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FIFA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0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열린 FIFA 월드컵으로, 브라질에서 개최되었다. 룩셈부르크에서 열린 FIFA 총회에서 브라질이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으며, 지역 예선을 거쳐 총 13개국이 본선에 참가했다. 스코틀랜드, 터키, 인도가 기권하면서 프랑스가 초청받았지만, 이동 거리 문제로 불참하면서 13개국만 참가했다. 대회는 4개의 조별 리그와 결선 리그로 진행되었으며, 브라질, 스페인, 스웨덴, 우루과이가 결선 리그에 진출했다. 결선 리그에서 우루과이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브라질은 준우승에 머물렀다. 브라질의 아데미르가 득점왕을 차지했고, 총 88골이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FIFA 월드컵 - 마라카낭의 비극
마라카낭의 비극은 195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브라질이 우루과이에 패배하여 브라질 축구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이다. - 1950년 FIFA 월드컵 - 1950년 FIFA 월드컵 예선
1950년 FIFA 월드컵 예선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 개최되는 월드컵 본선 진출국을 가리는 과정이었으나, 여러 국가의 기권으로 최종 13개국만 참가했으며, 유럽, 남미, 북중미, 아시아 지역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국이 결정되었고 개최국 브라질과 전 대회 우승국 이탈리아는 자동 진출, 대한민국은 6.25 전쟁으로 불참했다. - 1950년 축구 - 코파 에바 두아르테 1950
코파 에바 두아르테 1950은 1949-50 시즌의 라리가 우승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우승팀 아틀레틱 빌바오가 참가하여 아틀레틱 빌바오가 승리한 대회이다. - 1950년 축구 -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9-50
코파 델 헤네랄리시모 1949-50은 스페인 축구 컵 대회로, 아틀레티코 빌바오가 레알 바야돌리드를 꺾고 통산 17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50년 FIFA 월드컵 | |
---|---|
기본 정보 | |
![]() | |
대회 이름 | 1950년 FIFA 월드컵 |
다른 이름 | IV Campeonato Mundial de Futebol 브라질 1950 |
개최국 | 브라질 |
개최 기간 | 1950년 6월 24일 – 7월 16일 |
참가 팀 수 | 13 |
대륙 연맹 수 | 3 |
개최 도시 수 | 6 |
개최 경기장 수 | 6 |
결과 | |
우승 팀 | 우루과이 |
우승 횟수 | 2 |
준우승 팀 | 브라질 |
3위 팀 | 스웨덴 |
4위 팀 | 스페인 |
통계 | |
총 경기 수 | 22 |
총 득점 | 88 |
총 관중 수 | 1,045,246 |
최다 득점 선수 | 아데미르 (9골)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38 |
다음 대회 | 1954 |
2. 개최국 선정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FIFA는 월드컵을 재개하기 위해 노력했다. 전쟁 후유증으로 유럽 국가들이 복구에 전념하면서, FIFA는 대회 개최에 관심을 보이는 국가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 브라질은 1942년 대회 개최를 신청한 경험이 있었고, 1950년에 대회를 개최하겠다는 제안을 했다.[2]
1950년 FIFA 월드컵 예선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많은 국가들이 불참하거나 기권하는 가운데 진행되었다.[3] 1938년 FIFA 월드컵 우승 팀인 이탈리아는 슈퍼가 항공기 사고로 주전 선수 대부분을 잃었지만, 배를 타고 대회에 참가했다.[3] 브라질(개최국)과 이탈리아는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고, 나머지 14장의 출전권은 유럽에 7장, 아메리카에 6장, 아시아에 1장이 할당되었다.
1950년 FIFA 월드컵에는 총 13개국이 본선에 참가했다. 원래 16개국이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인도, 스코틀랜드, 튀르키예가 기권하면서[5][6][7][8] 최종적으로 13개국이 되었다.
브라질 조직위원회는 경기 수와 티켓 판매를 극대화하기 위해 새로운 경기 방식을 제안했다. 13개 팀은 4개의 1차 조별 리그로 나뉘었고, 각 조의 우승팀은 최종 조별 리그에 진출하여 리그전 방식으로 우승팀을 결정했다.[15] 1934년과 1938년에 사용되었던 단판 토너먼트 방식은 16경기만 치러졌지만, 제안된 2라운드 조별 리그 방식은 30경기를 보장하여 더 많은 티켓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15] 또한, 이 방식은 각 팀이 최소 3경기를 치르도록 보장하여 유럽 팀들이 남아메리카로 건너와 경쟁할 수 있는 더 큰 동기를 부여했다.[15] FIFA는 처음에 이 제안에 반대했지만, 브라질이 이 방식을 사용하지 않으면 개최권을 포기하겠다고 위협하자 재고했다.[15]
1950년 FIFA 월드컵은 브라질 6개 도시의 6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당시 수도였던 리우데자네이루의 마라카낭에서는 마라카낭 참사 경기를 포함하여 8경기가 열렸다. 상파울루의 파카엠부 경기장에서는 6경기가 열렸다. 이 두 경기장은 2차 조별 리그 경기를 개최한 유일한 경기장이었다. 벨루오리존치의 세떼드세템브루 경기장에서는 3경기, 쿠리치바의 두리발 데 브리투 경기장과 포르투알레그리의 우칼리프투스 경기장에서는 각각 2경기, 레시페의 일랴 두 레티루 경기장에서는 1경기가 열렸다. 브라질은 새로운 경기장 건설에 2억 9천만 달러를 투자했고, 마라카낭 건설 비용만 약 2억 7천 5백만 달러였다.[20]
1946년 7월 22일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시에서 열린 FIFA 총회에서 브라질이 1950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2]
3. 지역 예선
"본토" 국가들은 17년간의 자발적 추방 후 4년 만에 FIFA에 재가입하여 참가 초청을 받았다.[3] 1949년-1950년 영국 본토 선수권 대회를 예선 조별 리그로 사용하여 잉글랜드가 1위, 스코틀랜드가 2위를 차지했다.[5] 하지만 스코틀랜드 축구 협회(SFA) 회장 조지 그레이엄은 스코틀랜드가 홈 챔피언십에서 우승해야만 브라질에 갈 수 있다고 말했고,[6][7] 스코틀랜드가 2위에 그치자 참가를 거부했다.[5]
유럽에서는 오스트리아와 벨기에가 기권하면서[3] 스위스와 터키가 자동 진출했다.[4] 터키는 재정적 여건을 이유로 기권했다.[8] 결국 잉글랜드, 스위스, 스웨덴, 스페인, 유고슬라비아가 유럽 대표로 본선에 진출했다. 철의 장막 뒤에 있는 대부분의 국가들, 예를 들어 소비에트 연방,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는 불참했고,[3] 유고슬라비아만이 유일한 동유럽 국가였다.
남아메리카에서는 아르헨티나가 브라질축구협회와의 분쟁 때문에 기권하면서,[3] 칠레, 볼리비아, 파라과이, 우루과이가 자동으로 진출했다.[3]
북중미&카리브 (CONCACAF) 예선에서는 미국과 멕시코가 본선에 진출했다.
아시아에서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버마가 모두 기권하여 인도가 유일하게 예선을 통과했지만,[3] 여행 경비, 훈련 시간 부족, 선수 선발 문제, 올림픽 중시 등의 이유로 참가를 포기했다.[11] 전인도축구연맹이 선수들을 신뢰하지 못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4]
FIFA는 스코틀랜드와 터키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포르투갈과 프랑스를 초청했지만, 포르투갈은 거절했고 프랑스는 처음에는 수락했다가 경기장 간 이동 거리가 너무 멀다는 이유로 기권했다.
4. 참가국
잉글랜드는 이번 대회가 첫 월드컵 출전이었다.[5] 우루과이, 멕시코, 칠레, 파라과이, 볼리비아는 1930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참가했고, 유고슬라비아 또한 1930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스페인과 미국은 1934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스코틀랜드는 홈 챔피언십에서 2위를 기록하여 월드컵 진출권을 획득했지만, 스코틀랜드 축구 협회 회장 조지 그레이엄이 홈 챔피언십에서 우승해야만 브라질에 갈 수 있다고 했던 약속을[5] 이유로 참가를 포기했다.[5][6][7] 튀르키예는 재정적인 문제로 기권했다.[8] FIFA는 스코틀랜드와 튀르키예를 대신하여 포르투갈, 아일랜드, 프랑스를 초청했지만, 포르투갈과 아일랜드는 거절했고, 프랑스는 초청을 수락했다가[9][10] 경기장 간 이동 거리가 너무 멀다는 이유로 기권했다.
인도는 전인도 축구 연맹이 여행 경비, 훈련 시간 부족, 선수 선발 문제, 그리고 FIFA 월드컵보다 올림픽을 중시한다는 이유로 참가를 포기했다.[11]
다음은 195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국 목록이다.대륙 연맹 출전
국가 수예선 조
예선 순위출전국·지역 출전 횟수 CONMEBOL 1+4 개최국 브라지우/Brasilpt 4회 연속 4회째 남미 예선 7조 칠레/Chilees 3회 만에 2회째 볼리비아/Boliviaes 3회 만에 2회째 8조 우루과이/Uruguayes 3회 만에 2회째 파라과이/Paraguayes 3회 만에 2회째 UEFA 1+7 전회 우승국 이탈리아/Italiait 3회 연속 3회째 유럽 예선 1조 1위 잉글랜드/England영어 초출전 2위 스코틀랜드/Scotland영어출전 포기 2조 1위 튀르키예/Türkiyetr출전 포기 3조 1위 유고슬라비아/Jugoslavijash 3회 만에 2회째 4조 1위 스위스/Schweizde 3회 연속 3회째 5조 1위 스웨덴/Sverigesv 3회 연속 3회째 6조 1위 스페인/Españaes 2회 만에 2회째 CONCACAF 2 북중미카리브해 예선 9조 1위 멕시코/Méxicoes 3회 만에 2회째 2위 미국/United States영어 2회 만에 3회째 AFC 1 아시아 예선 10조 1위 인도/Bhārathi출전 포기
5. 대회 방식
각 조에서 승리 시 2점, 무승부 시 1점을 받았다. 조 1위 결정에 점수가 동률인 경우, 조 우승팀을 결정하기 위한 플레이오프가 열렸을 것이다.[16]
전체 토너먼트는 4개의 1차 조별 리그가 지리적 기준이 없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여러 팀들은 경기를 완료하기 위해 장거리를 이동해야 했지만, 브라질은 세 경기 중 두 경기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치르고 다른 한 경기는 비교적 가까운 상파울루에서 치를 수 있었다.
6.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리우데자네이루 상파울루 벨루오리존치 이스타디오 두 마라카낭 이스타디오 두 파카엠부 이스타디오 세떼 드 세템브루 수용 인원: 200,000 수용 인원: 60,000 수용 인원: 30,000 colspan="3" | 포르투알레그리 레시페 쿠리치바 이스타디오 두스 우칼리프투스 이스타디오 일랴 두 레티루 이스타디오 빌라 카파네마 수용 인원: 20,000 수용 인원: 20,000 수용 인원: 10,000
6. 1. 경기장 목록
1950년 FIFA 월드컵은 브라질 6개 도시의 6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당시 수도였던 리우데자네이루의 마라카낭에서는 마라카낭 참사 경기를 포함하여 8경기가 열렸다. 상파울루의 파카엠부 경기장에서는 6경기가 열렸다. 이 두 경기장은 2차 조별 리그 경기를 개최한 유일한 경기장이었다. 벨루오리존치의 세떼드세템브루 경기장에서는 3경기, 쿠리치바의 두리발 데 브리투 경기장과 포르투알레그리의 우칼리프투스 경기장에서는 각각 2경기, 레시페의 일랴 두 레티루 경기장에서는 1경기가 열렸다. 브라질은 새로운 경기장 건설에 2억 9천만 달러를 투자했고, 마라카낭 건설 비용만 약 2억 7천 5백만 달러였다.[20]
리우데자네이루 | 상파울루 | 벨루오리존치 |
---|---|---|
이스타디오 두 마라카낭 | 이스타디오 두 파카엠부 | 이스타디오 세떼 드 세템브루 |
수용 인원: 200,000 | 수용 인원: 60,000 | 수용 인원: 30,000 |
colspan="3" | | ||
포르투알레그리 | 레시페 | 쿠리치바 |
이스타디오 두스 우칼리프투스 | 이스타디오 일랴 두 레티루 | 이스타디오 빌라 카파네마 |
수용 인원: 20,000 | 수용 인원: 20,000 | 수용 인원: 10,000 |
6. 1. 1. 리우데자네이루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6. 1. 2. 상파울루
아무런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하지 않습니다.6. 1. 3. 벨루오리존치
아무 내용도 출력할 수 없습니다. `summary`와 `source`에 내용이 제공되지 않았습니다.6. 1. 4. 쿠리치바
(내용 없음)6. 1. 5. 포르투알레그리
(내용 없음)6. 1. 6. 헤시피
내용이 없습니다.7. 선수 명단
195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선수 명단은 1950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조별 리그
경기 시작 시각은 모두 현지 시간(UTC-3) 기준이다.
- 1950년 6월 24일 마라카낭 경기장(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브라질과 멕시코의 경기에서 아데미르가 2골[31], 자이르, 바우타자르가 각각 1골씩 넣어 브라질이 4-0으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81,649명이 입장했다.
- 1950년 6월 25일 에스타디오 세테 데 세템브로(벨루오리존치)에서 열린 유고슬라비아와 스위스의 경기에서 미티치[32], 토마셰비치, 오그냐노프가 각각 1골씩 넣어 유고슬라비아가 3-0으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7,336명이 입장했다.
- 1950년 6월 28일 파카엠부 경기장(상파울루)에서 열린 브라질과 스위스의 경기에서 아우프레도와 바우타자르[33]가 각각 브라질의 골을, 파통이 스위스의 2골을 넣어 2-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관중은 42,032명이 입장했다.
- 1950년 6월 28일 에스타디오 도스 에우칼립토스(포르투알레그리)에서 열린 멕시코와 유고슬라비아의 경기에서 보베크, Ž. 차이코프스키(2골[34][35]), 토마셰비치가 유고슬라비아의 골을, 오르티스가 페널티골로 멕시코의 골을 넣어 유고슬라비아가 4-1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11,078명이 입장했다.
- 1950년 7월 1일 마라카낭 경기장(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브라질과 유고슬라비아의 경기에서 아데미르와 지지뉴[36]가 각각 1골씩 넣어 브라질이 2-0으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142,429명이 입장했다.
- 1950년 7월 2일 에스타디오 도스 에우칼립토스(포르투알레그리)에서 열린 멕시코와 스위스의 경기에서 바데와 안테넨[37]이 스위스의 골을, 카사린이 멕시코의 골을 넣어 스위스가 2-1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3,580명이 입장했다.
1950년 6월 25일 15:00 (UTC-3)
잉글랜드 2 - 0 칠레
1950년 6월 25일 15:00 (UTC-3)
스페인 3 - 1 미국
- 에스타디오 빌라 카파네마(쿠리치바) (관중: 9,511명)
- 주심: 마리우 비아나 (브라질)
- 득점:
- * 스페인: 이고아 (81'), 바솔라 (83'), 사라 (89')
- * 미국: 파리아니 (17')
1950년 6월 29일 15:00 (UTC-3)
스페인 2 - 0 칠레
1950년 6월 29일 15:00 (UTC-3)
미국 1 - 0 잉글랜드
1950년 7월 2일 15:00 (UTC-3)
스페인 1 - 0 잉글랜드
1950년 7월 2일 15:00 (UTC-3)
칠레 5 - 2 미국
- 에스타디오 이야 두 레시피(레시페) (관중: 8,501명)
- 주심: 마리우 갈데리 (브라질)
- 득점:
- * 칠레: 로블레도 (16'), 크레마시 (32', 60'), 프리에토 (54'), 리에라 (82')
- * 미국: 윌리스 (47'), 마카 (48' 페널티골)
C조는 스웨덴, 이탈리아, 파라과이로 구성되었다. 인도는 조 추첨 후 기권하였다.[40][41][44][45][46][47]
- 인도는 ''기권''
- ---
1950년 6월 25일 15:00
스웨덴 3 - 2 이탈리아
1950년 6월 29일 15:30
스웨덴 2 - 2 파라과이
- (쿠리치바)
- 주심: 로버트 미첼
- 득점:
- * 스웨덴: 순드크비스트 (17'), 팔멜 (26')[42][43]
- * 파라과이: 로페스 프레테스 (35'), 로페스 (74')[44][45]
- ---
1950년 7월 2일 15:00
이탈리아 2 - 0 파라과이
프랑스는 조 추첨 후 기권하였다.[48] 계속되는 초청국[49]들의 기권으로 인해 D조는 우루과이 대 볼리비아의 경기만 유일하게 진행되었다.
- 프랑스는 ''기권''
- ---
1950년 7월 2일 15:00
우루과이 8 - 0 볼리비아
- 에스타디오 세테 지 세템브루(벨루오리존치) (관중: 5,284명)
- 주심: 조지 리더 ()
- 득점:
- * 우루과이: 미게스 (14', 40', 51'), 비달 (18'), 스키아피노 (23', 54'), 페레스 (83'), 기하 (87')[50][51][52][53][54][41]
- ---
8. 1. A조
- 1950년 6월 24일 마라카낭 경기장(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브라질과 멕시코의 경기에서 아데미르가 2골[31], 자이르, 발타자르가 각각 1골씩 넣어 브라질이 4-0으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81,649명이 입장했다.
- 1950년 6월 25일 미네이랑 경기장(벨루오리존치)에서 열린 유고슬라비아와 스위스의 경기에서 미티치[32], 토마제비치, 오그냐노프가 각각 1골씩 넣어 유고슬라비아가 3-0으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7,336명이 입장했다.
- 1950년 6월 28일 파카엠부 경기장(상파울루)에서 열린 브라질과 스위스의 경기에서 알프레도, 발타자르[33]가 각각 브라질의 골을, 파통이 스위스의 2골을 넣어 2-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관중은 42,032명이 입장했다.
- 1950년 6월 28일 도스 유칼립투스 경기장(포르투알레그리)에서 열린 멕시코와 유고슬라비아의 경기에서 보베크, 차이코프스키(2골[34][35]), 토마제비치가 유고슬라비아의 골을, 오티즈가 페널티골로 멕시코의 골을 넣어 유고슬라비아가 4-1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11,078명이 입장했다.
- 1950년 7월 1일 마라카낭 경기장(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브라질과 유고슬라비아의 경기에서 아데미르와 지지뉴[36]가 각각 1골씩 넣어 브라질이 2-0으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142,429명이 입장했다.
- 1950년 7월 2일 도스 유칼립투스 경기장(포르투알레그리)에서 열린 멕시코와 스위스의 경기에서 바데르와 타미니[37]가 스위스의 골을, 카사린이 멕시코의 골을 넣어 스위스가 2-1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3,580명이 입장했다.
8. 1. 1. 경기 결과 (A조)
- 1950년 6월 24일 마라카낭 경기장(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브라질과 멕시코의 경기에서 아데미르가 2골, 자이르, 바우타자르가 각각 1골씩 넣어 브라질이 4-0으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81,649명이 입장했다.
- 1950년 6월 25일 에스타디오 세테 데 세템브로(벨루오리존치)에서 열린 유고슬라비아와 스위스의 경기에서 미티치, 토마셰비치, 오그냐노프가 각각 1골씩 넣어 유고슬라비아가 3-0으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7,336명이 입장했다.
- 1950년 6월 28일 파카엠부 경기장(상파울루)에서 열린 브라질과 스위스의 경기에서 아우프레도와 바우타자르가 각각 브라질의 골을, 파통이 스위스의 2골을 넣어 2-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관중은 42,032명이 입장했다.
- 1950년 6월 28일 에스타디오 도스 에우칼립토스(포르투알레그리)에서 열린 멕시코와 유고슬라비아의 경기에서 보베크, Ž. 차이코프스키(2골), 토마셰비치가 유고슬라비아의 골을, 오르티스가 멕시코의 골을 넣어 유고슬라비아가 4-1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11,078명이 입장했다.
- 1950년 7월 1일 마라카낭 경기장(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브라질과 유고슬라비아의 경기에서 아데미르와 지지뉴가 각각 1골씩 넣어 브라질이 2-0으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142,429명이 입장했다.
- 1950년 7월 2일 에스타디오 도스 에우칼립토스(포르투알레그리)에서 열린 멕시코와 스위스의 경기에서 바데와 안테넨이 스위스의 골을, 카사린이 멕시코의 골을 넣어 스위스가 2-1로 승리하였다. 관중은 3,580명이 입장했다.
8. 2. B조
B조에는 스페인, 잉글랜드, 칠레, 미국이 편성되었다.[38] 스페인이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결승 리그에 진출했다.[38]
1950년 6월 25일 15:00
잉글랜드 2 - 0 칠레
1950년 6월 25일 15:00
스페인 3 - 1 미국
- 쿠투 페헤이라 경기장(쿠리치바) (관중: 9,511명)
- 주심: 마리오 비아나 (브라질)
- 득점:
- * 스페인: 이고아 (81'), 바소라 (83'), 사라 (89')
- * 미국: 소우자 (17')
1950년 6월 29일 15:00
스페인 2 - 0 칠레
1950년 6월 29일 18:00
미국 1 - 0 잉글랜드
미국 대 잉글랜드 (1950년 FIFA 월드컵)에서 미국은 잉글랜드를 1-0으로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
1950년 7월 2일 15:00
스페인 1 - 0 잉글랜드
1950년 7월 2일 18:00
칠레 5 - 2 미국
- 라우다 경기장(헤시피) (관중: 8,501명)
- 주심: 마리오 가르델리 (브라질)
- 득점:
- * 칠레: 로블레도 (16'), 리에라 (32') ,크레마쉬 (61', 82'), 프리에토 (54')
- * 미국: 월리스 (47'), 소우자 (48' 페널티골)
8. 2. 1. 경기 결과 (B조)
1950년 6월 25일 15:00 (UTC-3)
잉글랜드 2 - 0 칠레
1950년 6월 25일 15:00 (UTC-3)
스페인 3 - 1 미국
- 에스타디오 빌라 카파네마(쿠리치바) (관중: 9,511명)
- 주심: 마리우 비아나 (브라질)
- 득점:
- * 스페인: 이고아 (81'), 바솔라 (83'), 사라 (89')
- * 미국: 파리아니 (17')
1950년 6월 29일 15:00 (UTC-3)
스페인 2 - 0 칠레
1950년 6월 29일 15:00 (UTC-3)
미국 1 - 0 잉글랜드
1950년 7월 2일 15:00 (UTC-3)
스페인 1 - 0 잉글랜드
1950년 7월 2일 15:00 (UTC-3)
칠레 5 - 2 미국
- 에스타디오 이야 두 레시피(레시페) (관중: 8,501명)
- 주심: 마리우 갈데리 (브라질)
- 득점:
- * 칠레: 로블레도 (16'), 크레마시 (32', 60'), 프리에토 (54'), 리에라 (82')
- * 미국: 윌리스 (47'), 마카 (48' 페널티킥)
8. 3. C조
C조는 스웨덴,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파라과이로 구성되었다. 인도는 조 추첨 후 기권하였다.[40][41][44][45][46][47]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스웨덴 | 3 | 2 | 1 | 1 | 0 | 5 | 4 | +1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2 | 2 | 1 | 0 | 1 | 4 | 3 | +1 |
파라과이 | 1 | 2 | 0 | 1 | 1 | 2 | 4 | -2 |
인도 | 기권 |
1950년 6월 25일, 상파울루의 파카엠부 경기장에서 열린 스웨덴과 이탈리아의 경기에서 스웨덴이 3-2로 승리했다.[39] 스웨덴의 제프손이 2골, 안데르손이 1골을 넣었고,[40] 이탈리아는 카라펠레세와 무치넬리가 득점했다.[41]
1950년 6월 29일, 쿠리치바의 쿠투 페헤이라 경기장에서 열린 스웨덴과 파라과이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42][43] 스웨덴은 선퀴비스트와 팔메르가 득점했고,[42][43] 파라과이는 A. 로페즈와 C. 로페즈가 득점했다.[44][45]
1950년 7월 2일, 상파울루의 파카엠부 경기장에서 열린 이탈리아와 파라과이의 경기에서 이탈리아가 2-0으로 승리했다.[46][47] 이탈리아의 카라펠레세와 판돌피니가 득점했다.[46][47]
스웨덴은 1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여 결승 리그에 진출했다.
8. 3. 1. 경기 결과 (C조)
안데르손 (득점 34분) - 카라펠레세 (득점 7분)무치넬리 (득점 78분)
파카엠부 경기장(상파울루)
관중: 36,502명
주심: 장 루츠
- ---
SWE/1950년 6월 29일}} 15:30
순드크비스트 (득점 17분)
팔멜 (득점 26분) - 로페스 프레테스 (득점 35분)
로페스 (득점 74분)
(쿠리치바)
관중: 7,903명
주심: 로버트 미첼
- ---
ITA/1950년 7월 2일}} 15:00
카라펠레세 (득점 12분)
판돌피니 (득점 63분)
파카엠부 경기장(상파울루)
관중: 25,811명
주심: 아서 엘리스
- ---
8. 4. D조
프랑스는 조 추첨 후 기권하였다.[48] 계속되는 초청국[49]들의 기권으로 인해 D조는 우루과이 대 볼리비아의 경기만 유일하게 진행되었다.
1950년 7월 2일 18:00 (벨루오리존치 미네이랑 경기장)에서 열린 우루과이와 볼리비아의 경기에서 미구에스가 해트트릭을 기록하고, 비달, 쉬아피노, 페레스, 기지아가 득점하며 우루과이가 8-0으로 승리했다.[50][51][52][53][54][41] 이 경기의 관중 수는 5,284명이었고, 주심은 잉글랜드의 조지 리더였다.
8. 4. 1. 경기 결과 (D조)
비달스키아피노
페레스
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