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 쏠라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쏠라티는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한 전륜구동 기반의 중형 승합차로, 2015년 10월 19일에 출시되어 2025년 11월 30일에 단종될 예정이다. 2014년 독일 하노버에서 "H350"이라는 이름으로 공개되었고, 대한민국에서는 2015년 서울 모터쇼에서 쏠라티라는 이름으로 공개되었다. 전주공장 외에도 터키, 알제리 등에서 CKD 방식으로 생산되었으며, 베트남과 필리핀에서도 조립되었다. 2.5리터 디젤 엔진과 6단 수동 또는 8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했으며, 승합, 밴, 카고 밴 등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도입된 자동차 - 에디슨 화이버드
    에디슨 화이버드는 한국화이바에서 2014년에 출시한 탄소섬유 강화 복합소재를 사용한 버스 모델이며, 전기버스 모델은 ZF제 휠인 전기모터와 병렬연결 방식의 배터리 팩을 적용했고, 1세대 모델은 단종되었으며 일본에도 수출되었다.
  • 2014년 도입된 자동차 - 시트로엥 DS6
    시트로엥 DS6는 현재 내용 요약이 보류된 상태이며, 추가 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 2015년 도입된 자동차 - 페라리 488
    페라리 488은 페라리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생산한 스포츠카로, 3,902cc V8 트윈 터보 엔진과 7단 듀얼 클러치 자동변속기를 사용하며, 다양한 파생 모델과 모터스포츠에서 활약했다.
  • 2015년 도입된 자동차 - 마쓰다 CX-3
    마쓰다 CX-3는 2014년 마쓰다가 공개한 소형 크로스오버 SUV로, 스카이액티브 기술, 코도 디자인 철학, 페이스리프트를 통한 디자인 및 안전 기능 강화, 그리고 상품성 개선을 거쳐 아시아 시장에서 꾸준히 판매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커넥티드 서비스가 강화된 모델이 출시되었다.
  • 승합차 - 기아 타우너
    기아 타우너는 다이하쓰 하이젯을 기반으로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 판매된 경상용차로, 트럭과 코치 모델이 있었으며 배기가스 규제 미달로 단종 후 재출시되어 현재는 전기차 모델 개발도 진행 중이다.
  • 승합차 - 기아 베스타
    기아 베스타는 기아 봉고 코치를 기반으로 1986년 출시되어 2.0/2.2리터 디젤 엔진을 탑재한 소형 승합차로, 뉴 베스타와 하이 베스타를 거쳐 1997년 단종될 때까지 현대 그레이스, 대우 바네트와 경쟁하였다.
현대 쏠라티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개요
현대 H350
제조사현대자동차
다른 이름현대 쏠라티
현대 쏠라티 H350 (멕시코)
생산 기간2014년–현재
차종소형 상용차 (M)
차체 스타일패널 밴
미니버스
섀시 싱글 캡
구동 방식전방 엔진, 후륜 구동
플랫폼해당 없음
관련 차종해당 없음
생산
조립 공장아크찰라르, 부르사, 튀르키예 (카르산)
전주 (전주시, 대한민국) (현대자동차 전주 공장)
알마티, 카자흐스탄 (Hyundai Trans Auto)
바트나, 알제리 (SARL Global Motors Industries)
산타로사, 라구나, 필리핀 (, 2017–2022)
닌빈, 베트남 ()
디자인
디자이너해당 없음
파워트레인
엔진디젤: 2.5 L A II CRDI VGT I4
변속기6단 수동
크기
이전 모델
이전 모델현대 스타렉스 (멕시코)

2. 1세대 (EU)

2014년 9월, IAA (하노버 모터쇼)에서 "H350"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되었다.[7] 이는 현대자동차 최초의 유럽 시장에 특화된 다목적 상용차이다. 차체 타입은 카고 밴(총 중량(GVW) 3.5ton, 2/3인승), 승합 버스(총 중량(GVW) 4ton, 14/15/16인승), 플랫 베드 트럭의 3가지 종류로 준비되었다. 2015년 4월에는 서울 모터쇼에서 "쏠라티"라는 이름으로 한국에 처음 공개되기도 했다.[8]

외관은 현대자동차의 패밀리 룩인 육각형 그릴이 적용되었으며, 헤드램프에는 LED 주간 주행등이 통합되어 있다. 모노코크 구조의 차체에는 고장력 강판이 75% 사용되었다.

엔진은 두 종류의 직렬 4기통 2.5리터(2,497cc) 디젤 엔진이 준비되었다. 저출력 버전은 최고 출력 150ps(110kW), 최대 토크 373Nm이며, 고출력 버전은 최고 출력 170ps(125kW), 최대 토크 422Nm이다. 모두 EURO5 배출 가스 기준을 충족한다. 변속기는 6단 수동 변속기만 제공되었다.

H350의 제조는 현대자동차와 협력 관계에 있는 터키의 상용차 제조 회사 카르산(Karsan)에서 담당하며, 2015년 5월 14일부터 제조가 시작되었다.[9][10] 같은 달부터 터키 국내에서 판매를 시작했으며, 다음 달인 6월부터 유럽 8개국에서도 판매를 시작했다.

2. 1. 개요 (2015년 10월 19일 ~ 2025년 11월 30일)

현대 쏠라티 정측면


현대 쏠라티 후측면


2015년 10월 19일에 정식 출시되었다. 출시에 앞서 2014년 9월 독일 하노버에서 개최된 국제 상용차 박람회(IAA)에서 유럽 시장을 겨냥한 모델 'H350'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공개되었고[7], 대한민국에서는 2015년 4월에 개최된 서울 모터쇼에서 '쏠라티'라는 이름으로 공개되었다.[8] 'H350'이라는 차명은 차량의 총 중량인 3,500kg을 의미한다.

생산은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에 있는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에서 이루어지며, 터키의 상용차 전문 제조사인 카르산에서도 CKD(조립 생산) 방식으로 생산한다.[4][9][10] 이 외에도 알제리의 글로벌 모터스 인더스트리[3], 베트남의 현대탄콩 베트남 제조법인[5], 그리고 필리핀하리 (2017년~2022년)[6]에서도 CKD 방식으로 조립되었다.

외관 전면에는 현대자동차의 패밀리 룩인 육각형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되었고, 헤드램프에는 LED 주간 주행등이 통합되어 있다. 모노코크 구조의 차체에는 고장력 강판이 75% 사용되었으며, 고강도 강철 구조는 승객실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쏠라티는 전장 6.2m(축거 3,670mm) 또는 5.52m(축거 3,440mm)의 사이즈를 가진 승합 및 중형 밴, 카고 밴 등 3개 버전으로 판매된다. 대한민국에서는 초기에 승합 모델만 판매되었다. 카고 밴은 최대 12.9m3의 화물을 실을 수 있는 공간(화물실 길이 3,780mm, 너비 1,795mm, 높이 1,955mm)을 가지며, 최대 적재량은 2.5톤이다. 승합 모델은 14명에서 16명(유럽 모델은 최대 17명)까지 승객을 태울 수 있으며, 각 좌석 간 피치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충분한 레그룸을 제공한다.

실내에는 4.2인치 TFT LCD 디스플레이가 기본 탑재되어 차량 상태를 표시하며, 옵션으로 안드로이드 기반의 8인치 AVN(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다. 편의 사양으로는 레인 센서, 자동 조명, 냉장 글로브 박스, 크루즈 컨트롤 등이 적용되었고, 안전 사양으로는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 전후 디스크 브레이크, 전자 제어 장치, 브레이크 어시스트 등이 장착되어 있다.

엔진은 직렬 4기통 2.5리터(2,497cc) 커먼레일 터보 디젤 엔진(A2 엔진)이 탑재된다. 초기 유럽 모델(H350)은 최고 출력 150ps(110kW), 최대 토크 373Nm의 저출력 버전과 최고 출력 170ps(125kW), 최대 토크 422Nm의 고출력 버전 두 가지로 제공되었으며, 모두 EURO5 배출 가스 기준을 충족했다. 국내 모델은 170ps 고출력 버전만 판매된다. 변속기는 초기에는 6단 수동변속기만 제공되었으나, 2016년부터 8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다. 현재는 자동변속기가 기본 사양이며, 수동변속기는 마이너스 옵션으로 선택 가능하다. 구동 방식은 후륜구동이다.

2016년 3월부터 특장차가 추가되었고, 같은 해 5월 23일에는 대한민국에서도 화물밴 및 냉장밴(3인승)이 추가되었다. 밴 모델 출시와 함께 캠핑카도 라인업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판매 부진으로 2017년 1월 냉장밴(3인승)과 휠체어리프트 모델 등이 단종되었다. 쏠라티의 차대를 기반으로 한 1.2톤 트럭도 생산되었으나, 유럽 시장에서만 판매된다.

2021년 현대 스타렉스가 단종되고 현대 스타리아로 대체된 후, 쏠라티는 대한민국 시장에서 유일하게 후륜구동 기반의 15인승 승합차로 남게 되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때문에 판매량은 많지 않은 편이다. 결국 판매 부진으로 인해 2025년 11월 30일 단종될 예정이다.

2. 2. 디자인



현대 쏠라티 테스트뮬 정측면


현대 쏠라티 테스트뮬 후측면


현대 쏠라티 내부와 운전석


외관은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특징인 육각형 라디에이터 그릴이 전면에 적용되어 패밀리 룩을 이루었다. 헤드램프에는 LED 주간 주행등이 통합되어 있다.[8] 모노코크 구조의 차체에는 고장력 강판이 75% 사용되었다.

내부 대시보드에는 4.2인치 TFT LCD 디스플레이가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으며, 옵션으로 안드로이드 기반의 8인치 AVN(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다.

2. 3. 제원

(mm)6,195전폭
(mm)2,038전고
(mm)2,665
2,777(에어컨 포함)축거
(mm)3,670윤거
(전, mm)1,712윤거
(후, mm)1,718승차 정원14명
15명
16명변속기수동 6단
자동 8단서스펜션
(전/후)더블 위시본/리지드 액슬구동 형식후륜구동엔진 형식I4 2.5L 디젤연료디젤배기량
(cc)2,497최고 출력
(ps/rpm)170/4,000최대 토크
(kg*m/rpm)43.0/4,000연료탱크용량
(ℓ)75요소수탱크용량
(ℓ)22연비
(km/ℓ)12.2(복합)



현대 쏠라티는 승합, 화물 밴, 카고 밴의 3가지 차체 형태로 판매되며, 대한민국에서는 초기에 승합 모델만 출시되었다.[8] 모노코크 구조의 차체에는 고장력강판이 75% 사용되었고, 차체 구조의 상당 부분이 고강도 강철로 이루어져 있다.

직렬 4기통 2.5리터 CRDi 터보 디젤 엔진(A2 엔진)이 탑재된다. 변속기는 6단 수동변속기와 8단 자동변속기가 제공되며, 후륜구동 방식이다. 2016년 자동변속기가 추가된 이후 현재는 자동변속기가 기본 사양이며, 수동변속기는 마이너스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승합 모델은 14명에서 16명까지 탑승 가능하며, 화물 밴 모델은 최대 12.9m3의 화물 적재 공간을 갖추고 있다. 카고 밴의 최대 적재량은 2.5ton이다.

안전 사양으로는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 ESC, 전륜 및 후륜 디스크 브레이크, 브레이크 어시스트 등이 적용된다. 편의 사양으로는 4.2인치 TFT 디스플레이가 기본으로 탑재되며, 옵션으로 안드로이드 기반의 8인치 AVN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다.

2. 4. 안전 및 편의 사양

쏠라티는 차체 구조의 상당 부분을 고강도 강철로 제작했으며, 특히 모노코크 구조 차체에는 고장력 강판이 75% 사용되어 안전성을 높였다.[8] 안전 사양으로는 운전자 및 조수석 에어백, 전륜과 후륜 모두에 적용된 디스크 브레이크, 브레이크 어시스트 시스템, 그리고 차량 제어를 돕는 전자 제어 장치가 탑재되었다. 헤드램프에는 LED 주간 주행등이 통합되어 있다.[8]

편의 사양으로는 레인 센서, 자동 조명(오토 라이트 컨트롤), 냉장 기능이 있는 글로브 박스, 크루즈 컨트롤 등이 적용되었다. 운전석 계기판에는 4.2인치 TFT LCD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차량 상태 정보를 표시하며, 옵션으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8인치 내비게이션 시스템(AVN)을 선택할 수 있다.[8]

2. 5. 라인업



쏠라티는 승합 모델과 밴, 트럭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국내외 시장에 따라 라인업 구성에 차이가 있다.

=== 국내 라인업 ===

대한민국에서는 2015년 10월 19일 출시 초기에는 14인승, 15인승, 16인승의 승합 모델만 판매되었다. 이후 라인업이 확장되어 다양한 모델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일부 모델은 판매 부진으로 단종되었다. 2017년 1월에는 냉장밴(3인승)과 휠체어리프트 모델 등이 단종되었다. 쏠라티는 판매 부진으로 인해 2025년 11월 30일 단종될 예정이다.

=== 해외 라인업 (H350) ===

유럽 시장을 겨냥해 개발된 H350은 2014년 9월 독일 하노버 국제 상용차 박람회(IAA)에서 처음 공개되었다.[7] 차명 '''H350'''은 차량의 총 중량(GVW) 3.5ton을 의미한다. 차체 형태는 다음과 같이 3가지 종류로 나뉜다.

=== 파워트레인 ===

쏠라티는 후륜구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엔진과 변속기 구성은 다음과 같다.

2021년 스타렉스가 단종되고 스타리아로 대체된 후, 쏠라티는 국내 유일의 후륜구동 기반 15인승 이상 승합차로 남았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으로 인해 판매량은 많지 않다.

=== 주요 제원 ===

'''현대 쏠라티 (승합 모델 기준)'''
구분2.5ℓ A2 디젤
전장 (mm)6,195
전폭 (mm)2,038
전고 (mm)2,665
2,777 (에어컨 포함)
축거 (mm)3,670
윤거 (전, mm)1,712
윤거 (후, mm)1,718
승차 정원14명 / 15명 / 16명
변속기수동 6단
자동 8단
서스펜션 (전/후)더블 위시본 / 리지드 액슬
구동 형식후륜구동
엔진 형식직렬 4기통 2.5L 디젤 엔진
연료디젤
배기량 (cc)2,497
최고 출력 (ps/rpm)170 / 4,000
최대 토크 (kg·m/rpm)43.0 / 4,000
연료탱크용량 (ℓ)75L
요소수탱크용량 (ℓ)22L
연비 (km/ℓ)복합 12.2



=== 생산 ===

쏠라티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완주군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에서 생산된다. 또한 CKD(Complete Knock Down) 형태로 터키의 상용차 제조사 카르산(Karsan)[4][9][10], 알제리의 글로벌 모터스 인더스트리(Global Motors Industrie)[3] 등에서도 조립 생산되었다. 베트남의 현대탄콩 베트남 제조법인(Hyundai Thanh Cong)[5]필리핀하리(HARI)에서도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조립 생산한 바 있다.[6]

2. 6. 특이사항



쏠라티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의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외에도, 터키의 상용차 전문 제조사인 카르산(Karsan)에서 CKD(Complete Knock Down) 방식으로도 생산된다.[4][9][10] 또한 알제리의 글로벌 모터스 인더스트리(Global Motors Industrie)[3], 베트남의 현대탄콩 베트남 제조법인(Hyundai Thanh Cong)[5], 그리고 필리핀하리(HARI, 2017년~2022년)에서도 조립 생산되었다.[6]

2014년 9월, 독일 하노버에서 열린 IAA (하노버 모터쇼)에서 유럽 시장을 겨냥하여 'H350'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공개되었는데,[7] 차명 'H350'은 차량의 총 중량이 3500kg임을 의미한다. 유럽 시장에서는 카고 밴(GVW 3.5톤, 2/3인승), 승합 버스(GVW 4톤, 14/15/16인승), 플랫 베드 트럭의 세 가지 형태로 판매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초기에는 승합 모델 위주로 판매되었다.[8] 쏠라티의 차체를 기반으로 한 1.2톤 트럭도 생산되었으나 유럽에서만 판매되었다.

차체 구조에는 고장력 강판이 75% 사용되어 안전성을 높였다. 초기에는 6단 수동변속기만 제공되었으나, 2016년부터 8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고 현재는 자동변속기가 기본 사양이며 수동변속기는 마이너스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2016년 3월에는 캠핑카를 포함한 특장차가 추가되었고, 같은 해 5월 23일에는 화물밴 및 냉장밴(3인승) 모델이 대한민국 시장에 추가되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인해 2017년 1월 냉장밴과 휠체어리프트 모델 등 일부 특장차는 단종되었다.

2021년 현대 스타렉스가 단종되고 현대 스타리아로 대체된 이후, 쏠라티는 대한민국 시장에서 유일하게 후륜구동 기반의 15인승 승합차로 남게 되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비싼 가격 때문에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지 못하고 판매 부진을 겪었으며, 결국 2025년 11월 30일에 단종될 예정이다.

3. 대한민국 시장

2,777 (에어컨 포함)축거 (mm)3,670윤거 (전, mm)1,712윤거 (후, mm)1,718승차 정원14명
15명
16명변속기수동 6단
자동 8단서스펜션 (전/후)더블 위시본 / 리지드 액슬구동 형식후륜구동엔진 형식I4 2.5L 디젤연료디젤배기량 (cc)2,497최고 출력 (ps/rpm)170 / 4,000최대 토크 (kg·m/rpm)43.0 / 4,000연료 탱크 용량 (ℓ)75요소수 탱크 용량 (ℓ)22연비 (km/ℓ)12.2 (복합)


4. 경쟁 차종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쏠라티, 프리미엄 15인승 미니버스 새로운 기준과 편안함을 제시하다 http://blog.hyundai.[...] Hyundai Motor Group 2015-05-19
[2] 웹사이트 Solati H350 https://www.hyundaic[...] Neohyundai México S.A.P.I. de C.V. 2021-12-28
[3] 웹사이트 GMI présente le Hyundai H350 made in Algérie https://web.archive.[...] 2016-10-14
[4] 웹사이트 2015 Hyundai H350 Review http://www.topspeed.[...]
[5] 웹사이트 Default Parallels Plesk Panel Page https://hyundai.than[...]
[6] 웹사이트 Hyundai PH opens new assembly center in Sta. Rosa Laguna https://jamesdeakin.[...]
[7] 웹사이트 Hyundai Motor stages world premiere of H350 http://worldwide.hyu[...] 현대자동차ニュースリリース 2014-09-24
[8] 웹사이트 Hyundai Motor at the 2015 Seoul Motor Show http://worldwide.hyu[...] 현대자동차ニュースリリース 2015-04-02
[9] 웹사이트 Hyundai Motor Starts Production of Its First Light Commercial Vehicle, the All-New H350, in Europe http://worldwide.hyu[...] 현대자동차ニュースリリース 2015-05-14
[10] 웹사이트 【トルコ―生産】現代自、トルコで新型LCV「H350」生産開始 http://auto-affairs.[...] 国際自動車ニュース 2015-05-15
[11] 문서 도서 지역의 공영버스나 [[울릉도]] 연고의 [[무릉교통]], [[서울특별시]]의 [[대진여객 (서울)|대진여객]](성북05번에 한함), [[아현운수]] 등 일부 업체가 마을버스나 농어촌버스 등의 출고 희망이 예상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