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2016년 8월에 브라질에서 개최된 대회로, 남자 및 여자 축구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남자 축구는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브라질이 금메달을 획득했고, 여자 축구는 12개국이 참가하여 독일이 금메달을 차지했다. 메달 집계 결과, 독일이 금메달 1개와 은메달 1개로 1위를 차지했으며, 브라질, 스웨덴, 나이지리아, 캐나다가 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경기는 브라질에서 12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금메달을, 캐나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선수 명단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선수 명단은 올림픽 축구 남자 토너먼트에 참가한 덴마크, 이라크,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16개국의 선수, 감독, 와일드카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 브라질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50년 FIFA 월드컵
1950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브라질에서 개최되었으며, 13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 후 최종 리그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 우루과이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하여 '마라카낭의 비극'을 낳았다. - 브라질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FIFA 주관으로 브라질에서 개최되어 브라질, 각 대륙 선수권 우승팀, 2010년 FIFA 월드컵 우승팀 스페인 등 8개국이 참가하여 브라질의 우승으로 막을 내렸으며, 골라인 기술이 처음 사용되고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는 등 여러 화제를 낳았다. - 201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6년 하계 올림픽 역도
2016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남자 8체급과 여자 7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된 역도 경기로, 26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윤진희의 동메달로 종합 15위를 기록했으며 도핑 문제로 순위가 변경되기도 했다. - 201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6년 하계 올림픽 수영
2016년 하계 올림픽 수영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대회로, 자유형, 배영, 평영, 접영 등 34개 종목에서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이 갱신되었다.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종류 | 하계 올림픽 |
연도 | 2016년 |
![]() | |
개최국 | 브라질 |
개최 도시 | 6개 도시 |
경기장 | 7개 경기장 |
날짜 | 2016년 8월 3일 ~ 2016년 8월 20일 |
참가 선수 | 473명 |
참가 국가 | 23개국 |
남자 팀 수 | 16개 팀 |
남자 연맹 | 6개 |
여자 팀 수 | 12개 팀 |
여자 연맹 | 6개 |
이전 대회 | 2012년 |
다음 대회 | 2020년 |
메달 획득 현황 (남자) | |
메달 획득 현황 (여자) |
2. 경기 일정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 일정은 2015년 11월 10일에 발표되었다.[5][6][24]
수 3 | 목 4 | 금 5 | 토 6 | 일 7 | 월 8 | 화 9 | 수 10 | 목 11 | 금 12 | 토 13 | 일 14 | 월 15 | 화 16 | 수 17 | 목 18 | 금 19 | 토 20 | ||
---|---|---|---|---|---|---|---|---|---|---|---|---|---|---|---|---|---|---|---|
남자 | GS | GS | GS | QF | SF | colspan="2"| | B | F | |||||||||||
여자 | GS | GS | GS | QF | SF | B | F | colspan="2"| |
- GS: 조별 리그
- QF: 8강전
- SF: 준결승전
- B: 동메달 결정전
- F: 금메달 결정전
3. 경기장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는 2014년 FIFA 월드컵에서 사용된 경기장을 활용하였다. 리우데자네이루의 주앙 아벨란제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예선 경기가 개최되었으며, 여자 및 남자 결승전은 8월 19일과 20일에 마라카낭에서 열렸다.[7] 리우데자네이루 외에 5개 도시(상파울루, 벨루오리존치, 브라질리아, 살바도르, 마나우스)도 2014년 FIFA 월드컵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다.[2] 최종 경기장 선택은 2015년 3월 16일 FIFA에 의해 발표되었다.[2]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브라질리아 | 상파울루 | 벨루오리존치 | 사우바도르 |
---|---|---|---|
이스타지우 마네 가힌샤 | 아레나 코린치앙스 | 미네이랑 | 아레나 폰치 노바 |
수용인원: 69,349명 | 수용인원: 48,234명 | 수용인원: 58,170명 | 수용인원: 51,900명 |
![]() | ![]() | ![]() | ![]() |
마나우스 | 리우데자네이루 | 리우데자네이루 | |
아레나 아마조니아 | 주앙 아벨란제 올림픽 스타디움 | 마라카낭 | |
수용인원: 40,549명 | 수용인원: 60,000명 | 수용인원: 74,738명 | |
![]() | ![]() | ![]() |
3. 1. 훈련 시설
훈련 시설 |
---|
마라카낭 |
CFZ 스타디움, Vasco Barra Football Club, Juliano Moreira 스포츠 단지 |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마네 가힌샤 |
Cave Stadium, Minas Brasília Tennis Club, Yacht Club of Brasília, 크루제이루 스타디움 |
미네이랑 |
Toca da Raposa 1, Toca da Raposa 2, Cidade do Galo, 아메리카 F.C. 훈련 센터 |
이타이파 아레나 폰테 노바 |
파르키 산티아구 스타디움, 피투아수 스타디움, 바하당 스타디움, E.C. Bahia 훈련 센터 |
아레나 코린치앙스 |
São Paulo F.C. 훈련 센터, S.E. Palmeiras 훈련 센터, C.A. 유벤투스 스타디움, 나시오날 A.C. 스타디움 |
4. 참가 자격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종목에는 1993년 1월 1일 이후에 출생한 23세 이하의 선수가 출전할 수 있으며, 24세 이상의 선수(와일드카드)는 최대 3명까지 추가할 수 있다. 와일드카드 제도는 출전 국가의 선택 사항이며, 본선 선수 등록은 18명으로 와일드카드 3명도 이 안에 포함된다. 이전 대회와 달리 이번 대회에서는 클럽 측이 23세 이하 선수의 소집을 강제할 수 없게 되었다.
여자 축구는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연령 제한 없이 해당 국가의 최강 대표팀(A대표팀)이 출전한다. 여자 대회는 국제 여자 A매치 데이에 포함되어 클럽 측은 대표팀 소집을 거부할 수 없다.
국가 | 남자 | 여자 | 선수 |
---|---|---|---|
22 | |||
22 | |||
44 | |||
22 | |||
22 | |||
44 | |||
22 | |||
22 | |||
22 | |||
44 | |||
22 | |||
22 | |||
22 | |||
22 | |||
22 | |||
22 | |||
22 | |||
22 | |||
22 | |||
44 | |||
22 | |||
22 | |||
총계: 22개 NOC | 16 | 12 | 608 |
5. 남자 축구
경기는 조별 예선과 토너먼트의 두 단계로 구성되었다.
=== 남자 예선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종목에는 개최국 브라질을 포함하여 총 16개국이 참가했다.[9] 브라질 외 15개국은 6개 대륙별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FIFA는 2014년 3월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대륙별 출전권 배분을 승인했다.[9]
예선 방식 | 날짜 | 개최지 | 출전권 수 | 예선 통과 팀 |
---|---|---|---|---|
개최국 | 2009년 10월 2일 | 덴마크 | 1 | 브라질 |
2015년 남아메리카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2015년 1월 14일 – 2월 7일 | 우루과이 | 1 | 아르헨티나 |
2015년 UEFA U-21 유럽 선수권 대회 | 2015년 6월 17일 – 30일 | 체코 | 4 | 스웨덴 |
포르투갈 | ||||
덴마크 | ||||
독일 | ||||
2015년 태평양 게임 | 2015년 7월 3일 – 17일 | 파푸아뉴기니 | 1 | 피지 |
2015년 CONCACAF 올림픽 예선 선수권 대회 | 2015년 10월 1일 – 13일 | 미국 | 2 | 멕시코 |
온두라스 | ||||
2015년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 2015년 11월 28일 – 12월 12일 | 세네갈 | 3 | 나이지리아 |
알제리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 2016년 1월 12일 – 30일 | 카타르 | 3 | 일본 |
대한민국 | ||||
이라크 | ||||
2016년 CONCACAF–CONMEBOL 플레이오프 | 2016년 3월 25일 – 29일 | 여러 지역 (홈 앤 어웨이) | 1 | 콜롬비아 |
합계 | colspan=2| | 16 |
개최국 브라질과 2015년 남아메리카 U-20 선수권 대회 우승팀 아르헨티나가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에서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6년 AFC U-23 챔피언십에서 일본, 대한민국, 이라크가 1, 2, 3위를 차지하며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배정된 3장의 출전권을 가져갔다. 2015년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우승팀 나이지리아, 준우승팀 알제리, 3위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에 배정된 3장의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5년 CONCACAF 올림픽 예선 선수권 대회 결승 진출팀인 멕시코와 온두라스는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에 배정된 2장의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5년 태평양 게임 축구 우승팀 피지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에 배정된 유일한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5년 UEFA U-21 유럽 선수권 대회 4강 진출팀인 스웨덴, 포르투갈, 덴마크, 독일은 유럽 축구 연맹(UEFA)에 배정된 4장의 출전권을 획득했다. 마지막으로, 2016년 하계 올림픽 CONCACAF–CONMEBOL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콜롬비아가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소속으로 추가 출전권을 획득했다.
=== 남자 조별 리그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조별 리그에서는 각 팀이 4개 국가로 구성된 4개의 조로 나뉘어 각 조에서 한 번씩 경기를 치렀다.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이 부여되었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은 8강전에 진출했다.
==== A조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브라질 (H) | 3 | 1 | 2 | 0 | 4 | 0 | +4 | 5 | <8강 진출> |
2 | 덴마크 | 3 | 1 | 1 | 1 | 1 | 4 | -3 | 4 | <8강 진출> |
3 | 이라크 | 3 | 0 | 3 | 0 | 1 | 1 | 0 | 3 | <탈락> |
4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 0 | 2 | 1 | 1 | 2 | -1 | 2 | <탈락> |
'''(H)''' = 개최국.
==== B조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3 | 2 | 0 | 1 | 6 | 6 | 0 | 6 | 8강전 진출 | |
2 | 3 | 1 | 2 | 0 | 6 | 4 | +2 | 5 | 8강전 진출 | |
3 | 3 | 1 | 1 | 1 | 7 | 7 | 0 | 4 | ||
4 | 3 | 0 | 1 | 2 | 2 | 4 | -2 | 1 |
==== C조 ====
==== D조 ====
=== 남자 결선 토너먼트 ===
결선 토너먼트는 2016년 8월 13일부터 8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4강전에서 패배한 두 팀은 동메달 결정전으로 진출했다.
{| class="wikitable"
|-
! 4강 !! 결승
|-
|
브라질 |6| 온두라스 |15 네이마르 26, 35 가브리에우 제주스 51 마르키뉴스 79 루앙 가르시아 90+1 네이마르 | }} |
독일 |2| 나이지리아 |9 루카스 클로스터만 89 닐스 페테르젠 | }} |
|
|-
! 3,4위전
|-
| 온두라스 |2| '''나이지리아''' |34', 56' 아미누 우마르
49' 사디크 우마르||71' 안토니 로사노
86' 마르셀로 페레이라|}}
|}
5. 1. 남자 예선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종목에는 개최국 브라질을 포함하여 총 16개국이 참가했다.[9] 브라질 외 15개국은 6개 대륙별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FIFA는 2014년 3월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대륙별 출전권 배분을 승인했다.[9]예선 방식 | 날짜 | 개최지 | 출전권 수 | 예선 통과 팀 |
---|---|---|---|---|
개최국 | 2009년 10월 2일 | 덴마크 | 1 | 브라질 |
2015년 남아메리카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2015년 1월 14일 – 2월 7일 | 우루과이 | 1 | 아르헨티나 |
2015년 UEFA U-21 유럽 선수권 대회 | 2015년 6월 17일 – 30일 | 체코 | 4 | 스웨덴 |
포르투갈 | ||||
덴마크 | ||||
독일 | ||||
2015년 태평양 게임 | 2015년 7월 3일 – 17일 | 파푸아뉴기니 | 1 | 피지 |
2015년 CONCACAF 올림픽 예선 선수권 대회 | 2015년 10월 1일 – 13일 | 미국 | 2 | 멕시코 |
온두라스 | ||||
2015년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 2015년 11월 28일 – 12월 12일 | 세네갈 | 3 | 나이지리아 |
알제리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 2016년 1월 12일 – 30일 | 카타르 | 3 | 일본 |
대한민국 | ||||
이라크 | ||||
2016년 CONCACAF–CONMEBOL 플레이오프 | 2016년 3월 25일 – 29일 | 여러 지역 (홈 앤 어웨이) | 1 | 콜롬비아 |
합계 | colspan=2| | 16 |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에서는 개최국 브라질과 2015년 남아메리카 U-20 선수권 대회 우승팀 아르헨티나가 출전권을 얻었다. 2016년 AFC U-23 챔피언십에서는 일본, 대한민국, 이라크가 각각 1, 2, 3위를 차지하며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배정된 3장의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5년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에서는 나이지리아, 알제리,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각각 우승, 준우승, 3위를 차지하며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에 배정된 3장의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5년 CONCACAF 올림픽 예선 선수권 대회에서는 멕시코와 온두라스가 결승에 진출하여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에 배정된 2장의 출전권을 획득했다.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에서는 2015년 태평양 게임 축구 우승팀 피지가 유일하게 출전권을 획득했다. 유럽 축구 연맹(UEFA)에서는 2015년 UEFA U-21 유럽 선수권 대회 4강 진출팀인 스웨덴, 포르투갈, 덴마크, 독일이 출전권을 획득했다. 마지막으로, 2016년 하계 올림픽 CONCACAF–CONMEBOL 플레이오프에서 콜롬비아가 승리하여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소속으로 추가 출전권을 획득했다.
5. 2. 남자 조별 리그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의 남자 조별 리그에서는 각 팀은 4개 국가로 구성된 4개의 조로 나뉘어 각 조에서 한 번씩 경기를 치렀다.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을 부여했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은 8강전에 진출했다.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브라질 (H) | 3 | 1 | 2 | 0 | 4 | 0 | +4 | 5 | <8강 진출> |
2 | 덴마크 | 3 | 1 | 1 | 1 | 1 | 4 | -3 | 4 | <8강 진출> |
3 | 이라크 | 3 | 0 | 3 | 0 | 1 | 1 | 0 | 3 | <탈락> |
4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 0 | 2 | 1 | 1 | 2 | -1 | 2 | <탈락> |
'''(H)''' = 개최국.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3 | 2 | 0 | 1 | 6 | 6 | 0 | 6 | 8강전 진출 | |
2 | 3 | 1 | 2 | 0 | 6 | 4 | +2 | 5 | 8강전 진출 | |
3 | 3 | 1 | 1 | 1 | 7 | 7 | 0 | 4 | ||
4 | 3 | 0 | 1 | 2 | 2 | 4 | -2 | 1 |
5. 2. 1. A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브라질 (H) | 3 | 1 | 2 | 0 | 4 | 0 | +4 | 5 | <8강 진출> |
2 | 덴마크 | 3 | 1 | 1 | 1 | 1 | 4 | -3 | 4 | <8강 진출> |
3 | 이라크 | 3 | 0 | 3 | 0 | 1 | 1 | 0 | 3 | <탈락> |
4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 0 | 2 | 1 | 1 | 2 | -1 | 2 | <탈락> |
'''(H)''' = 개최국.
5. 2. 2. B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3 | 2 | 0 | 1 | 6 | 6 | 0 | 6 | ||
2 | 3 | 1 | 2 | 0 | 6 | 4 | +2 | 5 | ||
3 | 3 | 1 | 1 | 1 | 7 | 7 | 0 | 4 | ||
4 | 3 | 0 | 1 | 2 | 2 | 4 | -2 | 1 |
분류: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조별 리그
5. 2. 3. C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3 | 2 | 1 | 0 | 12 | 3 | +9 | 7 | |
2 | 3 | 1 | 2 | 0 | 15 | 5 | +10 | 5 | |
3 | 3 | 1 | 1 | 1 | 7 | 4 | +3 | 4 | |
4 | 3 | 0 | 0 | 3 | 1 | 23 | -22 | 0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토너먼트 C조
5. 2. 4. D조
5. 3. 남자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2016년 8월 13일부터 8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4강전에서 패배한 두 팀은 동메달 결정전으로 진출했다.{| class="wikitable"
|-
! 4강 !! 결승
|-
|
브라질 |6| 온두라스 |15 네이마르 26, 35 가브리에우 제주스 51 마르키뉴스 79 루앙 가르시아 90+1 네이마르 | }} |
독일 |2| 나이지리아 |9 루카스 클로스터만 89 닐스 페테르젠 | }} |
|
|-
! 3,4위전
|-
| 온두라스 |2| '''나이지리아''' |34', 56' 아미누 우마르
49' 사디크 우마르||71' 안토니 로사노
86' 마르셀로 페레이라|}}
|}
6. 여자 축구
경기는 조별 예선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여자 예선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종목에는 개최국 브라질을 포함하여 총 12개국이 참가했다.[9] 브라질을 제외한 11개국은 각 대륙별 예선을 통해 선발되었다.
-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에서는 2014년 남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위 팀인 콜롬비아가 출전권을 얻었다.[16] 브라질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 유럽 축구 연맹(UEFA)에서는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성적을 기준으로 상위 3개 팀에게 출전권이 주어졌다.[17] 독일과 프랑스가 8강에 진출하여 출전권을 획득했고, 16강에서 탈락한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가 2016년 UEFA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마지막 한 장의 출전권을 놓고 경쟁하여 스웨덴이 최종 진출했다.[21]
-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에서는 2015년 아프리카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짐바브웨가 출전권을 획득했다.[14][26]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에서는 2016년 O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뉴질랜드가 출전권을 획득했다.[12]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에서는 2016년 CONCACAF 여자 올림픽 예선 선수권 대회를 통해 미국과 캐나다가 출전권을 획득했다.[18]
-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는 2016년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오스트레일리아와 중국이 출전권을 획득했다.[19]
예선 방식 | 날짜 | 개최지 | 출전권 수 | 예선 통과 팀 |
---|---|---|---|---|
개최국 | 2009년 10월 2일 | 덴마크 | 1 | 브라질 |
2014년 남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2014년 9월 11일–28일 | 에콰도르 | 1 | 콜롬비아 |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UEFA 소속팀 대상) | 2015년 6월 6일 – 7월 5일 | 캐나다 | 2 | 독일 |
프랑스 | ||||
2015년 아프리카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2015년 10월 2일–18일 | 여러 지역 (홈 앤 어웨이) | 2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짐바브웨 | ||||
2016년 O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2016년 1월 23일 | 파푸아뉴기니 | 1 | 뉴질랜드 |
2016년 CONCACAF 여자 올림픽 예선 선수권 대회 | 2016년 2월 10일–21일 | 미국 | 2 | 미국 |
캐나다 | ||||
2016년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2016년 2월 29일 – 3월 9일 | 일본 | 2 | 오스트레일리아 |
중국 | ||||
2016년 UEFA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2016년 3월 2일–9일 | 네덜란드 | 1 | 스웨덴 |
합계 | colspan=2| | 12 | colspan=2| |
== 여자 조별 리그 ==
각 팀은 4개 국가로 구성된 세 개의 조로 나뉘어 각 조에서 한 번씩 경기를 치렀다.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이 주어졌다. 각 조 상위 2개 팀과, 3위 팀 중 상위 2개 팀이 8강전에 진출했다.
=== E조 ===
=== F조 ===
'''범례''':
- 초록색은 8강 진출팀
=== G조 ===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G조''' 경기는 미국이 1위, 프랑스가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 뉴질랜드는 3위, 콜롬비아는 4위로 탈락했다.
== 여자 결선 토너먼트 ==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시작하여 4강전, 그리고 동메달 결정전과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 패배한 팀은 탈락하고, 4강전에서 패배한 팀은 동메달 결정전으로 진출했다.
width="12%" | | width="22%" | | width="12%" | | width="22%" | | width="12%" | | width="22%" | |
8강 | 4강 | 결승 | |||
---|---|---|---|---|---|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 | 2 (7) | 브라질 스웨덴 | 0 (3) | 스웨덴 | |
오스트레일리아 | 2 (6) | 스웨덴 | 0 (4) | 독일 | |
미국 스웨덴 | 1 (3) | 캐나다 독일 | 0 | ||
스웨덴 | 1 (4) | 독일 | 2 | ||
동메달 결정전 | |||||
브라질 캐나다 | |||||
브라질 | 1 | ||||
캐나다 | 2 |
6. 1. 여자 예선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종목에는 개최국 브라질을 포함하여 총 12개국이 참가했다.[9] 브라질을 제외한 11개국은 각 대륙별 예선을 통해 선발되었다.남미 축구 연맹(CONMEBOL)에서는 2014년 남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위 팀인 콜롬비아가 출전권을 얻었다.[16] 브라질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유럽 축구 연맹(UEFA)에서는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성적을 기준으로 상위 3개 팀에게 출전권이 주어졌다.[17] 독일과 프랑스가 8강에 진출하여 출전권을 획득했고, 16강에서 탈락한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가 2016년 UEFA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마지막 한 장의 출전권을 놓고 경쟁하여 스웨덴이 최종 진출했다.[21]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에서는 2015년 아프리카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짐바브웨가 출전권을 획득했다.[14][26]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FC)에서는 2016년 O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뉴질랜드가 출전권을 획득했다.[12]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에서는 2016년 CONCACAF 여자 올림픽 예선 선수권 대회를 통해 미국과 캐나다가 출전권을 획득했다.[18]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는 2016년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오스트레일리아와 중국이 출전권을 획득했다.[19]
예선 방식 | 날짜 | 개최지 | 출전권 수 | 예선 통과 팀 |
---|---|---|---|---|
개최국 | 2009년 10월 2일 | 덴마크 | 1 | 브라질 |
2014년 남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2014년 9월 11일–28일 | 에콰도르 | 1 | 콜롬비아 |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UEFA 소속팀 대상) | 2015년 6월 6일 – 7월 5일 | 캐나다 | 2 | 독일 |
프랑스 | ||||
2015년 아프리카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2015년 10월 2일–18일 | 여러 지역 (홈 앤 어웨이) | 2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짐바브웨 | ||||
2016년 O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2016년 1월 23일 | 파푸아뉴기니 | 1 | 뉴질랜드 |
2016년 CONCACAF 여자 올림픽 예선 선수권 대회 | 2016년 2월 10일–21일 | 미국 | 2 | 미국 |
캐나다 | ||||
2016년 AFC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2016년 2월 29일 – 3월 9일 | 일본 | 2 | 오스트레일리아 |
중국 | ||||
2016년 UEFA 여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2016년 3월 2일–9일 | 네덜란드 | 1 | 스웨덴 |
합계 | colspan=2| | 12 | colspan=2| |
6. 2. 여자 조별 리그
각 팀은 4개 국가로 구성된 세 개의 조로 나뉘어 각 조에서 한 번씩 경기를 치렀다.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이 주어졌다. 각 조 상위 2개 팀과, 3위 팀 중 상위 2개 팀이 8강전에 진출했다.-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G조''' 경기는 미국이 1위, 프랑스가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 뉴질랜드는 3위, 콜롬비아는 4위로 탈락했다.
6. 2. 1. E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3 | 2 | 1 | 0 | 8 | 1 | +7 | 7 | |
2 | 3 | 1 | 1 | 1 | 2 | 3 | -1 | 4 | |
3 | 3 | 1 | 1 | 1 | 2 | 5 | -3 | 4 | |
4 | 3 | 0 | 1 | 2 | 0 | 3 | -3 | 1 |
6. 2. 2. F조
wikitable
```
'''범례''':
- 초록색은 8강 진출팀
6. 2. 3. G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3 | 2 | 1 | 0 | 5 | 2 | +3 | 7 | |
2 | 3 | 2 | 0 | 1 | 7 | 1 | +6 | 6 | |
3 | 3 | 1 | 0 | 2 | 1 | 5 | -4 | 3 | |
4 | 3 | 0 | 1 | 2 | 2 | 7 | -5 | 1 |
- '''2016년 하계 올림픽 축구 G조''' 경기는 미국이 1위, 프랑스가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 뉴질랜드는 3위, 콜롬비아는 4위로 탈락했다.
6. 3. 여자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시작하여 4강전, 그리고 동메달 결정전과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 패배한 팀은 탈락하고, 4강전에서 패배한 팀은 동메달 결정전으로 진출했다.width="12%" | | width="22%" | | width="12%" | | width="22%" | | width="12%" | | width="22%" | |
8강 | 4강 | 결승 | |||
---|---|---|---|---|---|
2 (7) | 0 (3) | ||||
2 (6) | 0 (4) | ||||
1 (3) | 0 | ||||
1 (4) | 2 | ||||
동메달 결정전 | |||||
1 | |||||
2 |
7. 메달 집계
순위 | 국가/지역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gold; width:|wikitable sortable}}"| 금메달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silver; width:}|wikitable sortable}}"| 은메달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c96; width:}|wikitable sortable}}"| 동메달 !scope="col" style="width:}|wikitable sortable}};"| 합계 |- | 1 || style="text-align:left" | 독일 || 1 || 1 || 0 || 2 |-style="background-color:#ccccff" | 2 || style="text-align:left" | 브라질(개최국) || 1 || 0 || 0 || 1 |- | 3 || style="text-align:left" | 스웨덴 || 0 || 1 || 0 || 1 |- | rowspan="2" | 4 || style="text-align:left" | 나이지리아 || 0 || 0 || 1 || 1 |- | style="text-align:left" | 캐나다 || 0 || 0 || 1 || 1 |- ! colspan="2" | 합계 || 2 || 2 || 2 || 6 |} 7. 1. 메달 순위wikitable
참조
[1]
웹사이트
Circular no. 1383 – Olympic Football Tournaments Rio 2016 – Men's and Women's Tournaments
https://www.fifa.com[...]
FIFA.com
2013-1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