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52년은 몽골 제국이 다이 비엣을 침략하고, 흑사병이 잉글랜드에 만연하기 시작한 해이다. 고려에서는 충정왕이 공민왕에게 살해당하고, 공민왕이 즉위하여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일본에서는 고곤 천황이 북조의 천황이 되었으며, 남북조 시대의 혼란이 지속되었다. 중국에서는 홍건적의 난이 발발하였고, 주원장이 이에 참여했다. 유럽에서는 흑사병이 창궐하고, 글라루스주와 추크주가 구 스위스 연방에 가입했으며,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설립되었다. 또한 교황 클레멘스 6세가 사망하고, 교황 인노첸시오 6세가 즉위했다. 주요 인물로는 권근, 충정왕, 공민왕, 아시카가 타다요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52년 | |
---|---|
개요 | |
연도 | 1352년 |
간지 | 임진년(壬辰年) |
세기 | 14세기 |
한국사 | |
국가 | 고려 |
왕 | 공민왕 1년 |
2. 역사
- 고려 공민왕 원년
- * 충정왕이 강화도에서 숙부 공민왕에게 죽임을 당했다.(16세)
- *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간 갈등이 심화되었다.
- * 원나라 쇠퇴와 홍건적 침입 등 외세 위협이 있었다.
- * 공민왕의 개혁 정치가 추진되었다.
- * 간지는 임진이다.
- * 단기 3685년
- 일본 쇼헤이 7년 / 간노 3년, 분나 원년
- * 9월 25일 고곤 천황이 일본 북조의 4대 천황이 되었다.[1]
- * 남북조 시대의 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다음과 같은 전투들이 벌어졌다.
- ** 1월 삿타 고개의 싸움: 아시카가 타카우지가 아시카가 타다요시를 격파하였다.
- ** 3월 12일 관응의 혼란 종결: 아시카가 타카우지에게 항복한 아시카가 타다요시가 가마쿠라에서 급사하였다.
- ** 5월-6월 무사시노 전투: 닛타 요시무네, 닛타 요시아키가 아시카가 타카우지를 격파하고 가마쿠라를 점거하였으나, 이후 타카우지가 탈환하였다.
- ** 5월-7월 하치만의 싸움: 쿠스노키 마사노리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라를 격파하고 교토를 점거하였으나, 이후 요시아키라가 탈환하였다.
- * 쇼헤이 일통이 종료되고, 북조가 부활하여 다시 두 개의 조정이 병립하는 상태가 되었다.
- 원나라 지정 12년 (원 혜종 20년)
- * 가난한 중국 농부였던 주원장이 몽골족이 이끄는 원나라에 대항하는 홍건적의 난에 참여하였다. 주원장은 이후 명나라를 건국하고 첫 번째 황제가 된다.[4]
- 유럽
- * 흑사병이 잉글랜드에 만연하기 시작했다.[1]
- * 6월 4일 글라루스주가, 6월 27일 추크주가 구 스위스 연방에 가입했다.[2]
- * 10월 1352–1357년 비잔틴 내전 중 데모티카 전투에서 요안니스 6세 칸타쿠제노스의 동맹국인 오스만 베이릭국이 세르비아 제국을 상대로 유럽 대륙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다.[3]
- * 11월 7일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가 설립되었다.[4]
- * 12월 18일 교황 인노첸시오 6세가 교황 클레멘스 6세의 뒤를 이어 199대 교황이 되었다.
- * 쉴레이만 파샤 (오르한의 아들)는 황제 요안니스 6세 칸타쿠제노스로부터 갈리폴리 반도의 침페 성을 하사받았다.[5]
- 베트남
- * 쩐 왕조 티에우퐁 12년[1]
- * 쩐 왕조 유종 12년[1]
2. 1. 고려
고려 공민왕 원년- 충정왕이 강화도에서 숙부 공민왕에게 죽임을 당했다.(16세)
-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간 갈등이 심화되었다.
- 원나라 쇠퇴와 홍건적 침입 등 외세 위협이 있었다.
- 공민왕의 개혁 정치가 추진되었다.
- 간지는 임진이다.
- 단기 3685년
2. 1. 1. 주요 인물
- 11월 6일 - 권근: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1]
- 3월 7일 - 충정왕(忠定王|충정왕중국어): 고려 제30대 국왕. 강화도에서 숙부인 공민왕에게 죽임을 당했다. 당시 16세였다.
- 12월 6일 - 교황 클레멘스 6세: 198대 로마 교황[3]
- 공민왕: 고려 제31대 국왕
2. 2. 일본
쇼헤이 7년 / 간노 3년, 분나 원년 9월 25일 고곤 천황이 일본 북조의 4대 천황이 되었다.[1] 남북조 시대의 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다음과 같은 전투들이 벌어졌다.- 1월 삿타 고개의 싸움: 아시카가 타카우지가 아시카가 타다요시를 격파하였다.
- 3월 12일 관응의 혼란 종결: 아시카가 타카우지에게 항복한 아시카가 타다요시가 가마쿠라에서 급사하였다.
- 5월-6월 무사시노 전투: 닛타 요시무네, 닛타 요시아키가 아시카가 타카우지를 격파하고 가마쿠라를 점거하였으나, 이후 타카우지가 탈환하였다.
- 5월-7월 하치만의 싸움: 쿠스노키 마사노리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라를 격파하고 교토를 점거하였으나, 이후 요시아키라가 탈환하였다.
이러한 전투들로 인해 쇼헤이 일통이 종료되고, 북조가 부활하여 다시 두 개의 조정이 병립하는 상태가 되었다.
2. 2. 1. 주요 인물
- 3월 12일 - 아시카가 타다요시, 남북조 시대의 무장, 아시카가 타카우지의 동복 동생 (* 1307년)
- 3월 15일 - 아사쿠라 히로카게, 남북조 시대의 무장, 에치젠아사쿠라 씨의 초대 당주 (* 1254년)[1]
- 3월 20일 - 오비초 3세 데스테, 이탈리아 페라라의 군주 (* 1294년)[2]
- 4월 23일 - 우에스기 아사사다, 남북조 시대의 무장 (* 1321년)[3]
- 12월 6일 - 클레멘스 6세, 제198대 교황 (* 1291년)[4]
2. 3. 중국
1352년 원나라 지정 12년 (원 혜종 20년), 가난한 중국 농부였던 주원장이 몽골족이 이끄는 원나라에 대항하는 홍건적의 난에 참여하였다. 주원장은 이후 명나라를 건국하고 첫 번째 황제가 된다.[4]2. 4. 유럽
흑사병이 잉글랜드에 만연하기 시작했다.[1] 6월 4일 글라루스주가, 6월 27일 추크주가 구 스위스 연방에 가입했다.[2] 10월 1352–1357년 비잔틴 내전 중 데모티카 전투에서 요안니스 6세 칸타쿠제노스의 동맹국인 오스만 베이릭국이 세르비아 제국을 상대로 유럽 대륙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다.[3] 11월 7일 코퍼스 크리스티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가 설립되었다.[4] 12월 18일 교황 인노첸시오 6세가 교황 클레멘스 6세의 뒤를 이어 199대 교황이 되었다. 쉴레이만 파샤 (오르한의 아들)는 황제 요안니스 6세 칸타쿠제노스로부터 갈리폴리 반도의 침페 성을 하사받았다.[5]2. 4. 1. 주요 인물
- 12월 6일 - 교황 클레멘스 6세, 제198대 로마 교황 (* 1291년)
2. 5. 베트남
쩐 왕조 티에우퐁 12년[1]쩐 왕조 유종 12년[1]
3. 탄생
4. 사망
- 3월 7일 - 충정왕, 고려 30대 국왕
- 3월 12일 - 아시카가 타다요시, 일본 남북조 시대의 무장, 아시카가 타카우지의 동복 동생
- 3월 15일 - 아사쿠라 히로카게, 일본 남북조 시대의 무장, 에치젠 아사쿠라 씨의 초대 당주
- 3월 20일 - 오비초 3세 데스테, 이탈리아 페라라의 군주
- 4월 23일 - 우에스기 아사사다, 일본 남북조 시대의 무장
- 9월 15일 - 에보스타테워스, 에티오피아의 수도사이자 종교 지도자
- 12월 6일 - 교황 클레멘스 6세, 198대 로마 교황
- ''날짜 불명''
- * 마티아스 오브 아라스, 프랑스 건축가
- * 시칠리아 여왕 엘리자베스, 시칠리아 섭정
- * 윌리엄 드 로스, 3대 남작 드 로스
- * 바사라브 1세
- * 알 하킴 2세, 카이로의 칼리프
- * 로렌스 미노트, 잉글랜드 시인
- * 바실리 칼리카, 노브고로드 대주교
- * 요시다 겐코, 일본의 승려이자 작가
참조
[1]
서적
Nipon o daï itsi ran; ou,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Oriental Translation Fund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834
[2]
뉴스
Notice by the Editor
(URL 없음. 출처 정보만 제공)
Cambridge University Reporter
2019-03-20
[3]
서적
Ottoman Fortifications 1300-1710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1-09-03
[4]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
[5]
웹사이트
Clement VI | pop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