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퍼드 매킨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핼퍼드 매킨더는 1861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지리학자, 정치인이자 지정학의 선구자이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자연 과학과 역사를 공부했으며, 자연 지리학과 인문 지리학을 통합하는 "새로운 지리학"을 옹호했다. 1887년 "지리학의 범위와 방법론"을 발표하며 신 지리학을 선언하고, 1904년에는 하트랜드 이론을 제시하여 지정학의 기초를 다졌다. 매킨더는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 설립에 참여하고 런던 대학교 경제대학원에서 지리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정치 활동을 통해 하원 의원을 지내기도 했다. 그의 하트랜드 이론은 냉전 시대 미국의 전략 수립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에도 국제 정세 분석에 활용되고 있다.
핼퍼드 매킨더는 1861년 잉글랜드 게인즈버러에서 스코틀랜드계 의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3] 퀸 엘리자베스 문법 학교, 엡섬 칼리지,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에서 교육을 받았다.
핼퍼드 매킨더는 하트랜드 이론을 주창하고, 유라시아를 기점으로 한 국제 관계의 역학을 지리적으로 분석했다. 매킨더는 자신의 이론을 지리학이라고 칭한 적은 없지만, 오늘날의 지리학 체계는 거의 매킨더의 이론을 그 시조로 숭상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 생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전공하며 헨리 노티지 모즐리 밑에서 자연 과학을 공부했다. 모즐리는 ''챌린저'' 탐험의 박물학자였다. 이후 역사 연구로 전향하면서 "오래된 관심사로 돌아가 인간 발달에서 진화론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보기 위해 근대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자연 지리학과 인문 지리학을 단일 학문으로 다루는 것을 강력하게 옹호했다. 1883년 옥스퍼드 유니언 회장을 역임했다.[2]
어린 시절부터 주변의 자연에 흥미를 보였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하려 했지만 지질학, 역사, 법학을 배웠으며, 모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법학 분야에서는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이후에도 자연에 대한 관심과 열정은 식지 않아, 국내를 널리 여행하며 자연 과학과 인간 사회를 연결하는 중간적인 개념으로서 "새로운 지리학"을 제창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1883년에 생물학 학위를, 이듬해에 근대사 학위를 받았다.[3]
1887년, 매킨더는 ''신 지리학''의 선언문인 "지리학의 범위와 방법론"을 발표했다.[4] 몇 달 후,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 강사로 임명되어 지리학 교육을 도입했다. 1892년, 리딩 대학교 확장 칼리지(University Extension College, Reading)의 초대 학장이었으며, 이 칼리지는 1926년 리딩 대학교가 되었다.[5][6] 1893년, 학교에서 지리 교육을 장려하는 지리학회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6] 1895년,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1899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지리학과를 설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7]
1902년, 영국 제도의 최초의 포괄적인 지형학을 포함하고 지역 지리학의 고전이 된 ''영국과 영국해''를 출판했다.[10] 1923년, 런던 대학교 경제대학원에서 지리학 교수가 되었다.
1900년 자유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16] 1910년 자유 연합당 소속으로 하원 의원에 당선되어 1922년까지 활동했다.[16] 1920년 신년 명예 훈장에서 기사 작위를 받았다.[16]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 구상에 참여했다. 1919년-1920년 남러시아 주재 영국 고등 판무관으로 활동하며 백군 세력 지원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9] 1926년 추밀 고문관에 임명되었다.[19] 1920년-1945년 영국 선박 통제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19] 1926년-1931년 대영 제국 경제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19]
1943년 미국의 잡지 포린 어페어스에 "둥근 세계와 평화의 승리"(The Round World and the Winning of the Peace)를 기고했다.[1] 1947년 3월 6일 도싯 자택에서 사망했다.[2]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핼퍼드 매킨더는 1861년 잉글랜드 게인즈버러에서 스코틀랜드계 의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3] 퀸 엘리자베스 문법 학교, 엡섬 칼리지, 옥스퍼드 크라이스트 처치에서 교육을 받았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전공하며 헨리 노티지 모즐리 밑에서 자연 과학을 공부했다. 모즐리는 ''챌린저'' 탐험의 박물학자였다. 이후 역사 연구로 전향하면서 "오래된 관심사로 돌아가 인간 발달에서 진화론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보기 위해 근대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자연 지리학과 인문 지리학을 단일 학문으로 다루는 것을 강력하게 옹호했다. 1883년 옥스퍼드 유니언 회장을 역임했다.[2]
어린 시절부터 주변의 자연에 흥미를 보였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하려 했지만 지질학, 역사, 법학을 배웠으며, 모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법학 분야에서는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이후에도 자연에 대한 관심과 열정은 식지 않아, 국내를 널리 여행하며 자연 과학과 인간 사회를 연결하는 중간적인 개념으로서 "새로운 지리학"을 제창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1883년에 생물학 학위를, 이듬해에 근대사 학위를 받았다.[3]
2. 2. 지리학 연구
1887년, 매킨더는 ''신 지리학''의 선언문인 "지리학의 범위와 방법론"을 발표했다.[4] 몇 달 후,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 강사로 임명되어 지리학 교육을 도입했다. 매킨더는 자연 지리학과 인문 지리학을 단일 학문으로 다루는 것을 강력하게 옹호했다.[2]
1892년, 그는 리딩 대학교 확장 칼리지(University Extension College, Reading)의 초대 학장이었으며, 이 칼리지는 1926년 리딩 대학교가 되었다.[5][6] 1893년, 그는 학교에서 지리 교육을 장려하는 지리학회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6] 1895년, 그는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1899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지리학과를 설립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7]
1902년, 그는 영국 제도의 최초의 포괄적인 지형학을 포함하고 지역 지리학의 고전이 된 ''영국과 영국해''를 출판했다.[10]
1923년, 매킨더는 런던 대학교 경제대학원에서 지리학 교수가 되었다.
2. 3. 정치 활동
1900년 자유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16] 1910년 자유 연합당 소속으로 하원 의원에 당선되어 1922년까지 활동했다.[16] 1920년 신년 명예 훈장에서 기사 작위를 받았다.[16]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 구상에 참여했다. 1919년-1920년 남러시아 주재 영국 고등 판무관으로 활동하며 백군 세력 지원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19] 1926년 추밀 고문관에 임명되었다.[19] 1920년-1945년 영국 선박 통제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19] 1926년-1931년 대영 제국 경제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19]
2. 4. 말년
1943년 미국의 잡지 포린 어페어스에 "둥근 세계와 평화의 승리"(The Round World and the Winning of the Peace)를 기고했다.[1] 1947년 3월 6일 도싯 자택에서 사망했다.[2]
3. 하트랜드 이론과 지정학
1904년, 매킨더는 왕립 지리학회에서 "역사의 지리적 중심축"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며 하트랜드 이론을 공식화했다.[12] 이는 지정학의 창시 시점으로 여겨지며, 초기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이후 강대국들의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13]
1919년, 매킨더는 ''민주주의의 이상과 현실: 재건 정치 연구''를 출판하여 하트랜드 이론을 더욱 발전시켰다.[17] 그는 파리 평화 회의에서 지정학적 요인을 완전히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우드로 윌슨의 이상주의와 (지리적) 현실을 대조했다. 이 책에서 "동유럽을 지배하는 자가 하트랜드를 지배하고, 하트랜드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 섬을 지배하며, 세계 섬을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라는 유명한 문구를 남겼다.[18] 이 메시지는 동유럽이 하트랜드로 가는 전략적 통로로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설득하기 위해 작성되었으며, 독일과 러시아를 분리하는 완충 국가가 필요하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매킨더는 반볼셰비키주의자였으며, 남러시아 개입의 영국 고등 판무관(1919년 말 ~ 1920년 초)으로서 백 러시아 세력에 대한 영국의 지원을 지속해야 함을 강조했다.[19]
1943년, "라운드 월드와 평화의 획득"이라는 논문에서 그는 전후 세계를 구상했다. 그는 세계에 대한 하트랜드 관점을 반복 및 확장하고, 북아메리카의 영향력이 영국을 "해자 공항"으로 활용하여 대서양을 넘어 이 지역으로 끌려올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한 인도와 중국의 "몬순 지역"이 강대국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20]
3. 1. 하트랜드 이론
1904년, 매킨더는 왕립 지리학회에서 "역사의 지리적 중심축"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며 하트랜드 이론을 공식화했다.[12] 이 이론은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를 '하트랜드'라고 정의하고, 이 지역을 장악하는 세력이 세계 패권을 쥐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세계를 하트랜드, 내측 초승달 지대, 외측 초승달 지대로 구분했다.
매킨더는 자신의 주장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해양 국가인 영국에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매킨더가 랜드 파워를 중시하게 된 것은 대륙 국가의 세력 확장에 대한 위협으로부터 해양 국가인 영국을 어떻게 지킬 것인가에 대한 전략 연구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매킨더의 이론에 따르면, 대륙 국가와 해양 국가는 상성이 좋지 않다. 해양 국가는 인접국의 세력이 강해지는 것을 경계하는 반면, 대륙 국가는 외해로 진출하여 새로운 해상 교통로와 권익 확대를 추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양 국가는 대륙 국가를 봉쇄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이로 인해 양측이 교차하는 지역에서 분쟁 위험이 높아진다.
매킨더는 1900년대 초 세계 지도를 유라시아 내륙부(하트랜드), 안쪽 초승달 지대, 바깥쪽 초승달 지대로 나누고, "동유럽을 지배하는 자가 하트랜드를 지배하고, 하트랜드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도를 지배하며, 세계도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라고 주장했다.[18] 그는 영국을 중심으로 한 해군 강국이 육군 강국에 의한 세계도 지배를 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매킨더는 독일과 소련의 패권 투쟁을 예견하고, 이들이 영국 등 해양 국가에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독일과 소련의 팽창을 막기 위해 양국 사이에 완충 지대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해양 국가에 의한 미들랜드 오션 연합을 제창했다.
그러나 매킨더의 하트랜드 이론은 공군력이 시 파워에 미치는 영향을 경시했기 때문에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특히, 공습이라는 전법이 사용되기 시작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강력한 함대를 가지고 제해권 유지를 지향하는 해군국의 전함 중심의 전략론은 큰 전환기를 맞이했다. 그의 후계 이론으로는 니컬러스 스파이크먼의 림랜드 이론이 있다.
3. 2. 지정학적 관점
매킨더는 인류 역사를 랜드 파워와 시 파워의 투쟁으로 보았다.[18] 그는 해양 국가(영국, 미국, 일본 등)와 대륙 국가(독일, 러시아 등) 간의 갈등을 지정학적으로 분석하며, 20세기 초 철도 등 육상 교통의 발달로 랜드 파워의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22]
1904년 왕립 지리학회에서 발표한 "역사의 지리적 중심축" 논문에서 하트랜드 이론을 제시했다.[12] 이 이론은 초기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이후 강대국들의 외교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13]
1919년 저서 ''민주주의의 이상과 현실: 재건 정치 연구''에서 하트랜드 이론을 발전시켰다.[17] 파리 평화 회의에서 지정학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우드로 윌슨의 이상주의와 (지리적) 현실을 대비시켰다. 이 책에서 "동유럽을 지배하는 자가 하트랜드를 지배하고, 하트랜드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 섬을 지배하며, 세계 섬을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라는 유명한 문구를 남겼다.[18]
매킨더는 제1차 세계 대전을 랜드 파워와 시 파워 간의 투쟁으로 보았다. 그는 동유럽을 장악하는 강력한 국가의 출현을 막아야 세계 평화를 보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3. 3. 비판과 후계 이론
매킨더의 이론은 지리학계에 큰 공헌과 영향을 가져왔지만, 대함거포주의 사고에 머물러 있었고, 차츰 주목받게 된 항공기 전력 등 공군력이 시 파워에 미치는 영향을 경시했기 때문에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공습이라는 전법이 사용되기 시작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강력한 함대를 가지고 제해권 유지를 지향하는 해군국의 전함 중심의 전략론은 큰 전환기를 맞이했다. 후계 이론으로는 니컬러스 스파이크먼의 림랜드 이론이 있다.
4. 영향과 평가
매킨더의 핵심 지역 이론과 고전 지정학 및 지전략은 냉전 시대 미국의 전략 정책 수립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25], 이후에도 그 영향력은 지속되었다.[26] 이 이론은 중국의 일대일로에 적용되면서 부활했다.
매킨더의 핵심 지역 이론은 지정학자 디미트리 키치키스의 저서, 특히 그의 지정학 모델 "중간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상가 아베야구나세케라는 ''Sri Lanka at Crossroads''에서 매킨더의 1904년 지도를 다시 보면서 스리랑카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강조한다.[27] 이 책을 검토하면서 스와란 싱은 "아상가는 매킨더의 '외곽 초승달'에 대해 이야기하며, 영국과 일본이라는 두 다른 국가가 이와 유사하게 지정되었다고 보게 만든다. 그러나 세계가 앨프레드 테이어 마한의 공리에 따라 대륙에서 대양으로 이동하면서, 인도-태평양 지정학적 패러다임의 두 끝을 연결하는 해상 교통로의 글로벌 동서 초고속도로 한가운데에 위치한 것은 스리랑카뿐이다."라고 적고 있다.[28] 그의 아이디어는 냉전 이후 구소련 중앙아시아, 특히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공화국에서 부활했다.[29]
4. 1. 학문적 영향
매킨더의 연구는 지리학이 영국에서 독립된 학문으로 자리 잡는 데 길을 열었다. 그는 지리학 교육을 장려하는 데 있어 다른 어떤 영국 지리학자보다 더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24]옥스퍼드 대학교는 1932년까지 정식 지리학 교수를 임명하지 않았지만, 리버풀 대학교와 웨일스 대학교, 아베리스트위스는 1917년에 지리학 교수직을 설립했다. 매킨더 자신은 1923년 런던 대학교 경제대학원에서 지리학 교수가 되었다.
매킨더는 "manpower(인력)"와 "heartland(핵심 지역)"이라는 두 가지 새로운 용어를 영어에 도입한 것으로 종종 알려진다. 1944년에는 미국 지리학회로부터 찰스 P. 데일리 메달을 받았고, 1945년에는 지리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영국 왕립 지리학회의 후원자 메달을 받았다.[24]
핵심 지역 이론과 더 일반적으로 고전 지정학 및 지전략은 냉전 시대 동안 미국의 전략 정책 수립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25] 논쟁의 여지는 있지만 이후에도 그 영향력은 지속되었다.[26] 이 이론은 중국의 일대일로에 적용되면서 부활했다.
매킨더의 핵심 지역 이론의 증거는 지정학자 디미트리 키치키스의 저서, 특히 그의 지정학 모델 "중간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상가 아베야구나세케라는 저서 ''Sri Lanka at Crossroads''에서 매킨더의 1904년 지도를 다시 보면서 스리랑카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강조한다.[27] 이 저서를 검토하면서 스와란 싱은 "아상가는 매킨더의 '외곽 초승달'에 대해 이야기하며, 그가 영국과 일본이라는 두 다른 국가가 이와 유사하게 지정되었다고 보게 만든다고 말한다. 그러나 세계가 앨프레드 테이어 마한의 공리에 따라 대륙에서 대양으로 이동하면서, 인도-태평양 지정학적 패러다임의 두 끝을 연결하는 해상 교통로의 글로벌 동서 초고속도로 한가운데에 위치한 것은 스리랑카뿐이다."라고 적고 있다.[28] 그의 아이디어는 냉전 이후 구소련 중앙아시아, 특히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공화국에서 부활했다.[29]
4. 2. 정책적 영향
핼퍼드 매킨더의 하트랜드 이론은 냉전 시대 미국의 봉쇄 정책 등 외교 전략에 큰 영향을 미쳤다.[25] 이 이론은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과 같이 현대 국제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26]매킨더의 핵심 지역 이론은 지정학자 디미트리 키치키스의 저서, 특히 그의 지정학 모델 "중간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상가 아베야구나세케라는 저서 ''Sri Lanka at Crossroads''에서 매킨더의 1904년 지도를 다시 보면서 스리랑카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강조한다.[27] 이 저서를 검토하면서 스와란 싱은 "아상가는 매킨더의 '외곽 초승달'에 대해 이야기하며, 그가 영국과 일본이라는 두 다른 국가가 이와 유사하게 지정되었다고 보게 만든다고 말한다. 그러나 세계가 앨프레드 테이어 마한의 공리에 따라 대륙에서 대양으로 이동하면서, 인도-태평양 지정학적 패러다임의 두 끝을 연결하는 해상 교통로의 글로벌 동서 초고속도로 한가운데에 위치한 것은 스리랑카뿐이다."라고 적고 있다.[28] 그의 아이디어는 냉전 이후 구소련 중앙아시아, 특히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공화국에서 부활했다.[29]
4. 3. 한국에 대한 시사점
핼퍼드 매킨더의 지정학 이론은 랜드 파워와 시 파워 간의 역학 관계를 중심으로, 해양 국가와 대륙 국가가 교차하는 지역에서 분쟁 위험이 높아진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관점은 지정학적으로 해양 세력과 대륙 세력 사이에 위치한 한국의 복잡한 외교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25]매킨더는 세계를 유라시아 내륙부(하트랜드), 안쪽 초승달 지대, 바깥쪽 초승달 지대로 나누고, "동유럽을 지배하는 자가 하트랜드를 지배하고, 하트랜드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도를 지배하며, 세계도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라고 주장했다. 이는 강대국 간의 경쟁 속에서 한국이 생존과 번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비록 그의 이론이 공군력의 중요성을 간과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니컬러스 스파이크먼의 림랜드 이론과 같은 후계 이론과 함께 여전히 유효한 분석 틀을 제공한다.
5. 주요 저서
- H.J. 매킨더, 지리학의 범위와 방법론에 관하여, ''왕립 지리학회 및 월간 지리학 기록'', 신 월간 시리즈, 제9권, 제3호 (1887년 3월), 141–174쪽.
- H.J. 매킨더, M.E. 새들러, 대학교 확장: 미래가 있는가?, 런던, Frowde, 1890.
- H.J. 매킨더, 정치 지리학의 물리적 기반, ''스코틀랜드 지리학 잡지'' 제6권, 제2호, 1890, 78–84쪽.
- H.J. 매킨더, 영국령 동아프리카 케냐 산 정상으로의 여행, ''지리학 저널'', 제15권, 제5호 (1900년 5월), 453–476쪽.
- H.J. 매킨더, 영국과 영국해. 뉴욕: D. 애플턴 앤 컴퍼니, 1902.
- H.J. 매킨더, 문명 세계의 최전선에 있는 전초 기지, 포실 탐험, ''타임스''. 1903년 10월 12일.
- H.J. 매킨더, 역사의 지리적 중심축. ''지리학 저널'', 1904, 23, 421–37쪽.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매킨더, H.J. "역사의 지리적 중심축", 민주적 이상과 현실, 워싱턴 D.C.: 국방대학교 출판부, 1996, 175–194쪽.
- H.J. 매킨더, 국가 및 제국의 힘의 척도로서의 인력, ''내셔널 앤 잉글리시 리뷰'', XLV, 1905.
- H.J. 매킨더, 지리학과 역사, ''타임스''. 1905년 2월 9일.
- H.J. 매킨더, ''세계의 지역'' 시리즈 편집 - D.G. 호가스의 더 가까운 동방 (런던, 헨리 프로우드, 1902년 및 1905년) 포함, 1902년 ''영국과 영국해'' 포함.
- H.J. 매킨더, 우리 자신의 섬들: 지리학 초급 연구, 런던: G. 필립스, 1907
- H.J. 매킨더, 라인강: 계곡과 역사. 뉴욕: 도드, 미드. 1908.
- H.J. 매킨더, 인도에 관한 8개의 강의. 런던: 워털루, 1910.
- H.J. 매킨더, 현대 영국 국가: 시민 교육 연구 입문. 런던: G. 필립, 1914.
- H.J. 매킨더, 민주적 이상과 현실: 재건 정치 연구. 뉴욕: 홀트, 1919.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민주적 이상과 현실; 재건 정치 연구 민주적 이상과 현실, 워싱턴 D.C.: 국방대학교 출판부, 1996.
- H.J. 매킨더, 둥근 세계와 평화의 획득, ''외교 문제'', 21 (1943) 595–605.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 매킨더, H.J. "둥근 세계와 평화의 획득", 민주적 이상과 현실, 워싱턴 D.C.: 국방대학교 출판부, 1996, 195–205쪽.
- ''영국과 영국해''(Britain and the British Seas), (W. Heinemann, 1902, 2판, 1922).
- ''라인강: 그 계곡과 역사''(The Rhine: its Valley & History), (Chatto & Windus, 1908).
- ''인도: 8개의 강의''(India: Eight Lectures), (G. Philip & son, 1910).
- ''지리와 역사의 교육: 방법론 연구''(The Teaching of Geography & History: A Study in Method), (G. Philip, 1914, 2판, 1918).
- ''민주주의 이상과 현실: 재건 정치 연구''(Democratic Ideals and Reality: A Study in the Politics of Reconstruction), (Constable, 1919).
- 소무라 야스노부 역 민주주의의 이상과 현실 하라쇼보, 1985년
- 개정판 『매킨더의 지정학---민주주의의 이상과 현실』, 2008년. ISBN 978-4-562-04182-4
- ''현대 영국 국가: 시민 교육 연구 입문''(The Modern British State: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Civics), (G. Philip, 1922).
참조
[1]
서적
The Fear of Chinese Power: an International History
Bloomsbury Academic
2024
[2]
서적
British Pioneers in Geography
David & Charles
1972
[3]
서적
Geopolitics in United States Strategic Policy, 1890–1987
St. Martin's Press
1988-01-01
[4]
간행물
On the Scope and Methods of Geography
1887-03
[5]
간행물
The making of a university, the breakdown of a movement: Reading University Extension College to The University of Reading, 1892–1925
1994-01
[6]
간행물
Granting of the Charter
http://www.reading.a[...]
University of Reading
2010-02-10
[7]
간행물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and the Projected London Institute of Geography 1892–1899
1962-03
[8]
간행물
A Journey to the Summit of Mount Kenya, British East Africa
1900-05
[9]
서적
Geopolotics and Empire: The Legacy of Halford Mackind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Britain and the British Seas
https://archive.org/[...]
D. Appleton and company
1902
[11]
서적
Our Partnership
1948
[12]
간행물
The geographical pivot of history
1904
[13]
서적
Sir Halford Mackinder: The heartland theory then and now
Frank Cass
[14]
서적
Hitler and the magic Nazism (Hitler e il Nazismo magico)
https://books.google[...]
Angelo Rizzoli
2016
[15]
간행물
The imperial vision of Halford Mackinder
[16]
간행물
1919-12-30
[17]
서적
Democratic Ideals and Reality
National Defence University Press
1996
[18]
웹사이트
'The Paper {{!}} "Heartland Theory" of Mackinder & its Relevancy in Central Asia Geopolitics'
http://www.indrastra[...]
2016-06-27
[19]
간행물
Sir Halford Mackinder as British high commissioner to South Russia 1919–1920
1976
[20]
뉴스
"Halford Mackinder's Last View of the Round World"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1]
서적
Hitler and the magic Nazism ('Hitler e il Nazismo magico')
Angelo Rizzoli
2016
[22]
웹사이트
Rudolf Kjellen, the Swedish Father of Geopolitics
https://varldsinbord[...]
2018-11-10
[23]
서적
Encyclopedia of Human Geography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9-07-10
[24]
웹사이트
List of Past Gold Medal Winners
http://www.rgs.org/N[...]
Royal Geographical Society
2015-08-24
[25]
서적
Geopolitics in United States Strategic Policy
Wheatsheaf Books
1988
[26]
웹사이트
Tomgram: Alfred McCoy, Washington's Great Game and Why It's Failing
http://www.tomdispat[...]
[27]
서적
Sri Lanka at Crossroads
[28]
웹사이트
'Sri Lanka at Crossroads': Geopolitical Challenges and National Interests
http://www.dailynews[...]
[29]
서적
Central Asia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Legacies of Halford Mackinder
Hurst and Co.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