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대용은 1731년에 태어나 1783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다. 그는 노론 가문 출신으로 북학파에 가담하여 실학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김원행에게 학문을 배우고 박지원, 박제가 등과 교류했다. 특히 천문학에 깊은 지식을 가지고 청주에 농수각이라는 관측소를 설치하여 실측에 임했다. 35세에 베이징을 방문하여 청나라 학자들과 교류하며 지구 자전설과 우주 무한론을 주장했으며, 귀국 후 《의산문답》을 저술하여 과학 사상을 담았다. 그는 과거제 폐지 및 공거제를 통한 인재 등용 등 혁신적인 개혁 사상을 제창했으며, 사헌부 감찰, 영주 군수를 역임했다. 홍대용은 북학파의 선구자로서, 과학 사상과 개혁 사상을 통해 조선 사회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낙론 - 박지원 (1737년)
박지원은 조선 영조 시대의 실학자이자 문신으로, 《양반전》 저술, 북학파의 중심 인물, 《열하일기》 저술을 통해 청나라 문물을 소개하고 이용후생 사상을 펼친 인물이다. - 한국의 수학자 - 이임학
이임학은 유한체 위의 리형 군을 발견하여 유한단순군 분류에 기여한 한국계 캐나다 수학자로, 서울대학교 교수,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유학, 캐나다 왕립학회 회원 등을 역임했으나 국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홍대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한글 | 홍대용 |
한자 | 洪大容 |
가타카나 | 혼 테욘 |
로마자 표기 | Hong Daeyong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731년 5월 12일 |
사망일 | 1783년 11월 17일 (향년 52세) |
출생지 | 조선 충청도 청주목 수신면 |
사망지 | 조선 경상도 영주 |
종교 | 유교(성리학) → 유교(실학) |
정당 | 노론 후예 낙론 예하 북학파 잔존 중심 세력 |
직책 | 조선국 경상도 영주군 군수 (朝鮮國 慶尙道 榮州郡 郡守) |
군주 | 조선 정조 이산 |
친인척 | 홍담용(사촌 남동생) 은신군(인척 사돈) 김정희(인척 사돈) |
경력 | 공자, 맹자, 장자, 주희, 김석문, 김원행, 반정균, 엄성, 육비, 마테오 리치, 튀코 브라헤 등에게 과학 성향 실학적 영향을 받은 그는 훗날 연암 박지원, 박제가, 이덕무, 이서구 등에게 실학적 영향을 줌. |
임기 | 1780년 5월 20일 ~ 1783년 11월 17일 |
2. 생애
1731년(영조 7년) 충청도 청주목 수신면(현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 수촌마을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나 당대 최고의 학자였던 김원행에게 수학했다. 박지원 등 북학파의 지도적 인물이었으며, 특히 천문학에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어 청주 자택에 관측소인 ‘농수각(籠水閣)’을 설치하여 실측에 임했다.
1765년(영조 41년) 35세 때 서장관으로 선발된 삼촌을 따라 베이징에 가서, 청나라의 독일인 흠천감정(欽天監正, 천문대장) 유송령(劉松齡)과 엄성(嚴誠), 판정균(潘庭筠), 육비(陸飛) 등 중국 천문학자들과 동등하게 논쟁을 벌였다. 저서 『광산문답(広山問答)』, 『의주산(医巫閭山)문답』을 저술하여 지구 자전설(조선에서의 창시는 반세기 전의 김석문)을 주장하고 우주 무한론을 전개했다.[1] 거문고 명수로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다.[1]
귀국 후 의산문답을 지어 지구 자전설, 경제 정책 개혁, 과거 제도 폐지 및 공거제 도입 등 혁신적인 개혁 사상을 제창했다. 박지원, 박제가 등 실학자들과 교류하며 정치, 경제에 관한 학문을 연구하였다.
1774년(영조 50년), 44세 때 음서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사헌부 감찰, 경상도 영주 군수 등을 역임했다.[1] 1783년 11월 17일, 52세로 사망했다.[2]
2. 1. 생애 초기
홍대용은 1731년(영조 7년) 충청도 청주목 수신면(현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 수촌마을에서 태어났다. 노론 북학파에 가담하였으며, 김원행에게 학문을 배웠다. 유득공, 이서구, 박제가 등과 교류하였고, 박제가는 훗날 홍대용의 외재종손인 김정희의 스승이 되기도 했다. 박지원 등과 함께 북학파의 지도적 인물이었으며, 천문학에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어 청주 자택에 관측소인 ‘농수각(籠水閣)’을 설치하기도 했다.[1]2. 2. 북경 방문
1765년(조선 영조 41년) 35세 때 숙부인 홍억(洪檍)이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갈 때 군관(軍官)으로 수행, 3개월여를 북경에 묵으면서 엄성(嚴誠), 반정균(潘庭筠), 육비(陸飛) 등을 만나 경의(經義), 성리(性理), 역사, 풍속 등에 대하여 토론하고, 천문학, 지리학, 역사 등에 관한 지식을 쌓고 서양 문물을 배우고 돌아왔다. 또 천주당(天主堂)에서 서양 문물을 견학, 학습하고 독일 사람으로 청나라의 흠천감정(欽天監正)을 하는 할레르슈타인(劉松齡)과 흠천감 부감(副監) 고가이슬(鮑友管) 등을 만나 면담했으며, 청나라 관상대(觀象臺)를 여러 번 방문, 견학하여 천문지식을 습득했다. 홍대용의 이와 같은 북경 방문은 당시의 여러 북학파 학자 중에서도 제일 처음의 일로서 실학의 도입에서 그 선구적 업적이 크다.[1]2. 3. 귀국 후
귀국하여 천주교와 천문학 이론을 기록한 《유포문답》과 과학 사상을 담은 의산문답을 지었다. 지구 자전설, 경제 정책 개혁, 과거 제도 폐지 및 공거제 도입 등 혁신적인 개혁 사상을 제창했다. 박지원, 박제가 등 실학자들과 교류하며 정치, 경제에 관한 학문을 연구하였다.[1]1774년(영조 50년), 44세 때 음서로 선공감의 종9품 관리를 시작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사헌부 감찰, 경상도 영주 군수 등을 역임했다. 관직에 있으면서도 자신의 학설을 사회에 직접 도입하려 노력했으나, 시대적 환경으로 인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사망했다.[1] 거문고 명인으로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다.[1] 1783년 11월 17일, 52세로 사망했다.[2]
3. 사상
홍대용은 북학파의 선구자이자 이용후생(중상주의) 학파에 속한 실학자였다. 그는 균전제(均田制)와 부병제(府兵制)를 토대로 하는 경제 개혁을 주장했다.
그는 《의산문답》에서 인류의 기원, 사회 계급과 국가의 형성, 법률 및 제도 등에 관한 이론을 발표했다. 이를 바탕으로 “놀고먹는 귀족 계급이 나라와 백성을 좀먹는다(所謂遊民倖位耗國病民 : 《계방일기》).”라며 노동하지 않는 양반 계급의 허위의식을 지적했다. 또한, 천문, 율력(律歷), 산수 등 과학 분야에서도 뛰어난 이론을 전개했다.[5]
3. 1. 과학 사상
홍대용은 그의 저서 《의산문답》에서 지전설과 우주무한론을 주장하였다. 이를 근거로 화이(華夷)의 구분을 부정하고 주체성을 강조했다.[5] 그는 지구의 자전설을 대중에게 처음으로 설파하였다. 과학사상을 바탕으로 중국 중심적인 화이론을 부정하면서, 중국과 조선, 서양을 상대화하여 어느 쪽도 '화'나 '이'가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인간과 자연 중 어느 쪽이 더 우월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인간과 다른 생명체를 동등하게 상대화했다. 당시 사회 계급과 신분 차별에 반대하며 균등한 교육 기회 부여, 재능과 학식에 따른 일자리 분배를 주장했다.[5]3. 2. 개혁 사상
홍대용은 북학파의 선구자이자 이용후생(중상주의) 학파에 속한 실학자로, 당시 매우 혁신적인 철학자였다. 그는 지전설과 우주무한론을 주장하며 이를 근거로 화이(華夷)의 구분을 부정하고 주체성을 강조했다.[5] 그는 신분 제도 개혁에 앞서 과거제를 폐지하고 공거제(貢擧制)를 통해 인재를 고르게 등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지금의 초등학교 입학 연령인 8세 이상의 모든 아동을 차별 없이 교육해야 한다는 주장을 통해 균등한 교육 기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홍대용은 과학사상을 바탕으로 중국 중심적인 화이론을 부정하면서, 중국과 조선, 서양을 상대화하여 어느 쪽도 '화'나 '이'가 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는 인간과 자연 중 어느 쪽이 더 우월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며 인간과 다른 생명체를 동등하게 상대화했다. 더불어 당시 사회 계급과 신분 차별에 반대하며 균등한 교육 기회 부여와 재능, 학식에 따른 일자리 분배를 주장했다.[5]
4. 농수각
농수각(籠水閣)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과학사상가인 담헌 홍대용이 1762년 지금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수촌마을(장산리 646-1) 일대에 있던 자신의 자택 근처에 완공한 사설 천문대이다. 이곳에 혼천의, 자명종 등 천문을 연구하는 기구들을 설치하여 천문 관측을 하였다.[6][7][8][9][10][11][12][13] 홍대용은 의산문답에서 지전설, 무한우주론, 지구구형설 등을 주장하였다. 그는 청주 자택에도 농수각을 설치하여 관측을 하기도 했다.
5. 저서
6. 가족 관계
7. 기타
거문고 명수로 음악에도 조예가 깊었던 것으로 알려졌다.[1]
참조
[1]
서적
戦乱三国のコリア史
彩流社
2007
[2]
서적
朝鮮北學派實學研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1-12
[3]
서적
담헌 홍대용 연구
2012
[3]
서적
산해관 잠긴문을 한 손으로 밀치도다-홍대용의 북경여행기 을병연행록
[3]
서적
조선시대 최고의 과학사상가 홍대용
2008
[4]
서적
홍덕보 묘지명
[5]
웹사이트
홍대용(洪大容)
http://encykorea.aks[...]
2018-06-17
[6]
웹사이트
천안시 홍대용과학관-홍대용선생 소개
https://www.cheonan.[...]
[7]
웹사이트
위키문헌 - 담헌서 내집4권 보유 의산문답
https://ko.wikisourc[...]
[8]
뉴스
조선조 실학자 홍대용 생가 터 복원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9]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농수각
[10]
웹사이트
담헌서
https://www.krpia.co[...]
여강출판사
2001-08-01
[11]
논문
Analysis of Life Respect-related Content Portrayed in the 7th to 10th Grade Textbooks in Middle and High Schools
http://koreascience.[...]
2013-10
[12]
웹사이트
천안이야기-홍대용선생 묘부터 생가지까지
https://www.cheonan.[...]
[13]
웹사이트
네이버지도 - 홍대용선생 생가지
https://map.naver.co[...]
[14]
웹사이트
주해수용(籌解需用)
http://encykorea.a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