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 스타렉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스타렉스는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한 승합차로, 1997년에 1세대가 출시되어 2021년까지 2세대가 판매되었다. 1세대는 그레이스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되었으며, 미쓰비시 델리카 스페이스 기어의 디자인을 참고하여 제작되었다. 2007년에는 2세대인 그랜드 스타렉스가 출시되었으며, 2017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더 뉴 그랜드 스타렉스로 변경되었다. 2021년에는 후속 모델인 현대 스타리아가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스타렉스는 마을버스, 특장차 등으로도 활용되었으며, 다양한 미디어에도 등장했다.

2. 1세대 (AH, 1997년~2007년)

1997년 3월에 출시된 현대 스타렉스는 그레이스의 단점을 개선하고, 미쓰비시 델리카 스페이스 기어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1] 디젤, 가솔린, LPG 엔진과 5단 수동, 4단 자동변속기를 제공했으며, RV(숏바디)와 점보(롱바디) 두 가지 차체, 7/9/11/12인승(1998년에 3/6인승 밴, 4륜구동 모델 추가)으로 출시되었다.[1]

에어백, ABS, CD 플레이어, 선루프 등 당시 고급 사양을 국산 소형 버스 최초로 적용했고,[1] 1998년 고급 모델 'CLUB'은 AV/내비게이션, 우드 그레인을 추가했다.[1]

2000년 디자인 일부 변경 및 3.0ℓ LPG, 2.5ℓ TCI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고,[1] 2002년 2.5ℓ CRDI 디젤 엔진, 휠 디자인이 변경되었다.[1]

해외에는 'H-1'로 판매, 아시아, 유럽 등에 수출되었다.[1]

2. 1. 1세대 전기형 제원 (1997년~2004년)

1997년 3월에 출시된 현대 스타렉스 1세대 전기형 모델은 그레이스의 단점을 개선하여 개발되었다. 미쓰비시 델리카 스페이스 기어의 디자인을 참고했지만, 후륜구동 플랫폼은 현대자동차가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엔진 라인업 및 변속기

  • 2.6ℓ 디젤 엔진 (D4BB, 83마력)
  • 2.5ℓ 터보 디젤 엔진 (D4BF, 85마력)
  • 2.4ℓ LPG 엔진 (L4CS, 100마력)
  • 2.4ℓ 가솔린 엔진 (G4CS, 118마력)
  • 5단 수동변속기
  • 일본 아이신 社의 4단 자동변속기

차체 크기 및 승차 정원스타렉스는 RV(숏 바디)와 점보(롱 바디) 두 가지 타입으로 출시되었다.

구분RV (숏 바디)점보 (롱 바디)
전장 (mm)4,6955,035
전폭 (mm)1,8201,820
전고 (mm)1,8801,965
축거 (mm)2,8103,080
승차 정원7인승, 9인승11인승, 12인승, 3인승 밴, 6인승 밴


  • 1998년 3인승/6인승 밴과 4륜구동 모델 추가

구동 방식
주요 특징

  • 국산 소형 버스 최초로 에어백, ABS, CD 플레이어 내장 오디오, 선루프, 루프 캐리어 등이 적용되었다.[1]
  • 고급 모델 (HSV, 이후 CLUB)에는 AV 및 내비게이션 헤드 유닛, 우드 그레인이 적용되었다.[1]
  • 2000년 V형 6기통 3.0ℓ LPG 엔진(L6AT, 135마력) 및 2.5ℓ TCI 엔진(D4BH, 103마력)이 추가되었다.[1]
  • 2002년 2.5ℓ CRDI 디젤 엔진(D4CB, 145마력)이 추가되었다.[1]

제원표

구분2.6ℓ 디젤 (2WD/4WD)2.4ℓ 가솔린 (2WD/4WD)2.4ℓ LPG (2WD/4WD)
전장 (mm)4,695 (RV 왜건) / 5,035 (점보 왜건, 점보 밴)
전폭 (mm)1,820
전고 (mm)1,880 (RV 왜건) / 1,965 (점보 왜건, 점보 밴)
축거 (mm)2,810 (RV 왜건) / 3,080 (점보 왜건, 점보 밴)
윤거 (전, mm)1,570
윤거 (후, mm)1,545 (RV 왜건, 점보 왜건, 점보 밴)
승차 정원3명 (밴) / 6명 (밴) / 7명 / 9명 / 11명 / 12명
변속기수동 5단 / 자동 4단
구동 형식후륜구동 / 4륜구동
연료디젤가솔린LPG
배기량 (cc)2,6072,351
최고 출력 (ps/rpm)83/4,000118/4,500100/4,000
최대 토크 (kg*m/rpm)17.0/2,20019.8/2,50018.3/2,000


2. 2. 1세대 후기형 제원 (2004년~2007년)

{| class="wikitable"

|-

! 구분

! 2.5 TCI

! 2.5 CRDI

! V6 3.0 LPG

|-

! 연료

| 디젤

| 디젤

| LPG

|-

! 배기량(cc)

| 2,476

| 2,497

| 2,972

|-

! 최고 출력(ps/rpm)

| 103

| 145

| 135

|-

! 최고 속도(km/h)

| 149 (RV 2WD)/135 (RV 4WD)

| 165 (RV 2WD/RV 4WD)/164 (점보 2WD)

| 154 (RV 2WD/점보 2WD)

|-

! 최대 토크(kg*m/rpm)

| 24.0

| 33.0

| 23.0

|-

! 연비(km/l)

|

RV 7/9인승 왜건 (수동)9.7
RV 7/9인승 왜건 (자동)9.0
RV 7/9인승 왜건 4WD (수동)9.0
RV 7/9인승 왜건 4WD (자동)8.5
점보 9인승 왜건 (수동)9.7
점보 9인승 왜건 (자동)8.9
점보 11/12인승 왜건 (수동)9.7
점보 11/12인승 왜건 (자동)8.5
점보 3인승 밴 (수동)9.7
점보 3인승 밴 (자동)9.3
점보 6인승 밴 (수동)10.1
점보 6인승 밴 (자동)9.2



|

RV 7/9인승 왜건 (수동)11.7
RV 7/9인승 왜건 (자동)10.6 (이후 11.1로 변경)
RV 7/9인승 왜건 4WD (수동)10.6
점보 9인승 왜건 (수동)11.9
점보 9인승 왜건 (자동)10.5
점보 11/12인승 왜건 (수동)10.7
점보 11/12인승 왜건 (자동)10.1
점보 3인승 밴 (수동)11.3
점보 3인승 밴 (자동)10.7



|

RV 9인승 왜건 (수동)7.0
RV 9인승 왜건 (자동)6.2 (이후 5.2로 변경)
점보 9인승 왜건 (수동)7.0
점보 9인승 왜건 (자동)6.2 (이후 5.2로 변경)
점보 11/12인승 왜건 (수동)6.1
점보 11/12인승 왜건 (자동)5.8
점보 3인승 밴 (수동)6.4
점보 3인승 밴 (자동)6.9
점보 6인승 밴 (수동)6.5
점보 6인승 밴 (자동)5.9



|-

|}


  • 전장(mm): 4,695 (RV 왜건)/4,755 (RV 왜건 4WD)/4,855 (RV 왜건 범퍼가드 적용 시)/5,035 (점보 왜건, 점보 밴)/5,135 (점보 왜건 범퍼가드 적용 시)
  • 전폭(mm): 1,820/1,840 (사이드 가니시 적용 시)
  • 전고(mm): 1,885 (RV 왜건)/2,080 (RV 왜건 루프랙 적용 시)/1,995 (RV 왜건 4WD)/2,185 (RV 왜건 4WD 루프랙 적용 시)/1,970 (점보 왜건)/1,980 (점보 밴)
  • 축거(mm): 2,810 (RV 왜건)/3,080 (점보 왜건, 점보 밴)
  • 윤거(전, mm): 1,570 (RV 왜건, 점보 왜건, 점보 밴)/1,565 (RV 왜건 4WD)
  • 윤거(후, mm): 1,545 (RV 왜건, 점보 왜건, 점보 밴)/1,560 (RV 왜건 4WD)
  • 승차 정원: 3명(밴)/6명(밴)/7명/9명/11명/12명
  • 변속기: 수동 5단/자동 4단
  • 구동 형식: 후륜구동/4륜구동

2. 3. 뉴 스타렉스 (2004년~2007년)

2004년에 뉴 스타렉스는 운전석 에어백을 기본으로 장착하고, 고급 모델인 'GOLD'를 추가했다. RV 밴과 리무진 모델에는 4륜구동 방식이 추가되었다. 현대 그레이스가 단종되면서 11인승과 12인승 왜건이 주력 모델이 되었다.

2005년에는 블랙 베젤 헤드램프 등을 적용한 '블랙 스페셜' 모델을 출시했다.

2007년에는 4륜구동 모델 생산을 중단하고, 그랜드 스타렉스를 출시하면서 뉴 스타렉스는 단종되었다.

2. 3. 1. 뉴 스타렉스 제원

구분
RV점보
전장(mm)
전폭(mm)colspan="2" |
전고(mm)
축거(mm)2,8103,080
윤거(전, mm)1,570
윤거(후, mm)1,545
승차정원7/9/11/12명3명(밴)/6명(밴)/9/11/12명
변속기수동 5단/자동 4단
구동 형식후륜구동/4륜구동



구분2.5 TCI2.5 CRDIV6 3.0 LPG
연료디젤디젤LPG
배기량(cc)2,4762,4972,972
최고출력(ps/rpm)103145135
최고속도(km/h)
최대토크(kg*m/rpm)24.033.023.0
연비(km/l)


3. 2세대 (TQ, 2007년~2021년)

2세대(TQ) 모델은 2007년 5월 28일에 출시되었으며, 현대자동차가 독자 개발한 플랫폼을 적용하였다. A 2.5ℓ 커먼레일 디젤 엔진(WGT, VGT)을 장착하고, 수동변속기 또는 자동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다. RV/점보 바디 타입은 하나로 통합되었고, 축거를 늘려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 양쪽 슬라이딩 도어, 차량 자세 제어 장치(VDC) 등 안전 및 편의 사양을 강화했다. 리무진, 구급차 등 특장차 모델은 성우모터스에서 개조 후 출고되었다.

2008년에는 2.4ℓ LPI 엔진을 추가하여 겨울철 시동 문제를 개선했고, 2011년에는 유로 5 기준을 만족하는 디젤 엔진과 6단 수동변속기를 적용하고 4륜구동 모델을 재출시했다. 2013년에는 캠핑카 모델을 출시하고, 승합차에 최고 속도 제한 장치를 의무 장착했다. 2014년에는 어린이 통학버스 15인승 모델을 출시하고, 차체 자세 제어 장치 등 안전 사양을 기본 적용했다.

2015년에는 유로6 기준을 만족하는 디젤엔진을 왜건 모델에 우선 적용하였고, 2016년에는 밴 모델에도 유로 6 기준을 만족하는 디젤 엔진을 적용하였다.

2017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차명을 더 뉴 그랜드 스타렉스로 변경하고, 9인승 고급 왜건 사양인 어반을 추가했다. 2019년에는 밴 모델에도 강화된 유로6 기준을 만족시키는 엔진을 적용했다.

2021년 초까지 주문을 받고 생산을 중단했으며, 특장차는 2021년 7월까지 병행 생산했다. 후속 모델인 스타리아전륜구동 기반으로, 2.2리터 R엔진을 적용한다. 2022년 12월에는 스타리아를 출시하지 않은 국가에서 스타렉스가 단종되었다.

3. 1. 그랜드 스타렉스 (2007년~2015년)

2007년 서울 모터쇼에서 프로젝트명 TQ로 처음 공개되었고, 같은 해 5월 28일에 정식 출시되었다. 기아 쏘렌토(1세대)에 적용되었던 A 2.5ℓ 커먼레일 디젤 엔진을 장착했는데, 수동변속기에는 WGT(140마력) 엔진이, 자동변속기에는 VGT(170마력) 엔진이 적용되었다. 기존 스타렉스의 7, 9인승과 4륜구동 모델은 판매 부진으로 단종되었으나, 4륜구동2013년 11월 11일에 다시 추가되었다.

현대 그랜드 스타렉스 정측면


현대 그랜드 스타렉스 후측면


현대 그랜드 스타렉스 (전기형) 실내


차체는 RV(숏 바디)와 점보(롱 바디)로 구분되었던 기존과 달리 한 가지로 통합되었고, 축거를 3,200mm까지 늘려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 양쪽에 슬라이딩 도어를 적용하여 실용성과 기동성을 높였으며, 슬라이딩 도어에는 플러시 글래스를 적용하여 깔끔한 외관을 완성했다. 대한민국산 다목적 소형 상용 승합차 최초로 차량 자세 제어 장치(VDC)를 적용하여 안전성을 높였다.

2007년 7월 23일에는 리무진, 앰뷸런스, 어린이 보호차, 냉동차, 장애인용 이지 무브 등 다양한 특장차가 출시되었다. 2008년 11월에는 직렬 4기통 세타 2.4ℓ LPI 엔진을 추가하여 겨울철 시동성을 개선했다.

2011년 11월에는 강화된 환경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디젤 엔진을 개선하고, 6단 수동변속기를 적용한 2012년형 모델을 출시했다. 2012년 3월에는 리무진과 앰뷸런스가 재출시되었으며, 리무진은 전용 우드 그레인과 휠 변경, 리어 에어 댐 추가, 실내 LED 램프 등 디자인과 편의사양이 개선되었다.

2013년 3월 13일에는 자동 유압식 실린더를 적용한 팝업 루프가 내장된 캠핑 카를 선보였다. 2013년 8월 19일부터는 승합차에 최고 속도 제한 장치가 의무 장착됨에 따라 밴을 제외한 왜건 모델의 최고 속도가 110km/h로 제한되었다.

2014년 5월 2일에는 어린이 통학버스 사양이 15인승으로 변경되었으나, 좌석이 어린이 체구에 맞게 설계되어 기존 15인승 차량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했다. 2014년 12월 22일에 출시된 2015년형 모델은 차체 자세 제어 장치(ESC), 급제동 경보 시스템(ESS),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TPMS)를 기본 적용하고, 에어로 타입 와이퍼, 플러시 글래스, 열선 스티어링 휠, 오토 라이트 컨트롤 등 편의사양을 확대 적용했다.

3. 1. 1. 그랜드 스타렉스 전기형 제원

구분설명
전장(mm)4,695 (RV 왜건, RV 밴)
4,815 (2004년~2005년 RV 왜건 범퍼가드 적용시)
4,765 (2005년~2007년 RV 왜건 범퍼가드 적용시)
4,825 (2004년~2005년 RV 왜건 4WD)
4,835 (2005년~2007년 RV 왜건 4WD)
5,035 (점보 왜건, 점보 밴)
5,095 (2004년~2005년 점보 왜건 범퍼가드 적용시)
5,105 (2005년~2007년 점보 왜건 범퍼가드 적용시)
전폭(mm)1,820 / 1,840 (사이드 가니시 적용시)
전고(mm)1,885 (RV 왜건, RV 밴)
2,080 (2004년~2005년 RV 왜건 루프랙 적용시)
1,930 (2005년~2007년 RV 왜건 루프랙 적용시)
1,995 (2004년~2005년 RV 왜건 4WD)
2,185 (2004년~2005년 RV 왜건 4WD 루프랙 적용시)
2,040 (2005년~2007년 RV 왜건 4WD)
1,900 (RV 밴)
1,970 (점보 왜건)
1,980 (점보 밴)
축거(mm)2,810 (RV 왜건, RV 밴) / 3,080 (점보 왜건, 점보 밴)
윤거(전, mm)1,570 (RV 왜건, RV 밴, 점보 왜건, 점보 밴) / 1,565 (RV 왜건 4WD)
윤거(후, mm)1,545 (RV 왜건, RV 밴, 점보 왜건, 점보 밴) / 1,560 (RV 왜건 4WD)
승차정원3명 (밴) / 6명 (밴) / 7명 / 9명 / 11명 / 12명
변속기수동 5단 / 자동 4단
구동 형식후륜구동 / 4륜구동



구분2.5 TCI2.5 CRDI
연료디젤디젤
배기량(cc)2,4762,497
최고출력(ps/rpm)103/3,800145/3,800
최고속도(km/h)149 (RV 2WD/점보 2WD)165 (RV 2WD/RV 4WD) / 164 (점보 2WD)
최대토크(kg*m/rpm)24.0/2,00033.0/2,000
연비(km/l)10.6 (RV 7/9인승 왜건 수동) / 9.4 (RV 7/9인승 왜건 자동)
10.8 (RV 3인승 밴 수동) / 9.8 (RV 3인승 밴 자동)
10.6 (점보 9인승 왜건 수동) / 9.4 (점보 9인승 왜건 자동)
9.9 (점보 11/12인승 왜건 수동) / 8.8 (점보 11/12인승 왜건 자동)
10.6 (점보 3/6인승 밴 수동) / 9.3 (점보 3/6인승 밴 자동)
10.9 (RV 7/9인승 왜건 수동) / 10.0 (RV 7/9인승 왜건 자동)
10.3 (RV 7/9인승 왜건 4WD 수동) / 8.9 (RV 7/9인승 왜건 4WD 자동)
10.9 (점보 9인승 왜건 수동) / 10.0 (점보 9인승 왜건 자동)
10.9 (점보 11/12인승 왜건 수동) / 10.0 (점보 11/12인승 왜건 자동)
11.1 (점보 3/6인승 밴 수동) / 9.9 (점보 3/6인승 밴 자동)


3. 2. 2016 그랜드 스타렉스 (2015년~2017년)

2015년 8월 10일에 약간의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유로 6 기준을 만족시키는 직렬 4기통 2.5ℓ WGT/VGT 디젤 엔진이 왜건에만 장착되고, 내부 조명이 녹색에서 청색으로 바뀐 2016년형이 선보였다.[16] 전장이 25mm 증가되었으며, 왜건에는 유로 6 기준의 NOx 배출 가스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SCR(요소수) 시스템이 장착되었다.[16] 아울러 왜건 모든 트림에 액티브 에코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밴을 포함한 모든 트림에 1열 사이드 에어백이 적용되었다.[16] 같은 해 11월에는 컨버전 밴인 리무진, 캠핑 카, 어린이 보호차, 냉동차, 앰뷸런스(일반, 특수, 소방형) 등 특장차가 다시 시판되었다. 이지 무브는 요소수 탱크 문제로 추후 출시될 예정이었다.

2015년 12월에는 내비게이션이 옵션으로 추가되었다.[16]

2016년 8월 26일에는 밴 모델에도 유로 6 기준을 충족시킨 직렬 4기통 2.5ℓ WGT/VGT 디젤 엔진이 적용된 2017년형이 출시되었다.

3. 2. 1. 2016 그랜드 스타렉스 제원

2016년형 그랜드 스타렉스 제원
현대 그랜드 스타렉스 (2016년형) 정측면
구분내용
엔진유로 6 기준 직렬 4기통 2.5ℓ WGT/VGT 디젤 엔진 (왜건)[16]
변속기자동 5단
특징* 전장 25mm 증가[16]


3. 3. 더 뉴 그랜드 스타렉스 (2017년~2021년)

2017년 12월 20일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차명이 더 뉴 그랜드 스타렉스로 변경되었다.[27] 현대자동차의 캐스케이딩 그릴이 적용되었고, 9인승 고급 승용 왜건 사양인 '어반'이 추가되었다. 어반은 개선된 서스펜션을 기본으로 장착했고, 17인치 알로이 휠, 전용 LED 테일램프와 전 좌석 3점식 안전벨트 등을 적용했다. 어반은 프리미엄, 프리미엄 스페셜, 익스클루시브 등 3개 트림으로 운영되었고, 최상위 트림인 익스클루시브에는 승용차 형태로 디자인된 전용 대시보드 및 그랜저와 같은 디자인의 스티어링 휠이 적용되었다.

2019년 8월에 출시된 2020년형은 밴 모델에도 강화된 유로6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SCR이 장착된 직렬 4기통 A 2.5ℓ WGT(수동)/VGT(자동) 디젤 엔진이 적용되었고, 4륜구동에는 LD가 기본 사양으로 적용되었다.

2021년 초까지 주문을 받은 후 생산을 중단했으며, 특장차는 2021년 7월까지 병행 생산했다. 후속 모델인 스타리아후륜구동인 스타렉스와 달리 전륜구동인지라, 커먼레일 디젤 엔진은 2.5리터 A엔진 대신 177마력 2.2리터 R엔진을 적용한다. 2022년 12월, 스타리아를 출시하지 않은 국가에서 스타렉스가 단종되었다.

3. 3. 1. 더 뉴 그랜드 스타렉스 제원

2WD2.5ℓ VGT 왜건
2WD2.5ℓ VGT 왜건
4WD2.5ℓ VGT 리무진
2WD/4WD2.5ℓ WGT 밴
2WD2.5ℓ VGT 밴
2WD2.4ℓ LPI 왜건
2WD2.4ℓ LPI 밴
2WD전장
(mm)5,150전폭
(mm)1,920전고
(mm)1,9251,9702,260(2WD)
2,305(4WD)1,9351,9251,935축거
(mm)3,200윤거
(전, mm)1,685윤거
(후, mm)1,660승차 정원11명
12명11명3명
5명12명3명
5명변속기수동 6단자동 5단자동 5단자동 5단수동 6단자동 5단수동 5단
자동 4단구동 형식후륜구동4륜구동후륜구동
4륜구동후륜구동연료디젤LPG배기량
(cc)2,4972,359최고 출력
(ps/rpm)140/3,600(수동 6단)175/3,600(자동 5단)175/3,600(자동 5단)175/3,600(자동 5단)140/3,600(수동 6단)175/3,600(자동 5단)159/5,500최대 토크
(kg*m/rpm)36.0/1,500~2,500(수동 6단)46.0/2,000~2,250(자동 5단)46.0/2,000~2,250(자동 5단)46.0/2,000~2,250(자동 5단)36.0/1,500~2,500(수동 6단)46.0/2,000~2,250(자동 5단)23.0/4,250연료 탱크 용량
(ℓ)7583요소수 탱크 용량
(ℓ)14-공차 중량
(kg)2,280(수동 6단)2,295(자동 5단)2,430(자동 5단)2,440(자동 5단)/
2,575(자동 5단)1,990(수동 6단)/
2,060(수동 6단)
(이후 2,010(수동 6단)/
2,090(수동 6단)으로 변경)2,005(자동 5단)/
2,070(자동 5단)
(이후 2,035(자동 5단)/
2,115(자동 5단)으로 변경)2,165(수동 5단)/
2,180(자동 4단)1,935(수동 5단)/
1,950(자동 4단),
2,015(수동 5단)/
2,030(자동 4단)연비
(km/ℓ)도심 10.7/고속 12.1/복합 11.3(수동 6단)도심 8.8/고속 11.4/복합 9.8(자동 5단)도심 8.1/고속 10.4/복합 9.0(자동 5단)도심 8.1/고속 9.3/복합 8.6(자동 5단)
도심 7.5/고속 9.2/복합 8.2(자동 5단)
(이후 도심 7.8/고속 9.0/복합 8.3(자동 5단)
도심 7.3/고속 8.6/복합 7.8(자동 5단)으로 변경)도심 10.6/고속 12.4/복합 11.4(수동 6단)
(이후 도심 10.8/고속 12.2/복합 11.4(수동 6단)으로 변경)도심 8.6/고속 11.2/복합 9.6(자동 5단)
(이후 도심 8.7/고속 11.1/복합 9.6(자동 5단)으로 변경)도심 6.1/고속 7.3/복합 6.6(수동 5단)/
도심 5.6/고속 7.4/복합 6.3(자동 4단)도심 6.3/고속 7.6/복합 6.8(수동 5단)/
도심 5.7/고속 7.4/복합 6.4(자동 4단)Co2 배출량
(g/km)177(수동 6단)207(자동 5단)226(자동 5단)236(자동 5단)
249(자동 5단)
(이후 237(자동 5단)
252(자동 5단)으로 변경)176(수동 6단)
(이후 175(수동 6단)으로 변경)211(자동 5단)
(이후 211(자동 5단)으로 변경)206(수동 5단)/
218(자동 4단)199(수동 5단)/
214(자동 4단)



2017년 12월 20일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며 강화된 유로 6 기준을 만족하는 엔진 성능 및 연비를 갖춘 더 뉴 그랜드 스타렉스의 어반, 왜건, 밴, 리무진 모델의 상세 제원을 비교한 표이다.[27]

4. 3세대 (US4, 2021년~현재)

2WD2.5ℓ VGT 어반
4WD2.5ℓ WGT 왜건
2WD2.5ℓ VGT 왜건
2WD2.5ℓ VGT 왜건
4WD2.5ℓ VGT 리무진
2WD2.5ℓ VGT 리무진
4WD2.5ℓ WGT 밴
2WD2.5ℓ VGT 밴
2WD2.4ℓ LPI 왜건
2WD2.4ℓ LPI 밴
2WD전장
(mm)5150mm5175mm5150mm전폭
(mm)1920mm2000mm1920mm전고
(mm)1925mm1970mm1925mm1970mm1925mm
2205mm1935mm1925mm1935mm축거
(mm)3200mm윤거
(전, mm)1685mm윤거
(후, mm)1660mm승차 정원9명11명
12명6명
9명3명
5명12명3명
5명변속기자동 5단수동 6단자동 5단자동 5단수동 6단자동 5단자동 4단구동 형식후륜구동4륜구동후륜구동4륜구동후륜구동4륜구동후륜구동연료디젤LPG배기량
(cc)2,4972,359최고 출력
(ps/rpm)175/3,600(자동 5단)140/3,600(수동 6단)175/3,600(자동 5단)140/3,600(수동 6단)175/3,600(자동 5단)159/5,500(자동 4단)최대 토크
(kg*m/rpm)46.0/2,000~2,250(자동 5단)36.0/1,500~2,500(수동 6단)46.0/2,000~2,250(자동 5단)36.0/1,500~2,500(수동 6단)46.0/2,000~2,250(자동 5단)23.0/4,250(자동 4단)연료 탱크 용량
(ℓ)7583요소수 탱크 용량
(ℓ)14-공차 중량
(kg)2,320(자동 5단)2,430(자동 5단)2,250(수동 6단)
(이후 2,280(수동 6단)로 변경)2,280(자동 5단)
(이후 2,295(자동 5단)로 변경)2,435(자동 5단)
(이후 2,430(자동 5단)로 변경)2,510(자동 5단)/
2,500(자동 5단),
2,460(자동 5단)/
2,420(자동 5단)2,620(자동 5단)/
2,615(자동 5단),
2,575(자동 5단)/
2,530(자동 5단)2,010(수동 6단)/
2,090(수동 6단)
(이후 2,035(수동 6단)/
2,090(수동 6단)로 변경)2,035(자동 5단)/
2,115(자동 5단)
(이후 2,035(자동 5단)/
2,115(자동 5단)로 변경)2,180(자동 4단)1,950(자동 4단)/
2,030(자동 4단)연비
(km/ℓ)도심 8.4/고속 11.0/복합 9.4(자동 5단)도심 8.0/고속 10.3/복합 8.9(자동 5단)도심 10.3/고속 11.8/복합 10.9(수동 6단)
(이후 도심 10.2/고속 11.6/복합 10.8(수동 6단)로 변경)도심 8.6/고속 11.3/복합 9.7(자동 5단)
(이후 도심 8.5/고속 11.0/복합 9.5(자동 5단)로 변경)도심 8.0/고속 10.2/복합 8.9(자동 5단)
(이후 도심 7.8/고속 9.9/복합 8.7(자동 5단)로 변경)도심 7.9/고속 10.5/복합 8.9(자동 5단)도심 7.6/고속 9.4/복합 8.3(자동 5단)도심 10.4/고속 11.8/복합 11.0(수동 6단)
(이후 도심 10.5/고속 11.8/복합 11.0(수동 6단)로 변경)도심 8.4/고속 10.7/복합 9.3(자동 5단)
(이후 도심 9.0/고속 11.4/복합 10.0(자동 5단)로 변경)도심 5.4/고속 7.3/복합 6.1(자동 4단)도심 5.6/고속 7.2/복합 6.2(자동 4단)Co2 배출량
(g/km)210(자동 5단)220(자동 5단)177(수동 6단)
(이후 179(수동 6단)로 변경)203(자동 5단)
(이후 207(자동 5단)로 변경)222(자동 5단)
(이후 227(자동 5단)로 변경)222(자동 5단)237(자동 5단)175(수동 6단)211(자동 5단)
(이후 196(자동 5단)로 변경)218(자동 4단)214(자동 4단)


5. 기타

2WD2.5ℓ VGT 어반
4WD2.5ℓ WGT 왜건
2WD2.5ℓ VGT 왜건
2WD2.5ℓ VGT 왜건
4WD2.5ℓ VGT 리무진
2WD2.5ℓ VGT 리무진
4WD2.5ℓ WGT 밴
2WD2.5ℓ VGT 밴
2WD2.4ℓ LPI 왜건
2WD2.4ℓ LPI 밴
2WD전장
(mm)5150mm5175mm5150mm전폭
(mm)1920mm2000mm1920mm전고
(mm)1925mm1970mm1925mm1970mm1925mm
2205mm1935mm1925mm1935mm축거
(mm)3200mm윤거
(전, mm)1685mm윤거
(후, mm)1660mm승차 정원9명11명
12명6명
9명3명
5명12명3명
5명변속기자동 5단수동 6단자동 5단자동 5단자동 5단수동 6단자동 5단자동 4단구동 형식후륜구동4륜구동후륜구동4륜구동후륜구동4륜구동후륜구동연료디젤LPG배기량
(cc)2,4972,359최고 출력
(ps/rpm)175/3,600(자동 5단)140/3,600(수동 6단)175/3,600(자동 5단)140/3,600(수동 6단)175/3,600(자동 5단)159/5,500(자동 4단)최대 토크
(kg*m/rpm)46.0/2,000~2,250(자동 5단)36.0/1,500~2,500(수동 6단)46.0/2,000~2,250(자동 5단)36.0/1,500~2,500(수동 6단)46.0/2,000~2,250(자동 5단)23.0/4,250(자동 4단)연료 탱크 용량
(ℓ)7583요소수 탱크 용량
(ℓ)14-공차 중량
(kg)2,320(자동 5단)2,430(자동 5단)2,250(수동 6단)
(이후 2,280(수동 6단)로 변경)2,280(자동 5단)
(이후 2,295(자동 5단)로 변경)2,435(자동 5단)
(이후 2,430(자동 5단)로 변경)2,510(자동 5단)/
2,500(자동 5단),
2,460(자동 5단)/
2,420(자동 5단)2,620(자동 5단)/
2,615(자동 5단),
2,575(자동 5단)/
2,530(자동 5단)2,010(수동 6단)/
2,090(수동 6단)
(이후 2,035(수동 6단)/
2,090(수동 6단)로 변경)2,035(자동 5단)/
2,115(자동 5단)
(이후 2,035(자동 5단)/
2,115(자동 5단)로 변경)2,180(자동 4단)1,950(자동 4단)/
2,030(자동 4단)연비
(km/ℓ)도심 8.4/고속 11.0/복합 9.4(자동 5단)도심 8.0/고속 10.3/복합 8.9(자동 5단)도심 10.3/고속 11.8/복합 10.9(수동 6단)
(이후 도심 10.2/고속 11.6/복합 10.8(수동 6단)로 변경)도심 8.6/고속 11.3/복합 9.7(자동 5단)
(이후 도심 8.5/고속 11.0/복합 9.5(자동 5단)로 변경)도심 8.0/고속 10.2/복합 8.9(자동 5단)
(이후 도심 7.8/고속 9.9/복합 8.7(자동 5단)로 변경)도심 7.9/고속 10.5/복합 8.9(자동 5단)도심 7.6/고속 9.4/복합 8.3(자동 5단)도심 10.4/고속 11.8/복합 11.0(수동 6단)
(이후 도심 10.5/고속 11.8/복합 11.0(수동 6단)로 변경)도심 8.4/고속 10.7/복합 9.3(자동 5단)
(이후 도심 9.0/고속 11.4/복합 10.0(자동 5단)로 변경)도심 5.4/고속 7.3/복합 6.1(자동 4단)도심 5.6/고속 7.2/복합 6.2(자동 4단)Co2 배출량
(g/km)210(자동 5단)220(자동 5단)177(수동 6단)
(이후 179(수동 6단)로 변경)203(자동 5단)
(이후 207(자동 5단)로 변경)222(자동 5단)
(이후 227(자동 5단)로 변경)222(자동 5단)237(자동 5단)175(수동 6단)211(자동 5단)
(이후 196(자동 5단)로 변경)218(자동 4단)214(자동 4단)


5. 1. 역대 슬로건

5. 2. 마을 버스로의 사용

경기도 화성시 제부마을버스, 서울특별시 대진여객, 전라남도 완도군 생일마을버스 등에서 스타렉스를 마을버스로 운영하고 있다.[28] 구례군신안군 일부 섬 지역에서도 스타렉스를 마을버스 또는 공영버스로 사용하고 있으며, 고양시 원당교통도 스타렉스를 마을버스로 운행한다.[28] 이 외에도 여러 농어촌 지역의 도농복합시나 군 지역에서 스타렉스를 공영버스로 활용하고 있다.[28]

5. 3. 라인업



1세대 (A1) 제원
구분내용
전장(mm)4,695 (RV 왜건, RV 밴)
전폭(mm)1,820 / 1,840 (사이드 가니시 적용시)
전고(mm)1,885 (RV 왜건, RV 밴)
축거(mm)2,810 (RV 왜건, RV 밴) / 3,080 (점보 왜건, 점보 밴)
윤거(전, mm)1,570 (RV 왜건, RV 밴, 점보 왜건, 점보 밴) / 1,565 (RV 왜건 4WD)
윤거(후, mm)1,545 (RV 왜건, RV 밴, 점보 왜건, 점보 밴) / 1,560 (RV 왜건 4WD)
승차정원3명 (밴) / 6명 (밴) / 7명 / 9명 / 11명 / 12명
변속기수동 5단 / 자동 4단
구동 형식후륜구동 / 4륜구동



1세대 (A1) 엔진 라인업
구분2.5 TCI2.5 CRDI
연료디젤디젤
배기량(cc)2,4762,497
최고출력(ps/rpm)103/3,800145/3,800
최고속도(km/h)149 (RV 2WD/점보 2WD)165 (RV 2WD/RV 4WD) / 164 (점보 2WD)
최대토크(kg*m/rpm)24.0/2,00033.0/2,000
연비(km/l)10.6 (RV 7/9인승 왜건 수동) / 9.4 (RV 7/9인승 왜건 자동)10.9 (RV 7/9인승 왜건 수동) / 10.0 (RV 7/9인승 왜건 자동)



1997년 출시 초기에는 2.5리터 ''4D56'' SOHC 8밸브 자연흡기 디젤 엔진을 사용했다.[1] 1998년에는 미쓰비시 자동차에서 파생된 ''4G64'' 가솔린 엔진이 추가되었다.[1] 1999년에는 2.5리터 SOHC 8밸브 터보 디젤 인터쿨러 엔진이 추가되었다.[1]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생산된 모델(밀레니엄 모델)은 6G72 V6 가솔린 엔진을 제공했다.[1]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생산된 모델에는 새로운 2.5리터 DOHC 16밸브 커먼레일 직분사 터보디젤 엔진이 제공되었다.[1]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출시된 모델은 새로운 전면부 디자인을 선보였다.[1] 엔진은 시리우스 2.4리터 DOHC 16밸브 MPi 엔진과 기존의 2.5리터 DOHC 16밸브 커먼레일 직분사 터보 디젤 엔진, 2.5리터 SOHC 8밸브 터보 디젤 엔진(인터쿨러 장착)이 제공되었으며, 2.5리터 SOHC 8밸브 터보 디젤 엔진에는 ETC이 추가되었다.[1]

안후이 젠후아이 자동차(Anhui Jianghuai Automobile)에서는 2002년 3월부터 2015년까지 '''JAC Refine'''이라는 이름으로 1세대 스타렉스를 라이선스 생산했다.[2]



2007년 5월 서울모터쇼에서 공개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그랜드 스타렉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5]

2012년에 영국과 호주 모델의 디젤 엔진이 업데이트되었고, 6단 수동 변속기가 추가되었다.[6] 자동 변속기 버전은 토크 출력이 증가했다.[6]

말레이시아에서는 2008년 5월에 11인승 모델이 출시되었으며,[7] 2009년, 2011년, 2014년, 2016년, 2018년에 각각 업데이트되었다.[8][9][10][11][12]

필리핀에서는 2007년 12월에 '''현대 그랜드 스타렉스'''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으며,[13] UV 익스프레스, 배달용 밴, 구급차, 장의차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3]

인도네시아에서는 2008년에 '''현대 H-1'''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으며,[14][15] 2010년에 디젤 엔진이 출시되었다.[14][15]

태국에서는 '''현대 H-1'''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며,[16] 2018년 8월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16] 2023년 9월에는 H-1 엘리트 파이널 에디션이 한정 생산되었다.[18]

2017년 12월에는 대한민국에서 '''더 뉴 그랜드 스타렉스'''라는 이름으로 두 번째 부분 변경 모델이 출시되었다.[22] 2021년 3월 18일, 대한민국에서 현대 스타리아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24]

5. 4. 미디어 속의 스타렉스

5. 5. 경쟁 차종

6. 각주

이 문서에는 별도의 주석(각주)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 `` 태그를 사용한 주석 정보가 없으며, 섹션 제목 또한 '각주'로, 내용 자체가 주석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참조

[1] 웹사이트 Hyundai. Hyundai In Turkey https://web.archive.[...] Car-cat.com 2010-10-08
[2] 웹사이트 Welcome to Anhui! https://web.archive.[...] Apps.ah.gov.cn 2006-08-28
[3] 웹사이트 JAC Motors – Coordinate Balance and Pursue Excellence http://jacen.jac.com[...] Jacen.jac.com.cn 2010-10-08
[4] 웹사이트 JAC Refine specs https://car.autohome[...]
[5] 웹사이트 Dodge presenta el H100 Van 2010 http://noticias.auto[...] Autocosmos.com 2009-10-01
[6] 웹사이트 New engine diesel d4cb euro-4 complete assy (long) set from Mobis manufacture for Hyundai Grand Starex / H-1 / iLoad / 2007-12 year https://shop.korea-m[...] Korea Motors 2018-08-24
[7] 웹사이트 Hyundai Starex - The new luxurious MPV in town http://autoworld.com[...] 2008-05-29
[8] 웹사이트 Hyundai Grand Starex Royale gets a new grille! https://paultan.org/[...] 2009-08-10
[9] 웹사이트 New look for Hyundai Grand Starex Royale http://autoworld.com[...] 2009-08-10
[10] 웹사이트 Hyundai Grand Starex Royale For Malaysia Gets A Facelift http://autoworld.com[...] 2016-11-24
[11] 웹사이트 2017 Hyundai Grand Starex Royale facelift - RM169k https://paultan.org/[...] 2016-11-23
[12] 웹사이트 KLIMS18: Hyundai Grand Starex facelift launched in Malaysia - 2.5 litre turbodiesel, from RM148,888 https://paultan.org/[...] 2018-11-23
[13] 웹사이트 5 reasons why Filipinos love the Hyundai Grand Starex https://www.c-magazi[...] 2020-08-04
[14] 웹사이트 Hyundai Produce H-1 in Indonesia http://oto.detik.com[...]
[15] 웹사이트 Indonesia is potential for Hyundai http://oto.detik.com[...]
[16] 웹사이트 Hyundai Grand Starex facelift launched in Thailand https://paultan.org/[...] 2018-08-15
[17] 웹사이트 ราคาอย่างเป็นทางการ Hyundai H-1 Elite NS (11ที่นั่ง) : 1,399,000 บาท ระบบควบคุมการทรงตัว ESP https://www.headligh[...] 2021-11-08
[18] 웹사이트 ราคาอย่างเป็นทางการ Hyundai H-1 Elite FE : 1,499,000 บาท รุ่นส่งท้าย Final Edition https://www.headligh[...] 2023-09-26
[19] 웹사이트 ไม่ได้ไปต่อ…Hyundai ยืนยันแล้วว่า จะนำเข้า Hyundai H1 และ Staria ล๊อตสุดท้ายสิ้นปีนี้ หมดล็อตนี้เลิกขาย https://www.autodeft[...] 2023-12-17
[20] 웹사이트 The New Hyundai Grand Starex VIP https://web.archive.[...] Motor Trivia 2010-11-22
[21] 웹사이트 Hyundai in Thailand International Motor Expo 2012 https://web.archive.[...] Motor Trivia 2012-11-28
[22] 뉴스 2018 Hyundai Grand Starex facelift officially revealed - Auto Industry News https://www.autoindu[...] 2017-12-21
[23] 웹사이트 캠핑카 - 그랜드 스타렉스 Special Vehicle - 전체모델 {{!}} 현대자동차 https://www.hyundai.[...]
[24] 웹사이트 GIIAS 2018: Facelifted Hyundai Grand Starex, H-1 MPV https://paultan.org/[...] 2018-08-09
[25] 웹사이트 Hyundai Grand Starex Royale updated for 2011 http://autoworld.com[...] 2011-07-27
[26] 문서 해외 수출용 사양은 2022년까지 판매
[27] 웹인용 현대차, 10년 만에 얼굴 바뀐 '더 뉴 그랜드 스타렉스' 출시.. 9인승 모델도 추가 http://m.post.naver.[...] 2017-12-31
[28] 문서 안전운수사에서 운행하는 사성암 마을버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