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경기는 8월 14일부터 8월 2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79개국에서 249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중국은 금메달 5개, 은메달 3개, 동메달 0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고, 터키, 태국, 러시아가 그 뒤를 이었다. 남자부에서는 터키의 할릴 무틀루, 중국의 스즈융, 조지아의 게오르그 아사니제 등이 금메달을 획득했고, 여자부에서는 터키의 누르잔 타이란, 태국의 우돔폰 폴삭, 중국의 천옌칭 등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대한민국은 은메달 2개를 획득했으며, 도핑으로 인해 총 12명의 선수가 실격 처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에서 개최된 역도 대회 - 1896년 하계 올림픽 역도
1896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아테네 파나티나이코 스타디움에서 남자 경기만 진행되었으며, 한손과 양손 두 종목에 5개국 7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비고 옌센과 론세스톤 엘리엇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그리스에서 개최된 역도 대회 - 1906년 중간 올림픽 역도
1906년 중간 올림픽 역도 경기는 아테네에서 개최되었으며, 7개국 선수들이 남자 한손 및 양손 종목에서 경쟁하여 5개국이 메달을 획득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에서는 나탈리아 스칼쿤이 우크라이나 대표로 금메달을, 한나 바치우슈카와 타치아나 스투칼라바가 벨라루스 대표로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한나 바치우슈카는 인상에서 세계 기록을, 나탈리아 스칼쿤은 용상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은 탕궁훙이 금메달, 장미란이 은메달, 아가타 브루벨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탕궁훙은 용상과 합계에서, 장미란은 합계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종목 | 역도 |
대회 | 2004년 하계 올림픽 |
![]() | |
개최지 | 아테네 |
경기장 | 니카이아 올림픽 역도 경기장 |
기간 | 2004년 8월 14일 - 8월 25일 |
참가 선수 | 249명 |
참가 국가 | 79개국 |
세부 종목 | 15개 |
이전 대회 | 2000년 |
다음 대회 | 2008년 |
2. 메달 집계
wikitext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중국 | 5 | 3 | 0 | 8 |
2 | 터키 | 3 | 0 | 1 | 4 |
3 | 태국 | 2 | 0 | 2 | 4 |
4 | 러시아 | 1 | 2 | 5 | 8 |
5 | 우크라이나 | 1 | 1 | 0 | 2 |
6 | 불가리아 | 1 | 0 | 1 | 2 |
7 | 조지아 | 1 | 0 | 0 | 1 |
7 | 이란 | 1 | 0 | 0 | 1 |
9 | 벨라루스 | 0 | 2 | 1 | 3 |
10 | 대한민국 | 0 | 2 | 0 | 2 |
11 | 헝가리 | 0 | 1 | 0 | 1 |
11 | 인도네시아 | 0 | 1 | 0 | 1 |
11 | 카자흐스탄 | 0 | 1 | 0 | 1 |
1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 | 1 | 0 | 1 |
11 | 라트비아 | 0 | 1 | 0 | 1 |
16 | 콜롬비아 | 0 | 0 | 1 | 1 |
16 | 크로아티아 | 0 | 0 | 1 | 1 |
16 | 그리스 | 0 | 0 | 1 | 1 |
16 | 폴란드 | 0 | 0 | 1 | 1 |
16 | 베네수엘라 | 0 | 0 | 1 | 1 |
2. 1. 국가별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중국 | 5 | 3 | 0 | 8 |
2 | 터키 | 3 | 0 | 1 | 4 |
3 | 태국 | 2 | 0 | 2 | 4 |
4 | 러시아 | 1 | 2 | 5 | 8 |
5 | 우크라이나 | 1 | 1 | 0 | 2 |
6 | 불가리아 | 1 | 0 | 1 | 2 |
7 | 조지아 | 1 | 0 | 0 | 1 |
7 | 이란 | 1 | 0 | 0 | 1 |
9 | 벨라루스 | 0 | 2 | 1 | 3 |
10 | 대한민국 | 0 | 2 | 0 | 2 |
11 | 헝가리 | 0 | 1 | 0 | 1 |
11 | 인도네시아 | 0 | 1 | 0 | 1 |
11 | 카자흐스탄 | 0 | 1 | 0 | 1 |
1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 | 1 | 0 | 1 |
11 | 라트비아 | 0 | 1 | 0 | 1 |
16 | 콜롬비아 | 0 | 0 | 1 | 1 |
16 | 크로아티아 | 0 | 0 | 1 | 1 |
16 | 그리스 | 0 | 0 | 1 | 1 |
16 | 폴란드 | 0 | 0 | 1 | 1 |
16 | 베네수엘라 | 0 | 0 | 1 | 1 |
2. 2. 남자
종목 | 금 | 은 | 동 |
---|---|---|---|
남자 56kg급 자세히 | 할릴 무틀루 | 우메이진 | 세다트 아르툭 |
남자 62kg급 자세히 | 시지융 | 러마오성 | 이스라엘 호세 루비오 |
남자 69kg급 자세히 | 장궈정 | 이배영 | 니콜라이 페샬로프 |
남자 77kg급 자세히 | 타너 사기르 | 세르게이 필리모노프 | 올레그 페레페체노프 |
남자 85kg급 자세히 | 게오르그 아사니제 | 안드레이 리바쿠 | 피로스 디마스 |
남자 94kg급 자세히 | 밀렌 도브레프 | 카지무라 아카에프 | 에두아르드 튜킨 |
남자 105kg급 자세히 | 드미트리 베레스토프 | 이고르 라조로노프 | 글레브 피사레브스키 |
남자 +105kg급 자세히 | 호세인 레자자데 | 빅토르스 슈체르바티흐스 | 벨리첸코 촐라코프 |
2. 3. 여자
자세히자세히
자세히
자세히
자세히
자세히
자세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