 | |
140 | 원주 흥업성당 대안리 공소 | 강원 | |
141 | 삼척 성내동성당 | 강원 | |
142 | 동해 구 상수 시설 | 강원 | |
143 | 고성 합축교 | 강원 | |
144 | 괴산군수 관사 | 충북 | |
145 | 창녕 남지철교 | 경남 | |
146 | 광주 장덕동 근대 한옥 | 광주 | |
147 | 경남 | ||
148 | 산청 득리 근대 한옥 | 경남 | |
149 | 구 통영군청 | 경남 | |
150 | 통영 문화동 배수 시설 | 경남 | |
151 | 밀양 교동 근대 한옥 | 경남 | |
152 | 밀양 퇴로리 근대 한옥 | 경남 | |
153 | 경남 | ||
154 | 진주 옥봉성당 | 경남 | |
155 | 구 제주도청사 | 제주 | |
156 | 서귀포 천제연 관개수로 | 제주 | |
157 | 남제주 구 대정면 사무소 | 제주 | |
158 | 광주 구 스페어여자학교 스페어 홀 | 광주 | |
159 | 광주 구 스페어여자학교 커티스 메모리얼 홀 | 광주 | |
160 | 철원 수도국 터 급수탑 | 강원 | |
161 | 춘천 소양로성당 | 강원 | |
162 | 홍천성당 | 강원 | |
163 | 횡성 풍수원성당 구 사제관 | 강원 | |
164 | 구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 강원 | |
165 | 원주 구 반곡역사 | 강원 | |
166 | 구 태백등기소 | 강원 | |
167 | 태백경찰서 망루 | 강원 | |
168 | 구 철도청 대전지역사무소 급전창고 3호 | 대전 | |
169 | 대전 | ||
170 | 구 제일은행 여수지점 | 전남 | |
171 | 서울 누하동 이상범 가옥 및 화실 | 서울 | 개인 |
172 | 전주 신흥고등학교 강당 및 본관 현관 | 전북 | |
173 | 전주 중앙동 구 박다옥 | 전북 | |
174 | 전주 다가동 구 중국인 포목 상점 | 전북 | |
175 | 정읍 신태인 구 정미 공장 창고 | 전북 | |
176 | 구 고창고등보통학교 강당 | 전북 | |
177 | 구 부안금융조합 | 전북 | |
178 | 익산 구 이리농림학교 축산과 교사 | 전북 | |
179 | 원불교 익산성지 | 전북 | |
180 | 익산 중앙동 구 삼산병원 | 전북 | |
181 | 익산 구 익옥수리조합 사무소 및 창고 | 전북 | |
182 | 군산 발산리 구 일본인 농장 창고 | 전북 | |
183 | 군산 신흥동 일본식 가옥 | 전북 | |
184 | 군산 해망굴 | 전북 | |
185 | 김제 증산법종교 본부 영대 및 삼청전 | 전북 | |
186 | 김제 구 백구금융조합 | 전북 | |
187 | 김제 신풍동 일본식 가옥 | 전북 | |
188 | 임실 오수망루 | 전북 | |
189 | 장수성당 수분공소 | 전북 | |
190 | 장수 호룡요새 | 전북 | |
191 | 진안 강정리 근대 한옥 | 전북 | |
192 | 진해역 | 경남 | |
193 | 구 진해해군통제부 병원장 사택 | 경남 | |
194 | 구 진해요항부 사령부 | 경남 | |
195 | 구 진해방비대 사령부 | 경남 | |
196 | 구 진해방비대 사령부 별관 | 경남 | |
197 | 구 진해요항부병원 | 경남 | |
198 | 구 마산헌병분견대 | 경남 | |
199 | 마산 봉암수원지 | 경남 | |
200 | 창원 소답동 김종영 생가 | 경남 |
5. 3. 제201호 ~ 제300호
통영 해저터널은 1931년부터 1932년까지 1년 4개월에 걸쳐 만들어진 동양 최초의 해저터널이다. 길이 483m, 너비 5m, 높이 3.5m로, 통영시와 미륵도를 연결한다. 바다 양쪽을 막는 방파제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터널을 만든 뒤 다시 방파제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터널 입구는 용문(龍門)으로 되어 있다.진주역 차량 정비고는 1925년 삼랑진역과 진주역 간 철도 개통과 함께 설치된 철도 시설이다. 철골 콘크리트 구조로, 내부에 검수고 2동이 있다. 2005년에 이전하면서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거창 정장리 양식 가옥은 1937년에 지어진 2층 주택으로, 붉은 벽돌을 쌓아 만들었다. 정면 현관의 포치(porch)와 2층 발코니, 굴뚝 등이 특징적이다.
밀양 구 비행기 격납고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군이 사용하던 군사 시설이다. 태평양 전쟁 당시 가미카제 특공대의 비행 훈련장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6동의 격납고가 남아 있다.
군산 구 제1수원지 제방은 1915년에 완공된 수원지 시설의 일부이다. 제방은 흙으로 쌓았고, 석축으로 마감했다.
익산 춘포리 구 일본인 농장 가옥은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 농장주가 거주하던 곳이다.
정읍 영주정사 및 영양사는 1929년에 건립된 건물로, 동학 농민 운동과 관련이 있다. 영모재는 1937년에 건립되었다.
정읍 관청리 근대 한옥은 전통 한옥에 일본식 주택의 요소가 결합된 형태이다.
정읍 화호리 구 일본인 농장 가옥은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식 주택이다.
장수경찰서 관사는 1920년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 경찰서장의 관사로 사용되었다.
포항 구 삼화제철소 고로는 1930년대에 건립된 제철 시설이다.
봉화 유곡리 근대 한옥은 1930년대에 건립된 한옥으로, 전통적인 건축 양식과 근대적인 요소가 혼합되어 있다.
김제 신풍동 근대 한옥과 김제 종신리 한일 절충식 가옥은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주택들이다.
완주 구 삼례양수장은 1924년에 건립된 양수 시설이다.
곡성 구 삼기면 사무소는 1935년에 건립된 관공서 건물이다.
광양 서울대학교 남부 연습림 관사는 1935년에 건립된 건물로,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의 연습림 관리소로 사용되었다.
순천 별량농협 창고는 1930년에 건립된 농산물 저장 창고이다.
순천 옥천동 일본식 가옥은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식 주택이다.
보성 구 벌교금융조합은 일제 강점기에 설립된 금융 기관 건물이다.
고흥 구 풍양금융조합은 일제 강점기에 설립된 금융 기관 건물이다.
곡성 단군전은 1923년에 건립된 건물이다.
서울 계동 근대 한옥은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도시형 한옥이다.
서울 혜화동성당은 1927년에 건립된 성당 건물이다.
서울 창전동 공민왕 사당은 1909년에 건립된 사당 건물이다.
공주 금강철교는 1933년에 준공된 철교로, 금강을 가로지른다.
공주 중학동 구 선교사 가옥은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선교사 주택이다.
남해 덕신리 하천재는 조선 후기에 건립된 재실 건물이다.
울릉 도동리 일본식 가옥은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식 주택이다.
고흥 구 녹동우체국은 1915년에 건립된 우체국 건물이다.
서울 구 대법원 청사는 1928년에 건립된 법원 건물이다.
서울 구 미국문화원은 1938년에 건립된 건물이다.
구 목포사범학교 본관은 1942년에 건립된 학교 건물이다.
창덕궁 희정당에는 총석정 절경도와 금강산 만물소승경도가, 대조전에는 봉황도와 백학도가, 경훈각에는 아침선관도와 삼선관파도 등 1920년에 제작된 벽화들이 있다.
인천 선린동 공화춘은 1912년경에 건립된 중국 음식점 건물이다.
대한민국 수춘원점은 1933년에 건립된 중국 음식점 건물이다.
구 일본우선 주식회사 인천지점은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해운 회사 건물이다.
구 인천부 청사는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관공서 건물이다.
서울 한강철도교는 1900년에 최초로 개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재가설되었다.
대구 대봉배수지는 1918년에 건립된 상수도 시설이다.
대구화교협회는 1929년에 건립된 건물이다.
영천 과전동 일본식 가옥은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일본식 주택이다.
영천 구 화룡교는 1933년에 건립된 다리이다.
영양 구 용화광산 선광장은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광산 시설이다.
청도 구 풍각면 사무소는 1931년에 건립된 관공서 건물이다.
봉화 척곡교회는 1934년에 건립된 교회 건물이다.
고성 학동마을, 거창 황산마을, 산청 단계마을, 성주 한개마을, 무주 지전마을, 익산 함라마을, 강진 한골목, 담양 삼지천마을, 대구 옥골마을, 부여 반교마을, 산청 남사마을, 신안 흑산도 사리마을, 신안 비금도 내촌마을, 상주, 칠곡, 청도, 완도 등지에는 조선 시대부터 일제 강점기에 걸쳐 지어진 고가들이 남아 있다.
경운궁 양이재는 대한제국 시기에 건립된 건물로, 대한성공회 유지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서울 성북동 최순우 가옥은 1930년대에 건립된 한옥이다.
서울 청량리역 검수차고는 1938년에 건립된 철도 시설이다.
구 포천성당은 1955년에 건립된 성당 건물이다.
홍성고등학교 강당은 1941년에 건립된 학교 건물이다.
제천 엽담배 수납 취급소는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건물이다.
화순 오지호 생가는 1910년대에 건립된 한옥이다.
화순농협 동부지점은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건물이다.
정읍 나용균 생가 및 사당은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건물이다.
거제 학동 진석중 가옥은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한옥이다.
상주 구 내서면 사무소는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관공서 건물이다.
상주농협 구 창고는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창고 건물이다.
칠곡 구 왜관터널은 1905년에 개통된 터널이다.
울진 행곡교회와 용장교회, 영덕 송천예배당은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교회 건물들이다.
구 문경금융조합 사택은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건물이다.
경주 구 서경사는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사찰 건물이다.
구 군위성결교회는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교회 건물이다.
경주 우안양수장은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양수 시설이다.
청도 이호우 및 이영도 생가는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한옥이다.
5. 4. 제301호 ~ 제400호
여수 구 율촌역[1]은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건축물이다.부산 송정역[1]은 부산광역시에 있는 건축물이다.
대구 구 동촌역사[1]는 대구광역시에 위치하며, 국가철도공단이 관리한다.
문경 구 가은역[1]은 경상북도 문경시에 있는 건축물이다.
보령 청소역[1]은 충청남도 보령시에 있는 건축물이다.
제주 사라봉 일제 동굴 진지[1]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다.
제주 어승생악 일제 동굴 진지[1]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가 관리한다.
제주 가마오름 일제 동굴 진지[1]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다.
제주 사자봉 일제 동굴 진지[1]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가 관리한다.
제주 세타로름 일제 동굴 진지[1]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가 관리한다.
제주 일출봉 해안 일제 동굴 진지[1]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다.
제주 모슬포 알뜨르 비행장 일제 지하 벙커[1]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가 관리한다.
제주 송악산 해안 일제 동굴 진지[1]는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다.
제주 모슬포 일제 군사 시설[1]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가 관리한다.
제주 이교동 일제 군사 시설[1]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가 관리한다.
제주 모슬포 알뜨르 비행장 일제 고사포 진지[1]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가 관리한다.
제주 송악산 외륜 일제 동굴 진지[1]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가 관리한다.
순종 어차[1]는 국립고궁박물관이 관리한다.
순종 황후 어차[1]는 국립고궁박물관이 관리한다.
국가 표준 도량형 유물[1]은 경기도에 있으며,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이 관리한다.
서산 동문동성당[1]은 충청남도 서산시가 관리한다.
구 강경공립상업학교[1]는 충청남도에 소재하고 있다.
5. 5. 제401호 ~ 제500호
번호 | 등록명[1] | 소재지 | 관리자 |
---|---|---|---|
401 |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 서울 | 한국전력공사 |
402 | 서울 구 경기고등학교 | 서울 | 서울시교육청 |
403 | 서울 이화여자고등학교 심슨 기념관 | 서울 | 학교법인 이화학원 |
404 | 대구 효목동 조양회관 | 대구 | 동구 |
405 | 구 대구사범학교 본관 및 강당 | 대구 | 중구 |
406 | 청주 대성고등학교 본관 | 충북 | 청주시 |
407 | 옥천성당 | 충북 | 옥천군 |
408 | 대한성공회 진천성당 | 충북 | 진천군 |
409 | 청주 문화동 일양절충식 가옥 | 충북 | 청주시 |
410 | 강경 구 연수당 건재약방 | 충남 | 논산시 |
411 | 서울 구 국회의사당 | 서울 | 중구 |
412 |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본관 및 교사 | 서울 | 노원구 |
413 | 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 | 서울 | 동작구 |
414 |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파이퍼 홀 | 서울 | 학교법인 이화학원 |
415 | 대구 동산병원 구관 | 대구 | 동구 |
416 |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 | 광주 | 동구 |
417 |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 · 별관 · 체육관 | 광주 | 동구 |
418 |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 대전 | 충청남도 |
419 | 구 산업은행 대전지점 | 대전 | 한국산업은행 |
420 | 구 조흥은행 대전지점 | 대전 | 신한은행 |
421 | 태백 철암역 두 선탄시설 | 강원 | 태백시 |
422 | 철원 노동당사 | 강원 | 철원군 |
423 | 구 철원감리교회 | 강원 | 철원군 |
424 | 철원 얼음 창고 | 강원 | 철원군 |
425 | 철원 농산물 검사소 | 강원 | 철원군 |
426 | 철원 승일교 | 강원 | 철원군 |
427 | 화천 인민군 사령부 막사 | 강원 | 화천군 |
428 | 진안성당 어은공소 | 전북 | 진안군 |
429 | 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 전남 | 목포시 |
430 | 구 목포공립심상소학교 | 전남 | 목포시 |
431 | 여수 구 청년회관 | 전남 | 여수시 |
432 | 여수 구 애양원교회 | 전남 | 대한예수교장로회 애양교회 |
433 | 여수 애양병원 | 전남 | 사회복지법인 애양원 |
434 | 구 나주경찰서 | 전남 | 나주시 |
435 | 진주 문산성당 | 경남 | 진주시 |
436 | 구 통영청년단회관 | 경남 | |
437 | 함양 구 임업시험장 하동 · 함양지장 | 경남 | 함양군 |
438 | 남제주 강병대교회 | 제주 | 서귀포시 |
439 | 남제주 비행기 격납고 | 제주 | 서귀포시 |
440 | 서울 창녕위궁 재사 | 서울 | 서울시 중부 푸른도시사업 |
441 |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 부산 | |
442 | 구 강경성결교회 예배당 | 충남 | 논산시 |
443 | 목포 구 청년회관 | 전남 | 목포시 |
444 | 나주 노안성당 | 전남 | 나주시 |
445 | 연천역 급수탑 | 경기 | |
446 | 삼척 도계역 급수탑 | 강원 | 국가철도공단 |
447 | 영동 추풍령역 급수탑 | 충북 | 국가철도공단 |
448 | 논산 연산역 급수탑 | 충남 | 국가철도공단 |
449 | 안동역 급수탑 | 경북 | |
450 | 영천역 급수탑 | 경북 | 국가철도공단 |
451 | 밀양 삼랑진역 급수탑 | 경남 | 국가철도공단 |
452 | 구 서울특별시청사 | 서울 | |
453 | 서울 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 회관 | 서울 | |
454 |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 강원 | |
455 | 청주 충청북도청 본관 | 충북 | |
456 | 대한통운 제천 영업소 | 충북 | 제천시 |
457 | 옥천 죽향초등학교 구 교사 | 충북 | |
458 | 진천 덕산 양조장 | 충북 | 진천군 |
459 | 영동 노근리 쌍굴교 | 충북 | 국가철도공단 |
460 | 강경중앙초등학교 강당 | 충남 | |
461 | 김제 죽산리 구 일본인 농장 사무소 | 전북 | 김제시 |
462 | 목포 정명여자중학교 구 선교사 사택 | 전남 | |
463 | 함평 구 학교역 급수탑 | 전남 | |
464 | 군산 동국사 대웅전 | 전북 | |
465 | 제천엽연초생산조합 구 사옥 | 충북 | 제천시 |
466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검시실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467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감금실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468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사무본관 및 강당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469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만령당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470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식량 창고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471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신사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472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등대 | 전남 | 여수지방해양수산청 |
473 | 고흥 소록도 구 녹산초등학교 교사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474 | 고흥 소록도 구 성실중고등성경학교 교사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475 |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원장 관사 | 전남 | 국립소록도병원 |
476 | 파주 구 장단면 사무소 | 경기 | |
477 | 파주 경의선 구 장단역 터 | 경기 | |
478 | 경의선 장단역 증기 기관차 | 경기 | 경기관광공사 |
479 | 파주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 | 경기 | |
480 | 서울 | 덕수궁 관리소 | |
481 | 서울 | 덕수궁 관리소 | |
482 | 서울 | 덕수궁 관리소 | |
483 | 창경궁 대온실 | 서울 | 창경궁 관리소 |
484 | 서울 원서동 고희동 가옥 | 서울 | |
485 | 서울 계동 배렴 가옥 | 서울 | |
486 | 서울 | ||
487 | 서울 홍지동 이광수 별장 터 | 서울 | |
488 | 서울 | ||
489 | 서울 평창동 박종화 가옥 | 서울 | |
490 | 서울 홍파동 홍난파 가옥 | 서울 | |
491 | 서울 돈암장 | 서울 | |
492 | 서울 의릉 구 중앙정보부 강당 | 서울 | 의릉관리소 |
493 | 서울 배화여자고등학교 생활관 | 서울 | |
494 | 광주 조선대학교 본관 | 광주 | |
495 | 광주 수창초등학교 본관 | 광주 | |
496 | 광주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1호관 | 광주 | |
497 | 광주교육대학교 본관 | 광주 | 광주교육대학교 |
498 | 구 동양척식회사 대전지점 | 대전 | |
499 | 한국전력공사 대전 급전소 | 대전 | 한전대전급전소 |
500 | 대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구 충청지원 | 대전 |
5. 6. 제501호 ~ 제600호
제501호 ~ 제600호 목록은 해당 구간에 수록된 문화재를 등재번호 순으로 나열한 것이다.[1]번호 | 등록명 | 소재지 | 관리자 |
---|
5. 7. 제601호 ~ 제700호
제601호 ~ 제700호 목록이다.[1]번호 | 등록명 | 소재지 | 관리자 |
---|
5. 8. 제701호 ~ 제800호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제701호부터 제800호까지는 아직 지정되지 않았다.[1]5. 9. 제801호 ~ 제900호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801호에서 제900호까지는 현재 지정되지 않았다.6. 국가등록문화재의 보존 및 활용
6. 1. 보존 및 관리
6. 2. 활용 방안
7. 국가등록문화재 제도의 의의와 과제
7. 1. 긍정적 측면
7. 2. 향후 과제
참조
[1]
웹사이트
문화재 검색 :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화재청 - 국가등록문화재
https://www.heritage[...]
2023-02-08
[2]
웹사이트
文化財の総称が「国家遺産」に 国家遺産庁も発足=韓国
https://jp.yna.co.kr[...]
2024-05-28
[3]
웹사이트
조선왕실 은제이화문화병, 알고보니 日 제품…문화재 말소
https://www.newsis.c[...]
2023-02-08
[4]
문서
문화재보호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