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가스터빈 엔진 및 부품, 항공기 부품, 방산 장비 등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1977년 삼성정밀공업으로 설립되어 삼성항공산업, 삼성테크윈을 거쳐 2018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항공우주, 방산, 전기추진체계 사업을 영위하며, K9 자주포, 누리호 엔진 부품 등을 생산한다. 한화그룹의 계열사이며, 한화비전, 한화시스템, 쎄트렉아이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엔진 제조업체 - 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은 1974년 설립되어 선박 건조, 해양 플랫폼, 풍력 발전 설비 사업을 영위하는 대한민국의 조선 및 해양 플랜트 기업으로, LNG선, 드릴십 등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에 강점을 가진다.
  • 대한민국의 엔진 제조업체 - 두산에너빌리티
    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 설비, 담수 플랜트 등을 제작하는 중공업 기업으로, 두산그룹 인수 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가스터빈 국산화 성공, 사명 변경을 거쳐 에너지 전환 시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도약을 선언했으며, 원자력 발전소 기자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1977년 설립된 전자 기업 - 삼성전기
    삼성전기는 1973년 삼성산요파츠로 설립되어 MLCC, 카메라 모듈, 반도체용 기판 등을 생산하며 스마트폰, 자동차 전장용 부품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글로벌 생산 거점 확보 및 지속가능경영을 추구하는 대한민국의 전자 부품 제조 기업이다.
  • 1977년 설립된 전자 기업 - 다인오디오
    다인오디오는 가정용 하이파이 스피커, 스튜디오 모니터,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 등 다양한 스피커 및 오디오 시스템을 제조하는 덴마크의 음향 기기 제조사로, 고품질 사운드 재생 기술력을 인정받아 전 세계 녹음 스튜디오 및 자동차 제조사와 협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군수산업체 - 세아베스틸
    세아베스틸은 1955년 설립되어 2003년 세아그룹에 편입된 대한민국의 특수강 제조 기업으로, 특수강, 대형 단조품 등을 생산하며 스테인리스 특수강, 알루미늄 소재 사업과 함께 원자력, 항공, 방산 등 고부가가치 사업 분야로 확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군수산업체 - 한화오션
    한화오션은 1973년 대한조선공사로 설립되어 대우조선해양을 거쳐 2022년 한화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조선업체로, 다양한 선박과 해양플랜트 건조, 분식회계 및 경영난을 거쳐 한화그룹 인수 후 사업 확장과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 명칭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로마자 표기Hanhwa Eeoroseupeiseu
이전 명칭삼성정밀공업 (1977–1987)
삼성항공 (1987–2000)
삼성테크윈 (2000–2015)
한화테크윈 (2015–2018)
설립일1977년 8월 1일
설립자알 수 없음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
본사 위치 (도시)서울
본사 위치 (국가)대한민국
핵심 인물손재일 (최고 경영자)
서비스 지역전 세계
제품항공우주 부품
리튬 이온 배터리 시스템
해양 가스 터빈 엔진
군용 차량
미사일
로켓 엔진
산업항공우주 산업
방위 산업
직원 수3,704명
모회사한화그룹
자회사알 수 없음
웹사이트 (한국어)한화에어로스페이스 공식 웹사이트 (한국어)
웹사이트 (영어)한화에어로스페이스 공식 웹사이트 (영어)
재무 정보
매출₩6.5396조
매출 년도2022년
영업 이익₩3772억
영업 이익 년도2022년
순이익₩1520억
순이익 년도2022년
자산₩15.1573조
자산 년도2022년
자기 자본₩3.9238조
자기 자본 년도2022년
주주 정보
주요 주주한화그룹 (33.98%)
국민연금공단 (8.10%)
자기주식 (0.12%)
기타 (0.3%)
추가 정보
창립일1977년 8월 1일
한국어 명칭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해체삼성정밀공업㈜
삼성항공산업㈜
삼성테크윈㈜
한화테크윈㈜
국가대한민국
장소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창원대로 1204 (성주동)
인물김동관 (대표이사)
손재일 (대표이사)
산업제조업
서비스항공우주
방산
자본금265,650,000,000원
매출액6,415,100,000,000원 (2021)
주요 주주 (상세)주식회사 한화 외 특수관계인: 33.97%
국민연금공단: 9.93%
종업원3,704명 (2022)
자회사한화시스템주식회사
한화테크윈주식회사
쎄트렉아이
웹사이트한화에어로스페이스
상장일1987년 5월

2. 연혁


  • 1977년 8월: '''삼성정밀공업''' 설립[13]
  • 1978년: 방산업체 지정, '정밀기기연구소' 개소[13]
  • 1979년: 항공기용 가스터빈 엔진 정비사업 개시, ㈜한화방산 중앙연구소 설립[13]
  • 1980년: 미국 GE사와 기술제휴로 국산항공기용 제트엔진 생산 착수[13]
  • 1981년: 항공기 부품 제작사업 착수
  • 1982년: 국내 최초 항공기엔진 국산화 출하[13]
  • 1983년: 한국중공업(주) 중장비공장 인수(3공장),[13] 미국 GE사와 J85-13/17 엔진 부품제작 기술도입 계약, 프랫 & 휘트니Aircraft사와 엔진 사업 공동추진 합의 계약[13]
  • 1984년: '다관절형 조립용 로봇' 개발,[13] K-55 자주포 양산, K-200 한국형 보병전투장갑차 개발[13]
  • 1985년: K55 생산개시, 1공장, 반도체용 리드프레임공장 준공, 프랫 & 휘트니사와 PW4000엔진 공동개발 생산 참여[13]
  • 1986년: 카메라 독자모델 '윙키(winky)' 출시,[13] 한국형 전투기 사업(KFP) 주력업체 선정[13]
  • 1987년: 상호 '''삼성항공산업'''으로 변경,[13] 항공우주연구소 설립, 헬기 생산, 한국증권거래소 '주식' 상장,[13] 대전사업장 인수 (ADD 추진제 생산시설)
  • 1990년: GE F404엔진 수주
  • 1991년: KFP 면허생산 공식 체결, 차세대 전투기사업 국방부와 최종계약, 산업용 가스터빈 엔진개발사업 계약, 보은사업장 준공
  • 1993년: 경상남도 사천 '종합 항공기 공장' 준공, K-200 한국형 보병전투장갑차 말레이시아 수출
  • 1994년: F-16 국산화 엔진 1호기 출하
  • 1995년: 일본 '유니언 사' 인수, UH-60(블랙 호크) T-700엔진 본격 생산
  • 1996년: 세계 최초 '1기가용 리드프레임' 개발
  • 1997년: KFP 국산화엔진 1호기, KF-16 전투기 국산화 1호기 생산
  • 1998년: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 초도 양산, 美 GE 대형 여객기 엔진부품 대량 수주, 보잉 최신 항공기 날개구조물 3백여대 분 독점 공급, GE 항공기 엔진부품 생산 최우수 업체 선정, 얼라이드시그널 항공기 엔진부품 3700만달러 수주, 록히드 마틴 고등훈련기 공동판매 계약, 벨 다목적 군용헬기 공동개발 계약
  • 1999년: K9 자주포 양산, 천마 단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양산, 한국형 구축함용 가스터빈 엔진 공급계약
  • 1999년: 한국항공우주산업 '항공기 사업' 양도
  • 2000년: 상호 '''삼성테크윈''' 변경,[13] 미국 P&W 엔진부품 1억달러 수주, KT-1엔진 초도품 출하
  • 2001년: 한국형 구축함 KDX-Ⅱ 국산화 엔진 출하, '인공관절 사업' 시작, K9 자주포 터키 수출[13]
  • 2004년: 30mm 자주대공포 비호 양산,[13] 바라쿠다 (4X4) 인도네시아 수출, F-15K 국산화 엔진 1호기 생산, 정밀유도기술연구소 설립
  • 2006년: 로봇형 탄약운반장갑차 K10 초도 출하, 종합연구소 설립, 일본 ‘굿 디자인 어워드 2006’ '굿디자인상' 수상, 경제정의연구소 주관 경제정의기업최우수기업상 수상
  • 2007년: 중국 천진 'TSOE 신공장' 준공
  • 2008년: K21 보병전투장갑차 양산, 'K-55 성능개량 및 K-55 탄약운반장갑차 개발 업체' 선정, 미국 휴스턴, 메릴랜드 연구소 개소
  • 2009년: '카메라사업부문' 분사, '삼성디지털이미징' 설립[14]
  • 2010년: 경기도 판교 R&D 센터 준공
  • 2011년: K55A1 성능개량 자주포 양산, FA-50 엔진 초도 양산 계약, K55A1 초도 양산, 폰 카메라 모듈 사업 중단[15]
  • 2012년: 수리온 엔진 초도 납품,[16] 순항형 유도무기체계 사업 수주
  • 2013년: 타란툴라(6x6) 인도네시아 수출, GE LPT 모듈 단독 공급 계약, 방위사업청 FA-50엔진 공급 계약
  • 2014년: 정밀유도포탄 사업, 전술 지대지 유도무기체계 사업 수주, 반도체부품(MDS) 사업부 분할, MDS 양도,[17] K9 자주포 폴란드 수출,[18] 해성 대함미사일 발사대 콜롬비아 수출, K56 탄약운반장갑차 양산, KAI T-50 수출용 엔진 공급 계약, P&W GTF 엔진부품 장기 공급 계약, 회로지령탄약 전력화, 단거리로켓발사기 사업, 개량형 81MM 박격포탄(성형파편탄)체계사업 수주
  • 2015년: 바라쿠다(4x4) 베트남 수출, 비호복합, 천궁 양산, GE 4700억 규모 항공기 엔진 부품 공급, KAI T-50 제트엔진 1702억 수주, 소형무장헬기 공대지유도탄체계 사업, L-SAM 체계 사업, L-SAM ABM 체계 사업 수주, 상호 '''한화테크윈''' 변경, 미국 P&W GTF 엔진 공동 개발사업(RSP) 지분 참여
  • 2016년: KAAV 상륙돌격장갑차 필리핀 수출, 잠수함용 리튬전지체계 개발착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 발사체(KSLV-Ⅱ) 액체로켓 엔진제작 계약, 미국 GE LM6000, LM 2500, Leap 엔진 부품 공급 계약, 항공기 엔진부품 전용 신공장 준공(창원 2사업장), 미국 P&W 싱가포르 항공기 엔진부품 생산법인 지분 30% 취득(JV), 영국 롤스로이스 Trent 7000 엔진 부품 공급 계약, 두산 DST 인수 (舊 한화디펜스)[19]
  • 2017년: 한화지상방산, 한화파워시스템, 한화정밀기계 분리, K9 자주포 인도, 핀란드, 노르웨이 수출, K10 탄약운반장갑차 노르웨이 수출[20]
  • 2018년: K9 자주포 에스토니아 수출, K105A1 자주포 양산, 무인수색차량 탐색개발사업 수주, ㈜한화 항공기계사업 영업 양수, 누리호 시험발사체 발사 성공, 상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변경, 시큐리티(CCTV)사업부 물적분할, '한화테크윈' 신설
  • 2019년: 미국 항공엔진 부품업체 EDAC 인수, Hanwha Aerospace USA 출범, 미국 프랫 & 휘트니 GTF 엔진 Disk 공급 계약, 영국 롤스로이스 100억달러 규모 Trent 엔진 부품 공급 계약 수주, 레이저대공무기(Block-I)체계 사업 수주, 레드백 호주 차세대장갑차 도입 사업 최종 후보 선정
  • 2020년: 120밀리 자주박격포, 30mm 차륜형 대공포 양산,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체계개발 수주
  • 2021년: 한국형 자주도하장비 M3K 수주,[21]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장갑차 호주 수출, 美 GE 3.2억달러 규모 항공기 엔진부품 공급계약 체결, 6개 정부출연 연구소와 우주 현지자원활용(ISRU) 관련 협약
  • 2022년: 천궁 II, K9 자주포 패키지, 천무 중동국가 수출, 바라쿠다 인도네시아 수출, 누리호 고도화사업 총괄 주관 제작사업 계약 체결, 한화디펜스 흡수합병
  • 2024년: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 분리

2. 1. 삼성정밀공업 (1977-1987)

1977년 8월, '''삼성정밀공업'''이 설립되었다.[13] 초기에는 미사일 추진 시스템을 생산하였고, 1978년에는 방위산업체로 지정됨과 동시에 '정밀기기연구소'를 개소하여 기술 개발에 힘썼다.[13] 1979년부터는 항공기용 가스터빈 엔진 정비 사업을 시작하였고,[13] 1980년에는 미국 GE사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국산 항공기용 제트 엔진 생산에 착수하였다.[13] 1982년에는 국내 최초로 항공기 엔진 국산화에 성공하였다.[13]

1983년, 한국중공업의 중장비 공장을 인수(3공장) 하였고,[13] 미국 GE사와 J85-13/17 엔진 부품 제작에 관한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하였다. 또한, 프랫 & 휘트니사와 엔진 사업 공동 추진 합의 계약을 체결하였다.[13]

1984년에는 '다관절형 조립용 로봇'을 개발하였고,[13] K-55 자주포 양산 및 K-200 한국형 보병전투장갑차를 개발하였다. 1985년에는 K55 자주포 생산을 시작하였고, 1공장에 반도체용 리드프레임공장을 준공하였다.[13] 또한, 프랫 & 휘트니사와 PW4000엔진 공동 개발 생산에 참여하였다.

1986년에는 카메라 독자 모델인 '윙키(winky)'를 출시하였고,[13] 11월에는 '한국형 전투기 사업(KFP) 주력업체'로 선정되었다.[13]

2. 2. 삼성항공산업 (1987-2000)

1987년 2월, 삼성정밀공업은 회사 이름을 삼성항공산업으로 바꾸었다.[13] 이는 항공우주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려는 회사의 의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변화였다. 같은 해, 항공우주연구소를 설립하여 항공우주 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또한 헬기 생산 사업을 시작하고, 5월에는 한국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13]

1986년 11월, 삼성항공산업은 한국 전투기 사업(KFP)의 주력 업체로 선정되었다.[13] 1991년에는 KFP 면허생산 공식 계약을 체결하고, 차세대 전투기 사업에 대한 최종 계약도 국방부와 맺었다. 1993년에는 경상남도 사천에 종합 항공기 공장을 완공하여, 1994년 F-16 국산화 엔진 1호기를 출하하고, 1997년에는 한국형 KF-16 전투기 국산화 1호기를 생산하는 등 대한민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 생산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1990년대 삼성항공산업은 항공기 엔진 분야에서도 উল্লেখযোগ্য 성과를 거두었다. 1990년 GE사의 F404 엔진을 수주하고, 1995년에는 대형 헬기 UH-60 (블랙 호크)의 T-700 엔진을 본격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했다. 1997년에는 KFP 국산화 엔진 1호기를 출하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1998년에는 미국의 GE사로부터 대형 여객기 엔진 부품을 대량 수주하고, 항공기 엔진 부품 생산 최우수 업체로 선정되는 등 국제적으로도 인정받는 기술력을 확보했다.

1993년, K200 한국형 보병전투장갑차를 말레이시아에 수출하였고, 1998년에는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 초도 양산을 시작하는 등 장갑차 생산에도 주력하였다. 1999년에는 K9 자주포 양산을 시작했다.

2. 3. 삼성테크윈 (2000-2015)

2000년 3월, 삼성항공산업은 항공기 제조 사업에서 완전히 벗어나면서 사명을 삼성테크윈으로 변경했다.[13] 이는 반도체 시스템, 광학 디지털 사업 등 보다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기 위한 결정이었다.

삼성테크윈은 방산 분야에서도 꾸준한 성과를 거두었다. 2001년에는 K9 자주포를 터키에 수출하였고,[13] 2004년에는 30mm 자주대공포 비호를 양산하기 시작했다.[13]

연도주요 내용
2000년미국 P&W사 엔진부품 1억달러 수주, KT-1엔진 초도품 출하
2001년한국형 구축함 KDX-Ⅱ 국산화 엔진 출하, 인공관절 사업 시작, K9 자주포 터키 수출[13]
2004년30mm 자주대공포 비호 양산,[13] 바라쿠다 (4X4) 인도네시아 수출, 차세대 전투기 F-15K의 국산화 엔진 1호기 생산, 정밀유도기술연구소 설립
2006년세계 최초 개발한 로봇형 탄약운반장갑차 K10 초도 출하기념식 개최, 종합연구소 설립(중앙연구소-정밀유도기술연구소 통합), 일본 ‘굿 디자인 어워드 2006’에서 굿디자인상 수상, 경제정의연구소 주관 경제정의기업최우수기업상 수상
2007년중국 천진에 TSOE 신공장 준공
2008년K21 보병전투장갑차 양산, K-55 자주포 성능개량 사업 및 K-55 자주포용 탄약운반장갑차 개발 업체로 선정, 미국 휴스턴, 메릴랜드 연구소 개소
2009년카메라사업부문을 분사하여 삼성디지털이미징 설립[14]
2010년판교 R&D 센터 준공
2011년K55A1 성능개량 자주포 양산, 경공격기(FA-50)용 엔진 초도 양산 계약, K55A1 자주포 초도 양산 시작, 폰 카메라 모듈 사업 중단[15]
2012년수리온 엔진 초도 납품 개시,[16] 순항형 유도무기체계 사업 수주
2013년타란툴라(6x6) 인도네시아 수출, GE와 LPT(Low Pressure Turbine) 모듈 단독 공급 계약 체결, 방위사업청과 FA-50엔진 공급 계약 체결
2014년정밀유도포탄 사업 수주, 전술 지대지 유도무기체계 사업 수주, 반도체부품(MDS) 사업부 분할 후 신설 법인 MDS로 양도,[17] K9 자주포 폴란드 수출,[18] 해성 대함미사일 발사대 콜롬비아 수출, K56 탄약운반장갑차 양산, KAI와 T-50 수출용 엔진 공급 계약 체결, P&W 차세대 민항기용 GTF(Geared Turbo Fan) 엔진부품 장기 공급 계약 체결, 회로지령탄약 전력화, 단거리로켓발사기 사업 수주, 개량형 81MM 박격포탄(성형파편탄)체계사업 수주
2015년바라쿠다(4x4) 베트남 수출, 비호복합, 천궁 양산, GE에 4700억 규모 항공기 엔진 부품 공급, KAI에 T-50 제트엔진 1702억 수주, 소형무장헬기 공대지유도탄체계 사업 수주, 장거리 지대공유도무기(L-SAM) 체계 사업 수주, 장거리 지대공유도무기(L-SAM) ABM(Anti-Ballistic Missile) 체계 사업 수주


2. 4. 한화테크윈 (2015-2018)

2014년 11월, 삼성전자 등 삼성 계열사들이 보유했던 삼성테크윈 주식 전량을 한화그룹에 매각하면서, 2015년 회사 이름이 한화테크윈으로 변경되었다.[5][6] 한화그룹은 삼성테크윈(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과 삼성탈레스(현 한화시스템)를 인수하여 정밀유도무기, 항공기 엔진, 자주포, 항공전자장비, 레이더 등 방위산업 및 전자 사업을 종합적으로 확장했다.[7] 2016년에는 두산 DST(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인수하여 장갑차, 방공 시스템, 미사일 발사 시스템 등으로 사업 분야를 확대했다.[7]

2. 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018-현재)

2018년 4월, 한화테크윈은 시큐리티(CCTV) 사업부를 물적분할하여 '한화테크윈' 법인을 신설하고, 기존 한화테크윈의 자회사 이름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변경하였다.[9] 같은 해 ㈜한화의 항공기계사업 영업을 양수하고, 누리호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했다.

2019년에는 미국 항공엔진 부품업체 EDAC를 인수하여 Hanwha Aerospace USA를 출범시켰다. 또한, 미국 Pratt & Whitney와 GTF 엔진 Disk 공급 계약, 영국 Rolls-Royce와 100억달러 규모 Trent 엔진 부품 공급 계약을 수주했다.

2020년에는 120밀리 자주박격포, 30mm 차륜형 대공포를 양산하고, 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체계개발을 수주했다. 2021년에는 K9 자주포와 K10 탄약운반장갑차를 호주에 수출하고, 美 GE와 3.2억달러 규모 항공기 엔진부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국내 최초로 6개 정부출연 연구소와 우주 현지자원활용(ISRU) 관련 협약을 맺었다.

2022년에는 천궁 II와 K9 자주포 패키지, 천무를 중동 국가에 수출하고, 바라쿠다를 인도네시아에 수출했다. 또한, 누리호 고도화사업 총괄 주관 제작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한화디펜스와 흡수합병했다.

2024년에는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로 분리되었으며, 불연성 배터리 솔루션을 개발했다.[11]

3. 사업 분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항공우주, 방산, 전기추진체계 등을 주요 사업 분야로 삼고 있다. 2024년에는 한화정밀기계와 한화비전 등 비주력 사업 부문을 신설 지주회사 아래에 재편하고, 주력 사업인 항공, 방산, 우주 등은 존속 회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남기는 인적분할을 추진한다.[12]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6개 사업 부문을 통해 사업을 운영한다.[4]


  • 방산 부문: 자주포, 탄약운반장비 등 지상 무기체계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 항공엔진 부문: 가스터빈 엔진 및 엔진 부품을 생산, 공급하고 엔진 정비 서비스를 제공한다.
  • 파워시스템 부문: 압축기와 발전 시스템을 생산 및 판매한다.
  • 보안 부문: CCTV, DVR 등을 제조 및 판매한다.
  • 산업장비 부문: 칩 마운터 및 스크린 프린터와 같은 SMT 장비를 생산 및 판매한다.
  • IT 서비스 부문: 컴퓨터 시스템 설계 및 구축, 컴퓨터 시스템 위탁 운영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한화디펜스와 한화그룹 방산 부문의 합병으로 회사는 기존의 항공우주 엔진 및 우주 프로젝트 중심 사업에서 우주, 항공, 육상, 해상, 공중 방어 부문을 포함한 방산 산업 전반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3. 1. 항공우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가스터빈 엔진 및 부품, 항공기 부품, 우주발사체 엔진 등을 생산한다.[12]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KSLV-2)에 장착되는 액체로켓 엔진 6기, 공급계 밸브, 자세제어시스템, 추진기관 시험설비를 비롯한 각종 핵심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2022년 12월 한국형발사체 고도화 체계종합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2023년부터 2027년까지 항우연과 함께 누리호 3기를 제작하고 4회를 추가 발사할 계획이다. 2021년에는 위성체계 개발 및 수출기업인 쎄트렉아이 지분을 인수하였다.

1979년 가스터빈 엔진창정비 사업을 시작으로 F-15K, T-50 고등훈련기 등 각종 전투기 엔진과 한국형 헬기 '수리온'의 국산화 엔진, 해군 주력 함정용 엔진 등 9,000대 이상의 엔진을 누적 생산해왔다. 또한, GE, R-R, P&W 등 해외 업체에 민간 항공기 엔진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2019년에는 미국 항공기 엔진 부품사인 이닥(EDAC)을 인수하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USA를 출범했다.

3. 2. 방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화력, 기동, 대공, 수상, 유·무인 복합 체계 등 지상 체계를 개발, 생산하고 있으며, 2023년 4월 한화방산(구 ㈜한화 방산 부문)을 인수 합병하며 화약 기술을 바탕으로 유도 무기 및 탄약 체계, 레이저, 항법 등 사업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12]

체계품목
화력 체계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장갑차, K77 사격지휘장갑차, K55A1 자주포, K56 탄약운반장갑차, K105A1 자주포, 발사대 등
기동 체계K21 보병전투장갑차, K200A1, 120밀리 자주박격포, 바라쿠다, 타이곤, 화생방정찰차 등
대공 체계비호복합, 30mm 차륜형대공포, 천마, 노봉, 발칸 등
수상 체계KAAV, 자주도하장비 등
유·무인 복합 체계폭발물 탐지/제거 로봇, 무인수색차량, 다목적 무인차량 (Arion-SMET) 등
유도 무기/탄약 체계천무, 전술지대지, 천검, 박격포탄약, 로켓탄약, 공병탄약 등
항법 체계자이로 센서 등



한화디펜스와 한화그룹 방산 부문의 합병으로 회사는 기존의 항공우주 엔진 및 우주 프로젝트 중심 사업에서 우주, 항공, 육상, 해상, 공중 방어 부문을 포함한 방산 산업 전반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3. 3. 전기추진체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분야에서 친환경 파워트레인(동력의 발생 및 전달 장치)의 핵심 구성품인 배터리팩(Energy Storage System)과 모터(Electric Engine)를 2023년까지 미국 오버에어사에 공급할 예정이며, 2022년에는 영국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와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용 전기식작동기(EMA) 장기 개발∙공급계약을 체결했다. 더불어 친환경 선박시장을 목표로 선박용 ESS를 개발/납품하고 있다.[12]

4. 자회사

5. 지배 구조

2023년영어 4월 기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지분 구조는 다음과 같다.

주주지분(%)
한화33.95
국민연금9.93
Orbis Investment Management영어5.12
자기주식0.12


참조

[1] 웹사이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https://changwon.gra[...]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7-31
[2] 웹사이트 HANWHA AEROSPACE 012450 https://comp.fnguide[...] FnGuide 2022-00-00
[3] 웹사이트 Information Hanwha Aerospace https://www.hanwhaae[...] 2018-09-01
[4] 웹사이트 012450.KS - Hanwha Aerospace Co Ltd Profile https://www.reuters.[...]
[5] 뉴스 Samsung Techwin sold to S. Korean conglomerate http://www.securityi[...] Security Info Watch 2014-12-01
[6] 뉴스 Hanwha wraps up takeover of four Samsung arms http://www.koreaobse[...] The Korea Observer 2016-06-29
[7] 뉴스 Takeover creates Hanwha Defense https://koreajoongan[...] 2016-05-31
[8] 웹사이트 Hanwha Techwin to Spin off Defense, Energy, Industrial Equipment Business Units http://www.businessk[...] 2017-04-28
[9] 웹사이트 Hanwha Aerospace Takes Off To New Horizons https://www.hanwha.c[...]
[10] 뉴스 Hanwha Aerospace merges with Hanwha Munitions https://koreajoongan[...] 2023-04-03
[11] 웹사이트 Hanwha Aerospace develops nonflammable battery solutions https://en.yna.co.kr[...] 2024-00-00
[12] 뉴스 박성우, 한화에어로, 인적분할 추진… 방산·우주항공에 집중 https://biz.chosun.c[...] 조선비즈 2024-04-02
[13] 뉴스인용 삼성테크윈 "전자계열군 전입신고합니다" http://m.news.naver.[...] 이데일리 2007-02-05
[14] 뉴스인용 삼성테크윈, 카메라 사업부문 분할 http://m.news.naver.[...] 아시아경제 2008-11-06
[15] 뉴스인용 <마켓&컴퍼니> 5년간 세번째 ‘다이어트’…삼성테크윈 이번엔 다르다? http://m.news.naver.[...] 헤럴드경제 2014-02-26
[16] 웹인용 네이버/지식백과/기업사전/삼성테크윈 http://m.terms.naver[...] 굿모닝미디어 2011-08-05
[17] 뉴스인용 삼성테크윈, 반도체사업 매각…"위로금 확정" http://m.news.naver.[...] 아이뉴스24 2014-04-09
[18] 웹인용 K9자주포 3억弗 폴란드 수출 https://www.mk.co.kr[...] 2014-12-16
[19] 웹인용 한화테크윈, 두산DST 인수 마무리 https://n.news.naver[...]
[20] 웹인용 K9 자주포+K10 장갑차, 노르웨이로 수출한다 Hanwha Group https://m.hanwha.co.[...]
[21] 웹인용 한화디펜스, 육군 '자주도하장비' 수주… 총 5000억 규모 https://biz.newdaily[...] 2021-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