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건소는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을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1937년 보건소법 공포를 시작으로 1997년 지역보건법 시행을 통해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주요 업무는 개인 보건, 감염병 관리, 물건 보건으로 나뉘며, 개인 보건에서는 모자보건, 노인 보건, 정신 보건 등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감염병 관리에서는 선별 진료소 운영, 역학 조사, 예방 접종 등을 수행한다. 물건 보건은 식품 위생, 환경 위생, 의료 및 약무 위생 등을 관리하며, 관련 시설에 대한 위생 점검과 면허 관리, 마약류 관리 및 의약품 안전 사용 교육 등을 실시한다. 보건소는 의사, 간호사, 약사 등 다양한 전문 인력으로 구성되며, 한국 보건소는 인력 및 예산 부족, 지역 간 격차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공공 보건 의료 인력 확충 및 지역 간 건강 격차 해소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보건소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보건소 |
정식 명칭 | 보건소 |
영어 명칭 | Health center |
지도 기호 | 일본의 보건소 지도 기호 |
설립 | 1937년 4월 5일 |
설립자 | 법 제정: 일본국 정부, 설치: 각 지방공공단체 |
설립지 | 일본 |
종류 | 공공 기관 |
지위 | 지방 기관 |
목적 | 질병 예방, 위생 향상, 지역 주민 건강 유지 증진 |
언어 | 한국어 |
간부 호칭 | 보건소장 |
간부 이름 | 각 지방공공단체의 보건소장 |
직원 | 30353명 (헤이세이 12년) 시점 |
운영 | |
설치 주체 | 지방자치단체 |
설치 근거 | 지역보건법 |
주요 기능 | 지역 보건 의료 서비스 제공 지역 사회 건강 문제 관리 감염병 예방 및 관리 건강 증진 사업 추진 |
조직 | 보건소장 보건 의료 담당 부서 보건 담당 인력 (의사, 간호사, 약사, 보건직 공무원 등) |
제공 서비스 | 감염병 예방 접종 건강 검진 만성 질환 관리 모자 보건 사업 정신 건강 증진 사업 구강 보건 사업 보건 교육 및 상담 환경 위생 감시 식품 위생 관리 응급 의료 지원 |
역사 | |
설립 배경 | 1937년 보건소법 제정 공중위생 및 지역 보건 서비스 제공 필요성 증대 |
변천 과정 | 초기: 질병 예방 및 위생 관리에 초점 현대: 건강 증진 및 지역 보건 사업 확대 |
기타 | |
관련 기관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보건소 병원 의원 |
2. 역사
1937년 4월 5일: 보건소법 공포, 7월 15일 시행.[1]
1938년[2]
- 1월 11일 - 내무성에서 분리되어 후생성 설립[2]
- 3월 24일 - 동일본 18곳, 서일본 35곳에 보건소 개설. 당시 계획으로는 1942년까지 전국 550곳에 설치될 예정이었다.[2]
1947년 9월 5일: 보건소법 개정[3]
1994년 6월 30일: 지역보건대책 강화를 위한 관계 법률의 정비에 관한 법률(보건소법의 지역보건법으로의 개정 및 관련 법의 개정을 목적) 제정[4]
1997년 4월 1일: 지역보건법 시행[5]
3. 주요 업무
보건소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전염병 및 질병 예방 관리
- 보건 통계 및 보건 의료 정보 관리
- 지역 보건 기획 및 평가
- 보건 교육
- 영양 개선, 식품 위생 및 공중 위생
- 학교보건 협조
- 구강보건, 정신보건, 노인보건 및 장애인 재활
-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직원 및 업무 지도 감독
- 의약 지도
- 기타 의료 사업 및 국민 보건 향상, 증진
- 보건증 등 보건 관련 서류 발급
보건소 업무는 크게 '''개인 보건'''과 '''물건 보건'''으로 나뉜다. 개인 보건은 주민 대상 보건 지도 및 서비스이며, 모자 보건, 노인 보건 등 일반적인 것은 시정촌 보건센터에서 담당하고, 보건소는 재난 의료, 감염병, 정신 보건 등 전문적이고 광역적인 업무를 한다. 물건 보건은 지역 사회 생활 위생 관리로, 식품 위생, 수의 위생, 환경 위생, 의료·약무 위생 4개 분야로 구성된다.
3. 1. 개인 보건
보건소의 개인 보건 업무는 주민에 대한 보건 지도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모자 보건, 노인 보건 등 일반적인 업무는 시정촌 보건센터에서 담당하고, 보건소는 재난 의료, 감염병, 정신 보건 등 전문적이고 광역적인 업무를 주로 수행한다. 다만, 중핵시, 정령지정도시, 특별구의 경우 보건소가 세부적인 부분까지 담당하기도 한다.[1]3. 1. 1. 감염병 관리
보건소는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핵심 업무 중 하나로 수행한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선별진료소 운영, 역학 조사, 예방 접종 등을 실시하며 방역의 최전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보건소는 결핵, 에이즈 등 법정 감염병에 대한 감시, 예방, 진료 사업을 수행하며, 전염병 및 질병의 예방 관리를 담당한다.[1] 또한, 환경위생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보급하고, 환경위생 상담 및 지도를 통해 감염병 예방에 힘쓰고 있다.[1]
3. 2. 물건 보건
보건소의 업무 중 물건 보건은 지역 사회의 생활 환경 위생을 관리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생활 위생이라고 불리며, 식품 위생, 수의 위생, 환경 위생, 의료·약무 위생의 네 가지 분야로 나뉜다.이러한 업무는 영업 허가, 현장 조사, 위반 시설에 대한 영업 정지 등 행정적인 권한을 포함한다. 관련 법률에 따라 식품 위생 감시원, 광견병 예방원, 동물 보호 담당 직원, 환경 위생 감시원, 의료 감시원, 약무 감시원 등 자격을 갖춘 전문가들이 각 업무를 담당한다.
3. 2. 1. 식품 위생 관리
- 조리사 및 제과제빵사 면허 교부 절차를 담당한다.[3]
- 식품 제조, 유통, 조리 및 판매 시설, 도매시장, 집단급식시설(음식점 등)에 대한 영업 허가 및 감시 지도, 제출 서류를 접수한다.[3]
- 이벤트 등에서 식품을 취급하는 경우 상담을 진행한다.[3]
- 식품 관련 민원 상담을 접수한다.[3]
- 식품 및 용기 포장 등의 압수(표본 채취) 검사를 실시한다.[3]
- 식중독 발생 시 의사 보고를 접수하고(식품위생법 제58조), 원인 조사 및 예방을 위한 홍보·계몽 활동을 한다.[3]
- 사료공장(飼料工場일본어)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사무를 처리한다.[3]
- 사회복지시설(노인요양시설 등) 및 특정급식시설(학교급식센터 등)에 대한 영양 지도를 실시한다.[3]
3. 2. 2. 환경 위생 관리
보건소의 업무 중 물건 보건(지역에 관한 것)은 일반적으로 생활 위생이라고 불리며, 식품 위생, 수의 위생, 환경 위생, 의료·약무 위생의 4개 분야로 구성된다. 이들은 영업 허가, 현장 조사, 위반 시설에 대한 영업 정지 등 "권력 행정"으로서의 권한을 많이 가지고 있다. 관련 법률에 따라 자격이 규정되어 있으며, 식품 위생 감시원, 광견병 예방원, 동물 보호 담당 직원, 환경 위생 감시원, 의료 감시원, 약무 감시원이 각각의 업무를 담당한다.3. 2. 3. 의료 및 약무 관리
보건소는 의료기관 및 약국 개설 허가와 관리 감독을 실시한다. 의사, 간호사, 약사 등 의료 관련 면허 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마약류 관리 및 의약품 안전 사용 교육을 실시한다. 이러한 업무는 '물건 보건(지역에 관한 것)'으로 분류되며, 생활 위생이라고도 불린다.'물건 보건'은 식품 위생, 수의 위생, 환경 위생, 의료·약무 위생의 4개 분야로 구성된다. 보건소는 영업 허가, 현장 조사, 위반 시설에 대한 영업 정지 등 "권력 행정"으로서의 권한을 가진다. 관련 법률에 따라 식품 위생 감시원, 광견병 예방원, 동물 보호 담당 직원, 환경 위생 감시원, 의료 감시원, 약무 감시원이 각각의 업무를 담당한다.[1]
4. 조직 및 인력
지역보건법 시행령에 따라 보건소에는 의사, 치과의사, 약사, 수의사, 보건교사, 조산사, 간호사,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위생사, 영양사, 치과위생사, 통계기술자 등 다양한 전문 인력이 근무한다.[1] 이 외에도 식품위생감시원, 환경위생감시원 등 보건소 업무 담당 직원이 있다.[1]
4. 1. 조직
지역보건법 시행령 제4조 제1항에 따르면, 보건소장은 의사 면허를 가진 기술직 공무원이어야 하며, 다음 요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한다.[1]- 3년 이상 공중보건 업무 경력
- 후생노동성 조직령 제135조에 따른 국립보건의료과학원 교육훈련 과정(현재 1년, 2007년까지는 3개월 과정) 수료
- 후생노동대신이 인정한, 위와 동등한 기술 또는 경험 (건강국장 통지: "외국에서 관련 교육훈련 과정 수료 후 공중보건 석사(MPH, MSPH) 학위 취득자". 국내 공중보건대학원은 해당 없음)[1]
단, 지역보건법 시행령 제4조 제2항에 따라, 지자체장이 의사를 보건소장으로 임명하기 어려운 경우, 2년 내 기간 동안 다음 요건 중 하나를 갖춘 의사가 아닌 기술직 공무원을 보건소장으로 임명할 수 있다.[1]
- 후생노동대신이 인정한, 공중보건행정에 필요한 의학 지식 보유자
- 5년 이상 공중보건 업무 경력
- 관련 교육훈련 과정 수료
건강국장 통지에 따르면, "후생노동대신이 인정한, 공중보건행정에 필요한 의학 지식 보유자"는 국립보건의료과학원 교육훈련규정 제5조 제4항 제1호에 따른 학력을 국립보건의료과학원장이 인정하고, "전문과정Ⅰ" 수강 자격을 얻은 자이다. 이 자격 인정에는 의사 국가시험 출제 기준에 따른 국립보건의료과학원 시험이 실시된다.[1]
시험 범위 | |||
---|---|---|---|
필수 기본 사항 | |||
의학 개론 | |||
의학 각론: | * ㄱ. 건강 위기 관리 관련 감염병, 정신 질환, 중독 및 외인성 질환 | * ㄴ. 건강 증진 관련 주요 생활 습관병(악성 신생물, 뇌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당뇨병) 및 관련 질환 | * ㄷ. 기타 공중보건행정(특정 질환, 소아 만성 질환 등 신청 포함) 관련 질환 |
4. 2. 인력
지역보건법 시행령 제5조 제1항에 따라 보건소에는 다양한 전문 인력이 근무한다.
이 외에도 보건소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필요한 임용 자격을 갖춘 직원들이 있다.
추가 인력 |
---|
식품위생감시원, 환경위생감시원, 의료감시원, 약무감시원, 광견병 예방원 |
5. 한국 보건소의 현황 및 과제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의 위생 관련 업무는 건축물위생법 제3조에 규정되어 있다.[1] 환경위생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보급하고, 환경위생 상담 및 필요한 지도를 하는 것이 주요 업무이다.[1]
한국 보건소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2]
업무 분야 | 상세 내용 |
---|---|
전염병 및 질병 예방관리 | 전염병 예방 및 관리 |
보건통계 및 정보 관리 | 보건통계 작성 및 보건의료정보 관리 |
지역보건 기획 및 평가 | 지역보건사업 기획 및 평가 |
보건교육 | 지역 주민 대상 보건교육 실시 |
영양 및 위생 관리 | 영양 개선, 식품위생 및 공중위생 관리 |
학교보건 협조 | 학교보건사업 지원 및 협력 |
구강, 정신, 노인, 장애인 보건 | 구강보건, 정신보건, 노인보건 및 장애인 재활 사업 |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사업 |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 지도감독 |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직원 및 업무 지도감독 |
의약 지도 | 의약품 관련 지도 및 관리 |
기타 의료사업 및 국민보건 향상 | 기타 의료사업 및 국민보건 향상, 증진 사업 |
보건 관련 서류 발급 | 보건증 등 보건 관련 서류 발급 |
참조
[1]
서적
全国四十九カ所に「保健所」を開設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1994
[2]
웹사이트
全国保健所長会「保健所設置数・推移」
http://www.phcd.jp/0[...]
2021-01-03
[3]
간행물
新潟県地域防災計画(震災対策編)
http://www.pref.niig[...]
新潟県
[4]
간행물
三重県災害医療救護マニュアル
http://www.pref.mie.[...]
三重県
[5]
웹사이트
保健所管轄区域案内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6]
기타
[7]
기타
[8]
기타
[9]
기타
[10]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