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00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06년은 서기 1006년에 일어난 사건들을 다루는 연도별 문서이다. 북송, 요, 고려 등 여러 국가에서 연호를 사용했으며, 4월 30일에는 역사상 가장 밝은 초신성인 SN 1006이 늑대자리에서 발생하여 세계 각지에서 관측되었다. 자바섬의 메라피 산에서 대규모 화산 폭발이 있었고, 유럽에서는 바이킹 약탈과 해전이 벌어졌다. 이 해에는 문언박, 콘스탄티누스 10세 두카스 등이 태어났고, 풀크랑, 가오충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006년

2. 연호

3. 기년

4. 사건

4월 30일~5월 1일경 - 뱀주인자리에 초신성(SN 1006)이 출현. 기록상 태양을 제외하고 가장 밝은 천체(-9등급 정도)였다.

4월 30일 – 역사상 가장 밝은 초신성SN 1006이 늑대자리에서 발생하였다. 이는 중국, 일본, 이라크, 이집트, 유럽에서 관측되고 기록되었으며, 북아메리카의 암각화에도 묘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 천문학자들은 이 초신성의 거리를 약 7,200 광년으로 추정한다. 이 초신성은 달이 없는 어두운 밤에도 책을 읽을 수 있을 정도의 빛을 냈다.[3]

자와섬의 메라피 산에서 대규모 분화가 일어나 섬 중앙부를 초토화시키고(화산재로 덮음) 자바의 힌두교 마타람 왕국에 피해를 입혔다.[2]

여름 – 아랍 사라센 함대가 피사 앞에 나타났지만, 다시 떠나갔다. 피사군은 함대를 바다로 이끌고 아랍군을 이탈리아 남부까지 추격하여 레조 디 칼라브리아 해전에서 피사 함대가 아랍군을 격파했다.[1]

여름~가을 – 스벤 포크비어드가 이끄는 덴마크 바이킹 약탈자들이 와이트 섬에서 템스 밸리의 레딩까지 잉글랜드 남동부를 약탈했으며, 그들은 월링포드 강 건너편에서 겨울을 보냈다.[1]

브라이언 보루는 얼스터를 방문했고, 아무런 도전을 받지 않았다.

4. 1. 지역별



=== 유럽 ===

  • 여름 – 아랍 사라센 함대가 피사 앞에 나타났지만, 다시 떠나갔다. 피사군은 함대를 바다로 이끌고 아랍군을 이탈리아 남부까지 추격하여 레조 디 칼라브리아 해전에서 피사 함대가 아랍군을 격파했다.[1]
  • 여름~가을 – 스벤 포크비어드가 이끄는 덴마크 바이킹 약탈자들이 와이트 섬에서 템스 밸리의 레딩까지 잉글랜드 남동부를 약탈했으며, 그들은 월링포드 강 건너편에서 겨울을 보냈다.[1]
  • 브라이언 보루는 얼스터를 방문했고, 아무런 도전을 받지 않았다.

4. 1. 1. 아시아

4. 1. 2. 유럽


  • 여름 – 아랍 사라센 함대가 피사 앞에 나타났지만, 다시 떠나갔다. 피사군은 함대를 바다로 이끌고 아랍군을 이탈리아 남부까지 추격하여 레조 디 칼라브리아 해전에서 피사 함대가 아랍군을 격파했다.[1]
  • 여름~가을 – 스벤 포크비어드가 이끄는 덴마크 바이킹 약탈자들이 와이트 섬에서 템스 밸리의 레딩까지 잉글랜드 남동부를 약탈했으며, 그들은 월링포드 강 건너편에서 겨울을 보냈다.[1]
  • 브라이언 보루는 얼스터를 방문했고, 아무런 도전을 받지 않았다.

4. 2. 주제별

4. 2. 1. 천문

5. 탄생


  • 10월 23일 - 문언박(Wen Yanbo), 중서령(grand chancellor) (1097년 사망)
  • 아부 알 하산 알 라흐미(Abu al-Hassan al-Lakhmi), 파티마 왕조 학자이자 법학자 (1085년 사망)
  • 콘스탄티누스 10세 두카스(Constantine X Doukas), 비잔틴 제국 황제 (1067년 사망)
  • 이스레이푸르 기스라르손(Ísleifur Gissurarson), 아이슬란드 주교 (1080년 사망)
  • 호자 압둘라 안사리(Khwaja Abdullah Ansari), 페르시아 수피 시인 (1088년 사망)
  • 날짜 불명 - 콘스탄티노스 10세 두카스, 동로마 제국 두카스 왕조의 초대 황제 (1067년)
  • 날짜 불명 - 원언박, 북송재상 (1097년)

6. 사망


  • 2월 13일 – 풀크랑, 로데브 교구의 주교(프랑스)
  • 7월 21일 – 부르군디의 기젤라, 바이에른 공작령의 공작부인
  • 12월 26일 – 가오충, 중국 장군 (935년 출생)
  • 요크의 앨프헬름, 노섬브리아 왕국의 잉글랜드 귀족 (''공작'')
  • 아존 (또는 아토), 프랑스 고위 성직자
  • 피아크라 우아 포카르타, 클론퍼트의 수도원장 (아일랜드)
  • 조반니 오르세올로, 베네치아 귀족 (981년 출생)
  • 이븐 마르주반, 페르시아 관료이자 의사
  • 노르망디의 모드, 프랑스 귀족 부인
  • 올라프 더 피콕, 아이슬란드 상인
  • 셰리라 가온, 유대교 정신 지도자
  • 켄울프, 윈체스터 교구의 주교 (추정)

참조

[1] 서적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Century
[2] 웹사이트 A history of Merapi http://volcano.und.e[...] 2007-02-20
[3] 서적 Supernova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