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는 교토 의정서 이후의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모든 국가가 감축 의무를 지는 파리 협정을 채택하여 기후 변화에 대한 구속력 있는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주요 의제는 온실 가스 배출량 감축, 지구 온도 상승 제한 등이었으며, 각국은 자발적인 감축 목표(INDC)를 제출했다. 파리 협정은 지구 온난화를 2°C보다 훨씬 아래로 유지하고, 더 나아가 1.5°C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모든 국가가 감축 노력에 참여하도록 했다. 대한민국은 2030년 배출 전망 대비 37% 감축 목표를 제시했으나, 산업계와 시민 사회 모두 불만을 표했다. 파리 협정은 법적 구속력과 제재 조항의 부재로 실효성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회의 - 위키마니아
위키마니아는 위키미디어 운동의 연례 국제 컨퍼런스로, 위키백과 등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사용자, 개발자, 연구자, 지지자들이 모여 위키 관련 주제를 논의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위키미디어 운동의 발전과 커뮤니티 성장에 기여하고 한국 커뮤니티 또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2015년 회의 - 2015년 양안 정상회담
2015년 양안 정상회담은 중화민국 총통 마잉주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시진핑이 싱가포르에서 만나 양안 관계 개선을 논의한 역사적인 회담이다. - 2015년 환경 - 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건
2015년 미국 환경보호청이 폭스바겐 디젤 차량에 배출가스 기준을 속이는 불법 소프트웨어가 장착되었음을 밝혀내어 환경 오염과 공중 보건 위협을 야기했으며, 폭스바겐 CEO 사임, 주가 폭락, 벌금, 손해배상, 리콜 사태를 초래하여 자동차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다. - 2015년 환경 - 파리 협정 (2015년)
파리 협정은 지구 온도 상승을 2℃ 이하, 더 나아가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각국이 스스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하고 이행하며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검증하는 국제 협약이다. - 유엔 기후 변화 회의 - 2009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
2009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 회의로, 교토 의정서 이후의 기후 변화 대응 방안 논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제시, 개발도상국 지원 합의를 목표로 했으나, 구속력 있는 감축 목표 설정 실패로 코펜하겐 합의를 이끌어냈으며, 이후 파리 협정 체결의 기반이 되었다. - 유엔 기후 변화 회의 - 2013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
2013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 가속화와 2015년 파리 협정 조건 논의를 위해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개최되었으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입장 차이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2015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 | |
---|---|
행사 개요 | |
명칭 | 2015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 |
다른 이름 | COP21 (UNFCCC) CMP11 (교토 의정서) |
날짜 | 2015년 11월 30일–12월 12일 |
장소 | 프랑스 파리 근교 르 부르제 |
참가자 | UNFCCC 당사국 |
이전 행사 | ← 리마 2014 |
다음 행사 | 마라케시 2016 → |
웹사이트 | 개최지 웹사이트 UNFCCC 웹사이트 |
주요 내용 | |
주요 목표 | 교토 의정서 이후의 새로운 틀 마련 |
의장 | 로랑 파비우스 |
결과 | |
주요 결과 | 파리 협정 채택 |
2. 역사적 배경
교토 의정서 체제가 종료된 이후, 온실가스 감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국제 협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교토 의정서 체제에서는 선진국에게만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부과되었지만, 2015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COP21)에서는 모든 국가가 감축 의무를 지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는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과 함께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면서 교토 의정서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COP21은 20년 이상 지속된 유엔 기후 협상에서 처음으로 구속력 있고 보편적인 기후 합의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2] 교황 프란치스코는 회칙 ''찬미받으소서''를 발표하여 기후 변화에 대한 행동을 촉구하며 회의에 영향을 주고자 했다. 국제노동조합총연맹은 "탄소 제로, 빈곤 제로"를 목표로 설정할 것을 요구하며, "죽어가는 지구에는 일자리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13]
하지만, 2017년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탈퇴 의사를 표명했고, 2019년에는 정식으로 COP21에서 탈퇴하면서 파리 협정의 이행에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했다.
2. 1. 교토 의정서의 한계
교토 의정서 체제에서는 선진국에게만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있었으나, 2015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COP21)에서는 모든 나라가 감축 의무를 지도록 변경되었다.[12] 이는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과 함께 이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증하면서 교토 의정서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2015년 당시 UN은 온실가스 배출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40여개국에 대해 '포스트-2020 기후변화 목표'를 설정하고 있었다.2015년 국가별 이산화 탄소 배출량은 다음과 같다.
2. 2. 파리 협정으로의 전환
교토 의정서 체제가 끝난 후의 온실가스 감축 문제를 다루기 위해, COP21에서는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지는 새로운 체제가 논의되었다. 2015년 당시 UN은 온실가스 배출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40여 개국에 대해 '포스트-2020 기후변화 목표'를 설정해 두었다.[12]파리 정상회의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2015년 회의의 목표는 20년이 넘는 유엔 협상 역사상 처음으로 기후에 대한 구속력 있고 보편적인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었다.[12] 교황 프란치스코는 회의에 영향을 주기 위해 회칙 ''찬미받으소서''를 발표하여 기후 변화에 대한 행동을 촉구했다. 그는 "인류는 지구 온난화, 또는 적어도 이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인간적 원인에 맞서기 위해 생활 방식, 생산 및 소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13] 국제노동조합총연맹은 "탄소 제로, 빈곤 제로"를 목표로 설정할 것을 요구했으며, 사무총장 샤란 버로우는 "죽어가는 지구에는 일자리가 없다"고 역설했다.
3. 주요 의제 및 협상 과정
교토 의정서 체제가 종료된 이후의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COP21이 개최되었다. 교토 의정서에서는 선진국만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있었지만, COP21에서는 모든 국가가 감축 의무를 지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15년 당시 유엔은 온실가스 배출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40여 개국에 대해 '포스트-2020 기후변화 목표'를 설정해 두었다.[12] 각 국가로부터 감축 목표(공약)를 받아 11월 1일에 종합 보고서를 발간하고, 11월 말부터 12월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본회의에서 이를 다루어 파리 협정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수립할 예정이었다.
2015년 국가별 이산화 탄소 배출량 비율은 다음과 같다.
국가 | 배출량 (%) |
---|---|
중국 | 29.5 |
미국 | 14.3 |
유럽 연합 | 9.6 |
인도 | 6.8 |
러시아 | 4.9 |
일본 | 3.5 |
COP21 정상회의 조직위원회는 20년이 넘는 유엔 협상에서 처음으로 기후에 대한 구속력 있고 보편적인 합의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12] 교황 프란치스코는 회칙 ''찬미받으소서''를 발표하여 기후 변화에 대한 행동을 촉구하며 회의에 영향을 주고자 했다.[13] 국제노동조합총연맹은 "탄소 제로, 빈곤 제로"를 목표로 "죽어가는 지구에는 일자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프랑스는 높은 생활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전력 생산과 화석 연료 에너지를 탈탄소화하는 데 성공하여 COP21에 참석한 대표들에게 모범적인 국가 역할을 했다.[15]
이번 회의 예산은 1억 7천만 유로(1.8687억달러)였다. 프랑스 정부는 이 비용의 20%를 EDF, Engie, 에어 프랑스, 르노-닛산, BNP 파리바와 같은 프랑스 기업들이 부담할 것이라고 밝혔다.[58]
3. 1. 국가별 감축 목표 (INDC)
각 국가는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INDC,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를 제출하고, 이를 5년마다 검토 및 갱신하여 감축 노력을 강화하도록 했다.[19]대한민국은 당초 2015년 9월에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INDC)를 제출할 예정이었으나, 국제적 위상을 고려하여 6월 말에 제출하는 것으로 앞당겼다. 2015년 6월 30일, 대한민국은 2030년 배출전망(BAU)인 8억 5060만 ton CO2 대비 37%를 감축하겠다고 결정하였다.[68] 그러나 산업계와 시민사회계는 이에 대해 모두 불만을 표시했는데, 산업계는 과도한 감축 목표로 산업이 위축될 것을 우려했고, 시민사회계는 국제적 위상에 비해 감축 목표가 미흡하고 원전 증설 계획이 포함된 점을 비판했다.[69]
반기문 UN 사무총장은 대한민국의 감축 목표 결정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했다.[70]
2015년 10월 1일까지 각 국가로부터 감축목표를 취합하여 11월 1일에 종합 보고서가 발간될 예정이었다.
이전의 기후 협상에서 각국은 2015년 10월 1일까지 시행할 조치를 설명하기로 합의했고 이러한 약속은 국가별 감축 목표 또는 INDC로 알려져 있다.[19] INDC를 합하면 지구 온난화가 2100년까지 추정치 4~5°C에서 2.7°C로 감소하고, 2030년까지 1인당 배출량을 9% 줄이면서, 2°C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미래에 추가적인 감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희망을 회의 주최자들에게 제시할 것이다.[20]
세계 연금 위원회(WPC)와 같은 싱크탱크는 성공의 열쇠가 미국과 중국의 관계자들을 설득하는 데 있다고 주장했다. "워싱턴과 베이징의 정책 입안자들이 야심 찬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채택에 모든 정치적 자본을 투입하지 않는 한, 다른 G20 정부의 칭찬할 만한 노력은 종종 신념에 찬 바람에 그치곤 했습니다. 2014년 11월 12일 오바마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온실 가스 배출량 제한에 합의하면서 상황이 개선되었습니다."[21]
오바마 대통령은 이와 관련하여 미국의 핵심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우리는 알래스카에서 멕시코 만, 그리고 대평원에 이르기까지 모범을 보였습니다. 우리는 역사상 가장 긴 민간 일자리 창출 기록을 보았습니다. 우리는 탄소 오염을 거의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낮추면서 경제 생산량을 사상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그리고 작년에 중국과의 역사적인 공동 발표를 통해 우리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의 오랜 분열을 해소하여 오랫동안 세계적인 진전을 방해해 왔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것이 파리에서의 성공의 기반이었습니다."[22]
3. 2. 온도 상승 제한 목표
교토 의정서 체제 이후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지구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보다 훨씬 아래로 유지하는 것이었다.[18] 그러나 크리스티아나 피게레스는 2012년 도하 회의 폐막 브리핑에서 "현재의 약속은 온도가 2°C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보장하기에는 분명히 충분하지 않으며, 국가들의 행동과 과학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 사이에는 점점 더 큰 격차가 존재합니다."라고 인정했다.이에 따라 파리 협정에서는 2℃ 목표와 더불어, 1.5℃로 온도 상승을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추구한다는 목표가 추가되었다.[18] 특히 해수면 상승에 취약한 도서 국가들은 1.5℃ 목표 설정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3. 3. 협상의 난관과 극복
교토 의정서 체제가 끝난 후의 온실가스 감축 문제를 다루는 이번 회의에서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져야 한다는 점이 중요했다. 2015년 당시 유엔은 온실가스 배출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40여 개국에 대해 '포스트-2020 기후변화 목표'를 설정해 두었다.[12]2015년 국가별 이산화 탄소 배출량은 다음과 같다.
국가 | 배출량 (%) |
---|---|
중국 | 29.5 |
미국 | 14.3 |
유럽 연합 | 9.6 |
인도 | 6.8 |
러시아 | 4.9 |
일본 | 3.5 |
파리 회의의 목표는 20년이 넘는 유엔 협상 역사상 처음으로 기후에 대한 구속력 있고 보편적인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었다.[12] 교황 프란치스코는 회칙 ''찬미받으소서''를 통해 기후 변화에 대한 행동을 촉구하며 회의에 영향을 주고자 했다.[13] 국제노동조합총연맹은 "탄소 제로, 빈곤 제로"를 목표로 설정할 것을 요구하며, "죽어가는 지구에는 일자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협상의 최우선 목표는 온실 가스 배출량을 줄여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2°C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었다.[18] 그러나 크리스티아나 피게레스는 2012년 도하 회의 폐막 브리핑에서 "현재의 약속으로는 온도가 2°C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보장하기에는 분명히 충분하지 않으며, 국가들의 행동과 과학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 사이에는 점점 더 큰 격차가 존재합니다."라고 인정했다.
이전 기후 협상에서 각국은 2015년 10월 1일까지 국가별 감축 목표(INDC)를 제출하기로 합의했다.[19] INDC를 모두 합하면 지구 온난화가 2100년까지 추정치 4~5°C에서 2.7°C로 감소하고, 2030년까지 1인당 배출량을 9%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20]
세계 연금 위원회(WPC)와 같은 싱크탱크는 성공의 열쇠가 탄소 배출량이 가장 많은 미국과 중국을 설득하는 데 있다고 주장했다.
"워싱턴과 베이징의 정책 입안자들이 야심 찬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채택에 모든 정치적 자본을 투입하지 않는 한, 다른 G20 정부의 칭찬할 만한 노력은 종종 신념에 찬 바람에 그치곤 했습니다. 2014년 11월 12일 오바마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온실 가스 배출량 제한에 합의하면서 상황이 개선되었습니다."[21]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의 역할을 강조하며, "우리는 알래스카에서 멕시코 만, 그리고 대평원에 이르기까지 모범을 보였습니다. 우리는 역사상 가장 긴 민간 일자리 창출 기록을 보았습니다. 우리는 탄소 오염을 거의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낮추면서 경제 생산량을 사상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그리고 작년에 중국과의 역사적인 공동 발표를 통해 우리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의 오랜 분열을 해소하여 오랫동안 세계적인 진전을 방해해 왔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것이 파리에서의 성공의 기반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22]
이번 회의 예산은 1억 7천만 유로(1.8687억달러)로 책정되었다. 프랑스 정부는 이 비용의 20%를 EDF, Engie, 에어 프랑스, 르노-닛산, BNP 파리바와 같은 프랑스 기업들이 부담할 것이라고 밝혔다.[58]
4. 파리 협정
교토 의정서 체제가 끝난 뒤 온실가스 감축 관련 사항을 다룰 예정이었다. 교토 의정서 체제에서는 선진국만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있었으나, COP21에서는 모든 나라가 감축 의무를 지게 되었다. 2015년 UN은 온실가스 배출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40여개국에 대해 ‘포스트-2020 기후변화 목표’를 설정해 두었다.
2015년 10월 1일까지 각 국가로부터 감축 목표(공약)를 받아, 11월 1일에 종합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었다. 이후 11월 말부터 12월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본회의에서 논의되어, 의결되는 대로 구체적 실천 방안을 수립하고 COP21 체제를 시행할 예정이었다.
2015년 12월 12일, 196개 참가국은 파리 협정에 합의하여 온실 가스 감축을 위해 배출량을 줄이기로 했다.[24] 이 협정에서 회원국들은 탄소 배출량을 "가능한 한 빨리" 줄이고 지구 온난화를 "섭씨 2도 훨씬 아래로"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기로 합의했다.[25] 논의 과정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생존이 위협받는 태평양 섬나라들과 세이셸, 필리핀은 2°C 대신 1.5°C 목표 설정을 강력히 지지했다.[26][27]
로랑 파비우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이 "야심차고 균형 잡힌" 계획이 지구 온난화 감축 목표에서 "역사적인 전환점"이라고 말했다.[28] 그러나 일부에서는 상당 부분의 내용이 국가들의 확고한 약속이 아닌 "약속" 또는 목표라는 점을 비판했다.[29]
2017년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탈퇴 의사를 표명했고, 2019년에는 정식으로 COP21에서 탈퇴했다.
4. 1. 주요 내용
교토 의정서 체제가 끝난 뒤의 온실가스 감축 관련 사항을 다루었다. 교토 의정서 체제에서는 선진국만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있었으나, COP21에서는 모든 나라가 감축 의무를 지어야 했다.[12] 국제노동조합총연맹은 목표를 "탄소 제로, 빈곤 제로"로 설정할 것을 요구했으며, 사무총장 샤란 버로우는 "죽어가는 지구에는 일자리가 없다"고 반복했다.협약의 최우선 목표는 온실 가스 배출량을 줄여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것이었다. COP17 이후 이 상승폭은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2°C로 설정되었다.[18] 그러나 크리스티아나 피게레스는 2012년 도하 회의의 폐막 브리핑에서 "현재의 약속은 온도가 2°C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보장하기에는 분명히 충분하지 않으며, 국가들의 행동과 과학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 사이에는 점점 더 큰 격차가 존재합니다."라고 인정했다.
이전의 기후 협상에서 각국은 2015년 10월 1일까지 세계적인 협정에 따라 시행할 예정인 조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합의했다. 이러한 약속은 국가별 감축 목표 (INDC)로 알려져 있다.[19]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의 핵심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우리는 알래스카에서 멕시코 만, 그리고 대평원에 이르기까지 모범을 보였습니다. 우리는 역사상 가장 긴 민간 일자리 창출 기록을 보았습니다. 우리는 탄소 오염을 거의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낮추면서 경제 생산량을 사상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그리고 작년에 중국과의 역사적인 공동 발표를 통해 우리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의 오랜 분열을 해소하여 오랫동안 세계적인 진전을 방해해 왔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것이 파리에서의 성공의 기반이었습니다."[22]
2015년 12월 12일, 196개 참가국은 합의를 통해 최종적인 파리 협정에 동의하여 온실 가스 감축 방법의 일환으로 배출량을 줄이기로 했다.[24] 12페이지 분량의 이 문서에서 회원국들은 탄소 배출량을 "가능한 한 빨리" 줄이고 지구 온난화를 "섭씨 2도 훨씬 아래로"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기로 합의했다.[25] 논의 과정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생존 자체가 위협받는 태평양의 섬나라들과 세이셸, 필리핀은 2°C 대신 1.5°C의 목표를 설정할 것을 강력히 지지했다.[26][27]
로랑 파비우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이 "야심차고 균형 잡힌" 계획이 지구 온난화 감축 목표에서 "역사적인 전환점"이라고 말했다.[28]
협정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55% 이상을 차지하는 55개 당사국이 협정을 비준해야 효력이 발생한다. 미국[31]을 비롯한 일부 국가가 이 협정에 동의할지 의문이 있지만, 미국은 중국과의 공동 대통령 성명을 통해 2016년에 협정에 참여하겠다고 공개적으로 약속했다.[3]
협정을 비준하는 각 국가는 "국가별 감축 목표"(NDC)라고 불리는 배출량 감축 또는 제한 목표를 설정해야 하지만, 그 목표량은 자발적으로 결정된다.[32][34]
제5회 세계 연금 포럼에서 지구 연구소 소장 제프리 삭스는 기관 투자자들이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한 정치적, 규제적 노력에 대응하지 못하는 탄소 의존 기업에서 결국 투자를 철회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금 기금의 포트폴리오에 있는 모든 에너지 회사는 순전히 재무적 관점에서 그들의 미래에 대해 면밀히 조사해야 합니다."[39]
앨 고어는 "어떤 협정도 완벽하지 않으며, 이 협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화되어야 하지만, 사회의 모든 부문에서 단체들이 이제 이 협정의 틀을 통해 위험한 탄소 오염을 줄이기 시작할 것입니다."라고 주장했다.[40]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WWF Japan・외교부・아사히 신문).
내용 |
---|
세계 공통의 장기 목표로, 평균 기온을 2도 삭감하는 목표뿐만 아니라, 1.5도 이내로 줄이는 것에 대한 언급 |
주요 배출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가 삭감 목표를 5년마다 재검토・제출한다. 추가 목표 설정을 실시한다. |
JCM을 포함한 시장 메커니즘의 활용이 명시된 것 |
산림 등의 흡수원의 보전・강화의 중요성, 개발도상국의 산림 감소・열화로부터의 배출을 억제하는 시스템 |
적응의 장기 목표 설정 및 각국의 적응 계획 프로세스와 행동의 실시를 통해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 기체 배출을 실질적으로 제로화하는 것 (탄소 중립) |
선진국이 계속해서 자금을 제공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것과 더불어 개발도상국도 자발적으로 자금을 제공하는 것 |
이노베이션의 중요성이 명시된 것 |
5년마다 세계 전체의 상황을 파악하는 시스템 |
협정 발효 요건에 국가 수 및 배출량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 것 |
센다이 방재 프레임워크에 대한 언급 |
4. 2. 특징 및 의의
COP21에서 채택된 파리 협정은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 협정은 다음과 같은 특징과 의의를 가진다.- 모든 국가의 참여: 교토 의정서와 달리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참여한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국가들이 모두 참여함으로써 실질적인 감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12]
- 유연성: 각 국가는 자국의 여건과 상황에 따라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국가별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행 방식을 결정한다. 이는 강제적인 의무 부과 방식보다 각국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현실적인 목표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32][34]
- 점진적 강화: 5년마다 각 국가는 이전보다 더 강화된 감축 목표를 제출해야 한다. 이는 장기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유도하고, 기술 발전과 상황 변화에 따라 목표를 상향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이다.[34][35]
- 1.5℃ 목표 노력: 지구 평균 기온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억제하고, 더 나아가 1.5℃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는 해수면 상승 등으로 생존의 위협을 받는 태평양 섬나라들의 요구를 반영한 결과이다.[26][27]
- 투명성 및 이행 점검: 각 국가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 이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검토받아야 한다. 또한, 5년마다 전 지구적 차원에서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하고 추가적인 노력을 촉구한다.
- 기후변화 적응: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적응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각국의 적응 계획 수립 및 이행을 지원한다.
- 재정 지원: 선진국들은 개발도상국들의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재정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개발도상국들도 자발적으로 재정 지원에 참여할 수 있다.
- 기술 개발 및 이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개발과 이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한다.
파리 협정은 법적 구속력이 있는 목표와 이행 강제 수단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지만,[29] 전 세계 거의 모든 국가가 참여하는 보편적인 합의를 도출하고, 장기적인 목표와 점진적인 이행 강화 메커니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다.
5. 대한민국의 입장과 과제
대한민국은 COP21에서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68] 이는 교토 의정서 체제에서와는 달라진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을 반영한 것이었지만, 산업계와 시민사회 양측의 비판을 받았으며, 온실가스 감축 방안에 원자력 발전 확대가 포함된 점도 논란을 야기했다.[69]
5. 1.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논란
대한민국은 당초 선진국들의 진행 상황을 9월 즈음에 확인 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공약) (INDC)를 제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교토 의정서 당시와는 달라진 한국의 위상을 고려하여 6월 말에 제출하는 것으로 앞당겼다.멕시코 기준을 따라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67], 국제 위상 등을 이유로 2015년 6월 30일에 2030년 배출전망(BAU)인 8억 5060만 ton CO2 대비 37%를 감축하겠다고 결정하였다.[68] 그러나 이 결정은 산업계와 시민사회 양측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산업계는 과도한 부담을, 시민사회는 국제적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소극적인 목표라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 방안에 원자력 발전 확대가 포함된 점도 논란이 되었다.[69] 2020년 감축 목표(BAU 대비 30% 감축)보다 5.5%에서 15% 후퇴한 것이었다.
반기문 UN 사무총장은 이번 결정에 대해 환영한다는 뜻을 표했다.[70]
5. 2. 향후 과제
대한민국은 당초 선진국들의 진행 상황을 지켜본 뒤 9월 즈음에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INDC)를 제출할 예정이었으나, 교토 의정서 당시와는 달라진 한국의 위상을 고려하여 6월 말에 제출하는 것으로 앞당겼다.애초 멕시코 기준을 따라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67] 국제 위상 등을 이유로 2015년 6월 30일에 2030년 배출 전망 (BAU)인 8억 5060만 톤 CO2 대비 37%를 감축하겠다고 결정하였다.[68] 그러나 이에 대해 산업계와 시민사회계는 모두 불만을 제기했는데, 산업계는 이러한 기준이 산업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시민사회계는 국제적 위상에 걸맞지 않고 한국 산업 현실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비판했다. 또한, 온실가스 감축 방안에 원전 증설이 포함된 점도 논란이 되었다.[69] 특히, 2020년 감축 목표로 제시했던 BAU 대비 30% 감축안보다 5.5%에서 15% 후퇴한 것이었다.
반기문 UN 사무총장은 이번 결정에 대해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70]
6. 국제 사회의 동향
교토 의정서 체제가 끝난 뒤, 2015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COP21)에서는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하여 새로운 체제가 논의되었다. 교토 의정서에서는 선진국에게만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있었지만, COP21에서는 모든 국가가 감축 의무를 지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UN은 온실가스 배출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40여 개국에 대해 '포스트-2020 기후변화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였다.
6. 1. 주요 국가들의 정책 변화
2017년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파리 협정 탈퇴 의사를 표명했고, 2019년에는 정식으로 탈퇴했다.[1]6. 2. 국제 협력 강화
교토 의정서 체제 이후, 온실 가스 배출량 감축과 관련하여 국가별 감축 목표(INDC)를 중심으로 국제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2015년 10월 1일까지 각 국가로부터 감축 목표(공약)를 받아 11월 1일에 종합 보고서가 발간되었고, 11월 말부터 12월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파리 협정이 의결되었다.[24]2015년 11월 파리 테러 이후 강화된 국가 안보 속에서[16], 유럽 연합과 195개 국가가 참여하여[17]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2°C 이내로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18] 그러나 크리스티아나 피게레스는 2012년 유엔 기후 변화 회의 폐막 브리핑에서 현재의 약속으로는 2°C 목표 달성이 어렵다고 인정했다.
세계 연금 위원회(WPC)와 같은 싱크탱크는 가장 많은 탄소를 배출하는 미국과 중국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21] 오바마 대통령은 2014년 11월 12일 시진핑 주석과 온실 가스 배출량 제한에 합의하며, 파리 협정 성공의 기반을 마련했다.[22]
2015년 12월 12일, 196개 참가국은 파리 협정을 통해 탄소 배출량을 "가능한 한 빨리" 줄이고 지구 온난화를 "섭씨 2도 훨씬 아래로" 유지하기로 합의했다.[25] 해수면 상승으로 위협받는 태평양 섬나라들은 1.5°C 목표 설정을 강력히 지지했다.[26][27] 로랑 파비우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이 계획을 "역사적인 전환점"이라고 평가했지만,[28] 일부에서는 국가들의 확고한 약속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29]
2024년 6월 4일, 유엔 기후 변화 회의 (COP28)에서 파리 협정에 대한 전 지구적 이행 점검이 마무리되었으며, 기후 행동 가속화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30]
COP21[41] 이전에 지역 및 지방 정부의 행동을 진전시키기 위한 새로운 '''변혁적 행동 프로그램(TAP)'''이 시작되었고, 2015년 3월 26일에는 28개 유럽 연합 회원국의 EU 수도 및 대도시 대표들이 ''COP 21을 향한 유럽 수도 및 대도시 기후 행동 선언''을 채택했다.[43]
인도 총리 나렌드라 모디는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과 함께 석유 수출국 기구 (OPEC)와 유사한 태양열이 풍부한 국가들의 동맹(태양 동맹) 창설을 제안했다.[54][55]
7. 비판 및 논란
파리 협정은 법적 구속력이 있는 감축 목표를 설정하지 않고, 목표 달성 실패에 대한 제재 조항이 없어 실효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32][34][33][35] 각 국가는 "국가별 감축 목표"(NDC)를 설정해야 하지만, 그 목표량은 자발적으로 결정된다.[32][34] 목표 달성을 강제하는 메커니즘은 없으며, 단지 "명예 훼손" 시스템[36] 또는 유엔 기후 변화 담당 사무차장인 야노스 파스토르가 CBS 뉴스에 말했듯이, "이름을 알리고 장려하는" 계획만 있을 뿐이다.[37]
일부 분석가들은 파리 협정의 목표가 "중국, 미국, 인도, 캐나다, 러시아, 인도네시아, 호주 등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유엔 회원국이 [...] 자발적이고 부지런히 탄소 오염을 줄일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38]
제5회 세계 연금 포럼에서 지구 연구소 소장 제프리 삭스는 기관 투자자들이 탄소 의존 기업에서 결국 투자를 철회할 것이라고 주장했다.[39] 앨 고어는 "어떤 협정도 완벽하지 않으며, 이 협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0]
전 세계적으로 60만 명이 강력한 합의를 지지하는 시위에 참여했다.[60] 파리에서는 2015년 11월 파리 테러 이후 공공 집회가 금지되었으나 (비상사태), 12월 12일 수천 명이 시위를 벌였다.[60] 파리에서는 경찰과 무정부주의자 간의 충돌이 있었고, 경찰 10명이 부상당하고 317명이 체포되었다.[61][62] 11월 30일에는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학생들이 조직한 "기후 파업"이 있었고, 5만 명 이상이 참여했다.[63]
8. 전망
COP21에서 채택된 파리 협정은 지구 온난화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받는다. 교토 의정서 체제와 달리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지게 되었으며, 각국은 '포스트-2020 기후변화 목표'를 수립하여 제출하였다.
2015년 12월 12일, 196개 참가국은 파리 협정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가능한 한 빨리" 줄이고 지구 온난화를 "℃ 2도 훨씬 아래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25] 특히 해수면 상승으로 위협받는 태평양 섬나라들은 1.5℃ 목표 설정을 강력히 지지했다.[26][27] 로랑 파비우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이 계획을 "역사적인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28]
교황 프란치스코는 회칙 ''찬미받으소서''를 통해 기후 변화에 대한 행동을 촉구하며 회의에 영향을 주고자 했다.[13] 국제노동조합총연맹은 "탄소 제로, 빈곤 제로"를 목표로 설정할 것을 요구하며, "죽어가는 지구에는 일자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2024년 6월 4일, 두바이에서 열린 유엔 기후 변화 회의(COP28)에서는 파리 협정에 대한 전 지구적 이행 점검이 마무리되었으며, 현재의 노력으로는 지구 온난화를 1.5°C 목표로 제한하기에 불충분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에 따라 기후 행동 가속화 및 기후 금융, 협력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30]
이 협정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서는 각국의 적극적인 노력과 더불어 국제 사회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참조
[1]
서적
Negotiating the Paris Agreement: The Insider Storie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2]
웹사이트
19th Session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UNFCCC
http://climate-l.iis[...]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13-02-20
[3]
웹사이트
Final draft of climate deal formally accepted in Paris
http://www.cnn.com/2[...]
Cable News Network,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2015-12-12
[4]
뉴스
What the Paris Climate Meeting Must Do
https://www.nytimes.[...]
2015-11-28
[5]
뉴스
Earth is a wilder, warmer place since last climate deal made
http://apnews.excite[...]
2015-11-29
[6]
웹사이트
Explainer: Paris Agreement on climate change to 'enter into force'
https://www.carbonbr[...]
2021-05-08
[7]
웹사이트
U.S. joins 174 nations to sign hard-won climate pact
http://www.cbsnews.c[...]
2016-04-22
[8]
웹사이트
What is COP21?
http://www.cop21.gou[...]
2015-11-30
[9]
웹사이트
New UN Report Synthesizes National Climate Plans from 146 Countries
http://newsroom.unfc[...]
2015-10-30
[10]
웹사이트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of the EU and its Member States
http://www4.unfccc.i[...]
2015-03-06
[11]
웹사이트
Bonn Climate Change Conference
http://unfccc.int/me[...]
2015-12-15
[12]
웹사이트
Issues and reasons behind the French offer to host the 21st Conference of the Parties on Climate Change 2015
http://www.diplomati[...]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4-01-31
[13]
웹사이트
Laudato si', section 23
https://www.vatican.[...]
[14]
웹사이트
France confirmed as host of 2015 Climate Conference
http://www.diplomati[...]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4-01-31
[15]
간행물
2C or Not 2C?
FEEM Working Paper No. 87.2011
2012-01-19
[16]
웹사이트
Paris Climate Conference to Proceed with Heightened Security After Attacks
https://time.com/411[...]
Time Inc.
2015-12-04
[17]
웹사이트
Status of Ratification of the Convention
http://unfccc.int/es[...]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2015-12-15
[18]
웹사이트
Schedule of Events
http://unfccc.int/fi[...]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2013-11-12
[19]
웹사이트
What is an INDC? | World Resources Institute
http://www.wri.org/i[...]
Wri.org
2015-11-15
[20]
뉴스
Glob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Keeps Door Open to 2 Degree C Temperature Limit
http://newsroom.unfc[...]
UNFCCC press office
2015-10-30
[21]
뉴스
Climate: Renewed Sense of Urgency in Washington and Beijing
http://action.sharea[...]
2015-09
[22]
뉴스
President Obama's Statement on Climate Change
https://obamawhiteho[...]
2015-12-12
[23]
웹사이트
Negotiating Toward the Paris Accords: WWF & the Role of Forests in the 2015 Climate Agreement
https://case.hks.har[...]
2020-08-18
[24]
웹사이트
Nearly 200 Nations Adopt Climate Agreement At COP21 Talks In Paris
https://www.npr.org/[...]
2015-12-12
[25]
웹사이트
'Historic' Paris climate deal adopted
http://www.cbc.ca/ne[...]
CBC/Radio Canada
2015-12-12
[26]
뉴스
The Pacific countries that need the Paris 1.5C temperature rise agreement to 'stay alive'
https://www.independ[...]
2016-04-06
[27]
뉴스
Will '1.5 to stay alive' deal be enough to save Seychelles?
https://www.theguard[...]
2016-04-06
[28]
웹사이트
World seals landmark climate accord, marking turn from fossil fuels
https://www.reuters.[...]
Thomson Reuters
2015-12-12
[29]
뉴스
James Hansen, father of climate change awareness, calls Paris talks 'a fraud'
https://www.theguard[...]
2015-12-14
[30]
웹사이트
COP28 Opens in Dubai
https://www.bbc.com/[...]
2024-06-04
[31]
뉴스
Obama praises Paris climate deal as 'tribute to American leadership'
https://www.theguard[...]
2015-12-12
[32]
웹사이트
Obama: Climate agreement 'best chance we have' to save the planet
http://www.cnn.com/2[...]
CNN Network,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2015-12-12
[33]
뉴스
Paris climate accord marks shift toward low-carbon economy
https://www.theglobe[...]
2015-12-14
[34]
웹사이트
COP21: What does the Paris climate agreement mean for me?
https://www.bbc.com/[...]
BBC
2015-12-14
[35]
웹사이트
Nations Approve Landmark Climate Accord in Paris
https://www.nytimes.[...]
2015-12-14
[36]
웹사이트
Paris climate deal: What the agreement means for India and the world
http://www.hindustan[...]
2015-12-14
[37]
웹사이트
Climate negotiators strike deal to slow global warming
http://www.cbsnews.c[...]
CBS Interactive Inc.
2015-12-14
[38]
뉴스
Investment Governance: The Real Fight against Emissions is Being Waged by Markets
http://www.efinancia[...]
2016-02-02
[39]
뉴스
Jeffrey Sachs: Fund Managers Have a Duty to Dump Fossil Fuels
http://www.efinancia[...]
2015-12-06
[40]
뉴스
Paris Climate Agreement 'May Signal End of Fossil Fuel Era'
https://www.theguard[...]
2015-12-13
[41]
웹사이트
ICLEI World Congress 2015 sees Mayors commit ahead of Paris COP 21 - Bridging the Gap
http://www.transport[...]
Transport2020.org
2015-11-15
[42]
웹사이트
World Mayors and Municipal Leaders Declaration on Climate Change
http://archive.iclei[...]
Archive.iclei.org
2015-11-15
[43]
웹사이트
European capital and large cities for climate action en route to COP 21
http://www.stadtentw[...]
Stadtentwicklung.berlin.de
2015-11-15
[44]
웹사이트
World Summit of Regions for Climate
http://regions-clima[...]
Regions-climate.org
2015-11-15
[45]
웹사이트
signs a declaration in preparation for the COP 21
http://theshiftproje[...]
The Shift Project
2015-11-15
[46]
웹사이트
Asia Indigenous Peoples' Declaration on the 21st Session of the UNFCCC-Conference of Parties (COP21)
http://www.aippnet.o[...]
Aippnet.org
2015-11-15
[47]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of Africa Co-ordinating Committee
http://www.ipacc.org[...]
IPACC
2015-11-15
[48]
웹사이트
Looking ahead COP21: State of negotiations on the Indigenous Peoples' agenda
http://ipcca.info/ip[...]
IPCCA
2015-11-15
[49]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Seek Presence in Post-2015 Development Agenda
http://www.ipsnews.n[...]
Inter Press Service
2015-11-15
[5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https://www.un.org/e[...]
UN
2015-11-15
[51]
웹사이트
Summary of Indigenous People's Demands for UNFCCC CoP20, Lima, Peru
http://www.forestpeo[...]
Forest Peoples Programme
2015-11-15
[52]
웹사이트
When Drones Guard the Pipeline: Militarizing Fossil Fuels in the East
http://earthfirstjou[...]
Earth First! Newswire
2015-11-15
[53]
웹사이트
Global Women's Climate Justice Day of Action - Sept. 29, 2015
http://wecaninternat[...]
WECAN
2015-11-15
[54]
웹사이트
G20 summit: Modi pushes for $100 bn finances to pursue clean energy, proposes grand global solar alliance
http://www.firstpost[...]
Firstpost
2015-11-30
[55]
뉴스
India should take initiatives to form league like OPEC: Modi
http://www.firstpost[...]
2015-11-30
[56]
뉴스
Narendra Modi, Francois Hollande invite over 100 countries for solar alliance
http://economictimes[...]
Economictimes.indiatimes.com
2015-11-30
[57]
웹사이트
'Event: UNFCCC COP 21 | Climate Change Policy & Practice | IISD Reporting Services'
http://climate-l.iis[...]
Climate-l.iisd.org
2015-11-15
[58]
뉴스
France defends 'imperfect' fossil fuel sponsors for Paris climate summit
https://www.theguard[...]
2015-05-29
[59]
웹사이트
Sponsors and Partners of UNFCCC COP 21 side event
http://www.cop21pari[...]
2021-01-03
[60]
웹사이트
Non-violent action COP21
http://anv-cop21.org[...]
[61]
뉴스
Global climate march 2015: hundreds of thousands march around the world – as it happene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12-13
[62]
뉴스
Protesters Are in Agreement as Well: Pact Is Too Weak
https://www.nytimes.[...]
2016-07-10
[63]
Youtube
Climate Strike 2015: Students Skip School demanding Climate Actions
https://www.youtube.[...]
YouTube
2019-03-14
[64]
서적
Negotiating the Paris Agreement : the insider stories
https://www.worldcat[...]
2021
[65]
웹사이트
Adoption of the Paris agreement—Proposal by the President—Draft decision -/CP.21
http://unfccc.int/re[...]
UNFCCC
2015-12-12
[66]
문서
第3回[[国連防災世界会議]]において、策定された行動指針
[67]
문서
배출전망 (BAU) 대비 25% 감축할 예정이다.
[68]
뉴스
2030년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대비 37% 줄인다.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5-07-11
[69]
뉴스
산업계 감축률 12%로 대폭 축소…원전 증설도 논란
http://www.hani.co.k[...]
한겨레
2015-07-11
[70]
뉴스
반기문 "韓·中 온실가스 감축안, 환영한다"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5-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