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드슨 테일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드슨 테일러는 1832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선교사로, 중국 내륙 선교회(CIM)를 설립하여 중국 선교에 헌신했다. 그는 1854년 중국에 도착하여 의료 봉사를 시작했으며, 중국 전통 의복을 착용하고 현지 문화를 존중하는 등 차별화된 선교 방식으로 주목받았다. 테일러는 1865년 CIM을 설립하고, 640명 이상의 선교사를 파송하여 중국 내륙 선교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선교 철학은 오늘날까지도 복음주의 교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의 삶은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 성경 번역자 - 로버트 모리슨
로버트 모리슨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개신교 선교사이자 언어학자, 사전 편찬가로, 중국 선교의 개척자로서 중국어 성경 번역과 최초의 중국어-영어 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동인도 회사에서 번역가로 활동하며 앵글로-중국 칼리지를 설립하여 교육을 통한 선교 활동을 펼쳤다. - 중국어 성경 번역자 - 위트니스 리
중국 출신 기독교 사역자이자 저술가인 위트니스 리는 워치만 니의 동역자로서 지방 교회를 설립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성경 연구와 독특한 해석, 그리고 방대한 저술과 강연을 통해 기독교 신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 19세기 영국 작가 - 해리엇 마티노
해리엇 마티노는 19세기 영국의 저술가, 사회개혁가, 사회학자로, 경제학 이론 대중화, 실증철학 영어권 소개, 노예제 비판 등 사회 개혁에 기여했다. - 19세기 영국 작가 - 찰스 스퍼전
찰스 스펄전은 "설교의 황태자"로 불리며 19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설교자 중 한 명인 영국의 침례교 목사이자 설교가로, 설교와 주석, 어록을 남기고 노예제 폐지 운동과 사회 개혁에 참여했으며 그가 설립한 스펄전 칼리지는 현재 영국에서 가장 많은 신학생이 재학 중인 신학교이다. - 영국의 복음주의자 - 존 웨슬리
존 웨슬리는 영국 성공회 사제이자 감리교 운동의 창시자로서, 순회 설교와 속회 조직, 평신도 설교자 임명을 통해 감리교 운동을 확산시키고, 아르미니우스주의를 옹호하며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강조하며 사회 개혁에 힘썼으며, 그의 신학 사상은 여러 교파에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복음주의자 - 윌리엄 부스
감리교 목사이자 구세군의 창립자인 윌리엄 부스는 1865년 런던에서 기독교 부흥 협회를 설립하여 기독교적 구원을 전파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활동을 펼치며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인물이 되었다.
허드슨 테일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임스 허드슨 테일러 |
출생일 | 1832년 5월 21일 |
출생지 | 영국 요크셔주 반즐리 |
사망일 | 1905년 6월 3일 |
사망지 | 중국 후난성 창사 |
종교 | 기독교 |
교단 | 개신교 |
학력 | |
모교 | 런던 호스피털 메디컬 칼리지 |
가족 | |
배우자 | 마리아 제인 테일러(결혼 전 성씨: 다이어) 제니 폴딩 테일러(결혼 전 성씨: 폴딩) |
부모 | 제임스 테일러 아멜리아 허드슨 |
직업 | |
직업 | 목사 선교사 설교자 |
기타 | |
영향 | 사도 바울 이후 19세기 동안 다른 어떤 선교사보다 더 넓은 비전을 가졌고, 넓은 지리적 영역을 복음화하는 더 체계적인 계획을 수행했다. |
2. 초기 생애 및 교육
허드슨 테일러는 1832년 잉글랜드 요크셔 주 반즐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독실한 감리교 신자였다. 테일러는 어린 시절 부모의 신앙에 의문을 품기도 했지만, 1849년 회심을 경험하고 중국 선교사의 길을 결심하게 되었다.
1850년 의학 공부를 시작한 테일러는 1851년 헐의 빈민가에서 의료 조수로 일하며 가난한 사람들을 섬겼다. 1852년에는 런던 병원 의과대학에서 본격적으로 의학 공부를 시작했고, 중국 복음화 협회의 첫 번째 선교사로 자원하여 중국 선교를 위한 구체적인 발걸음을 내딛었다.
2. 1. 유년 시절과 회심


허드슨 테일러는 1832년 5월 21일 잉글랜드 요크셔주 반즐리에서 약사이자 감리교 평신도 설교자였던 아버지 제임스 테일러와 어머니 아멜리아 허드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그는 부모의 기독교 신앙에 의문을 가졌다. 그러나 16세 때[3] "가난한 리처드"라는 제목의 복음 전파 팸플릿을 읽은 후[4][5]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고백했다. 1849년 12월 그는 선교사로 중국에 갈 것을 결심했다.[6] 이 무렵 그는 켄싱턴의 에드워드 크로닌(동종 요법 의사)과 접촉했는데, 그는 바그다드로 파견된 최초의 플리머스 형제단 선교단의 일원이었다. 테일러는 월터 헨리 메드허스트의 저서 ''중국: 그 국가와 전망''을 빌려 읽었다.[7] 이 무렵 그는 표준중국어, 코이네 그리스어, 히브리어, 라틴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1850년 5월, 테일러는 의학 공부를 시작했다. 1851년 그는 헐(Hull)의 빈민가로 이사하여 로버트 하디의 의료 조수가 되어 신앙과 봉사의 삶을 준비하며 가난한 사람들에게 헌신하고 하나님이 자신의 필요를 채워주실 것이라는 믿음을 실천했다. 그는 복음 전도지를 배포하고 노방 전도를 했다. 1852년 헐 브레더런 집회에서 플리머스 형제단의 앤드류 존 주크스에게 세례를 받았고, 그의 여동생 아멜리아도 성인 세례를 받도록 설득했다.[8]
1852년 테일러는 중국에서 일하기 위한 준비로 런던 화이트채플의 런던 병원 의과대학에서 의학 공부를 시작했다. 당시 잘못 알려진 기독교 대중 운동으로 여겨졌던 태평천국운동을 통해 영국에서 중국에 대한 큰 관심이 생겼고, 칼 귀츨라프가 중국의 접근성에 대해 과장된 긍정적인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중국 복음화 협회가 설립되었고, 허드슨 테일러는 그들의 첫 번째 선교사로 자원했다.
2. 2. 의학 공부와 초기 훈련
1849년 12월, 허드슨 테일러는 선교사로 중국에 갈 것을 결심했다.[6] 이 무렵, 그는 표준관화, 고대 그리스어(Koine Greek), 히브리어(Biblical Hebrew language), 라틴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7]1850년 5월, 테일러는 의학 공부를 시작했다. 1851년, 그는 헐(Hull)의 빈민가로 이사하여 로버트 하디(Robert Hardey)의 의료 조수가 되어 가난한 사람들에게 헌신하고, 하나님이 자신의 필요를 채워주실 것이라는 믿음을 실천했다.[8] 1852년에는 런던 화이트채플의 런던 병원 의과대학(London Hospital Medical College)에서 의학 공부를 시작하여 중국에서 일하기 위한 준비를 했다.[8]
3. 중국에서의 선교 활동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인들의 문화와 복장을 존중하며 선교 활동을 펼쳤다. 당시 가톨릭 선교사들은 중국 문화에 익숙했지만, 개신교 선교사들에게는 테일러의 방식이 급진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1867년 사랑하는 딸 그레이스가 폐렴으로 사망하고, 1870년에는 아들 새뮤얼과 노엘, 그리고 아내마저 잃는 슬픔을 겪었다. 그러나 테일러는 포기하지 않았고, 중국내지선교회를 설립한 지 30년이 지난 1895년에는 640명 이상의 선교사들이 중국에서 헌신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그의 헌신으로 북미,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호주, 뉴질랜드에 중국선교회 지부가 설립되었고, 한때 중국에 모여든 선교사는 1천 명을 넘었다.
테일러는 1855년부터 상하이 인근에서 18차례 전도 여행을 했지만, 사람들의 반응은 좋지 않았다. 그는 중국 전통 의복을 입고 상투를 틀고 이마를 깎는 결정을 내렸고, 그 후에는 사람들의 주목을 받을 수 있었다. 그는 상하이와 그 주변 지역에 수천 권의 중국어 복음 전단과 성경 구절을 배포했다.
1857년 닝보로 이주한 테일러는 조지 뮬러의 지원에 힘입어 동료 선교사 존 존스와 함께 "닝보 선교부"에서 독립적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니 용파, 펑 닝귀, 왕 라이준, 치우 구오귀 등 네 명의 중국인이 합류했다.
1858년 테일러는 마리아 제인 다이어와 결혼했다.[9] 닝보에서 테일러 부부는 입양한 아들 톈시를 돌보았고, 윌리엄 파커가 운영하던 닝보 병원을 인수했다. 1860년, 테일러는 가족과 함께 휴가를 떠났다.
1868년 테일러 부부는 양주에서 새로운 사업을 시작했지만, 양주 폭동으로 선교부 건물이 공격받는 사건이 발생했다. 영국인들에 대한 공격은 국제적인 분노를 일으켰고, 테일러와 중국 내륙 선교회는 영국 언론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테일러 부부는 양주로 돌아와 사업을 계속했고,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로 개종했다.
1869년 테일러는 헨리 로의 책에서 개인의 거룩함에 대한 구절에 영향을 받았다. "받아들인 주 예수는 거룩함의 시작이며, 소중히 여긴 주 예수는 거룩함의 진보이며, 결코 떠나지 않으신 주 예수께 의지하는 것은 거룩함의 완성이다."라는 구절은 그의 남은 생애에 큰 영향을 주었다.
1870년, 테일러는 세 아이들을 영국으로 보내고, 아내 마리아와 사별하는 아픔을 겪었다. 1871년 건강이 악화되어 영국으로 돌아가 요양했다.
영국에서 테일러는 제인 엘리자베스 폴딩과 재혼했고, 1872년 말 중국으로 돌아왔다. 난징에서 제니는 사산아 쌍둥이를 낳았다. 2년 후, 테일러 부부는 다시 영국으로 돌아가야 했다.
1874년과 1875년 겨울, 테일러는 중국에서 낙상 사고로 거의 마비 상태에 빠졌지만, 18명의 새로운 일꾼을 모집하는 호소문을 발표했다. 1876년 테일러는 중국으로 돌아왔고, 18명의 선교사들이 그 뒤를 따랐다. 한편, 영국에서는 벤자민 브룸홀이 중국 내륙 선교회의 사무총장직을 맡았다.
1876년부터 1878년까지 테일러는 중국 내륙을 여행하며 선교 기지를 개척했다. 1878년 제니는 중국으로 돌아와 여성 선교 활동을 장려했다. 1881년까지 중국내륙선교회(CIM)에는 100명의 선교사가 있었다.
테일러는 1883년 더 많은 선교사를 모집하기 위해 영국으로 돌아왔고, 1887년에는 102명, 1888년에는 미국에서 14명의 선교사를 데려왔다. 미국에서 테일러는 나이아가라 성서 컨퍼런스 등에서 강연했고, 사이러스 스코필드, 드와이트 L. 무디와 교류하며 북미 중국 내륙 선교회 활동을 지원했다.
1897년 딸 마리아가 웬저우에서 사망했다. 건강 문제로 테일러는 스위스에서 아내와 함께 반 은퇴 생활을 했다. 1900년 딕슨 에드워드 호스트(Dixon Edward Hoste)가 중국내지선교회(CIM)의 임시 총무로 임명되었고, 1902년 테일러는 공식적으로 사임했다. 제니는 1904년 스위스에서 사망했고, 1905년 테일러는 마지막으로 중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여러 도시를 방문한 후 창사(Changsha)에서 사망했고, 진강(Zhenjiang)의 영국인 묘지에 묻혔다.
다음은 허드슨 테일러의 중국 선교 활동과 관련된 주요 연표다.
연도 | 사건 |
---|---|
1853년 | 중국으로 출항 |
1854년 | 상하이(上海) 도착 |
1855년-1856년 | 윌리엄 챌머스 번즈와 함께 사역 |
1857년 | 닝보 선교부에서 독립적으로 사역 시작 |
1858년 | 마리아 제인 다이어와 결혼[9] |
1860년 | 가족과 함께 영국으로 휴가 |
1867년 | 딸 그레이스 사망 |
1868년 | 양주 폭동 발생 |
1870년 | 아내 마리아 사망 |
1871년 | 영국으로 돌아가 요양 |
1872년 | 제인 엘리자베스 폴딩과 재혼 후 중국으로 귀환 |
1874년-1875년 | 낙상 사고로 거의 마비, 18명의 선교사 모집 |
1876년-1878년 | 중국 내륙 여행, 선교 기지 개척 |
1883년 | 영국 방문, 선교사 모집 |
1887년-1888년 | 미국 방문, 선교사 모집 |
1897년 | 딸 마리아 사망 |
1900년 | 의화단 운동 발발 |
1902년 | 중국 내륙 선교회 이사직 사임 |
1904년 | 아내 제니 사망 |
1905년 | 중국에서 사망 |
3. 1. 첫 번째 중국 방문 (1854-1860)
테일러는 의학 공부를 마치기 전인 1853년 9월 19일, 중국 복음화 협회의 대리인 자격으로 잉글랜드 리버풀을 떠나 1854년 3월 1일 상하이에 도착했다.[9] 부루 섬 근처 동쪽 항로를 통과하는 클리퍼선 ''덤프리스''호를 타고 প্রায় 5개월 동안 항해했는데, 이는 거의 재난에 가까운 수준이었다. 중국에 도착하자마자 내전에 직면하여 그의 첫해는 혼란스러웠다.1855년부터 테일러는 상하이 인근에서 18차례의 전도 여행을 했지만, 의료품과 기술을 가지고 다녔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종종 좋지 않은 반응을 받았다. 그는 중국 전통 의복을 입고 상투(땋은 머리)를 하고 이마를 깎는 결정을 내렸고, 그 후에는 소란을 피우지 않고도 사람들의 청중을 얻을 수 있었다. 이전에는 테일러가 어디를 가든 자신이 입은 외투 때문에 "검은 악마"로 불린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상하이와 그 주변 지역에 수천 권의 중국어 복음 전단과 성경 구절을 배포했다. 상하이 체류 중에 그는 한반이라는 중국 소년을 입양하여 돌보았다.
잉글랜드 장로교 선교부의 스코틀랜드 복음 전도자 윌리엄 챌머스 번즈는 산터우에서 일을 시작했고, 1855년에서 1856년 사이에 테일러는 그와 함께 일했다. 떠난 후 그는 나중에 상하이에 보관되어 있던 그의 모든 의료품이 화재로 파괴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다 1856년 10월, 중국을 여행하는 동안 거의 모든 것을 도난당했다.
1857년 닝보로 이주한 테일러는 지지자 조지 뮬러로부터 편지를 받았고, 이는 테일러와 그의 동료 존 존스가 그들을 파견했던 문제가 많은 선교부에서 사임하고 "닝보 선교부"라고 불리게 된 곳에서 독립적으로 일하기로 결정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니 용파, 펑 닝귀, 왕 라이준, 그리고 치우 구오귀 등 네 명의 중국인이 그들의 일에 합류했다.
1858년 테일러는 말레이시아 페낭에서 중국에 선교 활동을 개척했던 런던 선교회의 사무엘 다이어 목사의 고아 딸인 마리아 제인 다이어와 결혼했다.[9] 허드슨은 마리아가 살고 있던 닝보에서 처음 만났고, 중국 최초의 여성 선교사 중 한 명인 메리 앤 알더시가 운영하는 여학교에서 일하고 있었다. 그들은 그곳 영국 영사관에서 결혼했다.
결혼한 부부로서 테일러 부부는 닝보에 살면서 톈시라는 입양된 소년을 돌보았다. 그들은 1858년 말에 사망한 자신의 아이를 두었다. 그들의 첫 번째 생존 아동인 그레이스는 1859년에 태어났다. 그녀가 태어난 직후, 테일러 부부는 윌리엄 파커가 운영했던 닝보 병원의 모든 운영을 인수했다. 1860년 2월 14일, 그는 여동생 아멜리아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1860년, 건강 문제로 테일러는 가족과 함께 잉글랜드로 휴가를 가기로 결정했다. 테일러 가족은 딸 그레이스와 닝보 브리지 스트리트 교회 출신의 젊은이 왕라이준과 함께 차 클리퍼선 ''주빌리''호를 타고 잉글랜드로 돌아갔다. 왕라이준은 잉글랜드에서 계속될 성경 번역 작업을 돕게 되었다.


3. 2. 중국 내륙 선교회(CIM) 설립 (1865)
1865년 6월 25일 브라이턴(Brighton)에서 테일러는 중국의 미개척 내륙 지방의 복음화를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단체의 설립을 위해 하나님께 자신을 헌신했다. 그는 얼마 후 윌리엄 토마스 버거(William Thomas Berger)와 함께 중국내륙선교회(CIM)를 설립했다. 1년도 채 되지 않아 그들은 21명의 선교사를 받아들였고 2000GBP (2023년 기준 약 321500GBP)[11] 이상을 모금했다. 1866년 초 테일러는 중국내륙선교회의 간행물인 ''Occasional Paper of the China Inland Mission''의 초판을 출판했는데, 이는 후에 ''China's Millions''이 되었다.테일러가 요약한 다음 내용은 미래의 신앙 선교(faith missions)에 대한 고전적인 설명으로 CIM의 핵심 가치로 여겨지게 되었다.
3. 3. 람머뮤어 일행과 두 번째 중국 방문 (1866-1871)
테일러는 1866년 5월 26일, 5년 이상 영국에서 일한 후, 새로운 선교 팀인 "람머뮤어 일행"(Lammermuir Party)과 함께 ''람머뮤어''를 타고 중국으로 향했다. 4개월의 항해는 당시 빠른 것으로 여겨졌는데, 남중국해(South China Sea)와 태평양에서 배는 두 차례의 태풍을 만나 거의 난파될 뻔했다.[13] 그들은 1866년 9월 30일에 상하이에 무사히 도착했다.[13]
중국에 파송된 선교사 중 가장 큰 규모의 선교단이 도착하고, 그들이 중국 전통 의복을 입겠다는 의도를 밝히자 상하이 외국인 거류지는 떠들썩해졌고, 젊은 중국내지선교회(China Inland Mission)에 대한 비판이 일기 시작했다. 심지어 선교사 여성들까지 중국 의복을 입은 것은 당시 반(半)스캔들로 여겨졌다. 다른 선교사들이 영국식 생활 방식을 유지하려 할 때, 테일러는 선교사들이 전도 대상인 중국인들의 문화를 존중하려 할 때에만 복음이 중국 땅에 뿌리내릴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는 사도 바울의 예를 들어, "죄가 아닌" 모든 것에서 선교사들은 중국인들처럼 되어야 하며, "어떤 방법으로든지 일부라도 구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
그들은 중국 대운하를 따라 전쟁으로 폐허가 된 항저우에 첫 번째 거점을 마련했다. 중국에서 또 다른 딸(마리아 허드슨 테일러)이 태어났다. 테일러는 의료 활동을 시작했고, 힘든 일정 속에서 매일 설교했다. 수백 명이 그의 설교를 듣고 치료를 받으러 왔다.
람머뮤어(Lammermuir) 팀 내 갈등으로 그들의 효과는 제한적이었지만, 1867년 테일러의 딸 그레이스가 수막염으로 사망하자, 그들은 한동안 단결하여 갈등을 해결했다. 테일러가 병든 딸에 대한 걱정보다 동료 선교사들을 더 먼저 챙기는 모습을 목격했기 때문이다. 람머뮤어 대원 중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로 개종했다.
1868년 테일러 가족에게 또 다른 아이인 찰스가 태어났고, 1870년 테일러와 그의 아내는 어려운 결정을 내려 세 명의 생존해 있는 큰아이들(버티, 프레디, 마리아 – 새뮤얼은 그해 초에 사망함)을 아이들의 보모인 에밀리 블래치리와 함께 영국으로 돌려보냈다. 7월에는 노엘이 태어났지만, 마리아가 모유 수유를 할 수 없어 영양실조와 결핍으로 2주 후 사망했다. 마리아는 그 며칠 후 사망했고, 사인은 콜레라로 기록되었다. 그의 죽음은 테일러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1871년 그의 건강은 더욱 악화되어 그해 말 영국으로 돌아가 요양하고 사업 문제를 처리하게 되었다.
3. 4. 세 번째 중국 방문과 이후의 사역 (1872-1905)
1872년 테일러는 제인 엘리자베스 폴딩과 재혼 후, MM 티그레호를 타고 중국으로 돌아왔다.[31] 난징에서 제니는 사산아 쌍둥이(남자아이와 여자아이)를 낳았다(1873년).[31] 2년 후, 선교 사무관과 에밀리 블래치리가 사망하여 테일러 부부는 다시 한번 영국으로 돌아가야 했다.[31]1874년과 1875년 겨울, 테일러는 중국에서 강선에서 낙상하여 거의 마비 상태에 빠졌다.[31] 이러한 상황에서도 테일러는 18명의 새로운 일꾼을 모집하는 호소문을 발표했다.[31] 그는 체력을 회복했지만, 제니는 아이들(새로 태어난 아들 어니스트 해밀턴과 딸 에이미, 그리고 동료 선교사 조지 던컨의 고아가 된 딸을 포함)과 함께 남았다. 1876년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으로 돌아왔고, 요청한 18명의 선교사들이 그 뒤를 따랐다.[31] 한편 영국에서는 중국 내륙 선교회의 사무총장직을 허드슨의 누이 아멜리아와 결혼한 벤자민 브룸홀이 맡았다.[31]
허드슨의 영국에서의 복음 전파 활동은 크리켓 선수 스터드 가족의 여러 구성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세 형제가 개종하여 독실한 신자가 되었고, 찰스 스터드는 캠브리지 대학교 출신의 개종자들, 소위 캠브리지 세븐과 함께 중국 선교사가 되었다.[31]
1876년부터 1878년까지 테일러는 중국 내륙을 여행하며 선교 기지를 개척했다.[31] 이는 1876년 9월 13일 청푸 조약이 체결되면서 가능해졌는데, 이 조약은 영국과 중국 간의 합의로 중국 내륙에서 선교 활동을 합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했다.[31] 1878년 제니는 중국으로 돌아와 여성 선교 활동을 장려하는 일을 시작했다.[31] 몽크턴 콤브 스쿨과 글래스고 회계학원에서 교육을 받은 그들의 아들 어니스트 해밀턴 테일러는 1898년 중국 내륙 선교회에 합류하여 대부분의 직장 생활 동안 선교사로 남았다.[31] 1881년까지 중국내륙선교회(CIM)에는 100명의 선교사가 있었다.[31]
테일러는 1883년 더 많은 선교사를 모집하기 위해 영국으로 돌아왔고, 총 225명의 선교사와 59개의 교회를 이끌고 중국으로 돌아왔다.[31] 1887년에는 백 명의 선교사로 102명이 더 증가했고, 1888년에는 미국에서 14명의 선교사를 데려왔다.[31] 미국에서는 나이아가라 성서 컨퍼런스를 포함한 많은 곳을 여행하며 강연했는데, 그곳에서 사이러스 스코필드와 친구가 되었고 시카고에서 드와이트 L. 무디의 설교단에 초청 강사로 서기도 했다.[31] 그 후 무디와 스코필드는 북미 중국 내륙 선교회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31]
1897년 허드슨과 마리아의 유일하게 살아남은 딸 마리아가 웬저우에서 사망하여 네 명의 어린 자녀와 선교사 남편인 존 조셉 컬터드를 남겼다.[31] 그녀는 짧은 생애 동안 많은 중국 여성을 기독교로 이끈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1]
73세인 그는 아들과 며느리를 데리고 중국을 향했다.[31] 그곳 기독교인들은 사랑과 존경심으로 그를 영접해 주었고 어디를 가나 그를 “중국의 은인”으로 불렀다.[31] 여러 선교 본부를 방문한 후 그는 후난 성(湖南省) 창사(长沙)에서 73살의 나이로 열정적인 전도자의 일생을 마쳤다.[31] 허드슨 테일러는 그리스도만을 위해서 살았고 영혼들에게 구원의 복음을 전하는 일에 헌신하였고, 전도의 목표를 위해 언어, 의학, 기도훈련을 철저히 감당하였으며, 고난과 시련을 겪으며 감당한 헌신적인 전도생활을 실천하였던 인물이었다.[31] 그는 진정한 중국 복음화의 선구자였다.[31]
3. 5. 의화단 사건과 말년
1900년 5월 ‘의화단 사건’이 전국을 휩쓸었을 때 135명의 선교사와 53명의 선교사 자녀들이 살해되었는데, 대부분 중국 내지 선교회 소속이었다. 그중에는 독신 여성선교사들도 많았다.[31] 의화단 사건이 지나가고 1902년 허드슨 테일러는 선교회 대표직을 사임했다.[31]73세인 그는 아들과 며느리를 데리고 중국을 향했다. 그곳 기독교인들은 사랑과 존경심으로 영접해 주었고 어디를 가나 그를 “중국의 은인”으로 불렀다.[31] 여러 선교 본부를 방문한 후 그는 이전에 배타적인 지방이었던 후난 성(湖南省)의 창사(长沙)에서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1] 허드슨 테일러는 그리스도만을 위해서 살았고 영혼들에게 구원의 복음을 전하는 일에 헌신하였고, 전도의 목표를 위해 언어, 의학, 기도훈련을 철저히 감당하였으며, 고난과 시련을 겪으며 감당한 헌신적인 전도생활을 실천하였던 인물이었다. 그는 진정한 중국 복음화의 선구자였다.[31]
연도 | 사건 |
---|---|
1900년 6월 9일 | 중국에서 의화단 운동이 시작되면서 제니와 함께 미국에서 영국으로 항해. 6월 19일 영국에 도착[15] |
1900년 6월 19일 이후 | 스위스 다보스(Davos)에서 제니와 함께 은퇴[15] |
1902년 11월 | 중국 내륙 선교회 이사직 사임[15] |
1904년 7월 31일 | 제인 엘리자베스 "제니" 폴딩(Jane Elizabeth "Jennie" Faulding) 스위스 레 슈발리에르(Les Chevalleyres)에서 사망[15] |
1905년 2월 15일 | 영국 랭커셔주 리버풀에서 발틱(RMS Baltic)호를 타고 미국 뉴욕시로 항해. 3월 뉴욕시에 발틱(RMS Baltic)호에 도착.[15] |
1905년 3월 23일 | 샌프란시스코에서 중국으로 출항. 4월 17일 중국 상하이에 도착.[15] |
1905년 6월 3일 | 중국 후난성(湖南省) 창사에서 사망. 6월 9일 중국 장쑤성 진장에 있는 프로테스탄트 묘지(현재는 존재하지 않음)에 매장.[15] |
4. 선교 철학 및 방법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 내륙 선교에 헌신했으며, 이를 위해 독특한 선교 철학과 방법을 발전시켰다. 그는 중국내지선교회(CIM)를 설립하여 중국 내륙 복음화를 목표로 삼았다.
테일러는 1865년 6월 25일, 브라이턴(Brighton)에서 중국의 미개척 내륙 지방의 복음화를 위해 새로운 단체 설립을 결심했다. 그는 곧 윌리엄 토마스 버거(William Thomas Berger)와 함께 CIM을 설립하고, 1년도 채 되지 않아 21명의 선교사를 받아들이고 2000GBP 이상을 모금했다.[11]
테일러가 제시한 CIM의 핵심 가치는 다음과 같다.
> '''목표''': 중국 전역의 내륙에서 순회와 현지화된 사역을 사용하여 중국인들에게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구원의 지식을 가져다주는 것.
>
> '''성격''': 복음주의적이며 기독교의 모든 주요 교파의 회원들을 포용.
>
> '''방법''':
>
> '''1'''. 기본적인 모든 진리에 대한 신앙의 건전성이 있는 후보자는 교파에 관계없이 선교사로 받아들임.
>
> '''2'''. 모든 선교사는 선교회가 소득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고, 시간적 공급에 대한 하나님의 의존에 의존하여 사역함. 선교회는 부채를 지지 않으며, 보내지는 자금이 허용하는 대로만 사역함.
>
> '''지원''': 선교회는 주님의 백성의 자유로운 헌금으로 전적으로 지원됨. 사역의 필요는 기도로 하나님 앞에 제시되며, 개인적인 간청이나 모금은 허용되지 않음. 받은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지출하지 않으며, 부채는 하나님에 대한 완전한 의존의 원칙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됨.[12]
1867년 사랑하는 딸과 아들들을 잃고, 1870년에는 아내마저 잃는 슬픔 속에서도 테일러는 선교 사역을 포기하지 않았다. CIM 설립 30년 후인 1895년에는 640명 이상의 선교사들이 중국에서 헌신했으며, 북미, 유럽, 호주, 뉴질랜드 등지에 중국 선교회 지부가 설립되어 한때 중국에 모여든 선교사가 1천 명이 넘었다.
1900년 의화단 사건으로 CIM은 큰 피해를 보았지만(58명의 선교사와 21명의 어린이가 사망), 테일러는 보상을 거부하며 '그리스도의 온유와 겸손'을 보여 영국 외교부로부터 칭찬을 받았다.[16]
테일러는 영국에 머무는 동안 프레더릭 포스터 고프(Frederick Foster Gough)와 함께 교회선교회(Church Mission Society)에서 일하며 영국외국성서공회(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를 위해 닝보 방언(Ningbo dialect)을 로마자 표기로 한 신약전서(New Testament)를 번역했다. 1862년 런던왕립병원(Royal London Hospital)에서 영국왕립외과의사회(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와 함께 졸업장(그리고 조산술 과정)을 마쳤고, 1865년 "중국의 영적 필요와 주장"이라는 책을 써서 선교 자원봉사자들을 আহ্বান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영국 전역을 여행하며 강연했고, 찰스 스펄전(Charles Spurgeon)과 친구가 되어 평생 후원을 받았다. 또한, 토마스 존 바나르도(Thomas John Barnardo)를 집에 머물게 하기도 했다.
4. 1. 현지 적응과 문화 존중
테일러는 중국 옷을 입고 활동하여, 51년 동안 많은 개신교 선교사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은 중국 사람들과 같은 말과 글, 옷 등이 몸에 익었지만, 개신교 선교사들에게 허드슨 테일러의 행동은 급진적인 것이었다.[31]중국에 파송된 선교사 중 가장 큰 규모의 선교단이 도착하고, 그들이 중국 전통 의복을 입겠다는 의도를 밝히자 상하이 외국인 거류지는 떠들썩해졌고, 젊은 중국내지선교회(China Inland Mission)에 대한 비판이 일기 시작했다. 선교사 여성들까지 중국 의복을 입은 것은 당시 반(半)스캔들로 여겨졌다. 다른 선교사들이 영국식 생활 방식을 유지하려 할 때, 테일러는 선교사들이 전도 대상인 중국인들의 문화를 존중하려 할 때에만 복음이 중국 땅에 뿌리내릴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는 사도 바울의 예를 들어, "죄가 아닌" 모든 것에서 선교사들은 중국인들처럼 되어야 하며, "어떤 방법으로든지 일부라도 구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
4. 2. 믿음 선교 (Faith Mission)
테일러는 중국 옷을 입고 선교활동을 하여, 51년 동안 많은 개신교 선교사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은 중국 사람들과 같은 말과 글, 옷 등이 몸에 익었지만, 개신교 선교사들에게 허드슨 테일러의 행동은 급진적이었다.[11]1867년 사랑하던 딸 나리아 그레이스가 폐렴으로 죽고, 1870년에는 다섯 살 난 아들 새뮤얼을 결핵성 장염으로, 같은 해 9월 아들 노얼이 태어난 지 20일 만에 죽었고, 그로부터 13일 후에는 아내마저 32세의 나이로 죽었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고 중국내지선교회(CIM)를 설립한 지 30년이 지난 1895년에는 640명 이상의 선교사들이 중국을 위해 헌신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그의 헌신으로 북미,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호주, 뉴질랜드에 중국 선교회 지부가 설립되었고, 한때 중국에 모여든 선교사는 1천 명이 넘었다.
테일러는 영국에서 프레더릭 포스터 고프(Frederick Foster Gough)와 함께 교회선교회(Church Mission Society)에서 일하며 영국외국성서공회(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를 위해 닝보 방언(Ningbo dialect)을 로마자 표기로 한 신약전서(New Testament)를 번역했다. 1862년 런던왕립병원(Royal London Hospital)에서 영국왕립외과의사회(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와 함께 졸업장(그리고 조산술 과정)을 마쳤고, 1865년 "중국의 영적 필요와 주장"(China's Spiritual Need and Claims)이라는 책을 썼는데, 이 책은 중국에 대한 동정심을 불러일으키고 선교 자원봉사자들을 끌어들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테일러는 책에서 "중국의 대의를 호소할 수사학과, 불꽃에 적신 붓으로 이 백성들의 상황을 그릴 수 있기를!"이라고 썼다. 그는 영국 전역을 여행하며 교회에서 강연하고 중국의 필요를 알렸다. 찰스 스펄전(Charles Spurgeon)과 친구가 되었고, 스펄전은 테일러의 평생 후원자가 되었다. 테일러 부부는 토마스 존 바나르도(Thomas John Barnardo)를 집에 머물게 했다.
1861년 런던에서 둘째 아들 허버트 허드슨 테일러(Herbert Hudson Taylor)가 태어났다. 이후 프레더릭 하워드 테일러(Frederick Howard Taylor, 1862년생), 새뮤얼(1864년생), 제인(1865년생)이 태어났지만 제인은 출산 당시 사망했다.
1865년 6월 25일 브라이턴(Brighton)에서 테일러는 중국 내륙 지방 복음화를 위한 새로운 단체 설립을 위해 헌신했다. 그는 윌리엄 토마스 버거(William Thomas Berger)와 함께 중국내지선교회(CIM)를 설립했다. 1년도 채 되지 않아 21명의 선교사를 받아들였고 2000GBP(2023년 기준 약 321500GBP)[11] 이상을 모금했다. 1866년 초, 테일러는 중국내지선교회의 간행물인 ''Occasional Paper of the China Inland Mission''의 초판을 출판했는데, 이는 후에 ''China's Millions''이 되었다.
테일러가 요약한 다음 내용은 미래의 신앙 선교(faith missions)에 대한 고전적인 설명으로 CIM의 핵심 가치로 여겨지게 되었다.
>'''목표'''. 중국내륙선교회는 중국의 절박한 필요에 대한 깊은 인식과 그리스도의 사랑과 그분의 재림에 대한 소망으로 인해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전파하라는 그분의 명령에 순종하고자 하는 간절한 열망으로 설립되었습니다. 그 목표는 하나님의 도움으로 중국 전역의 내륙에서 순회와 현지화된 사역을 사용하여 중국인들에게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구원의 지식을 가져다주는 것입니다.
>
>'''성격'''. 이 선교회는 복음주의적이며 기독교의 모든 주요 교파의 회원들을 포용합니다.
>
>'''방법'''. 새롭게 제안된 조직에서 일하기 위해 다소 특이하고 독특한 방법들이 채택되었습니다.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습니다.
>
>'''1'''. 선교 활동을 위한 자격을 갖춘 후보자는 기본적인 모든 진리에 대한 신앙의 건전성이 있다면 교파에 관계없이 제한 없이 받아들여야 합니다.
>
>'''2'''. 선교사로 나가는 모든 사람은 선교회가 어떤 소득도 보장하지 않는다는 명확한 이해를 가지고, 시간적 공급에 대한 하나님의 의존에 의존하여 나가야 합니다. 선교회는 부채를 지지 않을 것이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내지는 자금이 허용하는 대로 연결된 사람들에게만 사역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지원'''. 선교회는 주님의 백성의 자유로운 헌금으로 전적으로 지원됩니다. 사역의 필요는 개인적인 간청이나 모금이 허용되지 않고 기도로 하나님 앞에 제시됩니다. 이렇게 받은 것보다 더 많은 것이 지출되지 않으며, 부채에 들어가는 것은 하나님에 대한 완전한 의존의 원칙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됩니다.[12]
1866년에 그와 선교사들은 중국으로 갔다.[13] 1866년 5월 26일, 테일러와 그의 가족은 새로운 선교 팀인 "람머뮤어 일행"(Lammermuir Party)과 함께 ''람머뮤어''를 타고 중국으로 향했다. 4개월의 항해는 당시 빠른 것으로 여겨졌다. 남중국해(South China Sea)와 태평양에서 배는 두 차례의 태풍을 견뎌냈고, 1866년 9월 30일에 상하이에 무사히 도착했다.
1900년 의화단 사건 소식과 그로 인한 선교 활동의 중단은 테일러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지만, 동시에 그 지역에 대한 선교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중국내지선교회(CIM)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CIM은 중국에서 다른 어떤 선교단체보다 큰 피해를 입었지만(58명의 선교사와 21명의 어린이가 사망함), 테일러는 재산 및 인명 피해에 대한 보상을 거부하며 '그리스도의 온유와 겸손'을 보여주었다. 그는 일부 비판을 받았지만, 영국 외교부로부터 칭찬을 받았다.[16]
4. 3. 내륙 지향 선교
테일러는 중국 옷을 입고 활동하여, 51년 동안 많은 개신교 선교사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은 중국 사람들과 같은 말과 글, 옷 등이 몸에 익었지만, 개신교 선교사들에게 허드슨 테일러의 행동은 급진적이었다.1867년 8월, 사랑하던 딸 그레이스가 폐렴으로 죽고, 1870년 2월에는 다섯 살 난 아들 새뮤얼을 결핵성 장염으로 잃었다. 같은 해 9월, 아들 노얼이 태어난 지 20일 만에 죽었고, 그로부터 13일 후에는 아내마저 32세의 나이로 죽었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고 중국내지선교회를 설립한 지 30년이 지난 1895년에는 640명 이상의 선교사들이 중국을 위해 자신들의 삶을 헌신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그의 헌신으로 북미,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호주, 뉴질랜드에 중국선교회 지부가 설립되었고, 한때 중국에 모여든 선교사는 1천 명을 넘었다.
5. 유산 및 영향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 옷을 입고 선교 활동을 하여 51년 동안 많은 개신교 선교사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당시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은 중국 사람들과 같은 언어, 글, 옷을 사용했지만, 개신교 선교사들에게 허드슨 테일러의 방식은 급진적인 것으로 여겨졌다.[31]
1867년 사랑하는 딸 그레이스가 폐렴으로 사망했고, 1870년에는 아들 새뮤얼과 노엘이 연이어 사망했으며, 아내 마리아마저 세상을 떠났다. 이러한 시련에도 불구하고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내지선교회를 설립한 지 30년이 지난 1895년에는 640명 이상의 선교사들이 중국 선교에 헌신하도록 이끌었다. 그의 헌신으로 북미,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호주, 뉴질랜드에 중국선교회 지부가 설립되었고, 한때 중국에 모여든 선교사는 1천 명이 넘었다.[31]
73세의 나이에 아들과 며느리를 데리고 중국으로 간 허드슨 테일러는 중국 기독교인들에게 "중국의 은인"으로 불리며 큰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 여러 선교 본부를 방문한 후, 그는 후난 성 창사에서 73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허드슨 테일러는 그리스도만을 위해 살았고, 영혼들에게 구원의 복음을 전하는 일에 헌신했으며, 언어, 의학, 기도 훈련을 철저히 감당하며 고난과 시련 속에서도 헌신적인 전도 생활을 실천한 인물이었다. 그는 진정한 중국 복음화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31]
5. 1. 세계 선교에 미친 영향
테일러는 중국 옷을 입고 활동하여, 51년 동안 많은 개신교 선교사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은 중국 사람들과 같은 말과 글, 옷 등이 몸에 익었지만, 개신교 선교사들에게 허드슨 테일러의 행동은 급진적이었다.[31]1867년 8월 사랑하던 딸 나리아 그레이스가 폐렴으로 죽고 1870년 2월에는 다섯 살 난 아들 새뮤얼을 결핵성 장염으로 잃었다. 같은 해 9월 아들 노얼이 태어난 지 20일 만에 죽었고, 그로부터 13일 후에는 아내마저 32세의 나이로 죽었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고 중국내지선교회를 설립한 지 30년이 지난 1895년에는 640명 이상의 선교사들이 중국을 위해 자신들의 삶을 헌신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그의 헌신으로 북미,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호주, 뉴질랜드에 중국선교회 지부가 설립되고, 한때 중국에 모여든 선교사는 1천 명을 넘었다.[31]
73세인 그는 아들과 며느리를 데리고 중국을 향했다. 그곳 기독교인들은 사랑과 존경심으로 영접해 주었고 어디를 가나 그를 “중국의 은인”으로 불렀다. 여러 선교 본부를 방문한 후 그는 이전에 배타적인 지방이었던 후난 성(湖南省)의 창사(长沙)에서 73살의 나이로 열정적인 전도자의 일생을 마쳤다. 허드슨 테일러는 그리스도만을 위해서 살았고 영혼들에게 구원의 복음을 전하는 일에 헌신하였고, 전도의 목표를 위해 언어, 의학, 기도훈련을 철저히 감당하였으며, 고난과 시련을 겪으며 감당한 헌신적인 전도생활을 실천하였던 인물이었다. 그는 진정한 중국 복음화의 선구자였다.[31]
6. 저서
- 아-라 규-쥐 이애-수 규-토-고 싱 이아 슈: 펭-벵 퍄닝-포 투-워. 펭 핀-탕-핀: 이-핀 쥐 상-데-고 츠-총|신약전서중국어 (1865년)
- ''중국의 영적 필요와 주장'' (1865년)
- ''중국과 중국인'' 청년들을 위한 연설 (1865년)
- ''https://archive.org/details/chinasmillions00tayl 중국의 백만 명''[27]
- Union And Communion, or Thoughts on the Song of Solomon|연합과 교제, 또는 아가서에 대한 생각영어 (1893년)
- ''http://www.wholesomewords.org/missions/biotaylor6.pdf 회고'' (1894년)
- ''http://catalog.hathitrust.org/Record/100161283 30년 후'' (1895년)
- ''분리와 봉사'' (1898년)
- ''푸른 리본과 다른 성경 연구'' (1899년)
- 허드슨 테일러, 신앙의 생애를 말하다|일본어 (1991년, ISBN 4264012449)
참조
[1]
서적
The China Mission Year Book
https://archive.org/[...]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for China
[2]
BDCC
J. Hudson Taylor (1832–1905)
2018-06-11
[3]
서적
A retrospect
http://www.wholesome[...]
public domain
[4]
웹사이트
The Tract that Saved Dear Hudson - Poor Richard
https://omf.org/the-[...]
2019-03-11
[5]
서적
Hudson Taylor (Men of Faith)
https://archive.org/[...]
Bethany House
[6]
서적
A retrospect
http://www.wholesome[...]
public domain
[7]
서적
China: its state and prospect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pread of the gospel; containing allusions to the antiquity, extent, population, civilization, literature, and religion of the Chinese
https://archive.org/[...]
Crocker & Brewster
[8]
간행물
Story of Faith Missions
[9]
서적
The Memoir of Samuel Dyer: Sixteen Years Missionary to the Chinese
John Snow
[10]
서적
Hudson Taylor and China's Open Century: If I had A Thousand Lives
Hodder and Stoughton
[11]
웹사이트
£2,000 in 1865 → 2023 | UK Inflation Calculator
https://www.official[...]
[12]
서적
Last Letters and Further Records of Martyred Missionaries of the China Inland Mission
https://archive.org/[...]
Morgan and Scott
[13]
ODNB
Taylor, (James) Hudson (1832–1905), missionary
https://www.oxforddn[...]
2020-07-30
[14]
웹사이트
Dr & Mrs Howard Taylor, Hudson Taylor & The China Inland Mission: The Growth of A Work Of God, chapter 7
https://www.worldinv[...]
[15]
웹사이트
Christopher Dean, Religion as it should be, Massachusetts Sabbath School Society, Boston, 1847, 13-25
https://www.path2pra[...]
[16]
서적
Martyred Missionaries of the China Inland Mission with a record of the Perils and Sufferings of Some Who Escaped
https://archive.org/[...]
Morgan and Scott
2006-06-21
[17]
BDCC
James Hudson Taylor III (1929—2009)
2018-06-11
[18]
Citation
BSF History
https://archive.toda[...]
BSF International
2015-07-10
[19]
Citation
Rev. James Hudson Taylor III passed away at age 79 in Hong Kong
https://web.archive.[...]
2009-03-20
[20]
Citation
James Hudson Taylor V Performing at the Morrison Middle School Festival
http://www.facebook.[...]
2021-04-30
[21]
웹사이트
Hudson Taylor Trail
http://www.jameshuds[...]
[22]
서적
The Story of Faith Missions
Oxford Centre for Mission Studies
[23]
서적
The Bible in J. Hudson Taylor's Spirituality
[24]
웹사이트
English: 宣德堂镇江Xuande Church in Zhenjiang. Currently in an underground pit as church awaits construction of a memorial tower
https://commons.wiki[...]
2016-07-13
[25]
웹사이트
English: 宣德堂,镇江Xuande church in Zhenjiang
https://commons.wiki[...]
2016-07-13
[26]
웹사이트
Finding of Hudson Taylor Tomb and Re-burial
https://omf.org/us/h[...]
[27]
서적
China's millions
https://books.google[...]
China Inland Mission
2012-03-21
[28]
Citation
Library
SOAS
[29]
웹사이트
STUDENT LEADER GROUPS
https://web.archive.[...]
2020-04-18
[30]
서적
『リバイバル人物伝』
[31]
웹사이트
http://sostv.net/i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