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이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이나는 폴란드 서포모제주에 위치한 도시로, 10세기부터 정착이 시작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포메라니아 공국의 일부였으며, 마그데부르크 시법을 부여받아 상업 도시로 발전했다. 15세기부터 독일 르네상스 시대에 번영했지만, 30년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큰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역사적인 건축물과 두젤라주(Douzelage)의 회원 도시로서 국제적인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포모제주의 도시 - 코샬린
코샬린은 폴란드 서포메라니아에 위치한 도시로, 1266년 뤼벡 법을 부여받아 자치권을 획득하고 한자 동맹에 가입하여 발트 해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서포메라니아 주의 일부이다. - 서포모제주의 도시 - 카미엔포모르스키
카미엔포모르스키는 폴란드 서포메라니아 주, 디브나 해협의 카미엔 만에 위치한 도시로, 볼리니안 부족에 의해 건설, 포메라니아 공국의 최초 수도였으며, 스웨덴 지배 후 프로이센에 합병, 이후 폴란드 영토가 되었고, 역사적 건축물과 자연 경관으로 유명한 폴란드 역사 기념물이다. - 폴란드의 도시 - 크라쿠프
크라쿠프는 폴란드 남부 비스와 강 유역에 위치한 마워폴스카주의 주도로, 7세기부터 존재했으며 폴란드 왕국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였고, 몽골 침략 후 재건되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폴란드의 아테네'로 불리며 번성했으며, 폴란드 분할과 나치 독일 점령의 비극을 겪었지만 역사적 건축물이 잘 보존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주요 관광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유적과 문화 시설을 보유한 학술 및 경제 중심지이다. - 폴란드의 도시 - 브로츠와프
브로츠와프는 폴란드 남서부 실레시아 주에 위치한 오데르 강변의 도시로,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으며, 중세 시대 학술, 예술, 상업의 중심지로 번영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로 환원되어 현재는 폴란드의 중요한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다.
호이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호이나 |
독일어 이름 | 쾨니히스베르크인데어노이마르크 (Königsberg in der Neumark) |
카슈브어 이름 | 치인스바르크 (Czińsbarg) |
라틴어 이름 | 레기오몬타누스 네오마르키쿠스 (Regiomontanus Neomarchicus) |
일반 정보 | |
국가 | 폴란드 |
행정 구역 단위 | 보이보데샤 (Voivodeship) |
보이보데샤 | 서포모르스키에 (West Pomeranian) |
포비아트 (County) | 그리피노 (Gryfino) |
그미나 (Gmina) | 호이나 |
시장 | 바르바라 라베츠카 (Barbara Rawecka) |
도시 권리 설정 | 1255년 |
면적 | 12.12 km² |
인구 (2021년 12월 31일 기준) | 733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CET (UTC+1) |
하계 시간대 | CEST (UTC+2) |
우편 번호 | 74-500 |
지역 번호 | +48 91 |
차량 번호판 | ZGR |
웹사이트 | 호이나 공식 웹사이트 |
기타 정보 |
2. 역사
호이나는 10세기부터 미에슈코 1세 아래 폴란드 국가의 일부로서 포메라니아인의 요새와 시장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대폴란드와 포메라니아 공국으로 이어지는 교역로의 유리한 위치 덕분에 정착지는 빠르게 성장했다. 1200년 이후 바르님 1세 공작으로부터 마그데부르크 시법을 받았다.
1244년에 "Konigesberge"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브란덴부르크 주교령으로 넘어갔다가 1267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령에게 양도된 후에는 시장을 열 권리와 지역 법적 관할권을 부여받아 당시 노이마르크의 주요 도시가 되었다.
1282년 교구 교회가 있었고, 1290년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원이 세워졌다. 1310년부터 1329년까지 곡물 거래로 경제 호황을 겪었고, 1320년 시청이 건설되었다. 13세기와 14세기 동안 방어벽과 세 개의 도시문(Brama Świecka w Chojnie|Świecka Gatepl, 반코보 문, 피어라덴 문)이 건설되었다. 1319년 이 지역의 지배권을 둘러싼 전쟁이 발발했고, 도시는 포메라니아 공국과 브란덴부르크 사이를 오가다 1373년 보헤미아 왕관 영지의 일부가 되었다. 1402년 폴란드와의 협정으로 폴란드에 재통합될 뻔했으나[2] 독일 기사단에게 저당 잡혔다. 1433년 후스파의 공격을 견뎌냈고, 1454년 튜턴 기사단은 이 지역을 브란덴부르크에 매각했다.
독일 르네상스 시대에 경제적으로 번영했지만, 16세기와 17세기 동안 세 번의 역병으로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 1539년부터 1553년까지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 동안 루터교로 개종했으며, 수도원은 해체되었다.[3] 30년 전쟁 동안 신성 로마 제국 군대와 스웨덴 제국 군대에 의해 여러 차례 점령되면서 도시의 52%가 파괴되었다. 1682년 낙뢰로 성 마리아 교회 탑이 파괴된 후 재건되었다.
프로이센 왕국 건국 후 경제적으로 부활하기 시작하여, 1759년에 신 마르크의 정부가 되었다. 나폴레옹 전쟁 동안 1806년에 프랑스군에 점령되기도 했다.[3] 1816년 프로이센 브란덴부르크 주 프랑크푸르트 지역의 일부가 되었고, 1871년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877년 철도 네트워크에 연결된 후 번영했으며, 주변 지역의 교육 및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 1913년 지역 폴란드인 공동체는 종교개혁 이후 이 도시 최초의 가톨릭 교회인 성심 교회를 세웠다.[4]
1939년 루프트바페는 쾨니히스베르크-노이마르크 공군 기지를 건설했다. 라벤스브뤼크 강제 수용소의 부속 수용소가 설치되어[5] 바르샤바 봉기 이후 많은 폴란드 여성들이 수감되었다. 1945년 1월 비스와-오데르 공세 전투가 벌어졌고, 2월 4일 소련 붉은 군대가 마을을 점령했다. 1945년 2월 16일, 도시 전체가 소련군에 의해 불타 80%가 파괴되었다. 포츠담 회담에서 결정된 국경 변경에 따라 이 도시는 다시 폴란드의 일부가 되었고, 현지 주민들은 추방되었다. 이후 폴란드인에 의해 재정착되었다.
2. 1. 중세 초기
10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초기 포메라니아인의 요새와 시장이 현재의 호이나 지역에 발전했다. 이 곳은 10세기 폴란드의 첫 번째 역사적 통치자 미에슈코 1세 아래에서 폴란드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대폴란드와 포메라니아 공국으로 이어지는 교역로의 유리한 위치 덕분에 정착지는 빠르게 발전했다. 보구슬라프 1세 공작은 1187년 사망 후 정착지의 교회에 안장되었다. 1200년 이후 정착지는 바르님 1세 공작으로부터 마그데부르크 시법을 받았다.1244년에 "Konigesberge"로 처음 언급되었으며, 오토 폰 메링겐 주교가 1252년에 노이마르크의 일부를 획득한 후 브란덴부르크 주교령으로 넘어갔다. 독일 기사단과 식민지 개척민이 정착하면서 "Konigesberge"라는 도시 이름은 독일어 이름 "Königsberg"("왕의 산")로 진화했으며, 동프로이센의 쾨니히스베르크와 바이에른의 쾨니히스베르크와 구별하기 위해 "in der Neumark"(즉, 새로운 마르크)라는 수식어가 추가되었다. 1267년 헨리 1세 브란덴부르크 주교가 "terra Konigesberge"를 아스카니아 가문의 브란덴부르크 변경백령에게 양도한 후, 이 도시는 시장을 열 권리와 지역 법적 관할권을 부여받아 당시 노이마르크의 주요 도시가 되었다.
2. 2. 중세 후기
1282년 교구 교회가 있었고, 1290년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원이 세워졌다. 1310년부터 1329년까지 이 도시는 곡물 거래와 관련된 경제 호황을 겪었고, 추가적인 시장 특권을 받았다. 1320년 시청이 건설되었다. 무역 상품은 오데르강과 Rurzyca (dopływ Odry)|Rurzycapl 강을 통해 운송되었다. 13세기와 14세기 동안 수많은 탑과 세 개의 도시문(Brama Świecka w Chojnie|Świecka Gatepl, 반코보 문, 피어라덴 문 - 후자는 19세기에 철거됨)이 있는 방어벽이 도시 주위에 건설되었다. 1319년 이 지역의 지배권을 둘러싼 전쟁이 발발했고, 도시는 다시 포메라니아 공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1324년 브란덴부르크로 넘어갔다. 1373년 이 지역은 보헤미아 왕관 영지의 일부가 되었고, 룩셈부르크 왕조가 통치했다. 1402년 룩셈부르크는 크라쿠프에서 폴란드와 협정을 맺어 폴란드가 이 지역을 매입하여 재통합하기로 했다.[2] 그러나 결국 룩셈부르크는 이 지역을 독일 기사단에게 저당 잡혔다. 이 시기에 건설된 성 마리아 교회와 새로운 시청(1410년)은 노이마르크에서 가장 미학적으로 뛰어난 고딕 건축 건물 중 하나였다. 이 강력한 도시는 후스 전쟁 중인 1433년 후스파의 공격을 견뎌냈다. 1454년 튜턴 기사단은 폴란드와의 전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이 지역을 브란덴부르크에 매각했다.2. 3. 근대
15세기부터 시작된 독일 르네상스 시대에 이 도시는 경제적으로 번영했지만, 16세기와 17세기 동안 세 번의 역병으로 인구 대부분이 사망했다. 1539년부터 1553년까지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 동안 이 도시는 점차 루터교로 개종했으며, 1536년에는 수도원이 해체되었다. 수도원 건물은 병원과 학교로 사용되었고, Kościół Świętej Trójcy w Chojnie|호이나 성 삼위일체 교회pl는 창고로 사용되다가 1690년에 개신교 교회로 다시 문을 열었다.[3] 30년 전쟁 동안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의 신성 로마 제국 군대와 스웨덴 제국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왕의 스웨덴 군대에 의해 여러 차례 점령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도시의 52%가 파괴되었다. 1682년 낙뢰로 성 마리아 교회 탑이 파괴된 후, 1692년까지 재건이 시작되었다.1714년 교회에는 새로운 바로크 건축 설교단이 세워졌고, 1734년에는 요아힘 바그너가 제작한 오르간이 설치되었다. 이 도시는 프로이센 왕국 건국 후 경제적으로 부활하기 시작하여, 7년 전쟁 동안인 1759년에 신 마르크의 정부(Kriegs- und Domainenkammer)가 되었다. 1767년에는 슈베트와 베르니코프로 향하는 도시의 문이 부분적으로 해체되어 이전 수도원에 군사 막사를 건설하는 데 사용될 돌을 제공했다. 도시 주민들은 처음에는 농업과 임업을 전문으로 했으며, 나중에는 고급 섬유를 짜는 일을 했다. 그러나 이 산업은 1840년경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쇠퇴했다. 나폴레옹 전쟁 동안 1806년에 이 도시는 소규모 프랑스 부대에 의해 점령되었다.[3] 1809년 이 지역은 Landkreis Königsberg Nm.|쾨니히스베르크 군de의 군청 소재지가 되었고, 1816년에는 프로이센 브란덴부르크 주 프랑크푸르트 지역의 일부가 되었다. 프로이센과 함께 이 도시는 1871년 독일 제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1877년 철도 네트워크에 연결된 후 번영했다. 또한 주변 지역의 교육 및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다. 1913년 지역 폴란드인 공동체는 종교개혁 이후 이 도시 최초의 가톨릭 교회인 성심 교회를 세웠다.[4]
2. 4. 제2차 세계 대전과 전후
1939년 루프트바페는 쾨니히스베르크-노이마르크 공군 기지를 건설했으며, 이 기지는 1945년부터 1992년까지 소련 공군이 사용했다. 비행장 확장을 위해 라벤스브뤼크 강제 수용소의 부속 수용소가 설치되었고[5], 바르샤바 봉기 이후 많은 폴란드 여성들이 그곳에 수감되었다. 1945년 1월, 비스와-오데르 공세 전투가 마을 안팎에서 벌어졌다. 독일 주민들은 대량 강간에 대한 경고를 받고 서둘러 도망갔다. 1945년 2월 4일, 당시 쾨니히스베르크 시장이었던 쿠르트 플뢰터는 오토 스코르체니가 의장을 맡은 친위대 군법회의에서 군대가 일반 대피 명령을 내리기 전에 도망쳤다는 이유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같은 날, 소련 붉은 군대가 마을을 점령했다. 1945년 2월 16일, 성 마리아 교회와 시청이 있는 도시 전체가 소련군에 의해 불타 버렸다. 도시 전체의 80%가 파괴되었다. 독일 항복 후, 포츠담 회담에서 결정된 국경 변경에 따라 이 도시는 다시 폴란드의 일부가 되었고, 현지 주민들은 재산을 빼앗기고 추방되었다.이 도시는 1945년 6월까지 처음에는 Władysławsko로 이름이 바뀌었다. 1945년 8월 21일에는 Królewiec nad Odrą로 이름이 변경되었다(''Królewiec''는 ''쾨니히스베르크''의 역사적인 폴란드어에 해당하며, 구분을 위해 ''오데르 강 위에''라는 의미를 추가했다). 1946년 5월 7일, 이 도시는 다시 Chojna로 이름이 바뀌었다. Chojna는 점차 폴란드인에 의해 재정착되었으며, 이들 중 많은 수가 소련에 의해 합병된 이전 동부 폴란드에서 추방되었다.
3. 인구
2021년 12월 31일 기준 호이나의 상세 인구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2]
설명 | 전체 | 여성 | 남성 | |||
---|---|---|---|---|---|---|
단위 | 명 | 비율 | 명 | 비율 | 명 | 비율 |
인구 | 7330 | 100 | 3822 | 52.1% | 3508 | 47.9% |
인구 밀도 | 604.8 | 315.5 | 289.4 |
1719년부터 2021년까지 호이나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7][8][9][10]
연도 | 인구 |
---|---|
1719 | 1,371 |
1750 | 2,210 |
1801 | 3,249 |
1850 | 5,292 |
1875 | 6,350 |
1880 | 6,568 |
1890 | 5,864 |
1933 | 6,276 |
1939 | 6,756 |
1995 | 6,470 |
2000 | 6,989 |
2005 | 7,145 |
2010 | 7,353 |
2015 | 7,403 |
2020 | 7,367 |
2021 | 7,330 |
4. 명소
호이나는 고딕 양식 벽돌 유럽 루트에 위치한 도시이다. 주요 명소로는 성 마리아 교회,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원(성 삼위일체 교회), 시청, 시에츠카 문, 바른코프스카 문, 시립 공원의 거대한 비행기 등이 있다. 30년 전쟁 이후 스웨덴 왕 구스타브 아돌프 2세를 기념하기 위해 건설된 스웨덴 언덕도 উল্লেখযোগ্য 명소이다.
4. 1. 주요 건축물
호이나는 고딕 양식 벽돌 유럽 루트에 위치해 있다. 호이나의 역사적인 랜드마크는 다음과 같다.- 성 마리아 교회
-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원 (성 삼위일체 교회가 있음)
- 시청 (Ratusz w Chojnie|호이나 시청pl)
- 시에츠카 문, 바른코프스카 문, 제빵사(''피에카르스카'') 타워, 감옥(''비엔제나'') 타워, 황새(''보치아니아'') 타워가 있는 방어벽의 잔해
- 시립 공원(''파르크 미에스키'')의 거대한 비행기
- 성 마르코 교회
- 성심 교회
- 성 게르트루데 예배당의 유적
- 스웨덴 언덕 (1630년 30년 전쟁 이후 스웨덴 왕 구스타브 아돌프 2세를 기념하기 위해 건설된 도시 성벽에서 서쪽으로 약 1km 떨어진 슈베트 가는 길)
4. 2. 기타 명소
- 성 마르코 교회[1]
- 성심 교회[1]
- 성 게르트루데 예배당 유적[1]
- 스웨덴 언덕: 1630년 30년 전쟁 이후 스웨덴 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를 기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도시 성벽에서 서쪽으로 약 1km 떨어진 슈베트 가는 길에 있다.[1]
5. 스포츠
지역 축구 클럽은 오드라 호이나(Odra Chojnapl)이다. 하위 리그에서 경쟁한다.
6. 유명 인물
호이나 출신 또는 거주했던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임은 프로이센 왕국의 수석 장관을 지냈고, 아달베르트 쿤은 독일의 언어학자이자 민속학자였다.[11] 알베르트 폰 레페초는 독일 정치인이자 독일 제국 의회 의장이었으며, 가브리엘 바이드너는 네덜란드 레지스탕스 투사로 활동하다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했다. 헬무트 피엔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크리그스마리네) 대위였고, 볼프-디터 휘터로트는 에를랑겐-뉘른베르크 프리드리히-알렉산더 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지리학자이다.
6. 1. 주요 인물 목록
-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임 (1765-1838): 프로이센 왕국 수석 장관 (1806/7)
- 아달베르트 쿤 (1812-1881): 독일의 언어학자이자 민속학자[11]
- 알베르트 폰 레페초 (1827-1903): 독일 정치인, 독일 제국 의회 의장
- 가브리엘 바이드너 (1914-1945 쾨니히스베르크 인 데어 노이마르크에서 사망): 네덜란드 레지스탕스 투사,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
- 헬무트 피엔 (1916–1943):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크리그스마리네) 대위
- 볼프-디터 휘터로트 (1930–2010): 지리학자, 에를랑겐-뉘른베르크 프리드리히-알렉산더 대학교 교수
7. 국제 관계
호이나는 유럽 연합 내 여러 도시들과 자매 도시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히 두젤라주(Douzelage)라는 독특한 자매 도시 협회에 참여하고 있다.[12][13]
7. 1. 두젤라주 (Douzelage)
호이나는 유럽 연합 내 24개 도시가 참여하는 독특한 자매 도시 협회인 두젤라주(Douzelage)의 회원 도시이다.[12][13] 이 자매 결연은 1991년에 시작되었으며, 각 국가의 농산물 시장과 축제와 같은 정기적인 행사가 열린다.[12][13] 키프로스의 아그로스(Agros, Cyprus), 슬로베니아의 슈코피아 로카(Škofja Loka), 불가리아의 트랴브나(Tryavna) 등 3개 도시와 회원 자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두젤라주 회원 도시는 다음과 같다.
국가 | 도시 | 가입 연도 |
---|---|---|
스페인 | 알테아(Altea) | 1991 |
독일 | 바트 쾨츠팅(Bad Kötzting) | 1991 |
이탈리아 | 벨라지오(Bellagio) | 1991 |
아일랜드 | 번도란(Bundoran) | 1991 |
프랑스 | 그랑빌(Granville) | 1991 |
덴마크 | 홀스테브로(Holstebro) | 1991 |
벨기에 | 후팔리즈(Houffalize) | 1991 |
네덜란드 | 메르센(Meerssen) | 1991 |
룩셈부르크 | 니더안펜(Niederanven) | 1991 |
그리스 | 프레베자(Preveza) | 1991 |
포르투갈 | 세심브라(Sesimbra) | 1991 |
영국 | 셔본(Sherborne) | 1991 |
핀란드 | 카르킬라(Karkkila) | 1997 |
스웨덴 | 옥셀로순드(Oxelösund) | 1998 |
오스트리아 | 유덴부르크(Judenburg) | 1999 |
폴란드 | 초이나(Chojna) | 2004 |
헝가리 | 쾨세그(Kőszeg) | 2004 |
라트비아 | 시굴다(Sigulda) | 2004 |
체코 | 수시체(Sušice) | 2004 |
에스토니아 | 튀리(Türi) | 2004 |
슬로바키아 | 즈볼렌(Zvolen) | 2007 |
리투아니아 | 프리에나이(Prienai) | 2008 |
몰타 | 마르사스칼라(Marsaskala) | 2009 |
루마니아 | 시레트(Siret) | 2010 |
키프로스 | 아그로스(Agros) | 2011 |
참조
[1]
웹사이트
Local Data Bank
https://bdl.stat.gov[...]
Statistics Poland
2022-06-03
[2]
서적
Dzieje Krzyżaków oraz ich stosunki z Polską, Litwą i Prussami, poprzedzone rysem dziejów wojen krzyżowych
Warszawa
1846
[3]
간행물
Z okresu wojny i pokoju – "francuskie" miejsca w Szczecinie z XVIII i XIX wieku
Szczecin
2011
[4]
웹사이트
Stulecie kościoła w Chojnie
https://www.niedziel[...]
2020-02-16
[5]
서적
Die nationalsozialistischen Konzentrationslager
https://books.google[...]
Wallstein Verlag
2015-02-25
[6]
웹사이트
Pomnik Jana Pawła II
https://pomorzezacho[...]
2020-02-16
[7]
웹사이트
Deutsche Verwaltungsgeschichte – Königsberg in der Neumark
http://www.verwaltun[...]
2006
[8]
서적
https://books.google[...]
1856
[9]
서적
Statistisch-topographische Beschreibung der gesammten Mark Brandenburg
https://books.google[...]
Berlin
1809
[10]
서적
Landbuch der Mark Brandenburg und des Markgrafenthums Nieder-Lausitz in der Mitte des 19. Jahrhunderts
https://books.google[...]
Brandenburg
1856
[11]
백과사전
Kuhn,_Franz_Felix_Adalbert
[12]
웹사이트
Douzelage.org: Member Towns
https://web.archive.[...]
www.douzelage.org
2009-10-21
[13]
웹사이트
Douzelage.org: Home
https://web.archive.[...]
www.douzelage.org
2009-1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