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훈민정음의 창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훈민정음의 창제는 세종이 1443년(세종 25년)에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1446년에 반포한 사건을 말한다. 최만리 등은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했지만, 세종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훈민정음을 보급했다. 정인지는 세종이 직접 훈민정음을 만들었다고 기록했으며, 세종실록에도 세종이 직접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훈민정음은 중국 음운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파스파 문자, 가림토, 신대 문자, 구자라트 문자 등과의 유사성이 주장되기도 하지만, 학계에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2. 역사

세종은 1443년(세종 25년)에 훈민정음을 창제하고[1] 1446년에 반포하였다.[2] 1444년 최만리 등이 훈민정음 창제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세종은 이를 거부하였다.[3] 이후 세종은 훈민정음을 관리 등용 시험에 사용하고,[4] 언문청을 설치하여[5] 훈민정음 관련 서적을 번역하고 보급하는 데 힘썼다. 훈민정음 창제 주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는데, 정인지는 세종이 직접 훈민정음을 창제했다고 기록한 반면,[6] 성현신숙주, 성삼문 등에게 언문 제정을 명했다는 기록을 남겼다.[8]

2. 1. 훈민정음 창제 및 반포

세종은 1443년(세종 25년) 훈민정음을 만들어서[1] 1446년에 반포했다.[2]

1444년 최만리 등이 중국의 제도를 버리는 것은 부당하다며 상소를 했으나 세종은 반박하며 거절하였다.[3]

이후 세종은 훈민정음을 관리 시험에 쓰고[4] 언문청을 세워[5] 번역서를 펴내는 등 새로운 문자를 보급하였다.

정인지의 서에서는 훈민정음을 세종이 직접 지었다고 기록하고 있다.[6] 세종실록에는 훈민정음을 ‘친히 만드셨다(上親制)’고 쓰고 있는데,[1] 세종실록의 다른 대목에는 ‘親制’라는 말이 없어 훈민정음에 대해서만 유일한 표현이다. 또한 이기문에 따르면 한글 창제 후 세종은 표음주의 표기가 일반적인 당대의 표기법과는 달리 형태주의 표기를 주로 활용하고 동국정운 같은 책을 편찬한 예에서 보듯이 국어와 중국어의 전반에 걸쳐 음운학 및 언어학에 깊은 조예와 지식이 있었다.[7]

2. 2. 훈민정음 창제 주체 논란

정인지는 서문에서 훈민정음을 세종이 직접 만들었다고 기록하고 있다.[6] 세종실록에는 훈민정음을 ‘친히 만드셨다(上親制)’고 쓰고 있는데,[1] 세종실록의 다른 대목에는 ‘親制’라는 표현이 없어 훈민정음에 대해서만 유일하게 사용되었다. 이기문에 따르면, 세종은 한글 창제 후 표음주의 표기가 일반적인 당대의 표기법과는 달리 형태주의 표기를 주로 활용하고 동국정운 같은 책을 편찬한 예에서 볼 수 있듯이 국어와 중국어 전반에 걸쳐 음운학 및 언어학에 깊은 조예와 지식이 있었다.[7]

한편, 성현의 《용재총화》 제7권에는 세종이 언문청을 세워 신숙주, 성삼문 등에게 언문을 제정하라고 명을 내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주시경은 《대한국어문법》(1906년)에서 세종이 집현전 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한글을 창제했다고 주장했다.

정인지는 훈민정음을 만든 세종이 집현전 학자들에게 ‘해설서’ 편찬을 명했다고 적고 있다.[8]

3. 다른 문자·음성학과의 비교

《훈민정음해례》에서는 ㄱ, ㄴ, ㅁ, ㅅ, ㅇ은 발음 기관을 본떠서, ㆍ, ㅡ, ㅣ는 천지인을 상징하여 만들고, 나머지 글자는 획을 추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한편 《세종실록》에는 ‘고전(古篆)을 본땄다(倣)’[9][10]는 기록이 있어, 훈민정음이 다른 문자나 이론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학설로는 다른 문자와 단순히 기하학적인 모양이 비슷하다는 것부터 문자 체계에 대한 비교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훈민정음에 서술된 음성학은 중국 음운학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이나, 인도의 음성학 등과의 비교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3. 1. 한자와 음운학

세종은 최만리의 상소에 반박하며 “네가 운서를 아느냐? 사성 칠음에 자모가 몇이나 있느냐?(汝知韻書乎? 四聲七音, 字母有幾乎?)”라고 묻는다.[3] 이를 비롯해 훈민정음에 등장하는 아음·설음·순음·치음·후음 등과 그 순서는 당대 중국 음운학에서 쓰였던 것이다.

훈민정음을 당대 조선에서 쓰이던 한자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한자가 뜻을 표현한 표의 문자인 것에 비해 한글은 소리를 표현하는 표음 문자, 특히 닿소리와 홀소리를 구분해서 쓰는 음소 문자이다.
  • 한자가 회의·형성 등으로 여러 글자를 합쳐서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내는 것처럼, 한글도 낱자를 합자시켜 글자를 만든다.
  • 당시 음운학이 음절을 성모·운모로 구분했던 것에 비해, 한글에서는 닿소리·홀소리로 구분하여 끝소리에 초성을 다시 썼다. (종성부용초성 終聲復用初聲)
  • 한글 낱자는 발음 기관을 상형해서 만들었다.

3. 2. 파스파 문자

w


파스파 문자아부기다로, 자음을 따로 쓰면 기본적으로 -a가 붙은 발음이 된다. /a/가 아닌 모음은 자음 밑에 붙여 쓰고, 종성은 그 밑에 자음 기호를 다시 쓰도록 되어 있다.

1966년 게리 레드야드는 훈민정음의 자음이 조음 기관을 상형했다는 해례본의 설명이 ‘확고한 설명’이라고 하면서도 파스파 문자와의 유사성을 들어 참고했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12] 그는 파스파 문자가 몽고전자(蒙古篆字)라고도 불리는데, 고전(古篆)이란 표현이 여기서 왔을 가능성이 있으며, ㄱ·ㄷ·ㅂ·ㅈ·ㄹ가 파스파 문자 ꡂ·ꡊ·ꡎ·ꡛ·ꡙ와 유사하다고 보았다. 또한 기본자인 ㄱ·ㄷ·ㅂ·ㅈ를 가획하여 유기음 ㅋ·ㅌ·ㅍ·ㅊ을 생성하였으며 감획하여 지속음인 ㆁ·ㄴ·ㅁ·ㅅ을 생성하였고, ㆁ는 ㄱ을 감획한 뒤 남은 ㅣ의 형태에 ㅇ을 덧붙인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ㄱ·ㄷ·ㅂ·ㅈ·ㄹ를 기본자로 본다면 감획/가획 대상인 ㄱ·ㄷ·ㅂ·ㅈ가 모두 파열음 내지 파찰음이라는 점에서 음운론적으로 일관적이고, 해례본이 단지 '혀의 모양을 모방했다'고 모호하게 설명하고 있는 ㄹ이 파스파 문자에서 유래한 기본자라고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ㅱ은 /w/를 표기하기 위해 쓰였는데, 이는 파스파 문자에서 /w/를 표기할 때 밑에 동그라미를 붙이는 것과 유사하다고 하였다.

국어학자 정광도 비슷하게 주장했다.[13]

송기중(2009)은 모양이 비슷하다고 파스파 문자에서 한글이 유래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학문이 아니라고 일축하는 한편, 종성부용초성이나 모음을 위한 낱자를 따로 쓰는 것 등 문자 체계의 유사성을 지적했다.[14] 연규동(2023)도 비슷하게 주장했다.[15]

고광모(2020)는 파스파 문자의 영향을 받아 한글의 모음이 만들어졌다는(신미 창제설까지 포함) 주장을 비판한다.[16]

3. 3. 기타 한글과 유사하다고 주장하는 문자

한글과 생김새가 비슷한 문자가 있어, 한글이 고대 문자에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우연히 닮았거나 신뢰할 수 없는 출처를 근거로 한 것으로 보인다.

3. 3. 1. 가림토와 신대 문자

송호수는 1984년 《광장(廣場)》 1월호 기고문에서 〈천부경〉과 《환단고기》〈태백일사〉를 참조하여 한글이 단군 시대부터 있었고, 단군조선가림다문(加臨多文)에서 한글과 일본의 아히루 문자가 기원했다고 주장하였다.[17] 이에 대하여 국어학자 이근수는 《광장(廣場)》 2월호의 기고문을 통하여 과학적 논증이 없는 이상 추론일 뿐이며, 참조한 고서의 대부분이 야사임을 지적하였다.[18] 또한 가림토 문자는 《환단고기》의 저자로 의심되고 있는 이유립이 한글의 모(母)문자로 창작한 가공의 문자일 가능성이 높아[19] 이러한 주장은 역사학계 및 언어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일본의 신대 문자 중에서도 모습이 한글과 비슷한 것이 있어 이를 가림토와 연관이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나, 신대 문자가 새겨져 있는 비석마다 문자의 모습이 달라 일관성이 없고 언어학자들이 추정하는 고대 일본어의 음운 구조와도 맞지 않으며,[20] 신대 문자가 기록되었다고 하는 유물 거의 전부가 18~19세기의 것이고 에도 시대 전의 것을 찾을 수 없는바, 신대 문자라는 것은 고대 일본에 문자가 있었다고 주장하기 위한 에도 시대의 위작이며, 특히 그중에 한글과 유사한 것들은 오히려 한글을 모방한 것임이 밝혀졌다.[21]

3. 3. 2. 구자라트 문자

1983년 9월 KBS가 방영한 8부작 다큐멘터리 《신왕오천축국전》에서는[22] 구자라트 문자를 소개하면서,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ㅅ, ㅇ 등이고 모음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의 열 자가 꼭 같았으며 받침까지도 비슷하게 쓰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1984년 개천학회 회장 송호수[23]는 이를 인용하면서 '자음에서는 상당수가 같고, 모음은 10자가 꼭 같다'고 썼으며, 구자라트 문자가 가림토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24][25]

그러나 구자라트 문자는 모든 자음이 딸림 모음을 수반하는 아부기다 문자 체계로, 자모가 완전히 분리되는 한글과는 다르다. 또한 데바나가리 문자에서 수직선을 제거한 데바나가리 파생문자로서 다른 인도계 여러 문자와 친족 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져 있다. 따라서 이는 구자라트 문자의 특정 글자체와 한글 사이의 표면적 유사성에 대한 착오일 뿐이다.[26]

참조

[1]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3]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4]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5]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6] 문서 癸亥冬我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略揭例義以示之名曰訓民正音 (계해년 겨울, 우리 전하께서 정음 28자를 창제하시어, 간략하게 예를 들어 보이시고 이름을 훈민정음이라 하셨다). 훈민정음 1446
[7] 논문 훈민정음 친제론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992
[8] 문서 遂命詳加解釋以喩諸人…謹作諸解及例以敍其梗槪 (마침내, 해석을 상세히 더하여 사람들을 깨우치라고 명하시어… 여러 풀이와 예를 지어 그 개요를 펴내니) 훈민정음 1446
[9] 세종실록 其字倣古篆分爲初中終聲合之然後乃成字 : (그 글자는 옛 전자(篆字)를 모방하고, 초·중·종성으로 나뉘어 그것을 합한 연후에 글자를 이룬다.) 1443-01-19
[10] 세종실록 象形而字倣古篆因聲而音叶七調 (물건의 형상을 본떠서 글자는 고전을 모방하고, 소리(聲)로 인(因)하여 음(音)은 칠조(七調)에 맞아). 1446-10-18
[11] 문서
[12] 서적 The Korean Language Reform of 1446 1966
[13] 서적 한글의 발명 김영사 2015
[14] 논문 팍바('Phags-pa 八思巴)문자와 訓民正音 국어학회 2009
[15] 서적 세계의 문자 사전 따비 2023
[16] 논문 훈민정음 모음자의 창제에 대하여 -창제를 설명하고 창제자에 대한 이설을 비판함- 한글학회 2020-09
[17] 뉴스 "한글은 檀君시대부터 있었다" 송호수 교수 주장에 學界관심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4-01-12
[18] 뉴스 한글 世宗전 創製 "터무니없다" 李覲洙교수, 宋鎬洙교수 主張 반박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4-02-06
[19] 서적 만들어진 한국사 파란 2010
[20] 뉴스 "日 神代文字는 한글의 僞作이다"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5-07-17
[21] 방송 미스터리 한글, 해례6211의 비밀 MBC 2007-10-07
[22] 서적 新往五天竺國傳(신왕오천축국전) 한국방송사업단 1983
[23] 문서
[24] 간행물 한글은 세종 이전에도 있었다 세계평화교수협의회 1984-01
[25] 웹사이트 일본 神代文字 논란 http://kang.chungbuk[...] 충북대학 국어국문학과 국어학강의실
[26] 간행물 한글과 비슷한(?) 구자라트 문자 http://www.korean.go[...] 한국어문진흥회 199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