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3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2013년에 멕시코 푸에블라에서 개최되었으며, 130개국에서 812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쿠바와 멕시코가 그 뒤를 이었다.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여자부에서는 러시아가 종합 1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멕시코 - 멕시코 마약 전쟁
멕시코 마약 전쟁은 마약 카르텔과 정부 간의 무력 충돌로, 지리적 이점과 콜롬비아 카르텔과의 협력으로 성장한 멕시코 카르텔 간의 세력 다툼, 정부 부패, 강경 진압 정책, 미국산 무기 밀반입, 사회경제적 불평등 등의 문제가 얽혀 폭력이 심화되고 있으며 할리스코 신세대 카르텔과 시날로아 카르텔이 주요 세력으로 활동하며 사회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2013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2013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
현지 대회 명칭 | Campeonato Mundial de Taekwondo de 2013 |
횟수 | 제21회 |
개최 기간 | 2013년 7월 15일 - 21일 |
개최지 | 푸에블라 |
개최국 | 멕시코 |
경기장 | 푸에블라 전시장 (Centro Expositor y de Convenciones de Puebla) |
참가국 | 130개국 |
참가 선수 | 812명 |
세부 종목 | 16개 (남자 8, 여자 8) |
메달 순위 | |
남자 우승국 | 대한민국 |
여자 우승국 | 대한민국 |
최다 메달 획득국 | 대한민국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11년 경주시 |
다음 대회 | 2015년 첼랴빈스크 |
관련 이미지 | |
![]() |
2. 메달 집계
순위 | 나라 | 금 | 은 | 동 | 합계 |
---|---|---|---|---|---|
1 | 6 | 3 | 1 | 10 | |
2 | 2 | 0 | 3 | 5 | |
3 | 1 | 3 | 1 | 5 | |
4 | 1 | 2 | 1 | 4 | |
5 | 1 | 2 | 0 | 3 | |
6 | 1 | 0 | 3 | 4 | |
7 | 1 | 0 | 2 | 3 | |
8 | 1 | 0 | 1 | 2 | |
9 | 1 | 0 | 0 | 1 | |
1 | 0 | 0 | 1 | ||
11 | 0 | 2 | 1 | 3 | |
12 | 0 | 1 | 1 | 2 | |
0 | 1 | 1 | 2 | ||
14 | 0 | 1 | 0 | 1 | |
0 | 1 | 0 | 1 | ||
16 | 0 | 0 | 3 | 3 | |
0 | 0 | 3 | 3 | ||
18 | 0 | 0 | 2 | 2 | |
0 | 0 | 2 | 2 | ||
20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Total | 16 | 16 | 32 | 64 |
대한민국은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쿠바는 금메달 2개, 동메달 3개로 2위를 기록했다. 멕시코는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로 3위에 올랐다.
'''남자'''
대한민국은 2013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남자부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를 획득하여 종합 1위를 차지하였다. 이란은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로 2위를, 멕시코는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로 3위를 기록했다.
김태훈은 남자 핀급(-54kg)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차태문은 남자 플라이급(-58kg)에서, 이대훈은 남자 밴텀급(-63kg)에서 각각 금메달을 차지하였다. 김훈은 남자 페더급(-68kg)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그 외, 멕시코의 우리엘 아드리아노는 남자 라이트급(-74kg)에서 금메달을, 독일의 타히르 귈레츠는 남자 웰터급(-80kg)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쿠바의 라파엘 알바는 남자 미들급(-87kg)에서, 가봉의 앤서니 오바메는 남자 헤비급(+87kg)에서 각각 금메달을 차지하였다.
'''여자'''
대한민국은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를 획득하여 총점 61점으로 여자부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러시아는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로 총점 32점을 얻어 2위를 기록했고, 프랑스가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총점 29점을 획득하여 3위에 올랐다. 쿠바는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총점 27점을 얻어 4위를 기록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금메달 1개를 획득하여 총점 22점으로 5위를 차지했다.
핀급(46kg 이하)에서는 김소희가, 밴텀급(53kg 이하)에서는 김유진이, 페더급(57kg 이하)에서는 김소희가 각각 금메달을 차지하였다. 라이트급(62kg 이하)에서는 김휘랑이 은메달을 차지하였다.
2. 1. 남자
대한민국은 2013년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남자부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를 획득하여 종합 1위를 차지하였다. 이란은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로 2위를, 멕시코는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로 3위를 기록했다.
김태훈은 남자 핀급(-54kg)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차태문은 남자 플라이급(-58kg)에서, 이대훈은 남자 밴텀급(-63kg)에서 각각 금메달을 차지하였다. 김훈은 남자 페더급(-68kg)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다.
그 외, 멕시코의 우리엘 아드리아노는 남자 라이트급(-74kg)에서 금메달을, 독일의 타히르 귈레츠는 남자 웰터급(-80kg)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쿠바의 라파엘 알바는 남자 미들급(-87kg)에서, 가봉의 앤서니 오바메는 남자 헤비급(+87kg)에서 각각 금메달을 차지하였다.
2. 2. 여자
대한민국은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를 획득하여 총점 61점으로 여자부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러시아는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로 총점 32점을 얻어 2위를 기록했고, 프랑스가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총점 29점을 획득하여 3위에 올랐다. 쿠바는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총점 27점을 얻어 4위를 기록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금메달 1개를 획득하여 총점 22점으로 5위를 차지했다.순위 | 나라 | 점수 |
---|---|---|
1 | 대한민국 | 61 |
2 | 러시아 | 32 |
3 | 프랑스 | 29 |
4 | 쿠바 | 27 |
5 | 오스트레일리아 | 22 |
6 | align=left| | 22 |
7 | 스페인 | 22 |
8 | 중국 | 21 |
9 | 멕시코 | 20 |
10 | 캐나다 | 20 |
핀급(46kg 이하)에서는 김소희가, 밴텀급(53kg 이하)에서는 김유진이, 페더급(57kg 이하)에서는 김소희가 각각 금메달을 차지하였다. 라이트급(62kg 이하)에서는 김휘랑이 은메달을 차지하였다.
3. 메달 리스트
3. 1. 남자
체급 | 금 | 은 | 동 |
---|---|---|---|
핀급 (-54kg) | 김태훈 | Hsu Chia-lin | Jerranat Nakaviroj Hussein Sherif |
플라이급 (-58kg) | 차태문 | Hadi Mostean | Jerranat Nakaviroj Guilherme Dias |
밴텀급 (-63kg) | 이대훈 | Abel Mendoza | Wei Chen-yang Stevens Barclais |
페더급 (-68kg) | Behnam Asbaghi | 김훈 | Balla Dièye José Antonio Rosillo |
라이트급 (-74kg) | Uriel Adriano | Albert Gaun | 김유진 Saifeddine Trabelsi |
웰터급 (-80kg) | Tahir Güleç | René Lizárraga | Anton Kotkov 니콜라스 가르시아 |
미들급 (-87kg) | Rafael Castillo | Ma Zhaoyong | Yassine Trabelsi 라디크 이사예프 |
헤비급 (+87kg) | 앙토니 오바메 | Sajjad Mardani | Ivan Trajkovič 로벨리스 데스파이네 |
3. 2. 여자
Fadia Farhani(TUN)Yania Aguirre(CUB)
Floriane Liborio(FRA)
에바 칼보(ESP)
Nina Kläy(SUI)
Franka Anić(SLO)
Casandra Ikonen(SWE)
Ana Bajić(S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