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로멜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로멜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테네 왕 판디온 1세의 딸이다. 언니 프로크네의 남편 테레우스에게 강간당하고 혀가 잘린 후, 복수를 위해 나이팅게일로 변신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 신화는 폭력, 여성 억압, 복수, 그리고 예술적 영감의 원천으로 다양한 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쳤으며,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 가장 상세하게 묘사되었다. 필로멜라 이야기는 셰익스피어, T.S. 엘리엇 등 많은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여성의 억압과 저항을 상징하는 모티프로 현대 페미니즘 문학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필로멜라 | |
---|---|
기본 정보 | |
![]() | |
그리스어 | Φιλομήλα |
로마자 표기 | Philomēlē (고대 그리스어) |
설명 |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테네의 공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판디온 1세 또는 판디온 2세 |
자매 | 프로크네 |
남편 | 테레우스 (일부 설화) |
신화 속 이야기 | |
주요 사건 | 테레우스에게 강간당하고 혀가 잘린 후 제비로 변신 |
관련 인물 | 이티스 (프로크네의 아들, 필로멜라의 조카) |
변신 | 제비 (일반적인 설화) 또는 나이팅게일 (일부 설화) |
문화적 영향 | |
문학 작품 |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 셰익스피어의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 T.S. 엘리엇의 《황무지》 |
예술 작품 | 다양한 회화 및 조각 작품의 주제 |
2. 가계
필로멜라는 아테네의 왕 판디온 1세와 나이아스 제욱시페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프로크네는 그녀의 언니이며, 트라키아의 왕 테레우스와 결혼했다. 필로멜라의 형제로는 에레크테우스와 부테스가 있다.[1] [2]
필로멜라 신화는 여러 판본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필로멜라가 언니 프로크네의 남편인 테레우스에게 강간당하고 신체 훼손을 당한 뒤 복수하고, 노래로 유명한 새인 나이팅게일로 변신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신화에 나타나는 폭력성 때문에 나이팅게일의 노래는 종종 슬픈 애가로 묘사되거나 해석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암컷 나이팅게일은 울지 않으며 수컷만이 노래한다.[3][4]
3. 신화
오비디우스를 비롯한 여러 작가들은 필로멜라의 이름이 그리스어 φιλο-|필로-grcμέλος|멜로스grc ("노래")에서 유래하여 "노래를 사랑하는 자"를 의미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는 "과일을 사랑하는 자", "사과를 사랑하는 자",[5] 또는 "양을 사랑하는 자"를 의미하는 μῆλον|멜론grc ("과일" 또는 "양")과는 관련이 없다.[6]
이 신화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레스의 아들이자 트라키아의 왕 테레우스는 프로크네와 결혼한 지 5년 째 되던 해, 프로크네의 부탁으로 여동생 필로멜라를 아테네에서 트라키아로 데려오게 되었다. 그러나 테레우스는 필로멜라를 처음 본 순간부터 색욕을 품었고, 트라키아에 도착하자 숲속 오두막에 필로멜라를 가두고 강간했다.[7] 테레우스는 필로멜라를 위협하며 침묵을 강요했지만, 필로멜라는 이에 반항했다. 분노한 테레우스는 필로멜라의 혀를 자르고 오두막에 버려두었다.[7] 말을 할 수 없게 된 필로멜라는 직물 (또는 로브)에 자신의 이야기를 짜서[14] 프로크네에게 보냈다.[7]
프로크네는 남편의 만행에 격분하여 복수를 결심하고, 아들 이티스(또는 "이틸로스")를 죽여 그 요리를 테레우스에게 먹였다.[7] 식사가 끝난 후, 자매들은 테레우스에게 아들의 잘린 머리를 보여주며 진실을 폭로했다.[7] 테레우스는 도끼를 들고 자매들을 추격했고, 포키스의 다울리아에서 거의 따라잡을 뻔했다.[14] 절망에 빠진 자매들은 신들에게 테레우스의 분노에서 벗어나게 해달라고 기도했고, 신들은 이들을 새로 변신시켰다.[14]
이 신화는 판본에 따라 내용에 차이가 있는데, 주로 어떤 자매가 나이팅게일 혹은 제비가 되었는지, 그리고 테레우스가 어떤 새로 변했는지에 대한 것이다.
초기 그리스 자료에서는 필로멜라가 노래를 부르지 못하는 제비가 되고, 프로크네가 아름답지만 슬픈 노래를 부르는 나이팅게일이 되었다고 전한다.[14] 히기누스를 포함한 후대의 일부 자료와 키츠와 같은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들은 필로멜라가 혀가 잘렸음에도 불구하고 나이팅게일이 되었고, 프로크네는 제비가 되었다고 썼다.[14][20]
3. 1. 테레우스의 만행
아레스의 아들 테레우스는 트라키아의 왕으로, 프로크네와 결혼했다. 프로크네는 남편에게 여동생 필로멜라를 아테네에서 데려와 달라고 부탁했다. 테레우스는 여행 도중 필로멜라에게 욕정을 품었고, 트라키아에 도착하자 숲 속 오두막으로 필로멜라를 끌고 가 강간했다.[7]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필로멜라는 테레우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더 이상 부끄러워하지 않아요. 이 일을 널리 알릴 거예요. 기회가 있다면, 사람들 앞에서 누구에게라도 말할 거예요. 만약 당신이 여기에 가두려 한다면, 숲과 바위를 연민으로 움직이게 할 거예요. 하늘도 그걸 들을 것이고, 만약 하늘에 신이 있다면 신도 내 말을 들을 거예요."[13]
테레우스는 필로멜라가 진실을 알릴 것을 두려워하여 그녀의 혀를 자르고 오두막에 가두었다.[7]
3. 2. 필로멜라의 복수
테레우스에게 강간당하고 혀를 잘린 필로멜라는 말을 할 수 없게 되자, 자신이 겪은 일을 태피스트리(또는 로브)에 수놓아 언니 프로크네에게 보냈다.[7] 프로크네는 이에 분노하여 남편 테레우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이티스(또는 이틸로스)를 죽이고, 그 시신을 요리하여 테레우스에게 먹였다.[7] 테레우스가 진실을 알고 분노하여 자매를 죽이려 하자, 필로멜라와 프로크네는 신들에게 도움을 청했다.[14]
3. 3. 새로의 변신
아레스의 아들이자 트라키아의 왕 테레우스는 프로크네와 결혼한 지 5년 째 되던 해, 프로크네의 부탁으로 여동생 필로멜라를 아테네에서 트라키아로 데려오게 되었다. 그러나 테레우스는 필로멜라를 처음 본 순간부터 색욕을 품었고, 트라키아에 도착하자 숲속 오두막에 필로멜라를 가두고 강간했다.[7] 테레우스는 필로멜라를 위협하며 침묵을 강요했지만, 필로멜라는 이에 반항했다. 분노한 테레우스는 필로멜라의 혀를 자르고 오두막에 버려두었다.[7] 말을 할 수 없게 된 필로멜라는 직물 (또는 로브)에 자신의 이야기를 짜서[14] 프로크네에게 보냈다.[7]
프로크네는 남편의 만행에 격분하여 복수를 결심하고, 아들 이티스(또는 "이틸로스")를 죽여 그 요리를 테레우스에게 먹였다.[7] 식사가 끝난 후, 자매들은 테레우스에게 아들의 잘린 머리를 보여주며 진실을 폭로했다.[7] 테레우스는 도끼를 들고 자매들을 추격했고, 포키스의 다울리아에서 거의 따라잡을 뻔했다.[14] 절망에 빠진 자매들은 신들에게 테레우스의 분노에서 벗어나게 해달라고 기도했고, 신들은 이들을 새로 변신시켰다.[14]
이 신화는 판본에 따라 내용에 차이가 있는데, 주로 어떤 자매가 나이팅게일 혹은 제비가 되었는지, 그리고 테레우스가 어떤 새로 변했는지에 대한 것이다. 그리스 문헌에서는 필로멜라가 제비, 프로크네가 나이팅게일로 변하지만,[14] 라틴어 문헌에서는 필로멜라가 나이팅게일, 프로크네가 제비로 변한다.[14] 테레우스는 일반적으로 후투티(학명: ''Upupa epops'')로 변신한 것으로 묘사된다.[18][19] 초기 그리스 자료에서는 필로멜라가 노래를 부르지 못하는 제비가 되고, 프로크네가 아름답지만 슬픈 노래를 부르는 나이팅게일이 되었다고 전한다.[14] 히기누스를 포함한 후대의 일부 자료와 키츠와 같은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들은 필로멜라가 혀가 잘렸음에도 불구하고 나이팅게일이 되었고, 프로크네는 제비가 되었다고 썼다.[14][20] 소포클레스는 테레우스가 매로 번역되는 큰 부리를 가진 새로 변했다고 썼다.[10][22][23]
4. 신화의 해석 및 영향
필로멜라 신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고 여러 예술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일반적으로 필로멜라는 언니의 남편인 테레우스에게 강간당하고 신체가 훼손된 후, 복수를 하고 나이팅게일로 변한다는 내용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신화의 폭력성 때문에 나이팅게일의 노래는 슬픈 애가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암컷 나이팅게일은 울지 않으며 수컷만이 노래한다.[3][4]
오비디우스를 비롯한 여러 작가들은 필로멜라의 이름이 그리스어 φιλο-|필로-grc와 μέλος|멜로스grc ("노래")에서 유래하여 "노래를 사랑하는 자"를 뜻한다고 보았지만, 이는 "과일을 사랑하는 자" 등을 의미하는 μῆλον|멜론grc ("과일" 또는 "양")과는 관련이 없다.[5][6]
필로멜라, 프로크네, 테레우스 이야기는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제6권에 가장 완전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이 이야기는 고대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7] 오비디우스는 아폴로도로스 가짜의 ''비블리오테케''나 소포클레스의 비극 ''테레우스'' 같은 자료를 참고했을 것으로 보인다.[9][10][11]
오비디우스에 따르면, 트라키아의 왕 테레우스는 프로크네와 결혼한 지 5년째 되던 해에 프로크네의 부탁으로 아테네에서 필로멜라를 데려오게 된다.[7] 아테네의 왕이자 필로멜라와 프로크네의 아버지인 판디온은 테레우스에게 필로멜라를 잘 보호해 줄 것을 부탁했다.[7][12] 그러나 테레우스는 필로멜라를 보자 색욕을 품게 되었고, 트라키아로 돌아오는 길에 그녀를 강간했다.[7] 테레우스는 필로멜라에게 침묵을 강요했지만, 필로멜라는 저항하며 테레우스를 분노하게 했다. 결국 테레우스는 필로멜라의 혀를 자르고 오두막에 가두었다.[7] 필로멜라는 말을 할 수 없게 되었지만, 직물에 자신의 이야기를 짜서 프로크네에게 보냈다.[14][7] 프로크네는 남편에게 복수하기 위해 아들 이티스를 죽여 테레우스에게 먹였다.[7] 자매는 테레우스에게 아들의 잘린 머리를 보여주며 진실을 밝혔고, 테레우스는 도끼를 들고 자매를 쫓았다.[7] 절망에 빠진 자매는 신에게 새가 되게 해달라고 기도했고, 신들은 프로크네를 제비로, 필로멜라를 나이팅게일로 변신시켰다. 테레우스는 후투티가 되었다.[14]
시간이 지나면서 신화에는 여러 변형이 나타났다.[16][17] 어떤 자매가 나이팅게일이나 제비가 되었는지, 테레우스가 어떤 새가 되었는지에 대한 내용이 주로 다르다. 그리스 자료에서는 필로멜라가 제비, 프로크네가 나이팅게일로 변하지만, 라틴 자료에서는 반대로 나타난다.[14] 테레우스는 보통 후투티로 번역된다.[18][19] 오비디우스의 버전이 후대 작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초기 그리스 자료에서는 필로멜라가 노래 없는 제비, 프로크네가 아름답지만 슬픈 노래를 부르는 나이팅게일로 변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4] 히기누스 등 후기 자료에서는 필로멜라가 나이팅게일, 프로크네가 제비로 변했다고 쓰여 있다.[14][20] 에우스타티우스는 자매의 순서를 바꿔 필로멜라가 테레우스와 결혼하고 테레우스가 프로크네를 탐하게 했다고 썼다.[21]
생물 분류학에서 제비 속 중 몸집이 큰 제비속의 속명은 프로크네의 라틴어 형태인 ''Progne''이다. 신화에서 이름을 따온 다른 속으로는 바위제비 ''Ptyonoprogne'', 갈색제비 ''Psalidoprocne''가 있다. 암컷 나이팅게일은 노래를 부르지 않고 수컷만이 특징적인 노래를 부른다.[3][4]
소포클레스는 테레우스가 매로 변했다고 썼지만,[10][22][23]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새''를 비롯한 여러 작품에서는 테레우스가 후투티로 변했다고 주장한다.[18][19] 오비디우스의 후기 번역본 중에는 테레우스가 꼬까도요 등 다른 새로 변했다는 내용도 있다.[13][24]
파우사니아스는 테레우스가 자신의 행동에 후회하여 자살하고, 두 여자가 슬퍼하자 두 마리의 새가 나타났다고 썼다.[25] 많은 후기 자료에서는 테레우스가 필로멜라의 혀를 자르는 내용이 생략되어 있다.[26]
투키디데스는 테레우스가 트라키아의 왕이 아니라 포키스의 다울리아 출신이라고 주장하며, 시인들이 나이팅게일을 "다울리아의 새"라고 부르는 것을 증거로 제시했다.[27] 이는 소포클레스의 연극이 테레우스를 당시 트라키아 통치자 테레스 1세와 혼동했기 때문으로 보인다.[28]
소아시아를 배경으로 한 변형에서는 필로멜라가 켈리돈("제비"), 그의 여동생이 아이돈("나이팅게일")으로 불린다.[29]
필로멜라, 프로크네, 테레우스 이야기는 소포클레스의 유실된 비극 《테레우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학자 제니 마쉬는 소포클레스가 에우리피데스의 드라마 《메데이아》에서 자녀 살해 플롯을 차용하여 자신의 비극 《테레우스》에 통합했다고 주장한다.[30]
이 이야기에는 아테네인들이 스스로를 그리스의 패권국이자 문명화된 세력으로, 트라키아인들을 "야만족"으로 여기면서 사회적, 정치적 주제가 스며들었을 가능성이 있다.[9][11][31] 이러한 요소들은 소포클레스의 희곡 《테레우스》와 당시 다른 작품들에 융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필로멜라 신화는 지난 2,500년 동안 다양한 예술 및 문학 작품에 사용되어 왔다.[32][33] 특히 나이팅게일과 그 노래의 이미지는 매우 아름답고 슬픈 것으로 묘사되며, 예술, 문학, 음악 작품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면서 이러한 연관성이 강화되었다.
문학적 영향, 여성 억압과 저항의 상징 등의 내용은 하위 섹션에 이미 상세히 다루어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언급하거나 생략한다.
4. 1. 문학적 영향
필로멜라 신화는 소포클레스의 비극 《테레우스》(현재는 소실)를 비롯하여,[11]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7] 제프리 초서의 《선녀전》,[38]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타이터스 앤드로니커스》,[49] 《루크리스 능욕》,[50][51] T. S. 엘리엇의 《황무지》 등 수많은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68]호메로스의 ''오디세이''에서부터[34] 고대 극작가와 시인들은 작품에서 필로멜라와 나이팅게일을 언급했다.[33] 아이스킬로스의 ''아가멤논''에서 예언자 카산드라는 나이팅게일과 이티스를 언급하며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는 환상을 보며 슬퍼한다.[35]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소포클레스의 비극 ''테레우스''에 나오는 "셔틀의 목소리"를 플롯에서 이전에 일어난 일에 대한 "인식"을 돕는 시적 장치의 예로 지적한다.[36]
12세기 프랑스 트루베르(음유 시인) 크레티앵 드 트루아는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묘사된 많은 신화를 고대 프랑스어로 각색했다.[38] 존 가워는 ''사랑에 대한 고백''에 이 이야기를 포함시켰다.[40]
조지 개스코인은 장시 "The Steele Glas"(1576)에서 "필로멜"을 시(Poesys)의 대표로, 프로그네를 풍자(Satyra)로, 테레우스를 "헛된 기쁨"으로 묘사한다.[42] 필립 시드니 경의 궁정적 사랑 시 "The Nightingale"에서, 가질 수 없는 여성을 사랑하는 화자는 자신의 낭만적인 상황을 필로멜라의 고통에 비유하며 자신이 더 슬퍼해야 할 이유가 있다고 주장한다.[48]
낭만주의 시대 시인들은 신화를 재해석하고, 노래하는 나이팅게일 이미지를 시인이자 "인간 시인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뛰어난 예술의 대가"로 각색했다.[60][61] 존 키츠는 "밤에 부르는 노래"(1819)에서 나이팅게일을 자신이 쓰고 싶어하는 시를 성취한 시인으로 이상화한다.[20] 퍼시 비시 셸리는 ''시의 옹호''에서 "시인은 어둠 속에 앉아 달콤한 소리로 자신의 고독을 달래는 나이팅게일과 같다"고 썼다.[62]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의 "나이팅게일"(1798)은 나이팅게일의 노래가 우울함과 연관된다는 인식을 벗어나, 기쁨에 찬 자연의 경험과 동일시하려는 시도이다.[63] 콜리지와 윌리엄 워즈워스는 나이팅게일을 "불타는 심장"이라 부르며,[65] "자연적인 시적 창조의 사례"이자 "자연의 목소리"로 묘사했다.[66]
앨저넌 찰스 스윈번은 필로멜라와 프로크네가 나이팅게일과 제비로 변한 후, 이티스를 죽인 슬픔을 언제 잊을 수 있을지 묻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이틸루스"라는 시를 썼다.[67]
4. 2. 여성 억압과 저항의 상징
필로멜라는 남성 중심 사회에서 억압과 침묵을 강요당하는 여성의 상징으로 해석된다. 혀가 잘린 후에도 직물을 통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필로멜라의 모습은 여성의 저항과 회복력을 보여준다.[14]테레우스에게 강간당하고 혀를 잘리는 폭력을 당했음에도, 필로멜라는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직물을 짜서 언니 프로크네에게 보냄으로써 침묵을 거부했다.[7] 이는 남성에게 폭력을 당하고 침묵을 강요당하는 여성의 현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여성의 강한 저항 의지를 드러낸다.
이러한 필로멜라의 저항은 현대 페미니즘 문학 및 예술 작품에서 여성의 권한 부여와 관련된 중요한 모티프로 활용된다. 여러 여성 작가들은 필로멜라 신화를 사용하여 강간, 여성과 권력, 페미니스트 주제를 탐구했다.[77]
4. 3. 기타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는 아르고나우타이의 일원 메노이티오스의 아내이자, 트로이 전쟁의 영웅 파트로클로스의 어머니를 필로멜라라는 이름의 여성이라고 했다. 그러나 아폴로도로스는 해당 인물일 가능성이 있는 인물로 다음 3명을 꼽고 있다.[83]참조
[1]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2]
서적
Ethnica
https://topostext.or[...]
[3]
웹사이트
Male Nightingales Explore by Day, Seduce by Night
http://news.national[...]
2012-11-23
[4]
웹사이트
And a nightingale sang... experienced males 'show off' to protect their territories
https://phys.org/new[...]
2012-11-23
[5]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http://archimedes.fa[...]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0-07
[6]
서적
The Fourth Book of Virgil's Georgics: With a Vocabulary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and Co.
2012-10-07
[7]
서적
Metamorphoses
[8]
서적
Library
https://www.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William Heinemann, Ltd.
2012-11-23
[9]
서적
Tereus
Harvard College
[10]
간행물
Sophocles' "Tereus"
https://www.jstor.or[...]
2001-11
[11]
간행물
Reconstructing a Fragmentary Tragedy 2: Sophocles' Tereus
http://www2.open.ac.[...]
2007-11-23
[12]
문서
Bibliotheca of Pseudo-Apollodorus
[13]
서적
Ovid's Metamorphoses in Fifteen Books, translated by the most eminent hands
Jacob Tonson
[14]
서적
Bibliotheca
https://www.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William Heinemann, Ltd.
2012-11-23
[15]
서적
Library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William Heinemann, Ltd.
[16]
웹사이트
What is Myth?
http://www.faculty.d[...]
2013-01-09
[17]
서적
The Problem of Defining Myt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서적
Aristophanes: Three Comedies: The Birds, The Clouds, The Wasp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
웹사이트
Deconstructing Tereus: An Introduction to Aristophanes' Birds
http://citation.alla[...]
2013-01-09
[20]
간행물
Keats and the Tongueless Nightingale: Some Unheard Melodies in 'The Eve of Saint Agnes'
[21]
서적
The Odyssey of Homer, translated by A. Pope
https://books.google[...]
F. J. DuRoveray
[22]
서적
Sophoclean Fragments
Wiley-Blackwell
[23]
서적
Fabulae
Harva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Confessio Amantis
[25]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26]
서적
The Naked Text: Chaucer's Legend of Good Wome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서적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https://www.perseus.[...]
Bohn
2012-11-23
[28]
서적
An Introduction to Sophocles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Metamorphoses
https://topostext.or[...]
[30]
서적
Vases and Tragic Drama
University of Edinburgh
[31]
서적
Revenge in Attic and later traged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2]
서적
Women in the Ancient World
ABC-CLIO
[33]
간행물
The Nightingale in Greek and Latin Poetry
https://www.jstor.or[...]
1934-11
[34]
서적
The Odyssey
[35]
서적
Agamemnon
http://www.greektext[...]
2012-11-23
[36]
서적
Poetics
[37]
간행물
Romanticism's Singing Bird
Rice University
1974
[38]
서적
Palimpsestic Philomela: Reinscription in Chaucer's 'Legend of Good Women'
Palgrave
2011
[39]
서적
Troilus and Criseyde
[40]
서적
Confessio Amantis
[41]
서적
Sung Birds: Music, Nature, and Poetry in the Later Middle Ages
Cornell
2006
[42]
서적
Behind the Arras: Tapestry Ekphrasis in Spenser and Shakespeare
ProQuest
2008
[43]
서적
Myths Exploited: the Metamorphoses of Ovid in Early Elizabethan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4]
서적
Passion Made Public: Elizabethan Lyric, Gender, and Performanc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5
[45]
서적
Negotiating Shakespeare's Language in Romeo and Juliet: Reading Strategies from Criticism, Editing and the Theatre
Ashgate Publishing, Ltd.
2009
[46]
웹사이트
Poetry analysis: The Nymph's Reply to the Shepherd, by William Raleigh
http://www.helum.com[...]
2013-01-09
[47]
인용
The Nymph's Reply to the Shepherd
1600
[48]
웹사이트
'Darkling I Listen': The Nightingale's Song In and Out of Poetry
http://alternation.u[...]
2009
[49]
서적
Ovid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Translation in Early Modern England
Ashgate Publishing
2006
[50]
논문
"'And Let Mild Women to Him Lose Their Mildness': Philomela, Female Violence, and Shakespeare's The Rape of Lucrece"
1994
[5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Shakespeare's Poe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52]
인용
Cymbeline
[53]
서적
Women in the Age of Shakespeare
ABC-CLIO
2010
[54]
웹사이트
The Significance of the Reference to Philomel in 'A Midsummer Night's Dream' by Shakespeare
https://www.articlem[...]
2011-12-04
[55]
서적
Shakespeare, National Poet-Playwri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56]
서적
"A Moving Rhetoricke": Gender and Silence in Early Modern England
Palgrave
2002
[57]
서적
Shakespeare and the Question of Theory
Methuen
1985
[58]
인용
The Description of Cookeham
1611
[59]
인용
2009
[60]
간행물
Listening to the Nightingale
1970
[61]
간행물
Romanticism's Singing Bird
1974
[62]
서적
A Defense of Poetry
Ginn & Company
1903
[63]
서적
The Life of Samuel Taylor Coleridge
Blackwell
1997
[64]
인용
Philomela
1798
[65]
인용
O Nightingale, thou surely art
1807
[66]
웹사이트
"Bird Imagery in Keats's 'Ode to a Nightingale' and Yeats's 'The Wild Swans at Coole': A Comparative Study"
http://www.languagei[...]
2011-12-12
[67]
인용
A Poem on the Inhumanity of the Slave-Trade
1788
[68]
서적
Jose Rizal: Life, Works, and Writings of a Genius, Writer, Scientist, and National Hero
All Nations Publishing Co.
1994
[69]
인용
The Waste Land
Horace Liveright
1922
[70]
웹사이트
Notes on T. S. Eliot's The Waste Land
http://www.elcamino.[...]
[71]
학술지
The Cards Indicate a Voyage on ''A Streetcar Named Desire''
https://link.gale.co[...]
Gale
[72]
웹사이트
The Living Composers Project: James Dillon
http://composers21.c[...]
2012-12-22
[73]
간행물
Some Works of Milton Babbitt, Reviewed
[74]
서적
A Poem for Music: Remarks on the Composition of ''Philomel''
Oxford University Press
[75]
웹사이트
How Bengal woke up to 'band' culture in the 1970s, paving the way for a bona fide rock movement in Bangla
https://www.firstpos[...]
2021-05-22
[76]
웹사이트
I try my best to use live music, within the limitations of budget and time: Prabuddha Banerjee
https://www.cinestaa[...]
2022-08-12
[77]
웹사이트
Philomela's tongue says
https://www.poetryfo[...]
2019-05
[78]
문서
ビブリオテーケー III.14.8
[79]
문서
変身物語 Vi.424-674
[80]
서적
爆笑ギリシア神話
光栄
[81]
서적
ギリシア神話
青土社
[82]
웹사이트
Agamemnon by Aeschylus
http://www.greektext[...]
Greek Texts
2008-01-22
[83]
문서
ビブリオテーケー III.1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