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그워시 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퍼그워시 회의는 1955년 발표된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을 계기로 과학자들이 대량 살상 무기의 위험성을 논의하기 위해 시작된 회의이다.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퍼그워시에서 첫 회의가 개최되어 '퍼그워시 회의'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과학자, 학자, 정부 관계자 등이 모여 핵무기 및 기타 대량 살상 무기의 폐지와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활동한다. 1995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씽커스 롯지는 캐나다 국립 사적지로 지정되었다. 회장과 사무총장이 이끄는 조직은 국제 사무국을 두고 있으며, 세계 각국에 지부를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화주의 단체 - 핵전쟁 방지 국제 의사회
핵전쟁 방지 국제 의사회(IPPNW)는 1980년 버나드 로운과 예브게니 차조프를 중심으로 설립되어 핵전쟁 위험 감소와 핵무기 폐지를 목표로 활동하는 국제적인 의사 단체로서, 핵무기의 의학적 및 환경적 영향 연구와 캠페인을 통해 핵무기 폐기 운동을 주도하며 1985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고, 핵무기 금지 조약 체결과 건강 및 안보를 위협하는 문제에 대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평화주의 단체 - 평민사
- 과학기술 윤리 - 반핵 운동
반핵 운동은 핵무기 개발, 생산, 사용, 그리고 원자력 에너지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바탕으로 하는 국제적인 사회 운동으로, 핵무기 폐기,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을 알리고,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안보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논쟁이 발생하고 있다. - 과학기술 윤리 - 인공지능윤리
인공지능윤리는 AI 시스템의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학제 간 연구 분야로, 투명성, 공정성, 책임성, 프라이버시 보호 등의 원칙을 기반으로 알고리즘 편향, 기술 독과점, 자율주행차 책임 문제, 인공지능 무기화, 특이점 등의 과제를 다루며, 오픈소스화,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정부 규제 등의 해결책이 논의되고, 대중문화 또한 논의와 인식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퍼그워시 회의 | |
---|---|
기본 정보 | |
유형 | 국제 조직 |
분야 | 핵무기 통제 군축 과학과 세계 문제 |
창립 | 1957년 |
설립자 | 조지프 로트블랫 버트런드 러셀 |
목적 | 과학자들이 핵무기와 세계 안보 문제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포럼 제공 |
본부 | 런던, 영국 (사무실) |
활동 지역 | 국제 |
공식 언어 | 영어 |
사무총장 | 파올로 코타-람스치 |
노벨 평화상 | 1995년 |
웹사이트 | www.pugwash.org |
역사 | |
배경 | 러셀-아인슈타인 선언 (1955년) 냉전 시대의 과학자들의 우려 |
최초 회의 | 1957년, 퍼그워시에서 개최 |
주요 활동 | 핵무기 감축 및 폐기 촉구 국제 안보 및 군축 문제 논의 과학기술 발전의 책임있는 사용 장려 |
수상 | 노벨 평화상 (1995년) 유네스코 평화 교육상 (1989년) |
조직 | |
구성원 | 과학자, 정책 결정자, 외교관 등 |
운영 방식 | 회의 및 워크숍 개최 연구 및 분석 수행 정책 권고 |
재정 | 정부, 재단, 개인 기부금 |
주요 인물 | |
설립자 | 조지프 로트블랫 버트런드 러셀 |
사무총장 | 파올로 코타-람스치 |
영향 및 평가 | |
영향 | 핵무기 감축 협상에 기여 국제 안보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과학자와 정책 결정자 간의 소통 촉진 |
비판 | 일부에서는 지나치게 이상주의적이라는 비판 제기 특정 정치적 입장을 옹호한다는 비판 존재 |
관련 항목 | |
관련 단체 |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 (SIPRI) 국제원자력기구 (IAEA) |
관련 문서 | 러셀-아인슈타인 선언 핵확산금지조약 (NPT) |
2. 기원 및 역사
1955년 7월 9일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이 발표되면서,[3][4][5] 과학자들은 대량 살상 무기(당시에는 핵무기만 고려)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한 회의를 소집해야 했다. 사이러스 이튼은 자신의 고향인 노바스코샤주 퍼그워시에서 회의를 후원하겠다고 제안했으나, 자와할랄 네루 총리의 초청으로 인도에서 회의가 예정되어 있어 거절되었다. 수에즈 위기로 인도 회의가 연기되자,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가 모나코 개최를 제안했지만 역시 거절되었고, 결국 이튼의 제안이 받아들여졌다.
1957년 7월, 노바스코샤 주 퍼그워시의 사색가의 숙소(Thinkers' Lodge)에서 첫 번째 회의가 열렸다.[6] 소련에서는 알렉산더 M. 쿠진, 드미트리 스코벨친, 알렉산더 V. 탑치예프 등 3명이 참석했다. 버트런드 러셀은 건강 문제로 불참했다.
첫 회의에서 모든 핵무기는 절대 악으로 규정되었으나, 제2회 회의부터 핵무기와의 공존을 주장하는 레오 실라드 등 핵억지력 찬성론자들과의 대립이 나타났다. 1964년 제12회 회의에서는 최소 억지 원칙이 완전 군축의 유용한 길로 여겨졌다.
1958년 9월 20일, 제3회 빈 회의에서 빈 선언이 채택되었다.
1961년 소련의 수소폭탄 실험 재개에 대한 유카와·도모나가·사카타 성명은 조지프 로트블랫에 의해 묵살되었다. 1962년 유카와 히데키 주도로 일본판 퍼그워시 회의인 과학자 교토 회의가 개최되었다.
1990년 런던 회의는 일본선박진흥회, 창가학회의 기부를 받았다. 소련은 서방 반전 운동에 공작원을 파견했고, 퍼그워시 회의에서 소련 비판은 억제되고 미국 및 서방 비판은 확대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미국 내 소련 유도 반전 활동 거점은 미국 평화 위원회였으며, 미 의회 정보위는 이 조직과 퍼그워시 회의의 관계를 언급했다.
1995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히로시마 회의는 원자력 발전 관계자들의 거액 기부를 받았다.
2025년 11월 1~5일, 제63회 세계 대회가 히로시마시에서 열릴 예정이다. 일본 개최는 4번째, 히로시마 개최는 20년 만이다. 약 40개국 200명 참가가 예상되며, "히로시마 선언"을 목표로 한다.
2. 1. 러셀-아인슈타인 선언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은 1955년 7월 9일에 버트런드 러셀과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선언으로,[3][4][5] 핵무기를 포함한 대량 살상 무기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과학자들에게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국제 회의를 소집할 것을 촉구했다. 산업자이자 자선가인 사이러스 이튼은 자신의 고향인 노바스코샤주 퍼그워시에서 회의를 후원하고 개최하겠다고 제안했으나, 자와할랄 네루 총리의 초청으로 인도에서 회의가 계획되어 있었기 때문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수에즈 위기로 인해 인도 회의가 연기되자, 아리스토텔레스 오나시스가 모나코에서 회의를 후원하겠다고 제안했지만 거절되었고, 결국 이튼의 제안이 받아들여졌다.2. 2. 최초의 퍼그워시 회의

최초의 퍼그워시 회의는 1957년 7월 캐나다 노바스코샤 주 퍼그워시에 있는 사색가의 숙소(Thinkers' Lodge)에서 열렸다.[6] 이 회의는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에 따라 과학자들이 대량 살상 무기(당시에는 핵무기만 고려되었음)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소집되었다. 산업자이자 자선가인 사이러스 이튼이 자신의 고향인 퍼그워시에서 회의를 후원하고 개최했다.
첫 번째 회의에는 10개국에서 22명의 과학자들이 참석했다. 참석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 미국 출신 7명: 데이비드 F. 케이버스, 폴 M. 도티, 헤르만 J. 뮐러, 유진 라비노비치, 월터 셀로브, 레오 실라르드, 빅터 프레데릭 바이스코프
- 소련 출신 3명: 알렉산더 M. 쿠진(알렉산더 M. 쿠진), 드미트리 스코벨친, 알렉산더 V. 탑치예프(알렉산더 V. 탑치예프)
- 일본 출신 3명: 오가와 이와오, 도모나가 신이치로, 유카와 히데키
- 영국 출신 2명: 세실 프랭크 파월, 조지프 로트블랫
- 캐나다 출신 2명: 브록 치솔름, 존 S. 포스터
- 호주 (마크 올리펀트), 오스트리아 (한스 티링), 중국 (저우 페이위안), 프랑스 (앙투안 M. B. 라카상), 폴란드 (마리안 다니쉬)에서 각 1명.
사이러스 이튼, 에릭 버호프, 루스 아담스, 앤 킨더 존스, 그리고 블라디미르 파블리첸코도 참석했다.
이 회의에서 모든 핵무기는 절대 악으로 규정되었다. 그러나 제2회 회의 이후 핵무기와의 공존을 요구하는 레오 실라드를 비롯한 핵억지력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초창기 퍼그워시 회의 개최지와 회기는 다음과 같다.
개최지 | 회기 | |
---|---|---|
제1회 | 캐나다 노바스코샤 주 퍼그워시 | 1957년 7월 7일 ~ 10일 |
제2회 | 캐나다 퀘벡 주 락-보포 (Lac-Beauport) | 1958년 3월 31일 ~ 4월 11일 |
제3회 | 오스트리아 키츠뷔엘 및 빈 | 1958년 9월 14일 ~ 20일 |
제4회 | 오스트리아 바덴 | 1959년 6월 25일 ~ 7월 4일 |
제5회 | 캐나다 노바스코샤 주 퍼그워시 | 1959년 8월 24일 ~ 29일 |
제6회 | 소련 모스크바 | 1960년 11월 27일 ~ 12월 5일 |
제7회 | 미국 버몬트 주 스토 (Stowe) | 1961년 9월 5일 ~ 9일 |
제8회 | 미국 버몬트 주 스토 | 1961년 9월 11일 ~ 16일 |
제9회 | 영국 케임브리지 | 1962년 8월 25일 ~ 30일 |
제10회 | 영국 런던 | 1962년 9월 3일 ~ 7일 |
제11회 | 유고슬라비아 두브로브니크 | 1963년 9월 20일 ~ 25일 |
제12회 | 인도 우다이푸르 | 1964년 1월 27일 ~ 2월 1일 |
제13회 | 체코슬로바키아 카를로비바리 | 1964년 9월 13일 ~ 19일 |
제14회 | 이탈리아 베네치아 | 1965년 4월 11일 ~ 16일 |
제15회 |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 1965년 12월 29일 ~ 1966년 1월 3일 |
제16회 | 폴란드 소포트 | 1966년 9월 11일 ~ 16일 |
제17회 | 스웨덴 론네뷔 (Ronneby) | 1967년 9월 3일 ~ 8일 |
제18회 | 프랑스 니스 | 1968년 9월 11일 ~ 16일 |
제19회 | 소련 소치 | 1969년 10월 22일 ~ 27일 |
제20회 | 미국 위스콘신 주 폰타나 (Fontana) | 1970년 9월 9일 ~ 15일 |
제21회 | 루마니아 시나이아 | 1971년 8월 26일 ~ 31일 |
2. 3. 초기 회의 목록 (1957년 ~ 1971년)
개최지 | 회의 기간 | |
---|---|---|
제1회 |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퍼그워시 | 1957년 7월 7일–10일 |
제2회 | 캐나다 퀘벡주 라크보포르 (Lac-Beauport) | 1958년 3월 31일–4월 11일 |
제3회 | 오스트리아 키츠뷔엘 및 빈 | 1958년 9월 14일–20일 |
제4회 | 오스트리아 바덴 | 1959년 6월 25일–7월 4일 |
제5회 |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퍼그워시 | 1959년 8월 24일–29일 |
제6회 | 소련 모스크바 | 1960년 11월 27일–12월 5일 |
제7회 | 미국 버몬트주 스토(Stowe) | 1961년 9월 5일–9일 |
제8회 | 미국 버몬트주 스토(Stowe) | 1961년 9월 11일–16일 |
제9회 | 영국 케임브리지 | 1962년 8월 25일–30일 |
제10회 | 영국 런던 | 1962년 9월 3일–7일 |
제11회 | 유고슬라비아 두브로브니크 | 1963년 9월 20일–25일 |
제12회 | 인도 우다이푸르 | 1964년 1월 27일–2월 1일 |
제13회 | 체코슬로바키아 카를로비바리 | 1964년 9월 13일–19일 |
제14회 | 이탈리아 베네치아 | 1965년 4월 11일–16일 |
제15회 |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 1965년 12월 29일–1966년 1월 3일 |
제16회 | 폴란드 소포트 | 1966년 9월 11일–16일 |
제17회 | 스웨덴 론네뷔(Ronneby) | 1967년 9월 3일–8일 |
제18회 | 프랑스 니스 | 1968년 9월 11일–16일 |
제19회 | 소련 소치 | 1969년 10월 22일–27일 |
제20회 | 미국 위스콘신주 폰타나(Fontana) | 1970년 9월 9일–15일 |
제21회 | 루마니아 시나이아 | 1971년 8월 26일–31일 |
2. 4. 빈 선언
1958년 9월 20일, 빈에서 열린 제3회 퍼그워시 회의에서 빈 선언이 채택되었다.2. 5. 유카와·도모나가·사카타 성명
1961년 소련의 수소폭탄 실험 재개에 항의하는 유카와·도모나가·사카타 성명은 서명자 중 한 명이었던 조지프 로트블랫에 의해 묵살되었다. 이를 계기로 1962년에는 유카와 히데키 주재로 일본판 퍼그워시 회의라고 할 수 있는 과학자 교토 회의가 개최되었다.2. 6. 과학자 교토 회의
1962년 유카와 히데키 주도로 일본판 퍼그워시 회의인 과학자 교토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는 1961년 소련의 수소폭탄 실험 재개에 항의하는 유카와·도모나가·사카타 성명이 서명자 중 한 명이었던 조지프 로트블랫에 의해 묵살된 것을 계기로 이루어졌다.3. 조직 구조 및 활동
퍼그워시 회의의 주요 목표는 모든 대량 살상 무기(핵, 화학, 생물학)와 전쟁을 국제 분쟁 해결 방식에서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화와 상호 이해를 통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추구하며, 특히 핵무기 및 기타 대량 살상 무기가 사용될 수 있는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7]
퍼그워시 회의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과학자와 학자, 정부, 외교 및 군사 분야의 경험이 풍부한 개인 간의 소통 채널을 제공한다. 이러한 활동에는 일반 회의, 워크숍, 연구 그룹, 협의 및 특별 프로젝트가 포함된다. 자유롭고 솔직한 의견 교환을 위해 회의는 원칙적으로 비공개로 진행된다. 이는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촉진하고 서로 다른 정부, 국가 및 그룹 간의 효과적인 의사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7]
퍼그워시 회의는 이러한 토론과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 외에도, 특별 회의를 개최하거나 출판물을 통해 과학계와 여론에 영향을 미치려고 노력한다.[7]
2019년 현재 퍼그워시 이사회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직책 및 소속 |
---|---|
자얀타 다나팔라 | 의장, 전 유엔 사무차장 |
파올로 코타-라무시노 | 사무총장, 밀라노 대학교 이론 물리학 교수 |
오치엥 아달라 | 전 케냐 유엔 주재 상임대표 |
세르게이 바차노프 | 제네바 퍼그워시 국장, 전 소련/러시아 군축회의 대표 |
아델 버클리 | 전 온타리오 환경 기술 발전 센터 기술 부사장 |
프란체스코 칼로제로 | 전 사무총장,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이론 물리학 교수 |
린 에덴 | 스탠포드 대학교 국제 안보 협력 센터 |
존 피니 | 런던 대학교 명예 물리학 교수 |
갈리아 골란-길드 | 이스라엘 헤르즐리야 학제간 센터(IDC) 정부학 교수 |
카렌 홀버그 | 물리학 교수, 아르헨티나 국립 과학 기술 위원회 펠로우 |
피터 존스 | 전 선임 정책 고문, 오타와 비서실 및 정보 비서실(총리 부처) |
모하메드 카드리 사이드 | 알아람 센터 군사 연구 부서장 |
무스타파 키바로글루 | 오칸 대학교 투즐라 국제 관계학과 학과장 |
클리프 쿱찬 | 유라시아 그룹 유럽 및 아시아 담당 이사, 워싱턴 D.C. |
스베레 로드가르드 | 전 노르웨이 국제 문제 연구소 소장 |
사이다 로프티안 | 테헤란 대학교 정치학 부교수 |
리아드 말키 |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외무부 장관, 정보부 장관 |
미겔 마린-보쉬 | 전 멕시코 외무부 차관 |
탈라트 마수드 | 전 국방 생산 부서 비서, 국방부 |
아미타브 마투 | 국제 관계학 교수 및 국가 지식 위원회 위원 |
스티븐 밀러 | 집행 위원회 의장, 하버드 대학교 벨퍼 센터 국제 안보 프로그램 |
괴츠 노이넥 | 함부르크 평화 연구 및 안보 정책 연구소(IFSH) |
알렉산더 니키틴 | 정치 및 국제 연구 센터 소장 |
니우 치앙 | 중국 평화 및 군축 협회 사무총장 |
판 쩡치앙 | 중국 국제 문제 연구 재단 부의장 |
유리 리조프 | 모스크바 국제 공학 대학교 |
이보 슬라우스 | 전 크로아티아 의회 의원 |
마크 붕문 서 | 코리아 트러스트 펀드 의장 |
타카오 타카하라 | 일본 메이지 가쿠인 대학교 국제학부 국제 정치 및 평화 연구 교수 |
밥 반 데르 즈반 | 네덜란드 에너지 연구 센터 선임 과학 연구원 |
3. 1. 조직 구조
퍼그워시 회의는 회장과 사무총장이 이끌며, 5년 임기의 퍼그워시 이사회가 공식적인 운영을 담당한다. 사무총장을 보좌하는 집행 위원회도 있다. 현재 회장은 자얀타 다나팔라이며, 사무총장은 파올로 코타-라무시노이다.[7]로마(국제 사무국), 런던, 제네바, 워싱턴 D.C.에 4개의 사무소가 설치되어 퍼그워시 회의의 활동을 지원하고 유엔 및 기타 국제기구와의 연락을 담당한다.
약 50개의 국가별 퍼그워시 그룹이 독립 법인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종종 해당 국가의 과학 아카데미의 지원이나 관리를 받는다. 국제 학생/젊은 퍼그워시 그룹은 국제 퍼그워시 그룹과 협력하지만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3. 2. 주요 활동
퍼그워시 회의는 과학과 세계 문제의 교차점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심층적으로 토론하고 분석하기 위해 과학자, 학자, 정부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비공개 회의이다.[7] 핵 군축, 지역 안보, 환경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퍼그워시 회의는 자유롭고 솔직하게 의견을 교환하여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서로 다른 정부, 국가 및 그룹 간의 효과적인 의사 소통을 촉진하기 위해 비공개로 진행된다.[7]회의 결과는 정부에 영향을 미치고, 특별 회의 개최나 출판물을 통해 과학계와 여론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7]
퍼그워시 회의는 회장과 사무총장이 임원으로 있으며, 5년 임기의 퍼그워시 이사회가 운영을 담당한다. 사무총장을 보좌하는 집행 위원회도 있다. 현재 회장은 자얀타 다나팔라이며, 사무총장은 파올로 코타-라무시노이다.
로마(국제 사무국), 런던, 제네바, 워싱턴 D.C.에 있는 4개의 퍼그워시 사무실은 활동을 지원하고 유엔 및 기타 국제기구와 연락을 담당한다. 약 50개의 국가 퍼그워시 그룹이 있으며, 이들은 독립 법인으로 조직되어 국가 과학 아카데미의 지원이나 관리를 받는 경우가 많다. 국제 학생/젊은 퍼그워시 그룹은 국제 퍼그워시 그룹과 협력하지만,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3. 3. 국제 안보에 대한 기여
퍼그워시 회의는 부분 핵실험 금지 조약(1963), 핵확산 금지 조약(1968), 탄도탄 요격 미사일 제한 조약(1972), 생물 무기 금지 조약(1972), 화학 무기 금지 조약(1993)의 배경 작업에 기여했다.[8] 미국 국방부 장관 로버트 맥나마라는 베트남 전쟁을 종식시킨 협상의 토대를 마련한 비공식 퍼그워시 회의 기획(PENNSYLVANIA라는 암호명)에 대해 공로를 인정했다.[8]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 지도자였을 때 이 조직의 영향력을 인정했다.[9]냉전 동안 퍼그워시 회의는 소련 요원들이 회의에서 소련에 대한 비판을 약화시키고 미국과 서방을 비난하는 데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전위 회의가 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1] 그러나 조셉 로트블랫은 소련에서 온 회의 참가자 중 일부는 "당론을 밀어붙이기 위해 파견된 것은 분명했지만, 대다수는 진정한 과학자였고 그렇게 행동했다"고 말했다.[12]
3. 4. 냉전 시대의 논란
냉전 시대에 퍼그워시 회의는 소련 요원들이 회의를 통해 소련의 선전을 확산시키려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1] 1980년 미국 하원 상임 정보 위원회는 퍼그워시 회의가 소련 대표단에 의해 소련 선전을 위해 사용되었다는 보고서를 받았다. 그러나 조셉 로트블랫은 1998년 버트런드 러셀 평화 강연에서 소련 대표단 중 일부는 당의 입장을 대변하기 위해 파견되었지만, 대다수는 진정한 과학자로서 행동했다고 말했다.[12]4. 노벨 평화상 수상 및 유산
1995년,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대한 원자 폭탄 투하 50주년 및 러셀-아인슈타인 선언 서명 40주년을 기념하여, 퍼그워시 회의와 조지프 로트블랫은 "국제 정치에서 핵무기가 차지하는 역할을 줄이고, 더 나아가 이러한 무기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으로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3]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는 이 상을 수여함으로써 "세계 지도자들이 핵무기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도록 장려"하고자 했다.[4] 로트블랫은 수상 연설에서 선언문의 핵심 구절인 "인류애를 기억하라"를 인용했다.[5]
4. 1. 1995년 노벨 평화상
1995년,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대한 원자 폭탄 투하 50주년 및 러셀-아인슈타인 선언 서명 40주년을 기념하여, 퍼그워시 회의와 조지프 로트블랫은 "국제 정치에서 핵무기가 차지하는 역할을 줄이고, 더 나아가 이러한 무기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으로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3]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는 이 상을 수여함으로써 "세계 지도자들이 핵무기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도록 장려"하고자 했다.[4] 로트블랫은 수상 연설에서 선언문의 핵심 구절인 "인류애를 기억하라"를 인용했다.[5] 그해 히로시마에서 열린 회의는 원자력 발전 관계자들의 거액 기부를 받았다.4. 2. 씽커스 롯지
1957년 7월, 노바스코샤 주 퍼그워시에 있는 씽커스 롯지(Thinkers' Lodge)에서 첫 번째 회의가 열렸다.[6] 이 회의에는 다음 22명의 과학자가 참석했다.
- 미국 출신 7명: 데이비드 F. 케이버스, 폴 M. 도티, 헤르만 J. 뮐러, 유진 라비노비치, 월터 셀로브, 레오 실라르드, 빅터 프레데릭 바이스코프
- 소련 출신 3명: 알렉산더 M. 쿠진(알렉산더 M. 쿠진), 드미트리 스코벨친, 알렉산더 V. 탑치예프(알렉산더 V. 탑치예프)
- 일본 출신 3명: 오가와 이와오, 도모나가 신이치로, 유카와 히데키
- 영국 출신 2명: 세실 프랭크 파월, 조지프 로트블랫
- 캐나다 출신 2명: 브록 치솔름, 존 S. 포스터
- 오스트레일리아(마크 올리펀트), 오스트리아(한스 티링), 중국(저우 페이위안), 프랑스(앙투안 M. B. 라카상), 폴란드(마리안 다니쉬)에서 각 1명
사이러스 이튼, 에릭 버호프, 루스 아담스, 앤 킨더 존스, 블라디미르 파블리첸코도 참석했다. 공동 창립자인 버트란드 러셀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건강상의 이유로 참석하지 못했다. 소련 출신으로는 미하일 일리치 브루크가 영어-러시아어 기술 번역가로 참석했다.
퍼그워시 회의의 발상지인 씽커스 롯지는 2008년 캐나다 국립 사적지로 지정되었다.[23]
5. 역대 회장 및 사무총장
사무총장 |
---|
조지프 로트블랫 (1957–1973) |
버나드 펠드 (1973–1978) |
마틴 카플란 (1978–1989)[16] |
프란체스코 칼로제로 (1989–1997) |
조지 라젠스 (1997–2002)[17] |
파올로 코타-라무시노 (2002–) |
역대 회장 |
---|
1967년 존 코크로프트 경 (노벨 물리학상 수상) |
1968년 플로리 경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
1968년 프랑시스 페린(물리학자) |
1969년 [http://encyclopedia2.thefreedictionary.com/Mikhail+Millionshchikov 미하일 밀리오시치코프] |
1970년 유진 라비노비치 |
1970년–1975년 한네스 알벤 (노벨 물리학상 수상) |
1976년–1988년 도로시 크로우풋 호지킨 (노벨 화학상 수상)[19] |
1988년–1997년 조지프 로트블라트 경 (노벨 평화상 수상) |
1997년–2002년 마이클 아티야 경 (필즈상 수상) |
2002년–2007년 M.S. 스와미나탄 교수 (세계 식량상, 유네스코 간디상 수상) |
2007년–2017년 자얀타 다나팔라 대사 (전 유엔 군축 담당 사무차장) |
2017년–2024년 세르지우 두아르테 대사 (전 유엔 군축 담당 사무차장)[20] |
2019년 기준으로 퍼그워시 회의의 회장직을 역임한 사람은 총 13명이다.[18] 버트런드 러셀 백작(1950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은 이 운동의 창시자로서 초창기에는 자연스럽게 이끌었다. 회장직이라는 공식 직함은 1967년 론네비에서 열린 5년마다 열리는 회의에서 처음으로 제정되었다. 회장의 역할은 "연례 퍼그워시 회의를 주재하고, 회의 기간 외에도 지속 위원회 위원과 사무총장에게 조언을 제공하여 운동의 활동을 수행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었다.
초대 회장인 존 코크로프트 경은 1967년 선출되었으나, 열흘 만에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플로리 경이 회장직을 제안받았지만, 그 역시 몇 주 안에 사망했다. 그 시점에서 지속 위원회는 1년 임기의 순환 회장직을 두기로 결정했으며, 연례 회의가 열리는 국가의 저명한 인사가 그 직책을 맡도록 했다.
6. 한국과 퍼그워시 회의
한국은 아직 퍼그워시 회의를 개최한 적이 없다.
6. 1. 한국 개최 회의
2025년 11월 1일부터 5일까지 히로시마시에서 제63회 퍼그워시 회의 세계 대회가 열릴 예정이다. 일본에서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4번째이며, 히로시마에서는 20년 만에 개최된다.[1] 공동 주최측인 일본 퍼그워시 회의에 따르면 약 40개국에서 약 200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1] 회의에서는 강연 및 토론, 피폭자들과의 대화 등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히로시마 선언"으로 제언을 정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1] 회의 내용 중 일부는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다.[1]7. 비판과 과제
퍼그워시 회의는 냉전 시대에 소련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소련은 서방의 반전 운동에 공작원을 파견했고, 회의에서 소련에 대한 비판은 억제되거나 묵살되는 반면 미국 및 서방에 대한 비판이 커지는 상황이 있었다.[5] 미국 의회 정보 위원회는 퍼그워시 회의를 미국 평화 위원회(US Peace Council)와 관계가 깊은 조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5]
초기에는 모든 핵무기를 절대악으로 규정했지만, 제2차 회의 이후 핵무기 폐지를 주장하는 버트런드 러셀과 핵 억지력을 옹호하며 핵무기와의 공존을 요구하는 레오 실라드 간의 대립이 나타났다.[4] 결국 핵 억지력이 회의의 주요 입장으로 자리 잡았고, 1964년 제12차 회의에서는 최소 억지 원칙이 완전 군축으로 이어지는 가장 유용한 길로 여겨졌다.[4] 1961년 소련의 수소폭탄 실험 재개에 항의하는 유카와 히데키, 도모나가 신이치로, 사카타 쇼이치의 성명은 서명자 중 한 명이었던 조지프 로트블랫에 의해 묵살되기도 했다.[5]
7. 1. 비판적 시각
퍼그워시 회의는 냉전 시대에 소련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소련은 서방의 반전 운동에 공작원을 파견했고, 퍼그워시 회의에서도 소련에 대한 비판은 억제되거나 묵살되는 반면 미국 및 서방에 대한 비판이 커지는 상황이 있었다.[5] 미국 의회 정보 위원회는 미국 평화 위원회(US Peace Council)와 관계가 깊은 조직으로 퍼그워시 회의를 언급하기도 했다.[5]또한, 초기에는 모든 핵무기를 절대악으로 규정했지만, 제2차 회의 이후 핵무기 폐지를 주장하는 버트런드 러셀과 핵 억지력을 옹호하며 핵무기와의 공존을 요구하는 레오 실라드 간의 대립이 나타났다.[4] 결국 핵 억지력이 회의의 주요 입장으로 자리 잡았고, 1964년 제12차 회의에서는 최소 억지 원칙이 완전 군축으로 이어지는 가장 유용한 길로 여겨졌다.[4] 1961년 소련의 수소폭탄 실험 재개에 항의하는 유카와, 도모나가, 사카타의 성명은 서명자 중 한 명이었던 조지프 로트블랫에 의해 묵살되기도 했다.[5]
참조
[1]
웹사이트
The Nobel Peace Prize 1995
https://www.nobelpri[...]
Nobel Prize
2021-11-20
[2]
문서
Russell's exclusion is explained because the Nobel Prizes are never awarded posthumously.
[3]
웹사이트
Statement: The Russell-Einstein Manifesto
https://pugwash.org/[...]
1955-07-09
[4]
웹사이트
London launch of the Russell-Einstein Manifesto
https://pugwash.org/[...]
1955-07-09
[5]
웹사이트
The Russell- Einstein Manifesto
http://www.spokesman[...]
2019-01-11
[6]
웹사이트
Thinkers Lodge – Thinkers Lodge – Beautiful, historic venue for weddings, conferences, and retreats in Nova Scotia, Canada.
https://thinkerslodg[...]
2019-12-10
[7]
웹사이트
Principles, Structure and Activities of Pugwash For the Eleventh Quinquennium (2007–2012)
http://www.pugwash.o[...]
[8]
인터뷰
Conversations with History
https://web.archive.[...]
2012-05-21
[9]
웹사이트
Better Active Today than Radioactive Tomorrow
http://www.comeclean[...]
The Journal of th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Winter 2004 Volume 57, Number 1
[10]
서적
Unarmed Forces: The Transnational Movement to End the Cold War
Cornell University Press
1999
[11]
서적
Foreign policies of the Soviet Union
Hoover Press
1991
[12]
웹사이트
Russell: the Journal of Bertrand Russell Studies
https://mulpress.mcm[...]
2019-12-10
[13]
웹사이트
Pugwash Conferences
www.pugwash.org
[14]
웹사이트
Dagomys Declaration of the Pugwash Council
https://pugwash.org/[...]
1988-09-03
[15]
웹사이트
About IFS
http://ifs.se/about-[...]
International Foundation for Science
2014-04-07
[16]
웹사이트
Tributes to Dr. Martin M. Kaplan
http://www.pugwash.o[...]
2011-06-17
[17]
웹사이트
Home {{!}} MIT Security Studies Program (SSP)
http://ssp.mit.edu/
2019-12-10
[18]
간행물
Pugwash Presidency Background Note
Pugwash Conferences
2007
[19]
뉴스
Thatcher and Hodgkin: How chemistry overcame politics
https://www.bbc.co.u[...]
BBC
2014-08-19
[20]
웹사이트
Pugwash announces new President
https://pugwash.org/[...]
2017-09-07
[21]
웹사이트
Join British Pugwash
https://britishpugwa[...]
2014-07-22
[22]
웹사이트
Student Pugwash USA
http://www.spusa.org[...]
2019-12-10
[23]
CRHP
Thinkers' Lodge National Historic Site of Canada
2013-04-17
[24]
웹사이트
Astana to host Conference on Nuclear Disarmament
http://www.m.kazprav[...]
2017-05-03
[25]
웹사이트
Pugwash Delegation Visits Kazakhstan
https://pugwash.org/[...]
2016-02-02
[26]
뉴스
62nd Pugwash Conference, Astana
https://pugwash.org/[...]
2017-08-25
[27]
웹사이트
第1回科学者京都会議が開催される(1962年)
https://gendai.media[...]
ブルーバックス編集部
2019-05-07
[28]
서적
Foreign policies of the Soviet Union
Hoover Press
1991
[29]
간행물
Soviet Covert Action: The Forgery Offensive
GPO
1980
[30]
웹사이트
パグウォッシュ会議、広島で開催へ 来年11月、20年ぶり: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digital.asah[...]
朝日新聞
2024-10-01
[31]
간행물
Soviet Covert Action: The Forgery Offensive
GPO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