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목(Ho mok)은 태국어로 '포장하다'라는 뜻의 '호'와 '덮다, 숨기다'라는 뜻의 '목'이 결합된 단어로, 찜 카레 요리를 의미한다. 아유타야 왕국 시대부터 존재했던 요리로 추정되며, 일본으로 전파되기도 했다. 닭고기, 두부, 생선, 알, 죽순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며, 태국 요리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나나잎 - 론통
    론통은 쌀을 바나나 잎에 쪄서 만든 인도네시아 전통 음식으로, 케투팟에서 기원하여 이슬람 전파 후 자바에서 널리 퍼졌으며, 론통 사유르, 론통 캡 고 메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바나나잎 - 나카타말
    나카타말은 니카라과와 온두라스에서 즐겨 먹는 전통 음식으로, 니스타말화된 옥수수 마사와 돼지고기, 쌀 등을 바나나잎에 싸서 삶아 만드는 고기 타말이다.
  • 라오스 요리 -
    라오스와 태국 북부에서 즐겨 먹는 랍은 다진 고기나 생선에 허브, 향신료, 어장 등을 넣어 만든 샐러드 형태의 요리로, 날것 또는 익혀서 먹으며 라오스에서는 설날에 행운을 기원하며 먹는 상징적인 음식이다.
  • 라오스 요리 - 풋파파야 샐러드
    풋파파야 샐러드는 라오스에서 유래하여 동남아시아로 전파된 음식으로, 덜 익은 파파야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태국의 쏨땀처럼 각 나라별 특색있는 맛과 조리법을 가지고 다양한 과일이나 채소를 추가하여 만들기도 한다.
  • 캄보디아 요리 - 풋파파야 샐러드
    풋파파야 샐러드는 라오스에서 유래하여 동남아시아로 전파된 음식으로, 덜 익은 파파야를 주재료로 사용하며, 태국의 쏨땀처럼 각 나라별 특색있는 맛과 조리법을 가지고 다양한 과일이나 채소를 추가하여 만들기도 한다.
  • 캄보디아 요리 - 어장 (음식)
    어장은 생선이나 어패류를 발효시켜 만든 젓갈의 일종으로, 고대 지중해에서 유래하여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 널리 사용되는 조미료이며, 멸치나 새우 등 다양한 어종으로 만들어진다.
호목 - [음식]에 관한 문서
요리 정보
이름찜 커리
이미지 파일Ho mok pla.JPG
이미지 설명태국식 생선 커리 찜 (호목 쁠라) (치앙마이, 태국)
다른 이름목, 아목
국가캄보디아 또는 태국
지역동남아시아
나라별 요리캄보디아 요리, 라오스 요리, 태국 요리
종류커리
주재료커리 페이스트, 코코넛 크림/코코넛 밀크, 달걀
변형피시 아목
언어별 명칭
크메르어(로마자: amŏk, "바나나 잎에 찌다"라는 뜻)
크메르어 (다른 표기)(로마자: hormŏk)
라오어(로마자: mok)
태국어("덮어 싸다"라는 뜻, 로마자: ho mok)
크메르어 상세
커리 페이스트 (크메르어)(로마자: krœăng)
생선 아목 (크메르어)(로마자: amŏk trei)
닭고기 아목 (크메르어)(로마자: amŏk săch moăn)
달팽이 아목 (크메르어)(로마자: amŏk khyâng)
두부 아목 (크메르어)(로마자: amŏk tauhu)
라오어 상세
생선 목 (라오어)(로마자: mok pa)
죽순 목 (라오어)(로마자: mok nor mai)
닭고기 목 (라오어)(로마자: mok kai)
카이 목 (라오어)(로마자: mok khai)
태국어 상세
커리 페이스트 (태국어)(로마자: prik kaeng)
생선 호목 (태국어)(로마자: ho mok pla)
죽순 호목 (태국어)(로마자: ho mok no mai)
닭고기 호목 (태국어)(로마자: ho mok kai)
두부 호목 (태국어)(로마자: ho mok tao hu)

2. 어원

태국어에서 '호목'(ห่อหมก|hɔ̀ɔmògth)[11]은 코코넛 크림과 칠리 소스에 찐 생선이나 닭고기로 만든 태국 요리를 가리킨다. 이 단어는 두 개의 타이어족 언어 단어, 즉 '호'(ห่อ|hɔ̀ɔ̄th)와 '목'(หมก|mɔk1th)이 결합된 말이다.[12]


  • '호'(ห่อ|hɔ̀ɔ̄th)는 란나어, 샨어, 캄-타이어족 언어와 같은 계열의 단어로 "포장하다", "포장된 것"이라는 뜻을 가진다.[13]
  • '목'(หมก|mɔk1th)은 란나어, 라오어, 캄-타이어족 언어와 같은 계열의 단어로 "덮다", "감추다", "숨기다"라는 뜻을 가진다.[14][15]


크메르어의 '아목'(អាម៉ុក|amŏkkm)은 말레이어에서 빌려온 차용어이다.[16] 이는 옛 말레이시아 철자법과 발음인 '아목'(amok|아목ms, amukms)에서 유래했다.[17] 말레이어 단어 '아목'(amok|아목ms)은 "비이성적인 행동"[18] 또는 "통제할 수 없는 살인 충동에 사로잡힌 사람"을 의미한다.[19]

3. 역사

(내용 없음)

3. 1. 태국

찜 카레의 일종인 '''호목'''(ห่อหมก|호목th)은 태국 요리의 하나로, 아유타야 왕국 시대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송탐 왕의 통치 기간 동안 시암(태국의 옛 이름)과 일본 간의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아유타야 왕실은 일본의 수도였던 에도에 여러 차례 사절단을 파견했다.[20] 이러한 교류를 통해 양국 간의 문화 교류가 이루어졌다. 17세기 일본의 ''지하라 고로하치''는 그의 저작에서 시암이 남중국해에 전략적으로 위치한 번영하는 국가이며 외국 상선들에게 인기 있는 목적지라고 기록했다. 일본 상인들 또한 사업 목적으로 시암을 자주 방문했다.[20] 1630년까지 시암에 머물렀던 일본인 귀족 오크-야 세나피묵(야마다 나가마사)은 간에이 시대(1624–1644)에 나가사키로 여행하면서 시암의 찜 카레, 즉 호목을 일본으로 가져갔다고 전해진다.[21]

과거 일본 오사카에는 '호모쿠'라는 메뉴를 제공하는 식당이 있었는데, 이 식당은 해당 요리가 수백 년 전 시암에서 전래된 것이라고 주장했다.[22]

태국 문학 작품에서도 호목에 대한 묘사를 찾아볼 수 있다. 쿤 창 쿤 팬의 시 제8장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쌀국수를 위한 카레 소스를 준비하고, 왁스 박을 썰어 파냉 카레 치킨을 만들고, 때로는 찜 카레(''호 목'')를 준비하고, 삶은 계란, 말린 생선 튀김, 부안 카레를 준비한다.''[23]


시암의 시인 쿤 수완이 쓴 《프라 말레테타이》와 라타나코신 왕국 (1782–1932) 시대 몽꿋 왕(라마 4세, 재위 1851–1868)이 지은 《니랏 말레테타이》에는 모두 '호 목'이라는 이름의 하위 구역(땀본)이 언급된다. 이 지역은 현재 태국 프라 나콘 시 아유타야 주 방 사이 군에 위치해 있다.[24]

2010년 문학 분야의 태국 국립 예술가로 선정된 솜밧 플라이노이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찜 카레(''호 목'')와 생선 튀김(''플라 헷'')은 방 사이 군의 프라 나콘 시 아유타야 주에 ''탐본 호 목''이라는 하위 구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고대 아유타야 시대의 요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찜 카레 요리의 역사를 아직 조사할 기회는 없었지만, 이곳이 찜 카레를 만드는 것으로 유명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24]


란나(태국 북부) 지역의 북부 태국인들은 찜 카레 요리를 '''호 능'''(ห่อนึ่ง, ห่อหนึ้ง|호 능th)이라고 부르며,[25] 고대부터 신과 영혼에게 바치는 제물의 일부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는 '카낭 사리'라는 제물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호목은 태국 요리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상당한 문화적 중요성도 지닌다. 태국어에는 호목과 관련된 관용구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เออออห่อหมก|으어어호목th'이라는 표현은 동의나 승인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반면, 'สักวาเดือนหงายขายห่อหมก|삭까와 드안 응아이 카이 호목th'이라는 풍자시도 있는데, 여기서 '카이 호목'(호목을 팔다)[24]이라는 용어는 과거 지역 카지노나 방콕의 사판 렉 주변에서 성매매를 하던 여성들을 조롱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26] 이는 호목이라는 요리가 고대로부터 태국 사회의 문화적 관습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어왔음을 보여준다. 또한 호목에 사용되는 향기로운 허브와 향신료는 태국 요리에서 천연 재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는 태국의 농업 유산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4. 종류

호목은 사용하는 주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4. 1. 주재료


  • 닭고기: '''아목 삿 모언'''(អាម៉ុកសាច់មាន់km), '''호목 까이'''(ห่อหมกไก่th)
  • 두부: '''호목 따오후'''(ห่อหมกเต้าหู้th)
  • 복족류: '''아목 컁'''(អាម៉ុកខ្យងkm)
  • 생선: '''목 빠'''(ຫມົກປາlo), '''아목 뜨러이'''(អាម៉ុកត្រីkm), '''호목 쁠라'''(ห่อหมกปลาth)
  • 알: '''목 카이'''(ຫມົກໄຂ່lo)
  • 조류: '''목 카이'''(ຫມົກໄຄlo)
  • 죽순: '''목 노마이'''(ຫມົກຫນໍ່ໄມ້lo), '''호목 노마이'''(ห่อหมกหน่อไม้th)

참조

[1] 서적 Hot Sour Salty Sweet: A Culinary Journey Through Southeast Asia Workman Publishing Company
[2] 웹사이트 Michelin-starred chef David Thompson explains his growing love for Cambodian cuisine https://www.aquaexpe[...] Aqua Expeditions 2021-05-26
[3] 서적 Octopuses, Squid & Cuttlefish: Seafood for Today and for the Future Springer Publishing
[4] 뉴스 The Dish: Fish Amok https://www.wsj.com/[...] 2019-10-07
[5] 웹사이트 Cambodian Fish Amok Recipe – an Authentic Steamed Fish Curry in the Old Style https://grantourismo[...] 2019-10-04
[6] 서적 វចនានុក្រមខ្មែរ https://archive.org/[...] Buddhist Institute
[7] 서적 Octopuses, Squid & Cuttlefish: Seafood for Today and for the Future Springer Publishing
[8] 서적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9] 웹사이트 Bamboo shoots steamed in Banana leaves (Mok Naw Mai) https://www.phakhaol[...] Pha Khao Lao 2021-05-26
[10] 서적 Curry: Fragrant Dishes from India, Thailand, Vietnam and Indonesia DK (publisher)
[11] 간행물 "ห่อหมก (ห่อ) hɔ̀ɔmòg (hɔ̀ɔ̄)," ''Thai-English Student's Dictionary'' Stanford University Press
[12] 간행물 Kham thai Odiant store Press
[13] 간행물 Languages and Cultures of The Kam-Tai (Zhuang-Dong) Group: A Word List (English-Thai version) Institute of Language and Culture for Rural Development Mahidol University
[14] 간행물 William J. Gedney's Tai Dialect Studies Glossaries, Texts, and Translations Center for South and Southeast Asian Studies (CSEAS), The University of Michigan
[15] 간행물 A Handbook of Comparative Tai University of Hawai'i Press' Oceanic Linguistics Special Publications
[16] 간행물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Changes in Khmer and Teochew in Cambodia and Beyond Koninklijke Bril NV
[17] 간행물 Evolving Identities: The English Language in Singapore and Malaysia Times Academic Press
[18] 서적 Patriots and Tyrants: Ten Asian Leader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9] 서적 Without Honor: Defeat in Vietnam and Cambodia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20] 서적 Multicultural Japan: Paleolithic to Postmoder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간행물 Moradok Thai Rachawadi
[22] 간행물 Khanom Thai S.T.P. World Media Co., Ltd.
[23] 간행물 Sepha khun chang - khun phaen waannakhadi thai Khurusapha
[24] 간행물 Kraya niyai Matichon
[25] 간행물 Prapheni sip song dan Lanna Thai Center for the Promotion of Art Culture and Creative Lanna (ACCL), Chiang Mai University
[26] 간행물 Krung Thep mua wan ni Sara Kha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