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라트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자라트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파생된 인도 문자로, 구자라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10세기부터 19세기까지 세 단계로 발전했으며, 음소 문자이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다양한 문자를 생성하며, 특히 결합 문자의 규칙이 복잡하다. 이 문자는 동남아시아, 특히 인도네시아의 일부 문자에 영향을 미쳤으며, 유니코드 블록에 포함되어 있다. 현대에는 아라비아 숫자와 영어식 구두점을 사용하며, 컴퓨터 키보드 레이아웃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자라트주 - 구자라트어
구자라트어는 인도 구자라트 주를 중심으로 약 6천만 명이 사용하는 인도아리아어로, 12세기부터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풍부한 어휘를 가진, 인도 헌법 지정 언어이자 구자라트 주의 공용어이다. - 구자라트주 - 구자라트인
구자라트인은 인도 서부 구자라트 주에 주로 거주하며 상업과 무역에 종사해 온 민족 집단으로, 다양한 종교와 카스트를 포용하는 문화 혼합주의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하며 고유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 아부기다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부기다 - 타이 문자
타이 문자는 람캄행 대왕이 창제한 태국어 문자 체계로, 수코타이 문자를 기반으로 크메르 문자를 수정하고 성조 부호를 도입하여 태국어의 복잡한 음운 체계를 표기한다.
구자라트 문자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아부기다 |
사용 언어 | 구자라트어 쿠치어 빌리어 둥라빌어 가미트어 쿠크나어 라지푸트 가라시아어 바그리어 바를리어 바사비어 아베스타어 (인도 조로아스터교도) |
사용 시기 | 1592년경 – 현재 |
ISO 15924 | Gujr |
유니코드 | U+0A80–U+0AFF |
다른 이름 | (구자라티 리피) |
계통 | |
조상 문자 | 이집트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브라흐미 문자 굽타 문자 싯담 문자 나가리 문자 |
자매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모디 문자 카이티 문자 난디나가리 문자 군잘라 곤디 문자 |
2. 역사
구자라티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나가리 문자에서 파생되었다.[6] 구자라트어와 문자는 10세기부터 15세기, 15세기부터 17세기,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세 단계로 발전했다.[3]
구자라트 문자는 음소 문자이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고 대소문자 구분이 없다. 각 기본 자음 문자는 고유한 모음 'a'([ə])를 가지며, 다른 모음은 분음 부호로 표시한다. 자음 결합은 복합 또는 결합 문자를 형성하며, 특정 규칙 시스템을 따른다.
첫 번째 단계는 프라크리트어, 아파브람사와 Paisaci, Shauraseni, 마가디, Maharashtri와 같은 변종의 사용으로 특징지어진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고대 구자라트어 문자가 널리 사용되었다. 고대 구자라트어 문자로 쓰여진 가장 오래된 문서는 1591~92년에 작성된 필사본 ''Adi Parva''이며, 이 문자는 1797년 광고에서 처음 인쇄되었다.[3] 세 번째 단계는 쉽고 빠르게 쓰기 위해 개발된 문자의 사용이다. ''shirorekhā''(데바나가리의 윗줄)의 사용이 중단되었다. 19세기까지는 주로 편지를 쓰거나 회계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데바나가리 문자는 문학과 학술 저술에 사용되었다. 이 문자는 ''śarāphī''(은행), ''vāṇiāśāī''(상인) 또는 ''mahājanī''(상인) 문자로도 알려져 있다.[3] 이 문자는 현대 문자의 기초가 되었다. 이후 필사본의 작가들도 이 문자를 채택했다. 자이나교 공동체 또한 고용된 작가들에 의해 종교 텍스트를 복사하는 데 이 문자의 사용을 장려했다.[3]
3. 특징
마하트마 간디의 자서전 "진실에 대한 나의 실험"의 구자라트어 발췌 부분 ()에서 볼 수 있듯이, 기본 자음은 고유 모음 'a'([ə])를 가지나, 발음되지 않는 'a' 표기, 산스크리트어 기반 표기법 유지, 새로운 표기법 부족 등 몇 가지 예외가 있다. 예를 들어, 단어 끝의 'a'는 발음되지 않으며, 형태소 결합을 통해 자연스럽게 생략되기도 한다.
현대 구자라트어는 물음표, 느낌표, 쉼표, 마침표와 같은 영어식 구두점을 사용하며, 전통적인 세로 막대는 마침표로 대체되었다.
구자라트 문자는 아베스타 문자 표기에도 사용되며, 인도 조로아스터교 신자들의 전통 언어인 구자라트어 문자로 주로 조판된다.
구자라트 문자와 데바나가리 문자와 같이 이중 자음을 표기 할때 문자의 일부를 생략하고 연결한 새로운 문자를 만든다. 이러한 문자를 "결합 문자"라고 한다. 예를 들어 구자라트어 인삿말 "안녕하세요"는 નમસ્તે (namaste)인데, 이중 સ્ત (sta)가 결합 문자이다 (이 경우 સ્ s + ત ta).
결합 문자를 만드는데는 어느정도 규칙이 있지만, 때로는 이를 따르지 않는 문자도 있다.
결합문자를 생성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다.
# 문자의 오른쪽 끝이 세로 막대인 획으로 끝나는 문자 (ગ ga, સ sa, ત ta 등.)
# 1.에 속하지 않는 것 (ટ ṭa, ડ ḍa, દ da 등)
; 1.의 경우
:오른쪽 끝의 세로 막대를 생략하고, 두 번째 자음자를 붙여 쓴다.
: 예) ળ્ત ḷta (ળ્ ḷ + ત ta), બ્લ bla (બ્ b + લ la), ત્ન tna (ત્ t+ ન na)
: શ્ (ś)는 후속하는 자음자에 따라 예외적으로 형태를 바꾸는 것도 있다. 이 경우 세로 막대는 남긴다.
:: શ્ચ śca (શ્ ś + ચ ca, 두 번째 문자는, ચ 에 대응하는 데바나가리 च 가 사용된다), શ્ન śna (શ્ ś + ન na), શ્ર śra (શ્ ś + ર ra, r의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શ્વ śva (શ્ ś + વ va). 하지만 그 외에는 શ્ત śta (શ્ ś + ત ta) 처럼 규칙적이다.
: ઞ્ (ñ) 의 경우, 다음 두 가지는 예외이다.
:: ઞ્ચ ñca (ઞ્ ñ + ચ ca, ચ 는 대응하는 데바나가리 च 를 사용);ઞ્જ ñja (ઞ્ ñ + જ ja, જ 는 대응하는 데바나가리 ज 를 사용)
; 2.의 경우
:생성 방식은 문자에 따라 다양하다.
: 오른쪽 위로 향하는 사선이 있는 문자 (ક ka, જ ja, ફ pha) - 그대로 붙인다.
:: 예) જ્જ jja (જ્ j + જ ja), ક્ત kta (ક્ k + ત ta), ક્ક kka (ક્ k+ ક ka, 붙일 때 좌우 글자의 사선이 한 줄로 써진다. 다음 차이에 주의.ક્કિ kki, કિક kik (a))
: ર (ra) – 오른쪽 위에 붙이는 "레파"라고 불리는, 털 모양의 곡선을 부가. 모음 부가 기호에 따라 붙는 위치가 다르므로 주의.
:: 예) ર્ગ rga (ર્ r + ગ ga) → ર્ગા rgā, ર્ગે rgē
: હ (ha) – 이에 대응하는 데바나가리 ह 의 형태를 사용한다. 두 번째 문자를 붙이는 위치에 주목.
:: હ્ણ hṇa (હ્ h+ ણ ṇa, 두 번째 문자는, ણ 에 대응하는 데바나가리 ण 가 사용된다),હ્લ hla (હ્ h+ લ la), હ્ન hna (હ્ h+ ન na), હ્વ hva (હ્ h+ વ va), હ્ર hra (હ્ h+ ર ra, r의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
::: હ્મ hma (હ્ h+ મ ma), હ્ય hya (હ્ h+ ય ya)
: દ (da) – 이에 대응하는 데바나가리 द 의 형태를 사용한다. 두 번째 문자는 하부에 약간 기울여서 붙인다.
:: દ્ગ dga (દ્ d+ ગ ga), દ્ઘ dgha (દ્ d+ ઘ gha), દ્ધ ddha (દ્ d+ ધ dha), દ્ન dna (દ્ d+ ન na), દ્બ dba (દ્ d+ બ ba, 두 번째 문자는 대응하는 데바나가리 ब 를 사용),દ્ભ dbha (દ્ d+ ભ bha), દ્ર dra (દ્ d+ ર ra, r의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 દ્વ dva (દ્ d+ વ va).
::: 다음 세 가지는 특이한 형태를 띤다.દ્દ dda (દ્ d+ દ da, 이것은 두 번째 문자를 데바나가리형으로 한다),દ્મ dma (દ્ d+ મ ma), દ્ય dya (દ્ d+ ય ya).
: 기타 (ઙ ṅa, છ cha, ટ ṭa, ઠ ṭha, ડ ḍa, ઢ ḍha) – 아래에 붙인다. 이것들은 하부가 둥근 것이 특징이다.
:: 예) ઙ્ક ṅka (ઙ્ ṅ + ક ka, 두 번째 문자는 대응하는 데바나가리 क 를 사용),ઙ્ગ ṅga (ઙ્ ṅ + ગ ga), ઙ્ઘ ṅgha (ઙ્ ṅ + ઘ gha), છ્વ chva (છ્ ch + વ va), ટ્ઠ ṭṭha (ટ્ ṭ + ઠ ṭha), ડ્ઢ ḍḍha (ઙ્ ḍ + ઢ ḍha)등.
기본적으로 이상과 같다. 그러나 이중 자음 중 두 번째 자음에 따라, 다음과 같은 예외적인 생성 방식을 따른다.
위의 예 외에는, 다음 세 가지는 특수하다.ક્ષ kṣa (ક્ k + ષ ṣa); જ્ઞ jña (જ્ j + ઞ ña, 발음은 앞서 언급한 대로 gna);ત્ત tta (ત્ t + ત ta)
참고로, 이러한 결합 문자는 구자라트어 고유의 단어와 산스크리트 기원의 단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며, 영어 등에서 온 근대 외래어를 표기하는 데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기호 | 설명 |
---|---|
। | 마침표. 평서문의 끝에 사용한다. |
? | 물음표. 서양 문장과 동일하게 의문문의 끝에 사용한다. |
, | 쉼표. 서양 문장에서의 콤마와 같다. |
4. 동남아시아에 미친 영향
밀러(2010)는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술라웨시 및 필리핀의 고유 문자가 초기 형태의 구자라트 문자의 영향을 받았다는 이론을 제시했다.[4]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구자라트인들은 군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들은 제조업에 종사했고 이슬람교를 전파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4] 토메 피레스는 1512년 이전에 말레이시아의 말라카에 1,000명의 구자라트인이 거주했다고 보고했다.[4]
5. 글자
5. 1. 모음
구자라트어의 모음(svara)은 전통적으로 단모음(hrasva)과 장모음(dīrgha)으로 분류되지만, 현대 구자라트어에서는 ī와 ū의 발음상 구분이 없다.[7] 영어의 애/æ영어와 오/ɔ영어를 나타내기 위해 반전된 "mātra"를 사용하는 관행이 있다.[7]기본자 | 모음부호 | /k/와의 결합 예시 | 로마자 | IPA | 분음 부호 이름[7] |
---|---|---|---|---|---|
અ | style="font-size:24px" | | ક | a | ||
આ | ા | કા | ā | kāno | |
ઇ | િ | કિ | i | hrasva-ajju | |
ઈ | ી | કી | ī | dīrgha-ajju | |
ઉ | ુ | કુ | u | hrasva-varaṛũ | |
ઊ | ૂ | કૂ | ū | dīrgha-varaṛũ | |
ઋ | ૃ | કૃ | r̥ | ||
એ | ે | કે | ek mātra | ||
ઐ | ૈ | કૈ | ai | be mātra | |
ઓ | ો | કો | kāno ek mātra | ||
ઔ | ૌ | કૌ | au | kāno be mātra | |
ઍ | ૅ | કૅ | â | ||
ઑ | ૉ | કૉ | ô |
ര ''r'', જ ''j'' 와 하 ''h''는 루 ''rū'', 지 ''jī'' 와 흐르 ''hṛ''의 불규칙한 형태를 형성한다.[7]
5. 2. 자음
구자라트 문자의 자음(vyañjana)은 산스크리트어 배열 방식을 따르며, 발음 시 혀의 사용과 위치를 고려하여 분류한다.[5] 연구개음, 경구개음, 권설음, 치음, 순음, 공명음, 마찰음으로 나뉜다.[5] 처음 다섯 그룹은 파열음을 포함하며, 무기음 무성음, 유기 무성음, 무기음 유성음, 유기 유성음, 비음 순서로 배열된다.[5]bgcolor="#FFFFFF" rowspan="3"| | 파열음 | 비음 | 유음 | 마찰음 | |||||||||||||||||
---|---|---|---|---|---|---|---|---|---|---|---|---|---|---|---|---|---|---|---|---|---|
무성음 | 유성음 | ||||||||||||||||||||
무기음 | 유기음 | 무기음 | 유기음 | ||||||||||||||||||
연구개음 | ક | ka | ખ | kha | ગ | ga | ઘ | gha | ઙ | colspan="6"| | |||||||||||
경구개음 | ચ | ca | છ | cha | જ | ja | ઝ | jha | ઞ | ña | ય | ya | શ | śa | |||||||
권설음 | ટ | ઠ | ડ | ઢ | ણ | ર | ra | ષ | |||||||||||||
치음 | ત | ta | થ | tha | દ | da | ધ | dha | ન | na | લ | la | સ | sa | |||||||
순음 | પ | pa | ફ | pha | બ | ba | ભ | bha | મ | ma | વ | va | colspan="3"| |
# 연구개음
# 경구개음
# 권설음
# 치음
# 순음
문자 이름은 접미사 કાર ''kār''를 붙여 만들 수 있다. ર ''ra''는 예외적으로 રેફ ''reph''라고 불린다.
(V)''h''V는 음성적으로 콧소리 V̤(C) 세트를 생성한다.
5. 3. 비모음 분음 부호
아누스와라(anusvāra)는 비강 모음 또는 뒤따르는 파열음과 동음 이음인 비음을 나타낸다.[8] 비스르가(visarga)는 소리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드문 산스크리트어 잔재로, 원래 [h]를 나타내며 로마자 표기는 ''ḥ''이다. 비라마(virāma)는 자음의 내재된 ''a''를 제거한다.[9]5. 4. 숫자
구자라트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와 다른 고유한 형태를 가진다. 각 숫자에 대응하는 이름은 아래 표와 같다.아랍 숫자 | 구자라트 숫자 | 이름 |
---|---|---|
0 | ૦ | 미눈두 또는 슈냐 |
1 | ૧ | 에카도 또는 에크 |
2 | ૨ | 바가도 또는 바야 |
3 | ૩ | 트라가도 또는 트란 |
4 | ૪ | 초가도 또는 차르 |
5 | ૫ | 파차도 또는 판치 |
6 | ૬ | 차가도 또는 차 |
7 | ૭ | 사타도 또는 사트 |
8 | ૮ | 아타도 또는 아안트 |
9 | ૯ | 나바도 또는 나브 |
구자라트 숫자의 사용법은 아라비아 숫자와 완전히 동일하다. 예를 들어, ૯૦૬는 906, 즉 구백 육을 나타낸다. 최근에는 구자라트 숫자 대신 아라비아 숫자가 사용되기도 한다.
6. 결합 문자
구자라트 문자는 모음이 없는 연속된 자음을 나타낼 때 결합 문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를 뜻하는 구자라트어 단어 'નમસ્તે'(namaste)에서 'સ્ત'(sta)는 'સ્'(s)와 'ત'(ta)가 결합된 문자이다.
결합 문자는 특정한 규칙에 따라 형성되며, 일부 예외도 존재한다. 이러한 복잡성은 구자라트 문자 입력 시스템 구축에 어려움을 준다. 타자기와 같이 결합 문자를 지원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모음을 제거하는 기호인 '્'(virāma)를 사용하기도 한다.
결합 문자의 형성 규칙은 다음과 같다.
- 36개의 자음 중 23개는 수직 획을 가지고 있는데(예: ખ, ધ, ળ), 클러스터의 첫 번째 또는 중간에 올 경우 이 획이 사라진다. 예를 들어 'ત્વ'(ta + va), 'ણ્ઢ'(ṇa + ḍha), 'થ્થ'(tha + tha)와 같다.
- 'શ'(''ś(a)'')는 'વ'(va), 'ન'(na), 'ચ'(ca), 'ર'(ra) 앞에 올 때 특별한 모양으로 바뀐다. 예: 'શ્વ'(śva), 'શ્ન'(śna), 'શ્ચ'(śca), 'શ્ર'(śra).
- 'ર'(''r(a)'')
- 첫 번째 구성원으로서: 최종 문자 또는 ''kāno'' 위에 곡선 모양으로 표시된다. 예: 'ર્ભ'(rbha), 'ર્ભા'(rbhā), 'ર્ગ્મ'(rgma), 'ર્ગ્મા'(rgmā).
- 마지막 구성원으로서:
- 'છ'(chha), 'ટ'(ṭa), 'ઠ'(ṭha), 'ડ'(ḍa), 'ઢ'(ḍha), 'દ'(da)와 결합할 때는 문자 아래에 두 개의 줄로 표시된다. 예: છ્ર, ટ્ર, ઠ્ર, ડ્ર, ઢ્ર, દ્ર.
- 그 외의 경우에는 왼쪽 아래로 뻗는 대각선 형태로 결합된다. 예: ક્ર, ગ્ર, ભ્ર.
- 'ત'(ta)는 위로 이동하여 'ત્ર'(tra)를 형성한다.
- 'શ'(''ś(a)'')는 'શ્ર'(śra)로 바뀐다.
- 쌍자음 'ṭṭa', 'ṭhṭha', 'ḍḍa', 'ḍhḍha'는 수직으로 조합된다. (예: ટ્ટ, ઠ્ઠ, ડ્ડ, ઢ્ઢ)
- 구자라트 문자는 자체적인 문자를 가진 별도의 스크립트이지만, 결합 문자의 경우 데바나가리 문자 버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 શ્ચ ''śca'')
- 'દ'(''d(a)'')는 'ગ'(ga), 'ઘ'(gha), 'ધ'(dha), 'બ'(ba), 'ભ'(bha), 'વ'(va), 'મ'(ma), 'ર'(ra) 앞에 올 때, 데바나가리 문자의 'द' 형태로 나타난다. 예: 'દ્ગ'(dga), 'દ્ઘ'(dgha), 'દ્ધ'(ddha), 'દ્બ'(dba), 'દ્ભ'(dbha), 'દ્વ'(dva), 'દ્મ'(dma), 'દ્ર'(dra).
- 'હ'(''h(a)'')는 'ન'(na), 'મ'(ma), 'ય'(ya), 'ર'(ra), 'વ'(va), 'ઋ'(ṛ) 앞에 올 때, 데바나가리 문자 'ह' 형태로 결합한다. 예: 'હ્ન'(hna), 'હ્મ'(hma), 'હ્ય'(hya), 'હ્ર'(hra), 'હ્વ'(hva), 'હૃ'(hṛ).
- 'ઙ'(''ṅa'')와 'ઞ'(''ña'')가 첫 번째 구성원일 때, 데바나가리 문자의 'क'(ka), 'च'(ca), 'ज'(ja)를 두 번째 구성원으로 사용한다. 예: 'ઙ્ક'(ṅka), 'ઙ્ગ'(ṅga), 'ઙ્ઘ'(ṅgha), 'ઙ્ક્ષ'(ṅkṣa), 'ઞ્ચ'(ñca), 'ઞ્જ'(ñja).
- 나머지 수직 획이 없는 문자들은 서로 가깝게 붙여 쓴다. (예: 'ક્ય'(kya), 'જ્જ'(jja))
- 특별한 형태: 'ન્ન'(nna), 'ત્ત'(tta), 'દ્દ'(dda), 'દ્ય'(dya).
자음 클러스터는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구자라트어는 분석어적인 특징을 가지며, 음성적으로 단순한 단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음 클러스터는 산스크리트어 차용어에서 주로 나타난다.
ક | ખ | ગ | ઘ | ઙ | ચ | છ | જ | ઝ | ઞ | ટ | ઠ | ડ | ઢ | ણ | ત | થ | દ | ધ | ન | પ | ફ | બ | ભ | મ | ય | ર | લ | ળ | વ | શ | ષ | સ | હ | |
---|---|---|---|---|---|---|---|---|---|---|---|---|---|---|---|---|---|---|---|---|---|---|---|---|---|---|---|---|---|---|---|---|---|---|
ક | ક્ક | ક્ખ | ક્ગ | ક્ઘ | ક્ઙ | ક્ચ | ક્છ | ક્જ | ક્ઝ | ક્ઞ | ક્ટ | ક્ઠ | ક્ડ | ક્ઢ | ક્ણ | ક્ત | ક્થ | ક્द | ક્ધ | ક્ન | ક્પ | ક્ફ | ક્બ | ક્ભ | ક્મ | ક્ય | ક્ર | ક્લ | ક્ળ | ક્વ | ક્શ | ક્ષ | ક્સ | ક્હ |
ખ | ખ્ક | ખ્ખ | ખ્ગ | ખ્ઘ | ખ્ઙ | ખ્ચ | ખ્છ | ખ્જ | ખ્ઝ | ખ્ઞ | ખ્ટ | ખ્ઠ | ખ્ડ | ખ્ઢ | ખ્ણ | ખ્ત | ખ્થ | ખ્द | ખ્ધ | ખ્ન | ખ્પ | ખ્ફ | ખ્બ | ખ્ભ | ખ્મ | ખ્ય | ખ્ર | ખ્લ | ખ્ળ | ખ્વ | ખ્શ | ખ્ષ | ખ્સ | ખ્હ |
ગ | ગ્ક | ગ્ખ | ગ્ગ | ગ્ઘ | ગ્ઙ | ગ્ચ | ગ્છ | ગ્જ | ગ્ઝ | ગ્ઞ | ગ્ટ | ગ્ઠ | ગ્ડ | ગ્ઢ | ગ્ણ | ગ્ત | ગ્થ | ગ્द | ગ્ધ | ગ્ન | ગ્પ | ગ્ફ | ગ્બ | ગ્ભ | ગ્મ | ગ્ય | ગ્ર | ગ્લ | ગ્ળ | ગ્વ | ગ્શ | ગ્ષ | ગ્સ | ગ્હ |
ઘ | ઘ્ક | ઘ્ખ | ઘ્ગ | ઘ્ઘ | ઘ્ઙ | ઘ્ચ | ઘ્છ | ઘ્જ | ઘ્ઝ | ઘ્ઞ | ઘ્ટ | ઘ્ઠ | ઘ્ડ | ઘ્ઢ | ઘ્ણ | ઘ્ત | ઘ્થ | ઘ્द | ઘ્ધ | ઘ્ન | ઘ્પ | ઘ્ફ | ઘ્બ | ઘ્ભ | ઘ્મ | ઘ્ય | ઘ્ર | ઘ્લ | ઘ્ળ | ઘ્વ | ઘ્શ | ઘ્ષ | ઘ્સ | ઘ્હ |
ઙ | ઙ્ક | ઙ્ખ | ઙ્ગ | ઙ્ઘ | ઙ્ઙ | ઙ્ચ | ઙ્છ | ઙ્જ | ઙ્ઝ | ઙ્ઞ | ઙ્ટ | ઙ્ઠ | ઙ્ડ | ઙ્ઢ | ઙ્ણ | ઙ્ત | ઙ્થ | ઙ્द | ઙ્ધ | ઙ્ન | ઙ્પ | ઙ્ફ | ઙ્બ | ઙ્ભ | ઙ્મ | ઙ્ય | ઙ્ર | ઙ્લ | ઙ્ળ | ઙ્વ | ઙ્શ | ઙ્ષ | ઙ્સ | ઙ્હ |
ચ | ચ્ક | ચ્ખ | ચ્ગ | ચ્ઘ | ચ્ઙ | ચ્ચ | ચ્છ | ચ્જ | ચ્ઝ | ચ્ઞ | ચ્ટ | ચ્ઠ | ચ્ડ | ચ્ઢ | ચ્ણ | ચ્ત | ચ્થ | ચ્દ | ચ્ધ | ચ્ન | ચ્પ | ચ્ફ | ચ્બ | ચ્ભ | ચ્મ | ચ્ય | ચ્ર | ચ્લ | ચ્ળ | ચ્વ | ચ્શ | ચ્ષ | ચ્સ | ચ્હ |
છ | છ્ક | છ્ખ | છ્ગ | છ્ઘ | છ્ઙ | છ્ચ | છ્છ | છ્જ | છ્ઝ | છ્ઞ | છ્ટ | છ્ઠ | છ્ડ | છ્ઢ | છ્ણ | છ્ત | છ્થ | છ્દ | છ્ધ | છ્ન | છ્પ | છ્ફ | છ્બ | છ્ભ | છ્મ | છ્ય | છ્ર | છ્લ | છ્ળ | છ્વ | છ્શ | છ્ષ | છ્સ | છ્હ |
જ | જ્ક | જ્ખ | જ્ગ | જ્ઘ | જ્ઙ | જ્ચ | જ્છ | જ્જ | જ્ઝ | જ્ઞ | જ્ટ | જ્ઠ | જ્ડ | જ્ઢ | જ્ણ | જ્ત | જ્થ | જ્દ | જ્ધ | જ્ન | જ્પ | જ્ફ | જ્ब | જ્ભ | જ્મ | જ્ય | જ્ર | જ્લ | જ્ળ | જ્વ | જ્શ | જ્ષ | જ્સ | જ્હ |
ઝ | ઝ્ક | ઝ્ખ | ઝ્ગ | ઝ્ઘ | ઝ્ઙ | ઝ્ચ | ઝ્છ | ઝ્જ | ઝ્ઝ | ઝ્ઞ | ઝ્ટ | ઝ્ઠ | ઝ્ડ | ઝ્ઢ | ઝ્ણ | ઝ્ત | ઝ્થ | ઝ્દ | ઝ્ધ | ઝ્ન | ઝ્પ | ઝ્ફ | ઝ્બ | ઝ્ભ | ઝ્મ | ઝ્ય | ઝ્ર | ઝ્લ | ઝ્ળ | ઝ્વ | ઝ્શ | ઝ્ષ | ઝ્સ | ઝ્હ |
ઞ | ઞ્ક | ઞ્ખ | ઞ્ગ | ઞ્ઘ | ઞ્ઙ | ઞ્ચ | ઞ્છ | ઞ્જ | ઞ્ઝ | ઞ્ઞ | ઞ્ટ | ઞ્ઠ | ઞ્ડ | ઞ્ઢ | ઞ્ણ | ઞ્ત | ઞ્થ | ઞ્દ | ઞ્ધ | ઞ્ન | ઞ્પ | ઞ્ફ | ઞ્બ | ઞ્ભ | ઞ્મ | ઞ્ય | ઞ્ર | ઞ્લ | ઞ્ળ | ઞ્વ | ઞ્શ | ઞ્ષ | ઞ્સ | ઞ્હ |
ટ | ટ્ક | ટ્ખ | ટ્ગ | ટ્ઘ | ટ્ઙ | ટ્ચ | ટ્છ | ટ્જ | ટ્ઝ | ટ્ઞ | ટ્ટ | ટ્ઠ | ટ્ડ | ટ્ઢ | ટ્ણ | ટ્ત | ટ્થ | ટ્દ | ટ્ધ | ટ્ન | ટ્પ | ટ્ફ | ટ્બ | ટ્ભ | ટ્મ | ટ્ય | ટ્ર | ટ્લ | ટ્ળ | ટ્વ | ટ્શ | ટ્ષ | ટ્સ | ટ્હ |
ઠ | ઠ્ક | ઠ્ખ | ઠ્ગ | ઠ્ઘ | ઠ્ઙ | ઠ્ચ | ઠ્છ | ઠ્જ | ઠ્ઝ | ઠ્ઞ | ઠ્ટ | ઠ્ઠ | ઠ્ડ | ઠ્ઢ | ઠ્ણ | ઠ્ત | ઠ્થ | ઠ્દ | ઠ્ધ | ઠ્ન | ઠ્પ | ઠ્ફ | ઠ્બ | ઠ્ભ | ઠ્મ | ઠ્ય | ઠ્ર | ઠ્લ | ઠ્ળ | ઠ્વ | ઠ્શ | ઠ્ષ | ઠ્સ | ઠ્હ |
ડ | ડ્ક | ડ્ખ | ડ્ગ | ડ્ઘ | ડ્ઙ | ડ્ચ | ડ્છ | ડ્જ | ડ્ઝ | ડ્ઞ | ડ્ટ | ડ્ઠ | ડ્ડ | ડ્ઢ | ડ્ણ | ડ્ત | ડ્થ | ડ્દ | ડ્ધ | ડ્ન | ડ્પ | ડ્ફ | ડ્બ | ડ્ભ | ડ્મ | ડ્ય | ડ્ર | ડ્લ | ડ્ળ | ડ્વ | ડ્શ | ડ્ષ | ડ્સ | ડ્હ |
ઢ | ઢ્ક | ઢ્ખ | ઢ્ગ | ઢ્ઘ | ઢ્ઙ | ઢ્ચ | ઢ્છ | ઢ્જ | ઢ્ઝ | ઢ્ઞ | ઢ્ટ | ઢ્ઠ | ઢ્ડ | ઢ્ઢ | ઢ્ણ | ઢ્ત | ઢ્થ | ઢ્દ | ઢ્ધ | ઢ્ન | ઢ્પ | ઢ્ફ | ઢ્બ | ઢ્ભ | ઢ્મ | ઢ્ય | ઢ્ર | ઢ્લ | ઢ્ળ | ઢ્વ | ઢ્શ | ઢ્ષ | ઢ્સ | ઢ્હ |
ણ | ણ્ક | ણ્ખ | ણ્ગ | ણ્ઘ | ણ્ઙ | ણ્ચ | ણ્છ | ણ્જ | ણ્ઝ | ણ્ઞ | ણ્ટ | ણ્ઠ | ણ્ડ | ણ્ઢ | ણ્ણ | ણ્ત | ણ્થ | ણ્દ | ણ્ધ | ણ્ન | ણ્પ | ણ્ફ | ણ્બ | ણ્ભ | ણ્મ | ણ્ય | ણ્ર | ણ્લ | ણ્ળ | ણ્વ | ણ્શ | ણ્ષ | ણ્સ | ણ્હ |
ત | ત્ક | ત્ખ | ત્ગ | ત્ઘ | ત્ઙ | ત્ચ | ત્છ | ત્જ | ત્ઝ | ત્ઞ | ત્ટ | ત્ઠ | ત્ડ | ત્ઢ | ત્ણ | ત્ત | ત્થ | ત્દ | ત્ધ | ત્ન | ત્પ | ત્ફ | ત્બ | ત્ભ | ત્મ | ત્ય | ત્ર | ત્લ | ત્ળ | ત્વ | ત્श | ત્ષ | ત્સ | ત્હ |
થ | થ્ક | થ્ખ | થ્ગ | થ્ઘ | થ્ઙ | થ્ચ | થ્છ | થ્જ | થ્ઝ | થ્ઞ | થ્ટ | થ્ઠ | થ્ડ | થ્ઢ | થ્ણ | થ્ત | થ્થ | થ્દ | થ્ધ | થ્ન | થ્પ | થ્ફ | થ્બ | થ્ભ | થ્મ | થ્ય | થ્ર | થ્લ | થ્ળ | થ્વ | થ્શ | થ્ષ | થ્સ | થ્હ |
દ | દ્ક | દ્ખ | દ્ગ | દ્ઘ | દ્ઙ | દ્ચ | દ્છ | દ્જ | દ્ઝ | દ્ઞ | દ્ટ | દ્ઠ | દ્ડ | દ્ઢ | દ્ણ | દ્ત | દ્થ | દ્દ | દ્ધ | દ્ન | દ્પ | દ્ફ | દ્બ | દ્ભ | દ્મ | દ્ય | દ્ર | દ્લ | દ્ળ | દ્વ | દ્શ | દ્ષ | દ્સ | દ્હ |
ધ | ધ્ક | ધ્ખ | ધ્ગ | ધ્ઘ | ધ્ઙ | ધ્ચ | ધ્છ | ધ્જ | ધ્ઝ | ધ્ઞ | ધ્ટ | ધ્ઠ | ધ્ડ | ધ્ઢ | ધ્ણ | ધ્ત | ધ્થ | ધ્દ | ધ્ધ | ધ્ન | ધ્પ | ધ્ફ | ધ્બ | ધ્ભ | ધ્મ | ધ્ય | ધ્ર | ધ્લ | ધ્ળ | ધ્વ | ધ્શ | ધ્ષ | ધ્સ | ધ્હ |
ન | ન્ક | ન્ખ | ન્ગ | ન્ઘ | ન્ઙ | ન્ચ | ન્છ | ન્જ | ન્ઝ | ન્ઞ | ન્ટ | ન્ઠ | ન્ડ | ન્ઢ | ન્ણ | ન્ત | ન્થ | ન્દ | ન્ધ | ન્ન | ન્પ | ન્ફ | ન્બ | ન્ભ | ન્મ | ન્ય | ન્ર | ન્લ | ન્ળ | ન્વ | ન્શ | ન્ષ | ન્સ | ન્હ |
પ | પ્ક | પ્ખ | પ્ગ | પ્ઘ | પ્ઙ | પ્ચ | પ્છ | પ્જ | પ્ઝ | પ્ઞ | પ્ટ | પ્ઠ | પ્ડ | પ્ઢ | પ્ણ | પ્ત | પ્થ | પ્દ | પ્ધ | પ્ન | પ્પ | પ્ફ | પ્બ | પ્ભ | પ્મ | પ્ય | પ્ર | પ્લ | પ્ળ | પ્વ | પ્શ | પ્ષ | પ્સ | પ્હ |
ફ | ફ્ક | ફ્ખ | ફ્ગ | ફ્ઘ | ફ્ઙ | ફ્ચ | ફ્છ | ફ્જ | ફ્ઝ | ફ્ઞ | ફ્ટ | ફ્ઠ | ફ્ડ | ફ્ઢ | ફ્ણ | ફ્ત | ફ્થ | ફ્દ | ફ્ધ | ફ્ન | ફ્પ | ફ્ફ | ફ્બ | ફ્ભ | ફ્મ | ફ્ય | ફ્ર | ફ્લ | ફ્ળ | ફ્વ | ફ્શ | ફ્ષ | ફ્સ | ફ્હ |
બ | બ્ક | બ્ખ | બ્ગ | બ્ઘ | બ્ઙ | બ્ચ | બ્છ | બ્જ | બ્ઝ | બ્ઞ | બ્ટ | બ્ઠ | બ્ડ | બ્ઢ | બ્ણ | બ્ત | બ્થ | બ્દ | બ્ધ | બ્ન | બ્પ | બ્ફ | બ્બ | બ્ભ | બ્મ | બ્ય | બ્ર | બ્લ | બ્ળ | બ્વ | બ્શ | બ્ષ | બ્સ | બ્હ |
ભ | ભ્ક | ભ્ખ | ભ્ગ | ભ્ઘ | ભ્ઙ | ભ્ચ | ભ્છ | ભ્જ | ભ્ઝ | ભ્ઞ | ભ્ટ | ભ્ઠ | ભ્ડ | ભ્ઢ | ભ્ણ | ભ્ત | ભ્થ | ભ્દ | ભ્ધ | ભ્ન | ભ્પ | ભ્ફ | ભ્બ | ભ્ભ | ભ્મ | ભ્ય | ભ્ર | ભ્લ | ભ્ળ | ભ્વ | ભ્શ | ભ્ષ | ભ્સ | ભ્હ |
મ | મ્ક | મ્ખ | મ્ગ | મ્ઘ | મ્ઙ | મ્ચ | મ્છ | મ્જ | મ્ઝ | મ્ઞ | મ્ટ | મ્ઠ | મ્ડ | મ્ઢ | મ્ણ | મ્ત | મ્થ | મ્દ | મ્ધ | મ્ન | મ્પ | મ્ફ | મ્બ | મ્ભ | મ્મ | મ્ય | મ્ર | મ્લ | મ્ળ | મ્વ | મ્શ | મ્ષ | મ્સ | મ્હ |
ય | ય્ક | ય્ખ | ય્ગ | ય્ઘ | ય્ઙ | ય્ચ | ય્છ | ય્જ | ય્ઝ | ય્ઞ | ય્ટ | ય્ઠ | ય્ડ | ય્ઢ | ય્ણ | ય્ત | ય્થ | ય્દ | ય્ધ | ય્ન | ય્પ | ય્ફ | ય્બ | ય્ભ | ય્મ | ય્ય | ય્ર | ય્લ | ય્ળ | ય્વ | ય્શ | ય્ષ | ય્સ | ય્હ |
ર | ર્ક | ર્ખ | ર્ગ | ર્ઘ | ર્ઙ | ર્ચ | ર્છ | ર્જ | ર્ઝ | ર્ઞ | ર્ટ | ર્ઠ | ર્ડ | ર્ઢ | ર્ણ | ર્ત | ર્થ | ર્દ | ર્ધ | ર્ન | ર્પ | ર્ફ | ર્બ | ર્ભ | ર્મ | ર્ય | ર્ર | ર્લ | ર્ળ | ર્વ | ર્શ | ર્ષ | ર્સ | ર્હ |
લ | લ્ક | લ્ખ | લ્ગ | લ્ઘ | લ્ઙ | લ્ચ | લ્છ | લ્જ | લ્ઝ | લ્ઞ | લ્ટ | લ્ઠ | લ્ડ | લ્ઢ | લ્ણ | લ્ત | લ્થ | લ્દ | લ્ધ | લ્ન | લ્પ | લ્ફ | લ્બ | લ્ભ | લ્મ | લ્ય | લ્ર | લ્લ | લ્ળ | લ્વ | લ્શ | લ્ષ | લ્સ | લ્હ |
ળ | ળ્ક | ળ્ખ | ળ્ગ | ળ્ઘ | ળ્ઙ | ળ્ચ | ળ્છ | ળ્જ | ળ્ઝ | ળ્ઞ | ળ્ટ | ળ્ઠ | ળ્ડ | ળ્ઢ | ળ્ણ | ળ્ત | ળ્થ | ળ્દ | ળ્ધ | ળ્ન | ળ્પ | ળ્ફ | ળ્બ | ળ્ભ | ળ્મ | ળ્ય | ળ્ર | ળ્લ | ળ્ળ | ળ્વ | ળ્શ | ળ્ષ | ળ્સ | ળ્હ |
વ | વ્ક | વ્ખ | વ્ગ | વ્ઘ | વ્ઙ | વ્ચ | વ્છ | વ્જ | વ્ઝ | વ્ઞ | વ્ટ | વ્ઠ | વ્ડ | વ્ઢ | વ્ણ | વ્ત | વ્થ | વ્દ | વ્ધ | વ્ન | વ્પ | વ્ફ | વ્બ | વ્ભ | વ્મ | વ્ય | વ્ર | વ્લ | વ્ળ | વ્વ | વ્શ | વ્ષ | વ્સ | વ્હ |
શ | શ્ક | શ્ખ | શ્ગ | શ્ઘ | શ્ઙ | શ્ચ | શ્છ | શ୍જ | શ્ઝ | શ્ઞ | શ્ટ | શ્ઠ | શ્ડ | શ્ઢ | શ્ણ | શ્ત | શ્થ | શ્દ | શ્ધ | શ્ન | શ્પ | શ્ફ | શ્બ | શ્ભ | શ્મ | શ્ય | શ્ર | શ્લ | શ્ળ | શ્વ | શ્શ | શ્ષ | શ્સ | શ્હ |
ષ | ષ્ક | ષ્ખ | ષ્ગ | ષ્ઘ | ષ્ઙ | ષ્ચ | ષ્છ | ષ્જ | ષ્ઝ | ષ્ઞ | ષ્ટ | ષ્ઠ | ષ્ડ | ષ્ઢ | ષ્ણ | ષ્ત | ષ્થ | ષ્દ | ષ્ધ | ષ્ન | ષ્પ | ષ્ફ | ષ્બ | ષ્ભ | ષ્મ | ષ્ય | ષ્ર | ષ્લ | ષ્ળ | ષ્વ | ષ્શ | ષ્ષ | ષ્સ | ષ્હ |
સ | સ્ક | સ્ખ | સ્ગ | સ્ઘ | સ્ઙ | સ્ચ | સ્છ | સ્જ | સ્ઝ | સ્ઞ | સ્ટ | સ્ઠ | સ્ડ | સ્ઢ | સ્ણ | સ્ત | સ્થ | સ્દ | સ્ધ | સ્ન | స్ప | સ્ફ | સ્બ | സ്ഭ | സ്മ | സ્ય | സ്ര | സ്ല | സ്ળ | സ്വ | സ്ശ | സ്ഷ | സ്സ | സ്ഹ |
હ | હ્ક | હ્ખ | હ્ગ | હ્ઘ | હ્ઙ | હ્ચ | હ્છ | હ્જ | હ્ઝ | હ્ઞ | હ્ટ | હ્ઠ | હ્ડ | હ્ઢ | હ્ણ | હ્ત | હ્થ | હ્દ | હ્ધ | હ્ન | હ્પ | હ્ફ | હ્બ | હ્ભ | હ્મ | હ્ય | હ્ર | હ્લ | હ્ળ | હ્વ | હ્શ | હ્ષ | હ્સ | હ્હ |
7. 로마자 표기
구자라트어는 마시카/Masica영어(1991)에 요약된 "표준 동양학적" '''음역'''으로 위키백과 전체에서 로마자 표기된다. 이는 "본질적으로 인도 문자에서 음역하는 시스템이며, [그리고] 산스크리트어를 기반으로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래점은 권설 자음을 나타낸다. 장음 부호는 어원적으로, 대조적으로 장모음을 나타내며, ''h''는 유기음 파열음을 나타낸다. 물결표는 비모음을 나타내고, 밑줄은 조음 모음을 나타낸다.
''f''는 가 로 널리 실현되는 것을 나타내며, ''ph''와 상호 교환하여 사용된다. 새로운 문자 ઍ 와 ઑ 에 대해서는 ''â''와 ''ô''를 사용한다. 탈락이 불확실한 의 경우 ''ǎ''를 사용한다.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치경음 | 권설음 | 후치경음/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p ph | b bh | colspan="2" | | t th | d dh | colspan="2" | | ṭ ṭh | ḍ ḍh | colspan="2" | | k kh | g gh | colspan="2" | | ||
파찰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 ch | j jh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비음 | m | colspan="2" | | colspan="2" | | n | ṇ | ñ | ṅ | colspan="2" | | ||||||
마찰음 | colspan="2" | | colspan="2" | | s | ṣ | ś | h | ||||||||
탄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r | ṛ ṛh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접근음 | colspan="2" | | v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y | colspan="2" | | colspan="2" | | ||||||
설측 접근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l | ḷ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8. 유니코드
구자라트 문자는 1991년 10월 버전 1.0 릴리스와 함께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으며, U+0A80–U+0AFF 블록에 할당되어 있다.
구자라트 문자 [https://www.unicode.org/charts/PDF/U0A8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0A8x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 | ં |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અ | આ | ઇ | ઈ | ઉ | ઊ | ઋ | ઌ | ઍ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એ |
U+0A9x | ઐ | ઑ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ઓ | ઔ | ક | ખ | ગ | ઘ | ઙ | ચ | છ | જ | ઝ | ઞ | ટ |
U+0AAx | ઠ | ડ | ઢ | ણ | ત | થ | દ | ધ | ન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પ | ફ | બ | ભ | મ | ય |
U+0ABx | ર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લ | ળ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વ | શ | ષ | સ | હ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 | ઽ | ા | િ |
U+0ACx | ી | ુ | ૂ | ૃ | ૄ |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 | ૈ |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 | ૌ |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U+0ADx | ૐ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U+0AEx | ૠ | ૡ | ૢ |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૦ | ૧ | ૨ | ૩ | ૪ | ૫ | ૬ | ૭ | ૮ | ૯ |
U+0AFx | ૰ |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title="Reserved" style="background-color:var(--background-color-disabled,#c8ccd1);color:inherit;" | | ૹ | ૺ | ૻ | ૼ | ૽ | ૾ | ૿ |
참고 |
구두점(。)은 구자라트 문자 틀에는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데바나가리에서 정의된 U+0964를 이용한다(다만, 향후 U+0AE4로 정의될 가능성은 있다). "'''?'''"와 "''','''"는 영문과 완전히 동일하다.
9. 키보드 레이아웃
윈도우 XP, 윈도우 서버 2003 이후의 운영 체제에서는 해당 텍스트 처리 시스템을 설치하면 키보드로 구자라트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설치 방법 등 자세한 내용은 Help:다국어 지원 (인도 문자)를 참조한다.
다음은 Windows용 구자라트어 키보드 배열이다.
10. ISCII
정보 교환을 위한 인도 스크립트 코드 (ISCII)에서 구자라트 문자의 코드 페이지 식별자는 57010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criptSource - Gujarati
http://scriptsource.[...]
2017-02-13
[2]
서적
Indian Epigra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3]
뉴스
Mahajans ate away Gujarati's 'top line'
https://timesofindia[...]
2014-02-21
[4]
논문
A Gujarati Origin for Scripts of Sumatra, Sulawesi and the Philippines
https://escholarship[...]
[5]
웹사이트
Sanskrit Alphabet
http://www.user.uni-[...]
2020-03-14
[6]
참고문헌
Mistry 1996
[7]
참고문헌
Tisdall 1892
[8]
참고문헌
Cardona & Suthar 2003
[9]
참고문헌
Mistry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