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은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해 2017년에 개최되었다. AFC 소속 47개국 중 40개 팀이 참가했으며, 개최국인 중국은 예선에 자동 진출했다. 예선은 서부와 동부 지역으로 나뉘어 조 추첨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10개 팀과 2위 팀 중 상위 6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에는 중국, 대한민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카타르, 이라크, 요르단, 말레이시아, 오만, 팔레스타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태국,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등 총 16개 팀이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 2018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
2018년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16개국 U-23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하여 중국에서 열린 국제 대회로, 우즈베키스탄이 우승하고 대한민국은 4위를 기록했다. -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선수 명단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선수 명단은 2018년 1월 중국에서 열린 AFC U-23 챔피언십에 참가한 A조부터 D조까지 각 팀의 선수들을 포함하고 있다. - AFC U-23 챔피언십 예선 -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은 총 43개 팀이 참가하여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본선에 진출할 15개 팀을 가리는 대회로, 조별 리그를 거쳐 각 조 1위 팀과 2위 팀 중 상위 5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며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남자 축구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을 겸했다. - AFC U-23 챔피언십 예선 - 2013년 AFC U-22 챔피언십 예선
2013년 AFC U-22 챔피언십 예선은 2013년 AFC U-22 챔피언십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 대회로, 41개 팀이 참가하여 15장의 본선 티켓을 두고 경쟁했으며, 조별 리그를 통해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등이 본선에 진출했다. - 2017년 청소년 축구 - 2017년 FIFA U-20 월드컵
2017년 FIFA U-20 월드컵은 대한민국에서 24개국이 참가하여 열린 국제 청소년 축구 대회로, 잉글랜드의 우승, 도미닉 솔란케의 최우수 선수 선정, 리카르도 오르솔리니의 득점왕 선정, 그리고 비디오 판독 심판 제도 도입이 특징이다. - 2017년 청소년 축구 - 2017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2017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폴란드에서 12개국이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독일이 스페인을 꺾고 우승, 다니 세바요스가 MVP, 사울 니게스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AFC U-23 챔피언십 예선 |
연도 | 2018년 |
개최 기간 | 2017년 7월 15일 – 23일 |
참가 팀 수 | 40 |
경기 수 | 57 |
총 득점 | 205 |
경기당 득점 | 3.6 |
총 관중 수 | 277,285 |
경기당 관중 수 | 4,865 |
이전 시즌 | 2016년 |
다음 시즌 | 2020년 |
지역 | |
연맹 | 1 |
개최지 정보 | |
개최국 (그룹 A) | 키르기스스탄 |
개최국 (그룹 B) | 사우디 아라비아 |
개최국 (그룹 C) | 카타르 |
개최국 (그룹 D) | 아랍 에미리트 |
개최국 (그룹 E) | 팔레스타인 |
개최국 (그룹 F) | 미얀마 |
개최국 (그룹 G)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개최국 (그룹 H) | 태국 |
개최국 (그룹 I) | 베트남 |
개최국 (그룹 J) | 캄보디아 |
경기장 수 | 10 |
도시 수 | 10 |
득점 관련 | |
득점왕 | 아이멘 후세인(IRQ) |
득점왕 골 수 | 6골 |
2. 참가팀
AFC 회원국 중 총 40개 팀이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에 참가했다. 결승 토너먼트 개최국인 중국은 결승 토너먼트에 자동 진출했음에도 예선에 참가하기로 결정했다.[3]
2017년 3월 1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조 추첨이 진행되었으며, 40개 팀은 4팀씩 10개 조로 나뉘었다.[4] 각 팀은 2016년 AFC U-23 챔피언십 성적에 따라 시드를 배정받았고, 예선 조 개최 의사를 밝힌 9개 팀은 별도 조에 편성되었다.[5]
참가팀은 서아시아와 동아시아 두 구역으로 나뉘었다.
조 추첨 결과는 원문에 포함된 표와 같다.
- '''굵게''' 표시된 팀은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 '''(H)''': 예선 조 호스트 (* 조 추첨 후 캄보디아가 예선 조 호스트로 선정됨)
- '''(Q)''': 결승 토너먼트 개최국, 예선 결과와 관계없이 자동 진출
- '''(W)''': 조 추첨 후 기권
한편, 쿠웨이트는 FIFA 자격 정지[6]로 인해 참가가 불허되었고, 부탄, 몰디브, 파키스탄, 예멘(이상 서부 구역), 괌, 북마리아나 제도(이상 동부 구역)는 예선에 참가하지 않았다.
1995년 1월 1일 또는 그 이후에 태어난 선수들이 대회에 참가할 자격이 있었다.[7]
2. 1. 시드 배정
2018년 AFC U-23 챔피언십 예선 시드 배정은 서아시아(A-E조)와 동아시아(F-J조)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동아시아 포트 1에 배정되었다.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
서아시아 | 이라크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이란 요르단 | 우즈베키스탄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타지키스탄 | 팔레스타인 바레인 인도 키르기스스탄 레바논 |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네팔 투르크메니스탄 |
동아시아 |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태국 |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라오스 | 말레이시아 동티모르 중화 타이베이 캄보디아 싱가포르 | 몽골 홍콩 필리핀 브루나이 마카오 |
[7]
2017년 3월 17일 15:00 MYT (UTC+8)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AFC 하우스에서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4] 40개 팀은 4팀씩 10개 조로 나뉘었다. 각 조에서 팀들은 각 팀과 한 번씩 중앙 집중된 장소에서 경기를 치렀다. 10개 조의 우승팀과 5개 조의 최고 성적을 거둔 준우승팀이 최종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만약 최종 토너먼트 개최국인 중국이 속한 조에서 우승했거나, 5개 조의 최고 성적 준우승팀에 포함된 경우, 6번째로 좋은 성적을 거둔 준우승팀 또한 최종 토너먼트에 진출했다.[4]
3. 조별 리그
각 팀은 승점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며, 승점이 동률일 경우,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다음의 동점자 처리 기준이 순서대로 적용되었다.[7]
# 동률 팀 간의 승점
# 동률 팀 간의 골 득실차
# 동률 팀 간의 득점
# 2개 이상의 팀이 동률을 이루는 경우, 위의 모든 상대 전적 기준을 적용한 후에도 일부 팀이 여전히 동률을 이루면, 위의 모든 상대 전적 기준을 이 팀들만을 대상으로 다시 적용한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득점
# 2개 팀만 동률을 이루고 마지막 조별 리그 경기에서 만났을 경우의 승부차기
# 징계 점수 (경고 = 1점, 경고 누적으로 인한 퇴장 = 3점, 직접 퇴장 = 3점, 경고 후 직접 퇴장 = 4점)
# 추첨
경기는 2017년 7월 15일부터 23일까지 치러졌다.경기 날짜 날짜 경기 D조 A~C, E~J조 B~J조 A조 1일차 2017년 7월 15일 2017년 7월 19일 1 vs 4, 2 vs 3 3 vs 1 2일차 2017년 7월 17일 2017년 7월 21일 4 vs 2, 3 vs 1 2 vs 3 3일차 2017년 7월 19일 2017년 7월 23일 1 vs 2, 3 vs 4 1 vs 2
;참고3. 1. I조 (대한민국, 베트남, 동티모르, 마카오)
- 고려대학교 소속 조영욱 선수는 마카오전에서 4골을 몰아넣으며 대한민국의 10-0 대승을 이끌었다.
- 동티모르전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 베트남과의 최종전에서는 2-1로 승리하며 조 1위를 확정,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대전 시티즌의 황인범과 울산 현대의 이상헌이 득점을 기록했다.
- 베트남은 조 2위를 기록했지만, 상위 2위 5개 팀 안에 포함되어 본선에 진출했다.
3. 2. A조
A조의 경기는 카타르에서 개최되었다. 시간대는 UTC+3이다.2017년 7월 19일 | 17:00 | 시리아 | 2 – 0 | 인도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853명 | 김희곤 (대한민국) |
---|---|---|---|---|---|---|---|
2017년 7월 19일 | 20:00 | 카타르 | 2 – 0 | 투르크메니스탄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1,736명 | Suhaizi Shukri (말레이시아) |
2017년 7월 21일 | 17:00 | 투르크메니스탄 | 0 – 0 | 시리아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780명 | 니본 로베시 가미니 (스리랑카) |
2017년 7월 21일 | 20:00 | 인도 | 0 – 1 | 카타르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2,768명 | Chen Hsin-chuan (중화민국) |
2017년 7월 23일 | 17:00 | 인도 | 3 – 1 | 투르크메니스탄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312명 | 김희곤 (대한민국) |
2017년 7월 23일 | 20:00 | 카타르 | 1 – 1 | 시리아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 1,760명 | Suhaizi Shukri (말레이시아) |
3. 3. B조
B조 경기는 아랍에미리트에서 UTC+4 시간 기준으로 진행되었다.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2017년 7월 15일 18:25 | 아랍에미리트 | 5 - 0 | 네팔 | 타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알아인[1] |
2017년 7월 15일 21:15 | 우즈베키스탄 | 3 - 1 | 레바논 | 타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알아인[2] |
2017년 7월 17일 18:25 | 네팔 | 0 - 2 | 우즈베키스탄 | 타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알아인[3] |
2017년 7월 17일 21:15 | 레바논 | 0 - 1 | 아랍에미리트 | 타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알아인[4] |
2017년 7월 19일 18:25 | 아랍에미리트 | 0 - 2 | 우즈베키스탄 | 타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알아인[5] |
2017년 7월 19일 21:15 | 레바논 | 2 - 0 | 네팔 | 타눈 빈 모하메드 경기장, 알아인[6] |
3. 4. C조
C조의 경기는 팔레스타인에서 개최되었다. 시간대는 UTC+3이었다.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팔레스타인 | 3 | 2 | 1 | 0 | 8 | 4 | |||
2 | 요르단 | 3 | 2 | 0 | 1 | 11 | 3 | +8 | 6 | |
3 | 타지키스탄 | 3 | 1 | 1 | 1 | 5 | 5 | 0 | 4 | rowspan="2" | |
4 | 방글라데시 | 3 | 0 | 0 | 3 | 1 | 13 | -12 | 0 |
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심판 |
---|---|---|---|---|---|---|
2017년 7월 19일 16:30 | 요르단 | 7 : 0 | 방글라데시 | 도라 국제경기장 (헤브론) | 50명 | 셰르조드 카시모프 (우즈베키스탄)[1] |
2017년 7월 19일 19:30 | 타지키스탄 | 2 : 2 | 팔레스타인 | 도라 국제경기장 (헤브론) | 700명 | 마흐무드 살림 사이드 마자라피 (오만)[2] |
2017년 7월 21일 16:30 | 방글라데시 | 1 : 3 | 타지키스탄 | 도라 국제경기장 (헤브론) | 50명 | Çarymyrat Kurbanow (투르크메니스탄)[3] |
2017년 7월 21일 19:30 | 팔레스타인 | 3 : 2 | 요르단 | 도라 국제경기장 (헤브론) | 700명 | Pranjal Banerjee (인도)[4] |
2017년 7월 23일 16:30 | 요르단 | 2 : 0 | 타지키스탄 | 도라 국제경기장 (헤브론) | 50명 | 셰르조드 카시모프 (우즈베키스탄)[5] |
2017년 7월 23일 19:30 | 팔레스타인 | 3 : 0 | 방글라데시 | 도라 국제경기장 (헤브론) | 500명 | Mahmood Salim Said Al-Majarafi (오만)[6] |
3. 5. D조
Myanmar|미얀마영어에서 경기가 개최되었으며, 현지 시간대는 UTC+6:30이다.일시 | 팀 1 | 팀 2 | 경기장 | 관중 | 주심 | |
---|---|---|---|---|---|---|
2017년 7월 19일 15:00 | 오스트레일리아 | 2 – 0 | 브루나이 |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 3,000명 | 야마모토 유다이 (일본) |
2017년 7월 19일 18:00 | 미얀마 | 2 – 0 | 싱가포르 |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 13,200명 | Khamis Al-Kuwari (카타르) |
2017년 7월 21일 15:00 | 싱가포르 | 0 – 7 | 오스트레일리아 |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 750명 | Ammar Mahfoodh (바레인) |
2017년 7월 21일 18:00 | 브루나이 | 0 – 3 | 미얀마 |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 10,260명 | 무드 보냐디파르 (이란) |
2017년 7월 23일 15:00 | 싱가포르 | 4 – 1 | 브루나이 |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 9,270명 | 야마모토 유다이 (일본) |
2017년 7월 23일 18:00 | 오스트레일리아 | 3 – 0 | 미얀마 | 투운나 스타디움, 양곤 | 30,000명 | Ammar Mahfoodh (바레인) |
- 오스트레일리아 득점: Blackwood (2골), 맥그리 , Mauk , Popovic (2골), Clut , Sotirio (2골), Kamau , Aspropotamitis
3. 6. E조
E조는 북한에서 2017년 7월 19일부터 7월 23일까지 개최되었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8:30)을 따른다.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북한 | 3 | 2 | 1 | 0 | 14 | 2 | +12 | 7 | 본선 진출 |
2 | 홍콩 | 3 | 1 | 2 | 0 | 6 | 2 | +4 | 5 | |
3 | 라오스 | 3 | 1 | 1 | 1 | 4 | 8 | -4 | 4 | |
4 | 중화 타이베이 | 3 | 0 | 0 | 3 | 2 | 14 | -12 | 0 |
날짜 |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비고 |
---|---|---|---|---|---|
2017년 7월 19일 | 15:00 | 라오스 | 3 - 1 | 중화 타이베이 | 관중: 12,400명[1] |
2017년 7월 19일 | 18:00 | 북한 | 1 - 1 | 홍콩 | 서정혁 득점, 관중: 14,500명[2] |
2017년 7월 21일 | 15:00 | 홍콩 | 1 - 1 | 라오스 | 관중: 12,500명[3] |
2017년 7월 21일 | 18:00 | 중화 타이베이 | 1 - 7 | 북한 | 김유성 (3골), 리은철, 서정혁, 김성, 김국철 득점, 관중: 13,000명[4] |
2017년 7월 23일 | 15:00 | 중화 타이베이 | 0 - 4 | 홍콩 | 관중: 13,000명[5] |
2017년 7월 23일 | 18:00 | 북한 | 6 - 0 | 라오스 | 김국범, 서정혁 (2골), 리훈, 김유성, 전세 득점, 관중: 14,000명[6] |
모든 경기는 평양의 릉라도5월1일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3. 7. F조
Group F영어는 태국에서 UTC+7 시간대에 진행되었다.날짜 | 시간 (UTC+7) | 팀 1 | 결과 | 팀 2 | 장소 |
---|---|---|---|---|---|
2017년 7월 19일 | 16:00 | 인도네시아 | 0 - 3 | 말레이시아 |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방콕 |
2017년 7월 19일 | 20:10 | 태국 | 1 - 1 | 몽골 | |
2017년 7월 21일 | 16:00 | 몽골 | 0 - 7 | 인도네시아 | |
2017년 7월 21일 | 19:00 | 말레이시아 | 0 - 3 | 태국 | |
2017년 7월 23일 | 16:00 | 말레이시아 | 2 - 0 | 몽골 | |
2017년 7월 23일 | 19:00 | 태국 | 0 - 0 | 인도네시아 |
3. 8. G조
Group G영어조는 베트남에서 UTC+7 시간대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조 1위, 베트남은 조 2위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베트남 |
---|
하득찐 |
응우옌꽁푸엉 (2골) |
응우옌뚜언아인 |
동티모르 | 마카오 |
---|---|
윌슨스 다 크루스 마르틴스 엔리케 | 로만힌 |
지헤수스 레이스 나다니엘 (2골) | |
나학 포르텔라 코넬리스 (2골) | |
월터 가마 루피노 | |
사르멘투 |
3. 9. H조
H영어조의 경기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2017년 7월 19일부터 7월 23일까지 열렸다.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중국 | 3 | 2 | 1 | 0 | 4 | 1 | +3 | 7 | 본선 진출 |
2 | 일본 | 3 | 2 | 0 | 1 | 11 | 2 | +9 | 6 | |
3 | 캄보디아 | 3 | 1 | 1 | 1 | 1 | 2 | -1 | 4 | rowspan="2" | |
4 | 필리핀 | 3 | 0 | 0 | 3 | 0 | 11 | -11 | 0 |
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 주심 | 비고 |
---|---|---|---|---|---|---|---|
2017년 7월 19일 15:30 | 일본 | 8 - 0 | 필리핀 |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 321명 | 파얌 헤이다리 (이란) | 고지, Komatsu (4골), 모리시마, Nakasaka, Hiroki 득점[1] |
2017년 7월 19일 18:30 | 중국 | 0 - 0 | 캄보디아 |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 7,326명 | 김대용 (대한민국)[2] | |
2017년 7월 21일 15:30 | 필리핀 | 0 - 2 | 중국 |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 4,328명 | Timur Faizullin (키르기스스탄) | 허차오, Zhang Xiuwei 득점[3] |
2017년 7월 21일 18:30 | 캄보디아 | 0 - 2 | 일본 |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 15,825명 | Sukhbir Singh (싱가포르) | 엔도, Komatsu 득점[4] |
2017년 7월 23일 15:30 | 일본 | 1 - 2 | 중국 |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 6,372명 | 파얌 헤이다리 (이란) | 엔도, 웨이스하오, 덩한원 득점[5] |
2017년 7월 23일 18:30 | 캄보디아 | 1 - 0 | 필리핀 | 프놈펜 올림픽 스타디움, 프놈펜 | 17,282명 | 김대용 (대한민국)[6] | 삼난 득점[6] |
3. 10. J조
4. 각 조 2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ශ්රී ලංකා|스리랑카si의 기권으로 인해, 각 조 4위 팀과의 경기 결과는 제외하고 순위를 결정했다.[4] 순위 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9]
# 승점
# 득실차
# 득점
# 승리
# 페어플레이 점수가 가장 낮은 팀 (경고 : 1점, 3점 : 경고 누적 퇴장 및 직접 퇴장, 4점 : 경고 받은 후 직접 퇴장)
# 추첨
순위 | 조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결과 비교를 위해 전적에서 제외되는 조 4위 팀 |
---|---|---|---|---|---|---|---|---|---|---|---|---|
1 | H | 2 | 1 | 1 | 0 | 3 | 0 | +3 | 4 | 본선 진출 | ||
2 | C | 2 | 1 | 1 | 0 | 3 | 1 | +2 | 4 | 본선 진출 | ||
3 | I | 2 | 1 | 0 | 1 | 5 | 2 | +3 | 3 | 본선 진출 | ||
4 | E | 2 | 1 | 0 | 1 | 4 | 3 | +1 | 3 | 본선 진출 | ||
5 | J | 2 | 1 | 0 | 1 | 3 | 2 | +1 | 3 | 본선 진출 | ||
6 | B | 2 | 1 | 0 | 1 | 3 | 3 | 0 | 3 | 본선 진출 | ||
7 | A | 2 | 1 | 0 | 1 | 2 | 3 | -1 | 3 | 지역 예선 탈락 | 없음 | |
8 | F | 2 | 1 | 0 | 1 | 2 | 3 | -1 | 3 | 지역 예선 탈락 | ||
9 | D | 2 | 1 | 0 | 1 | 1 | 2 | -1 | 3 | 지역 예선 탈락 | ||
10 | G | 2 | 0 | 2 | 0 | 2 | 2 | 0 | 2 | 지역 예선 탈락 |
최종 토너먼트 개최국인 중국이 J조에서 우승하여, 6번째로 좋은 성적을 거둔 준우승팀까지 최종 토너먼트에 진출했다.[4]
5. 본선 진출팀
팀 | 진출 자격 | 진출 날짜 | AFC U-23 챔피언십 이전 출전 횟수1 |
---|---|---|---|
개최국 | 2016년 11월 25일 | 2 (2013, 2016) | |
A조 1위 | 2017년 7월 23일 | 1 (2013) | |
B조 1위 | 2017년 7월 23일 | 2 (2013, 2016) | |
C조 1위 | 2017년 7월 23일 | 1 (2016) | |
D조 1위 | 2017년 7월 19일 | 2 (2013, 2016) | |
E조 1위 | 2017년 7월 23일 | 0 (첫 출전) | |
F조 1위 | 2017년 7월 23일 | 2 (2013, 2016) | |
G조 1위 | 2017년 7월 23일 | 2 (2013, 2016) | |
H조 1위 | 2017년 7월 23일 | 0 (첫 출전) | |
I조 1위 | 2017년 7월 23일 | 2 (2013, 2016) | |
2위팀 중 상위 1위 | 2017년 7월 23일 | 1 (2016) | |
2위팀 중 상위 2위 | 2017년 7월 23일 | 2 (2013, 2016) | |
2위팀 중 상위 3위 | 2017년 7월 23일 | 1 (2016) | |
2위팀 중 상위 4위 | 2017년 7월 23일 | 2 (2013, 2016) | |
2위팀 중 상위 5위 | 2017년 7월 23일 | 2 (2013, 2016) | |
2위팀 중 상위 6위 | 2017년 7월 23일 | 2 (2013, 2016) |
:
참조
[1]
웹사이트
AFC Calendar of Competitions 2017 (UPDATED) Updated as of 12 April 2016
http://www.the-afc.c[...]
The-AFC.com
2016-04-12
[2]
웹사이트
AFC Competitions Committee recommends new AFC Cup format
http://www.the-afc.c[...]
AFC
2016-11-25
[3]
웹사이트
Stage Set For AFC U-23 Championship 2018 Qualifiers Draw
http://www.the-afc.c[...]
AFC
2017-03-17
[4]
웹사이트
AFC U-23 Championship 2018 hopefuls learn their opponents
http://www.the-afc.c[...]
AFC
2017-03-17
[5]
Youtube
AFC U-23 CHINA 2018 QUALIFIERS - Official Draw
https://www.youtube.[...]
YouTube
2017-03-17
[6]
웹사이트
FIFA Congress drives football forward, first female secretary general appointed
https://web.archive.[...]
FIFA
2016-05-13
[7]
웹사이트
Regulations AFC U-23 Championship 2018
http://www.the-afc.c[...]
AFC
[8]
웹사이트
AFC U-23選手権中国2018予選 組み合わせ決定
http://www.jfa.jp/ne[...]
日本サッカー協会
2017-03-18
[9]
웹사이트
Regulations AFC U-23 Championship 2016
http://www.the-afc.c[...]
AFC
2015-03-27
[10]
뉴스
U-20日本代表は2位で滑り込み…AFC U-23選手権への出場権獲得
http://web.gekisaka.[...]
2017-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