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해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폭풍해일은 폭풍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수면 상승 현상으로, 기압 변화, 바람, 지구 자전, 파도, 강우, 해저 지형 및 수심, 폭풍의 크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천문조와 겹쳐 피해를 키울 수 있으며, 만과 같은 굴곡진 지형에서 더욱 심각해진다. 폭풍 해일은 하천 역류를 일으켜 침수 피해를 유발하며, 예측 및 모델링을 통해 피해를 줄이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1970년 보라 사이클론, 2008년 사이클론 나르기스, 2013년 태풍 하이옌 등이 큰 피해를 입혔으며, 대한민국에서도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한 피해가 있었다. 해일 피해를 완화하기 위해 경보 시스템, 댐 및 방벽 건설, 자연적 보호 강화 등의 대책이 사용되며, 대한민국에서도 해일 예측 시스템을 운영하고 침수 예상도를 제작하여 피해 예방에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일 - 거대해일
거대해일은 지진, 해저 산사태, 화산 폭발, 천체 충돌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일반 해일보다 훨씬 큰 규모와 파괴력을 가진 해일로,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어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및 대피 계획 수립 등의 대비가 필요하다. - 폭풍 - 번개
번개는 뇌운 속 전하 분리에 의해 발생하는 대기 방전 현상으로, 빛과 천둥을 동반하며 지구 외 행성이나 화산 폭발과 같은 현상에서도 발생하고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폭풍 - 지자기 폭풍
지자기 폭풍은 태양 활동으로 방출된 플라스마와 자기장이 지구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Dst 지수를 통해 강도를 측정하며 전력 시스템, 통신, 위성 등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 악천후 - 화이트아웃
화이트아웃은 눈보라, 폭설, 지표면 안개로 시야가 극도로 제한되어 지평선이 사라지고 공간이 흰색으로 보이는 현상으로, 극지방이나 고산지대에서 자주 발생하며 등산객, 운전자, 조종사에게 위험을 초래한다. - 악천후 - 적란운
적란운은 뇌우, 번개, 우박, 폭우를 동반하는 불안정한 대기의 상징으로, 웅대운에서 발달하여 윈드 시어 또는 기온 역전에 의해 모루 모양 상단을 가지며, 열대 및 온대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항공 운항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
| 폭풍해일 | |
|---|---|
| 개요 | |
| 정의 | 저기압 날씨 시스템과 관련된 해수면 상승 |
| 다른 용어 | 폭풍 해일, 폭풍 조수 |
| 원인 | |
| 주요 원인 | 기압 감소 바람의 영향 |
| 기압 감소 | 저기압 중심에서 해수면이 상승하는 현상 |
| 바람의 영향 | 강한 바람이 해안으로 불어 해수를 밀어 올리는 현상 |
| 영향 | |
| 해안 침수 | 해안 지역의 침수 |
| 구조물 파괴 | 건물 및 기반 시설의 파괴 |
| 인명 피해 | 인명 손실 및 부상 |
| 예방 및 대비 | |
| 조기 경보 시스템 | 폭풍 해일 발생 가능성에 대한 조기 경보 발령 |
| 해안 방어 시설 | 방파제, 제방 등의 건설 |
| 대피 계획 | 주민 대피 계획 수립 |
| 관련 용어 | |
| 기상 쓰나미 | 기상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쓰나미 |
| 추가 정보 | |
| 관련 프로젝트 | 열대 저기압 |
| 관련 재해 | 홍수 |
2. 해일의 메커니즘
해일은 주로 기압 저하에 따른 해면 상승과 향안풍에 의한 해수의 밀려듦으로 발생한다. 이를 "기상 해일"이라고 하며, 조석의 만조가 겹치면 조위가 더욱 높아진다.[25] 이러한 효과는 만(灣)처럼 수심이 얕은 바다가 육지로 들어와 있는 지형에서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
일본에서는 도쿄만, 이세만, 오사카만, 아리아케해 등에서 과거에 반복적으로 큰 고조 피해가 발생했다.[25] 미국 남부의 멕시코만 연안이나 벵골만에 면한 인도, 방글라데시에서는 세력이 약한 허리케인이나 사이클론에 의해서도 대규모의 고조가 일어날 수 있다. 벵골만 안쪽에서는 중심 기압 약 960헥토파스칼의 사이클론에 의해 최대 조위[26] 7 - 9미터, 멕시코만 안쪽에서는 2005년의 허리케인 카트리나에 의해 최대 조위 약 6미터를 관측하고 있다.
고파는 파의 진폭이 큰 것을 말하며, 쓰나미는 지진, 화산, 운석 낙하 등 기상 이외의 활동이 원인이므로 정의상 고조와는 다르다. 태풍에 의한 심한 고파도 쓰나미가 아닌 고조이며, 태풍에 의한 고조라고 해서 쓰나미와 같은 피해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산호초가 있는 해안 등에서는 태풍에 의한 고조에 의해 파군 쓰나미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세만 태풍, 무로토 태풍, 간토 대수해(1910년 대수해・1917년 고조 재해)나 에이소의 바람, 안세이 3년의 대풍재, 지볼트 태풍, 아리아케해 태풍 등 태풍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는 고조에 의한 것도 많다. 고조가 발생하면 해수면이 높아져 육지에 해수가 침입하여 연안부의 주택이나 경작지가 침수되거나, 사람이 파도에 휩쓸려 가기도 한다.
일본에서 지금까지 관측된 기상 조수의 최대값은 이세만 태풍 당시 3.45m(나고야항)이며, 천문 조수까지 합한 조위에서는, 역시 이세만 태풍 당시 3.89m가 관측 사상 일본 최대이다.
태풍으로 인해 특히 큰 피해를 입힌 최근의 고조 재해는 다음과 같다.
- 1999년 (헤이세이 11년) 9월 24일 태풍 18호: 구마모토현우토군시라누이정(현・우키시) 마쓰아이 지구에서 발생한 고조로 12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 2004년 (헤이세이 16년) 8월 30일 - 8월 31일 태풍 16호: 오카야마현과 가가와현을 중심으로 한 세토 내해 연안부에서 큰 고조 피해가 발생하여,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에서 1명, 가가와현 다카마쓰시에서 2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중위도 지역에서는 주로 가을부터 봄에 걸쳐 한랭기에 저기압이 맹렬하게 발달하여 겨울 폭풍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중심 기압은 태풍 수준으로 하강하며, 폭풍에 의한 해수면 상승 효과와 기압 저하에 의한 해수면 상승이 태풍과 마찬가지로 일어나 폭풍해일을 일으킬 수 있다. 유럽에는 네덜란드, 벨기에 등 거대한 저지대가 펼쳐져 있어 광범위하게 폭풍해일이 발생한 적이 있다.
2. 1. 기압 강하 효과
대기압이 낮은 지역에서는 해수면이 상승하고, 높은 대기압 지역에서는 해수면이 하강한다. 낮은 대기압에서는 해수면이 상승하여 수면 아래 어떤 평면에서의 총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효과는 대기압이 1밀리바(hPa) 떨어질 때마다 해수면이 10mm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100 밀리바의 기압 강하가 있는 대형 폭풍은 기압 효과로 인해 1m의 해수면 상승이 예상된다.해수면의 높이(표고)는 기압과 해수의 수압의 균형이 잡힌 상태의 수위이다. 1기압(약 1013헥토파스칼)에서 해발은 0미터이며, 이보다 기압이 낮아지면 수압이 해수면을 밀어 올린다. 1헥토파스칼이 내려갈 때마다 해수면은 약 1센티미터 상승한다. 예를 들어 태풍 등 열대 저기압 아래에서 기압이 980헥토파스칼인 경우, 33헥토파스칼 낮으므로 약 30~33센티미터 정도의 상승을 보인다.[27]
2. 2. 바람의 영향 (Wind Effect)
강한 바람은 바람 압입(wind setup)이라는 현상을 일으켜 해수를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특정 해안 지역에 물이 쌓이게 한다. 또한, 강한 표면풍은 에크만 나선 효과에 의해 바람 방향과 45° 각도로 표면 해류를 발생시키며, 이 효과는 깊이에 비례하여 수직으로 확산된다.[25]2. 3. 지구 자전 효과 (코리올리 효과)
지구 자전은 코리올리 효과를 일으키며, 이 효과는 북반구에서는 해류를 오른쪽으로, 남반구에서는 왼쪽으로 휘게 한다. 이러한 휨으로 해류가 해안과 더 수직으로 만나게 되면 해일이 증폭될 수 있으며, 해류가 해안에서 멀어지게 휨으로써 해일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2. 4. 파도의 영향
강한 바람은 움직이는 방향으로 크고 강한 파도를 일으킨다. 이러한 파도는 해안 근처에서 상당한 양의 물을 운반하여 해수면 상승에 기여한다. 파도가 해변과 거의 평행하게 부서질 때, 상당한 양의 물을 해안 쪽으로 운반한다. 부서지면서 해안으로 이동하는 물은 상당한 운동량을 가지며, 부서지기 전 파고의 두 배를 초과할 수 있는 평균 수면선보다 높은 고도까지 경사진 해변을 따라 올라갈 수 있다.2. 5. 강우 효과
폭우는 주로 강어귀에서 해수면 상승을 유발한다. 허리케인은 넓은 지역에 24시간 안에 약 30.48cm의 강우량을 쏟아낼 수 있으며, 국지적인 지역에서는 더 높은 강우 밀도를 보인다. 그 결과, 지표수 유출은 하천과 강을 빠르게 범람시킬 수 있다. 이는 바다에서 밀려오는 폭풍 해일이 강어귀로 흘러드는 강우와 만나면서 조수 강어귀 상류 부근의 수위를 상승시킬 수 있다.2. 6. 해저 지형 및 수심
해안의 폭풍 해일과 파고는 해저와 해안 지역의 모양과 깊이에 영향을 받는다. 좁은 대륙붕은 해안선에 비교적 가까운 깊은 물을 가지고 있어 해일은 낮지만 더 높고 강력한 파도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넓은 대륙붕은 더 얕은 물을 가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작은 파도를 동반하는 더 높은 폭풍 해일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4]예를 들어, 플로리다 남동부 해안의 팜 비치에서는 해수면 깊이가 해안에서 3km 떨어진 곳에서 91m에 달하고, 7km 떨어진 곳에서 180m에 달한다. 이는 비교적 가파르고 깊기 때문에 폭풍 해일은 크지 않지만 파도는 플로리다 서부 해안보다 크다. 반대로, 플로리다의 걸프만 쪽에서는 플로리다 고원의 가장자리가 해안에서 160km 이상 떨어져 있을 수 있다. 플로리다 만은 플로리다 키스와 본토 사이에 위치하며 수심이 0.3m에서 2m 사이로 매우 얕다. 이러한 얕은 지역은 더 작은 파도를 동반한 더 높은 폭풍 해일에 취약하다. 다른 얕은 지역으로는 멕시코 만 해안의 많은 부분과 벵골 만이 있다.
이러한 차이는 폭풍 해일이 얼마나 많은 흐름 면적에 분산될 수 있는지에 기인한다. 더 깊은 물에서는 더 넓은 면적이 있어 해일이 아래로 분산되어 허리케인에서 멀어질 수 있다. 얕고 완만하게 경사진 대륙붕에서는 해일이 분산될 공간이 적어 허리케인의 풍력에 의해 해안으로 밀려온다.[4]
2. 7. 폭풍의 크기
폭풍의 크기는 해일 높이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폭풍의 면적이 둘레에 비례하지 않기 때문이다. 폭풍의 직경이 두 배로 커지면 둘레도 두 배로 늘어나지만, 면적은 네 배로 증가한다. 해일이 분산될 수 있는 둘레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해일의 높이는 더 높아지게 된다.[5]
3. 천문조와의 관계
조석 현상인 천문조(天文潮)는 해일과 별개의 현상이지만, 만조 시기와 겹치면 해수면이 더욱 높아져 피해가 커진다.[25] 저기압·태풍의 중심부 접근 시간과 만조 시간대가 겹치면, 양자를 합한 만큼 해수면이 상승한다. 반면, 간조 시에는 양자가 상쇄되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또한, 대조 등 시기적으로 조위가 높을 때에는 해수면이 더욱 높아진다.[28]
통상 시에 외해보다 간만 차가 큰 내만에서는 특히 큰 조위 변동이 일어난다. 일본에서는 도쿄만, 이세만, 오사카만, 아리아케해 등에서 때때로 수천 명의 사망자·행방불명자를 내는 큰 고조 피해가 과거에 반복적으로 발생했다.[25]
4. 굴곡진 지형의 영향 (주로 만)
만(灣)과 같이 굴곡진 지형은 해일 피해를 증폭시킨다. V자형 만은 안쪽으로 갈수록 파도가 높아진다. 또한, 만 안에서도 수심이 낮고 완만한 만은 바람에 의한 해수 밀집 효과(불어모으기 효과)가 더 커진다.[25] 해일이 육지로 밀려오는 방향과 태풍의 풍향이 일치하는 경우, 해일의 유속이 폭풍에 의해 가속되어 파괴력이 증가한다.
5. 강우와 하천에 대한 영향
폭우로 인해 육지 부분이 침수되면 해일의 파고를 더욱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25] 폭우 효과는 주로 강어귀에서 나타나는데, 허리케인은 넓은 지역에 많은 비를 짧은 시간에 쏟아낼 수 있으며, 국지적인 지역에서는 더 높은 강우 밀도를 보인다. 그 결과, 지표수 유출은 하천과 강을 빠르게 범람시킬 수 있다. 이는 바다에서 밀려오는 폭풍 해일이 강어귀로 흘러드는 강우와 만나면서 조수 강어귀의 상류 부근의 수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항만 지역에서는 빗물의 해양부로의 출구가 좁고, 불어난 하천으로부터의 유수로 인해 강우에 의한 조위 상승이 비교적 쉽게 발생한다. 해일 발생 시 수문을 닫지 않으면 해수가 하천을 역류하여 침수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25] 도쿄만에 유입되는 하천에서 해수가 역류하면, 배후지의 해발 0m 지대에서 심각한 침수 피해를 일으킬 위험이 있다.
6. 해일 예측 및 모델링
해일 예측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 미국에서는 SPLASH법이나 SLOSH법 등 폭풍해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일본에서도 도쿄 만에 관한 예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다.
일본의 국토교통성은 지구 온난화에 따른 미래의 해수면 상승을 고려하여, 폭풍해일 등에 대한 해안 보존 검토를 2019년에 시작했다.[30]
6. 1. SLOSH 모델

미국 국립 허리케인 센터(NHC)는 SLOSH 모델을 사용하여 폭풍 해일을 예측한다. SLOSH는 "허리케인으로 인한 해양, 호수 및 육상 해일(Sea, Lake and Overland Surges from Hurricanes)"의 약자이다. 이 모델은 20% 이내의 정확도를 보인다. SLOSH의 입력값에는 열대 저기압의 중심 기압, 폭풍 크기, 사이클론의 전진 속도, 진로 및 최대 지속 풍속이 포함된다. 지역 지형, 만과 강의 방향, 해저 깊이, 천문 조위, 기타 물리적 특징은 SLOSH 유역이라고 하는 미리 정의된 격자에 고려된다. 미국의 남부 및 동부 해안선에는 SLOSH 유역이 중첩되어 정의되어 있다. 일부 폭풍 시뮬레이션은 둘 이상의 SLOSH 유역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허리케인 카트리나 SLOSH 모델 실행은 폰차트레인 호 / 뉴올리언스 유역과 미시시피 사운드 유역을 모두 사용하여 멕시코만 북부에 상륙했다. 모델 실행의 최종 출력은 각 위치에서 발생한 최대 수위 외피(MEOW)를 표시한다.
진로 또는 예측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양한 입력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여러 모델 실행을 생성하여 MOM (Maximum of Maximum) 맵을 만든다. 허리케인 대피 연구를 위해 해당 지역의 대표적인 진로, 다양한 강도, 눈의 직경 및 속도를 가진 일련의 폭풍을 모델링하여 열대 저기압 발생 시 최악의 경우의 수위를 생성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수천 번의 SLOSH 실행으로 생성된다. 이러한 연구는 미국 육군 공병대에서 연방 재난 관리청(FEMA)과 계약을 맺고 여러 주를 대상으로 완료했으며, 허리케인 대피 연구(HES)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는 각 지역에서 침수를 일으킬 최소 허리케인 등급을 식별하기 위해 음영 처리된 해안 카운티 지도가 포함되어 있다.
6. 2. 대한민국 해일 예측 시스템
이 문단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대한민국 해일 예측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없어 삭제합니다.7. 역사적 해일 피해 사례
해일은 전 세계적으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해 왔다. 특히 일본에서는 도쿄만, 이세만, 오사카만, 아리아케해 등에서 과거 수천 명의 사망자나 행방불명자를 낸 큰 고조 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했다.[25] 미국 남부의 멕시코만 연안이나 벵골만에 면한 인도, 방글라데시 등에서도 대규모 해일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고조가 발생하면 해수면이 높아져 육지에 해수가 침입한다. 그 결과, 연안부의 주택이나 경작지가 침수되거나, 사람이 파도에 휩쓸려 가기도 한다. 9월 중순은 1년 중 조위가 가장 높은 시기이며, 매년 전국 각지에서 해일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태풍 등에 의한 기압 저하와 바람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해수면 상승 높이를 편차라고 한다[28]。
이세만 태풍, 무로토 태풍, 간토 대수해(1910년 대수해・1917년 고조 재해) 외에도 에이소의 바람, 안세이 3년의 대풍재, 지볼트 태풍, 아리아케해 태풍 등 태풍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는 고조에 의한 것도 많다.
7. 1. 국외 사례
1970년 보라 사이클론은 벵골만 지역에서 발생하여 최대 5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폭풍 해일로 기록되었다. 벵골만의 저지대 해안은 열대성 사이클론으로 인한 해일에 특히 취약하다. 21세기 들어 가장 치명적인 폭풍 해일은 2008년 5월 미얀마에서 발생한 사이클론 나르기스로, 13만 8천 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다. 2013년 태풍 하이옌은 필리핀 중부에서 6,000명 이상을 사망하게 했고,[17][18][19] 140억달러의 경제적 손실을 일으켰다.[20]1900년 갤버스턴 허리케인은 카테고리 4 허리케인으로 텍사스주 갤버스턴을 강타하여 6,000명에서 12,000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이는 미국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자연 재해로 기록되었다.
역사 기록에서 가장 높은 폭풍 해일은 1899년 호주 배서스트만에서 발생한 사이클론 마히나로, 약 13.41m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2000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가파른 해안 지형으로 인해 대부분 파도의 영향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2005년 8월 29일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약 8.53m 이상의 폭풍 해일을 발생시켰으며, 미시시피주 패스 크리스천에서 약 8.47m의 폭풍 해일 높이를 기록했다.[22] 1969년 허리케인 카밀 또한 패스 크리스천에서 약 7.50m의 폭풍 해일을 기록했다. 2012년 10월 허리케인 샌디는 뉴욕시에서 약 4.27m의 폭풍 해일을 일으켰다.[23]
중위도 지역에서는 주로 가을부터 봄에 걸쳐 겨울 폭풍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중심 기압은 태풍 수준으로 하강하며, 폭풍과 기압 저하에 의한 해수면 상승이 일어나 폭풍해일을 일으킬 수 있다. 유럽의 네덜란드, 벨기에 등 저지대에서는 과거 광범위한 폭풍해일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7. 2. 국내 사례
이세만 태풍 당시 나고야항에서 3.45미터(기상 해일) 및 3.89미터(천문조 포함)의 최대 해일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일본 관측 사상 최대 기록이다.[25]태풍으로 인해 특히 큰 피해를 입힌 최근의 고조(폭풍 해일) 재해는 다음과 같다.
| 발생일 | 태풍 | 피해 지역 및 내용 |
|---|---|---|
| 1999년 (헤이세이 11년) 9월 24일 | 태풍 18호 | 구마모토현우토군시라누이정(현 우키시) 마쓰아이 지구에서 고조로 12명 사망. 해수면 자체가 육지까지 밀려오는, 쓰나미와 비슷한 특성을 보임. |
| 2004년 (헤이세이 16년) 8월 30일 - 8월 31일 | 태풍 16호 | 오카야마현과 가가와현을 중심으로 한 세토 내해 연안부에서 큰 고조 피해 발생.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에서 1명, 가가와현 다카마쓰시에서 2명 사망. 우노항(오카야마현 타마노시)・다카마쓰항(다카마쓰시) 양 검조소에서 관측 사상 최고 조위 기록.[29] 약 1주일 후 태풍 18호의 접근으로 인해 다시 고조 발생, 복구 작업 지역에서 침수 피해 발생. |
| 2003년 | 태풍 매미 | 대한민국에서 큰 해일 피해 발생. 특히 마산(현 창원시)에서 심각한 침수 피해 발생. |
1910년 대수해, 1917년 고조 재해(간토 대수해) 등도 태풍으로 인한 고조로 큰 피해를 입었다.[25]
8. 해일 피해 영향 및 대응 방안
폭풍 해일은 사이클론의 일환으로 상당한 재산 피해와 인명 손실을 발생시킨다. 해일은 도로와 같은 기반 시설을 파괴하고, 건물 구조를 약화시킨다.[1]
하구와 해안 지역의 예상치 못한 홍수는 주민들이 대비하지 못하게 만들어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데, 기록상 가장 치명적인 폭풍 해일은 1970년 보라 사이클론이었다.[10]
또한, 폭풍 해일은 토양 비옥도를 저해하고, 염수 침입을 증가시키며, 야생 동물 서식지를 파괴하고, 인간의 보관 시설에서 화학 물질이나 기타 오염 물질을 확산시키는 등 여러가지 환경문제를 야기시킨다.[1]
8. 1. 해일 피해 완화 대책
1953년 북해 홍수 이후, 댐과 폭풍해일 방벽 건설과 같은 예방적 방법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방벽은 평상시에는 열려 있어 자유로운 통행이 가능하지만, 폭풍해일의 위협이 있을 때는 닫힌다. 주요 폭풍해일 방벽으로는 델타 계획의 일부인 네덜란드의 오스터스켈데케링과 마스란트케링, 런던을 보호하는 템스 방벽,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댐 등이 있다.네덜란드에서는 습지 가장자리에 수직 기둥으로 위치를 고정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갖춘 주거 공동체를 조성하는 현대적인 개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습지는 제방이 주요 해일 침투를 막는다면, 구조물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유출수와 해일을 수용하고, 동시에 다소 더 높은 저지대 고도에 있는 기존 구조물을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연성 적응 방법으로는 구조물을 직접적인 침수를 피하도록 높이거나,[12] 맹그로브나 사구와 같은 자연적 보호를 강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13]
폭풍 해일 전에 해안에서 물이 멀리 흡수될 수 있는데, 이는 '''역 폭풍 해일'''[15] 또는 '''음의 폭풍 해일'''로 알려져 있다.[16]
8. 2. 대한민국 해일 대응 현황 및 과제
1953년 북해 홍수 이후, 네덜란드의 오스터스켈데케링, 마스란트케링, 런던을 보호하는 템스 방벽,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댐과 같이 댐과 폭풍해일 방벽(방조제) 건설이 예방적 방법으로 도입되었다. 이 방벽들은 평상시에는 열려 있지만, 폭풍해일 위협이 있을 때는 닫힌다. 또한, 습지 가장자리에 수직 기둥으로 위치를 고정하는 부유식 주거 공동체를 조성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이 외에도 구조물을 직접 침수되지 않도록 높이거나,[12] 맹그로브나 사구와 같은 자연적 보호를 강화하는 방법도 연성 적응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13]
참조
[1]
웹사이트
Storm Surge Overview
https://www.nhc.noaa[...]
2023-11-08
[2]
논문
Response of Storm-Related Extreme Sea Level along the US Atlantic Coast to Combined Weather and Climate Forcing
2020
[3]
서적
IPCC SROCC
2021-01-31
[4]
웹사이트
Storm Surge Overview
https://www.nhc.noaa[...]
2024-09-28
[5]
학술지
The Influence of Storm Size on Hurricane Surge
[6]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torm Surge
https://www.nhc.noaa[...]
2023-05-06
[7]
뉴스
The 'Ice Tsunami' That Buried a Whole Herd of Weird Arctic Mammals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8-01-18
[8]
웹사이트
Superstorm of March 1993
https://www.weathe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1994
[9]
웹사이트
Storm Surge Overview
https://www.nhc.noaa[...]
2023-05-07
[10]
웹사이트
The Deadliest Tropical Cyclone on Record Killed 300,000 People {{!}} Weather.com
https://weather.com/[...]
2024-11-21
[11]
서적
Read "Tsunami Warning and Preparedness: An Assessment of the U.S. Tsunami Program and the Nation's Preparedness Efforts" at NAP.edu
https://nap.national[...]
[12]
웹사이트
Protect Your Property from Storm Surge
https://www.fema.gov[...]
2024-11-21
[13]
학술지
Meta-analysis indicates better climate adaptation and mitigation performance of hybrid engineering-natural coastal defence measures
https://www.nature.c[...]
2024-04-09
[14]
웹사이트
Shorelines drained in eerie effect of Hurricane Irma
http://www.cnn.com/2[...]
CNN
2017-09-10
[15]
뉴스
Irma's powerful winds cause eerie retreat of ocean waters, stranding manatees and boats
http://www.miamihera[...]
2017-09-11
[16]
웹사이트
Storm Surge
https://www.metoffic[...]
[17]
웹사이트
Haiyan brought immense destruction, but hope is returning to the Philippines
https://www.unicefus[...]
2016-04-11
[18]
뉴스
Philippines typhoon dead buried in mass grave in hard-hit Tacloban as aid begins to pour in
https://archive.toda[...]
CBS News
2013-11-14
[19]
뉴스
After Disasters Like Typhoon Haiyan, Calculating Death Toll Often Difficult
http://www.huffingto[...]
HuffPost
2013-11-13
[20]
뉴스
Yolanda's Economic Cost P600 billion
http://www.businessm[...]
BusinessMirror.com.ph
2013-11-12
[21]
웹사이트
Tropical Cyclone Mahina: Bid to have deadly March 1899 weather event upgraded in record book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12-26
[22]
웹사이트
Hurricane Katrina Flood Recovery (Mississippi)
http://www.fema.gov/[...]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2006-05-30
[23]
웹사이트
Superstorm Sandy {{!}} Path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9-28
[24]
웹사이트
気象津波(meteo-tsunami)
https://www.metsoc.j[...]
2020-06-28
[25]
웹사이트
3.どのような高潮が起こったの?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9-10-11
[26]
문서
最大潮位 : 気象潮や天文潮などを合計した、平均海面 (MSL) に対する実際の潮位。
[27]
학술지
富山湾を襲った“寄り回り波”による高波災害の報告と対策 : 波浪災害と地球環境問題への対応
https://hdl.handle.n[...]
金沢大学地域連携推進センター
2023-11-20
[28]
웹사이트
荒川水系隅田川流域河川整備計画
https://www.kensetsu[...]
東京都
2021-12-24
[29]
간행물
台風第16号による瀬戸内海沿岸の高潮について
https://www.jma.go.j[...]
気象庁
2004-09-01
[30]
웹사이트
気候変動による海面上昇や海岸災害の激甚化への対応~「第1回 気候変動を踏まえた海岸保全のあり方検討委員会」の開催~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9-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