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D-10 챕터 III: 혈액과 조혈 기관의 질병 및 면역 체계 관련 특정 장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영양성 빈혈 (D50-D53)
- 3. 용혈성 빈혈 (D55-D59)
- 3.1. 효소 장애에 의한 빈혈 (D55)
- 3.2. 지중해 빈혈 (D56)
- 3.3. 겸상 적혈구 장애 (D57)
- 3.4. 기타 유전성 용혈성 빈혈 (D58)
- 3.5. 후천성 용혈성 빈혈 (D59)
- 3.5.1. 약물 유발성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D59.0)
- 3.5.2. 기타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D59.1)
- 3.5.3. 약물 유발성 비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D59.2)
- 3.5.4. 용혈성 요독증 증후군 (D59.3)
- 3.5.5. 기타 비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D59.4)
- 3.5.6.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마르키아파바-미켈리 증후군) (D59.5)
- 3.5.7. 기타 외인에 의한 용혈성 혈색소뇨증 (D59.6)
- 3.5.8. 기타 후천성 용혈성 빈혈 (D59.8)
- 3.5.9. 후천성 용혈성 빈혈, 상세 불명 (D59.9)
- 4. 무형성 및 기타 빈혈 (D60-D64)
- 5. 응고 이상, 자색반병 및 기타 출혈성 상태 (D65-D69)
- 6. 기타 혈액과 조혈기관의 질병 (D70-D77)
- 7. 면역 기구의 장애 (D80-D89)
- 7.1. 주로 항체 결핍을 동반하는 면역 부전증 (D80)
- 7.1.1. 유전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 (D80.0)
- 7.1.2. 비가족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 (D80.1)
- 7.1.3. 선택적 면역글로불린 A (IgA) 결핍증 (D80.2)
- 7.1.4. 선택적 면역글로불린 G (IgG) 하위 클래스 결핍증 (D80.3)
- 7.1.5. 선택적 면역글로불린 M (IgM) 결핍증 (D80.4)
- 7.1.6. 면역글로불린 M (IgM) 증가를 동반하는 면역 부전증 (D80.5)
- 7.1.7. 정상 또는 고 면역글로불린혈증을 동반하는 항체 결핍증 (D80.6)
- 7.1.8. 영아 일과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 (D80.7)
- 7.1.9. 주로 항체 결핍을 동반하는 기타 면역 부전증 (D80.8)
- 7.1.10. 주로 항체 결핍을 동반하는 면역 부전증, 상세 불명 (D80.9)
- 7.2. 복합 면역 부전증 (D81)
- 7.2.1. 세망계 이형성을 동반하는 중증 복합 면역 부전증 (SCID) (D81.0)
- 7.2.2. T 세포 및 B 세포 감소를 동반하는 중증 복합 면역 부전증 (SCID) (D81.1)
- 7.2.3. B 세포 수가 감소 또는 정상인 중증 복합 면역 부전증 (SCID) (D81.2)
- 7.2.4. 아데노신 데아미나제 (ADA) 결핍증 (D81.3)
- 7.2.5. 네젤로프 증후군 (D81.4)
- 7.2.6. 퓨린 뉴클레오시드 포스포릴라제 (PNP) 결핍증 (D81.5)
- 7.2.7.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 클래스 I 결핍증 (D81.6)
- 7.2.8.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 클래스 II 결핍증 (D81.7)
- 7.2.9. 기타 복합 면역 부전증 (D81.8)
- 7.2.10. 복합 면역 부전증, 상세 불명 (D81.9)
- 7.3. 기타 큰 결손과 관련된 면역 부전증 (D82)
- 7.4.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 (D83)
- 7.5. 기타 면역 부전증 (D84)
- 7.6. 사르코이드증 (D86)
- 7.7. 기타 면역 기구의 장애, 다른 곳에 분류되지 않는 것 (D89)
- 7.1. 주로 항체 결핍을 동반하는 면역 부전증 (D80)
- 참조
1. 개요
ICD-10 챕터 III: 혈액과 조혈 기관의 질병 및 면역 체계 관련 특정 장애(D50-D89)는 영양성 빈혈, 용혈성 빈혈, 무형성 빈혈, 응고 이상, 자색반병, 기타 출혈성 상태, 기타 혈액 및 조혈 기관의 질병, 면역 기구의 장애 등을 포함하는 질병 분류이다. 이 챕터는 다양한 빈혈, 면역 부전, 혈액 및 조혈 기관의 기능 이상을 상세하게 분류하고 있으며, 각 질환의 원인, 증상 및 관련 장애를 세분화하여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질병분류 - ICD-11
ICD-11은 세계보건기구의 국제질병분류 제11차 개정판으로, 사망률 및 이환율 통계를 위한 다축 분류 시스템과 WHO 국제 분류 체계의 두 가지 주요 구조로 구성되며, 유연한 코딩 구조와 여러 주요 변경 사항을 포함하고 REST API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 국제질병분류 - ICD-10
ICD-10은 세계보건기구가 개발한 질병 및 사망의 국제 통계 분류의 10번째 개정판이며, 질병, 증상, 외상 등 건강 관련 상태에 영숫자 코드를 할당하여 22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전 세계에서 통계, 보험 청구 등에 사용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ICD-10 챕터 III: 혈액과 조혈 기관의 질병 및 면역 체계 관련 특정 장애 | |
---|---|
ICD-10 | |
분류 | 제3장: 혈액 및 조혈 기관의 질환과 특정 면역 메커니즘 관련 장애 |
범위 | D50-D89 |
설명 | 이 장은 다음과 같은 질병을 포함한다: 혈액 (및 조혈 기관)의 질병 면역 기전을 포함하는 특정 장애 |
세부 분류 | |
D50-D53 | 영양성 빈혈 |
D55-D59 | 효소 결핍으로 인한 빈혈 |
D60-D64 | 기타 빈혈 |
D65-D69 | 응고 결함, 자색반병 및 기타 출혈성 병태 |
D70-D77 | 혈액 및 조혈 기관의 기타 질환 |
D80-D89 | 면역 기전을 포함하는 특정 장애 |
2. 영양성 빈혈 (D50-D53)
영양성 빈혈 (D50-D53)은 철분, 시아노코발라민(비타민 B12) 및 엽산과 같은 필수 영양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을 의미한다.
- D50 철 결핍성 빈혈
- * D50.0 출혈로 인한 철 결핍성 빈혈(만성)
- * D50.1 철 결핍성 연하 장애
- * D50.8 기타 철 결핍성 빈혈
- * D50.9 철 결핍성 빈혈, 상세 불명
- D51 시아노코발라민([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 * D51.0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내인자 결핍에 의한 것
- * D51.1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단백뇨를 동반하는 선택적 비타민 B12 흡수 불량에 의한 것
- * D51.2 트란스코발라민2 결핍증
- * D51.3 기타 식사성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 * D51.8 기타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 * D51.9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상세 불명
- D52 엽산 결핍성 빈혈
- * D52.0 식사성 엽산 결핍성 빈혈
- * D52.1 약물 유발성 엽산 결핍성 빈혈
- * D52.8 기타 엽산 결핍성 빈혈
- * D52.9 엽산 결핍성 빈혈, 상세 불명
- D53 기타 영양성 빈혈
- * D53.0 단백 결핍성 빈혈
- * D53.1 기타 거대적아구성 빈혈, 달리 분류되지 않는 것
- * D53.2 괴혈병성 빈혈
- * D53.8 기타 명시된 영양성 빈혈
- * D53.9 영양성 빈혈, 상세 불명
2. 1. 철 결핍성 빈혈 (D50)
2. 1. 1. 출혈로 인한 철 결핍성 빈혈 (D50.0)
만성 출혈로 인해 철분이 손실되어 발생하는 철 결핍성 빈혈이다.2. 1. 2. 철 결핍성 연하 장애 (D50.1)
철분 흡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2. 1. 3. 기타 철 결핍성 빈혈 (D50.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는 철 결핍성 빈혈이다.2. 1. 4. 철 결핍성 빈혈, 상세 불명 (D50.9)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철 결핍성 빈혈이다.2. 2.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D51)
2. 2. 1. 내인자 결핍에 의한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D51.0)
위에서 분비되는 내인자 부족으로 비타민 B12 흡수가 저해되어 발생하는 빈혈이다.2. 2. 2. 단백뇨를 동반하는 선택적 비타민 B12 흡수 불량에 의한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D51.1)
단백뇨를 동반하는 선택적 비타민 B12 흡수 불량에 의한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은 특정 질환으로 인해 비타민 B12 흡수가 저해되어 발생하는 빈혈이다.2. 2. 3. 트란스코발라민 II 결핍증 (D51.2)
트란스코발라민 II 결핍증은 비타민 B12 운반 단백질인 트란스코발라민 II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2. 2. 4. 기타 식사성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D51.3)
채식과 같은 식사 요인으로 인해 비타민 B12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빈혈이다.2. 2. 5. 기타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D51.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는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이다.2. 2. 6.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 상세 불명 (D51.9)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비타민 B12 결핍성 빈혈이다.2. 3. 엽산 결핍성 빈혈 (D52)
2. 3. 1. 식사성 엽산 결핍성 빈혈 (D52.0)
식이 요인으로 인해 엽산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빈혈이다.2. 3. 2. 약물 유발성 엽산 결핍성 빈혈 (D52.1)
약물 유발성 엽산 결핍성 빈혈은 특정 약물의 복용으로 인해 체내 엽산 흡수가 저해되거나 대사가 방해받아 발생하는 빈혈이다.2. 3. 3. 기타 엽산 결핍성 빈혈 (D52.8)
기타 엽산 결핍성 빈혈은 다른 곳에 분류되지 않은 원인으로 발생하는 엽산 결핍으로 인한 빈혈이다.2. 3. 4. 엽산 결핍성 빈혈, 상세 불명 (D52.9)
원인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엽산 결핍성 빈혈이다.2. 4. 기타 영양성 빈혈 (D53)
단백 결핍성 빈혈은 단백질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 단백질은 헤모글로빈 생성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부족할 경우 적혈구 생성이 저해되어 빈혈을 유발한다.거대적아구성 빈혈은 비타민 B12나 엽산 결핍 등으로 인해 적혈구 생성이 저해되어 발생하는 빈혈이다.
괴혈병성 빈혈은 비타민 C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영양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영양성 빈혈이다.
2. 4. 1. 단백 결핍성 빈혈 (D53.0)
단백 결핍성 빈혈은 단백질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 단백질은 헤모글로빈 생성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부족할 경우 적혈구 생성이 저해되어 빈혈을 유발한다.2. 4. 2. 거대적아구성 빈혈 (D53.1)
거대적아구성 빈혈은 비타민 B12나 엽산 결핍 등으로 인해 적혈구 생성이 저해되어 발생하는 빈혈이다.2. 4. 3. 괴혈병성 빈혈 (D53.2)
비타민 C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2. 4. 4. 기타 명시된 영양성 빈혈 (D53.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영양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2. 4. 5. 영양성 빈혈, 상세 불명 (D53.9)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영양성 빈혈이다.3. 용혈성 빈혈 (D55-D59)
D55-D59는 용혈성 빈혈을 다루는 항목으로, 적혈구가 정상적인 수명보다 빨리 파괴되어 발생하는 빈혈이다.
- D55 효소 장애에 의한 빈혈
- * D55.0 포도당-6-인산 탈수소 효소[G6PD] 결핍에 의한 빈혈
- * D55.1 기타 글루타치온 대사 장애에 의한 빈혈
- * D55.2 해당계 효소 장애에 의한 빈혈
- * D55.3 뉴클레오티드 대사 장애에 의한 빈혈
- * D55.8 효소 장애에 의한 기타 빈혈
- * D55.9 효소 장애에 의한 빈혈, 상세 불명
- D56 지중해 빈혈
- * D56.0 알파 지중해 빈혈
- * D56.1 베타 지중해 빈혈
- * D56.2 델타 베타 지중해 빈혈
- * D56.3 지중해 빈혈 보인자
- * D56.4 유전성 고태아 혈색소증[HPFH]
- * D56.8 기타 지중해 빈혈
- * D56.9 지중해 빈혈, 상세 불명
- D57 겸상 적혈구 장애
- * D57.0 겸상 적혈구 빈혈, 크라이시스를 동반하는 것
- * D57.1 겸상 적혈구 빈혈, 크라이시스를 동반하지 않는 것
- * D57.2 중복 헤테로 복합형 겸상화 장애
- * D57.3 겸상 적혈구 보인자
- * D57.8 기타 겸상 적혈구 장애
- D58 기타 유전성 용혈성 빈혈
- * D58.0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
- * D58.1 유전성 타원 적혈구증
- * D58.2 기타 이상 헤모글로빈 혈색소증
- * D58.8 기타 명시된 유전성 용혈성 빈혈
- * D58.9 유전성 용혈성 빈혈, 상세 불명
- D59 후천성 용혈성 빈혈
- * D59.0 약물 유발성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 * D59.1 기타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 * D59.2 약물 유발성 비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 * D59.3 용혈성 요독증 증후군
- * D59.4 기타 비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 * D59.5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마르키아파바-미켈리 증후군]
- * D59.6 기타 외인에 의한 용혈성 혈색소뇨증
- * D59.8 기타 후천성 용혈성 빈혈
- * D59.9 후천성 용혈성 빈혈, 상세 불명
3. 1. 효소 장애에 의한 빈혈 (D55)
3. 1. 1. 포도당-6-인산 탈수소 효소 결핍증(G6PD 결핍증)에 의한 빈혈 (D55.0)
포도당-6-인산 탈수소 효소(G6PD) 결핍증은 X 염색체 연관 효소병증으로 적혈구 용혈을 일으켜 빈혈을 유발한다. G6PD 효소 결핍으로 인해 적혈구가 쉽게 파괴되어 발생한다.3. 1. 2. 기타 글루타치온 대사 장애에 의한 빈혈 (D55.1)
글루타치온 대사 장애로 인해 적혈구가 산화 손상에 취약해져 발생하는 빈혈이다.3. 1. 3. 해당계 효소 장애에 의한 빈혈 (D55.2)
해당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 결핍으로 인해 적혈구 에너지 생성이 저해되어 발생하는 빈혈이다.3. 1. 4. 뉴클레오티드 대사 장애에 의한 빈혈 (D55.3)
뉴클레오티드 대사 장애로 인해 적혈구 기능이 저해되어 발생하는 빈혈이다.3. 1. 5. 효소 장애에 의한 기타 빈혈 (D55.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효소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3. 1. 6. 효소 장애에 의한 빈혈, 상세 불명 (D55.9)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효소 장애로 인한 빈혈이다.3. 2. 지중해 빈혈 (D56)
3. 2. 1. 알파 지중해 빈혈 (D56.0)
알파 지중해 빈혈은 알파 글로빈 유전자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 ICD-10 코드는 D56.0이다.3. 2. 2. 베타 지중해 빈혈 (D56.1)
베타 지중해 빈혈은 베타 글로빈 유전자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 분류:ICD-10 챕터 III: 혈액과 조혈 기관의 질병 및 면역 체계 관련 특정 장애3. 2. 3. 델타 베타 지중해 빈혈 (D56.2)
델타 베타 지중해 빈혈은 빈혈의 일종으로, 델타 및 베타 글로빈 유전자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한다.3. 2. 4. 지중해 빈혈 보인자 (D56.3)
지중해 빈혈 보인자는 지중해 빈혈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만, 증상이 없거나 매우 경미한 경우이다.3. 2. 5. 유전성 고태아 혈색소증 (HPFH) (D56.4)
태아 헤모글로빈(HbF) 생성이 지속되는 유전 질환이다.3. 2. 6. 기타 지중해 빈혈 (D56.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지중해 빈혈이다.3. 2. 7. 지중해 빈혈, 상세 불명 (D56.9)
유형이 명확하게 분류되지 않은 지중해 빈혈이다.3. 3. 겸상 적혈구 장애 (D57)
3. 3. 1. 겸상 적혈구 빈혈, 크라이시스를 동반하는 것 (D57.0)
겸상 적혈구 빈혈은 낫 모양(겸상 적혈구)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 혈관이 막혀 심한 통증, 장기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3. 3. 2. 겸상 적혈구 빈혈, 크라이시스를 동반하지 않는 것 (D57.1)
겸상 적혈구 빈혈은 낫 모양의 적혈구가 존재하는 질병이지만, 이 경우에는 크라이시스(crisis)를 동반하지 않는다.3. 3. 3. 중복 헤테로 복합형 겸상화 장애 (D57.2)
서로 다른 겸상 적혈구 유전자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3. 3. 4. 겸상 적혈구 보인자 (D57.3)
겸상 적혈구 보인자는 겸상 적혈구 빈혈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만,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이다.3. 3. 5. 기타 겸상 적혈구 장애 (D57.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겸상 적혈구 장애이다.3. 4. 기타 유전성 용혈성 빈혈 (D58)
3. 4. 1.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 (D58.0)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은 적혈구 세포막 단백질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 이 결함으로 인해 적혈구는 정상적인 원반 모양이 아닌 구형(공 모양)으로 변형된다. 빈혈의 일종이다.3. 4. 2. 유전성 타원 적혈구증 (D58.1)
유전성 타원 적혈구증은 적혈구 세포막 단백질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의 한 종류이다. 이 질환에서 적혈구는 정상적인 원반 모양이 아닌 타원형으로 변형된다.3. 4. 3. 기타 이상 헤모글로빈 혈색소증 (D58.2)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헤모글로빈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3. 4. 4. 기타 명시된 유전성 용혈성 빈혈 (D58.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전성 용혈성 빈혈이다.3. 4. 5. 유전성 용혈성 빈혈, 상세 불명 (D58.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유전성 용혈성 빈혈이다.3. 5. 후천성 용혈성 빈혈 (D59)
3. 5. 1. 약물 유발성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D59.0)
약물 유발성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은 특정 약물에 의해 유발된 자가 면역 반응으로 인해 적혈구가 파괴되는 빈혈이다.3. 5. 2. 기타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D59.1)
약물 외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는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이다.3. 5. 3. 약물 유발성 비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D59.2)
약물 유발성 비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은 특정 약물에 의해 적혈구가 직접적으로 손상되어 발생하는 빈혈이다.3. 5. 4. 용혈성 요독증 증후군 (D59.3)
용혈성 요독 증후군(Hemolytic-uremic syndrome, HUS)은 급성 신부전(신장 기능의 갑작스러운 저하), 미세혈관병성 용혈성 빈혈(적혈구 파괴), 혈소판 감소증(혈소판 수치 감소)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군이다. 대부분의 경우, 대장균(E. coli) 감염의 설사 에피소드 이후에 발생하지만, 시겔라, 캄필로박터, 스트렙토코쿠스 뉴모니아에와 같은 다른 세균, 특정 약물,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주로 소아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성인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환자는 대장균(E. coli) O157:H7 변종과 같이 시가 독소를 생성하는 세균에 감염된 후 발병한다.3. 5. 5. 기타 비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D59.4)
자가 면역 반응 외 다른 원인으로 인해 적혈구가 파괴되는 빈혈이다.3. 5. 6.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마르키아파바-미켈리 증후군) (D59.5)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영어: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PNH)은 적혈구 세포막의 결함으로 인해 보체의 공격에 취약해져 발생하는 빈혈이다. 마르키아파바-미켈리 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3. 5. 7. 기타 외인에 의한 용혈성 혈색소뇨증 (D59.6)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용혈성 빈혈이다.3. 5. 8. 기타 후천성 용혈성 빈혈 (D59.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후천성 용혈성 빈혈이다.3. 5. 9. 후천성 용혈성 빈혈, 상세 불명 (D59.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후천성 용혈성 빈혈이다.4. 무형성 및 기타 빈혈 (D60-D64)
D60-D64는 골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 및 기타 혈액 질환을 다룬다.
- D60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
- * D60.0 만성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
- * D60.1 일과성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
- * D60.8 기타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
- * D60.9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 상세불명
- D61 기타 무형성 빈혈
- * D61.0 체질성 재생불량성 빈혈
- * D61.1 약물 유발성 재생불량성 빈혈
- * D61.2 기타 외부 인자에 의한 재생불량성 빈혈
- * D61.3 특발성 재생불량성 빈혈
- * D61.8 기타 명시된 무형성 빈혈
- * D61.9 무형성 빈혈, 상세불명
- D62 급성 출혈 후 빈혈
- D63 다르게 분류되는 만성 질환에서의 빈혈
- * D63.0 신생물성 질환에서의 빈혈
- * D63.8 다르게 분류되는 기타 만성 질환에서의 빈혈
- D64 기타 빈혈
- * D64.0 유전성 철아구성 빈혈
- * D64.1 속발성 철아구성 빈혈, 질병에 의한 것
- * D64.2 속발성 철아구성 빈혈, 약물 및 독소에 의한 것
- * D64.3 기타 철아구성 빈혈
- * D64.4 선천성 적혈구 생성 장애성 빈혈
- * D64.8 기타 명시된 빈혈
- * D64.9 빈혈, 상세불명
4. 1.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 (D60)
4. 1. 1. 만성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 (D60.0)
만성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은 적혈구 생성 세포가 만성적으로 감소하는 질환이다.4. 1. 2. 일과성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 (D60.1)
일과성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은 일시적으로 적혈구 생성 세포가 감소하는 질환이다.4. 1. 3. 기타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 (D60.8)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이다.4. 1. 4.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 상세 불명 (D60.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후천성 적아구 감소증이다.4. 2. 기타 무형성 빈혈 (D61)
4. 2. 1. 체질성 재생불량성 빈혈 (D61.0)
체질성 재생불량성 빈혈은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생불량성 빈혈이다.4. 2. 2. 약물 유발성 재생불량성 빈혈 (D61.1)
약물 유발성 재생불량성 빈혈은 특정 약물의 복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생불량성 빈혈이다.4. 2. 3. 기타 외부 인자에 의한 재생불량성 빈혈 (D61.2)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 있으므로, 요약(summary)에 있는 "방사선 노출 등 다른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생불량성 빈혈이다." 라는 문장만을 사용하여 내용을 구성하겠습니다.방사선 노출 등 다른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생불량성 빈혈이다.
4. 2. 4. 특발성 재생불량성 빈혈 (D61.3)
원인을 알 수 없는 재생불량성 빈혈이다.4. 2. 5. 기타 명시된 무형성 빈혈 (D61.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무형성 빈혈이다.4. 2. 6. 무형성 빈혈, 상세 불명 (D61.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재생불량성 빈혈이다.4. 3. 급성 출혈 후 빈혈 (D62)
4. 4. 다르게 분류되는 만성 질환에서의 빈혈 (D63)
4. 4. 1. 신생물성 질환에서의 빈혈 (D63.0)
신생물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4. 4. 2. 다르게 분류되는 기타 만성 질환에서의 빈혈 (D63.8)
다른 곳에 분류된 기타 만성 질환에서의 빈혈은 만성 신부전,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른 만성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이다.4. 5. 기타 빈혈 (D64)
4. 5. 1. 유전성 철아구성 빈혈 (D64.0)
유전성 철아구성 빈혈은 철분 대사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전성 빈혈이다.4. 5. 2. 속발성 철아구성 빈혈, 질병에 의한 것 (D64.1)
다른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철적모구빈혈이다.4. 5. 3. 속발성 철아구성 빈혈, 약물 및 독소에 의한 것 (D64.2)
약물이나 독소에 의해 발생하는 철아구성 빈혈이다.4. 5. 4. 기타 철아구성 빈혈 (D64.3)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철아구성 빈혈이다.4. 5. 5. 선천성 적혈구 생성 장애성 빈혈 (D64.4)
선천성 적혈구 생성 장애성 빈혈은 적혈구 생성 과정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는 빈혈이다.4. 5. 6. 기타 명시된 빈혈 (D64.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빈혈이다.4. 5. 7. 빈혈, 상세 불명 (D64.9)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빈혈이다.5. 응고 이상, 자색반병 및 기타 출혈성 상태 (D65-D69)
D65 파종성 혈관 내 응고증후군(탈섬유소원 증후군)은 혈액 응고 과정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D66 유전성 제8인자 결핍증, D67 유전성 제9인자 결핍증은 특정 혈액 응고 인자의 유전적 결핍으로 인해 발생한다.
D68 기타 응고 장애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D68.0 폰 빌레브란트병
- D68.1 유전성 제11인자 결핍증
- D68.2 기타 응고 인자의 유전성 결핍증
- D68.3 순환 항응고제에 의한 출혈성 장애
- D68.4 후천성 응고 인자 결핍증
- D68.8 기타 명시된 응고 장애
- D68.9 응고 장애, 상세 불명
D69 자반병 및 기타 출혈성 병태는 다음과 같다.
- D69.0 알레르기성 자반병
- D69.1 혈소판 기능 이상증
- D69.2 기타 혈소판 비감소성 자반병
- D69.3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 D69.4 기타 원발성 혈소판 감소증
- D69.5 속발성 혈소판 감소증
- D69.6 혈소판 감소증, 상세 불명
- D69.8 기타 명시된 출혈성 병태
- D69.9 출혈성 병태, 상세 불명
5. 1. 파종성 혈관 내 응고증후군 (탈섬유소원 증후군) (D65)
5. 2. 유전성 제8인자 결핍증 (D66)
5. 3. 유전성 제9인자 결핍증 (D67)
5. 4. 기타 응고 장애 (D68)
5. 4. 1. 폰 빌레브란트병 (D68.0)
폰 빌레브란트병은 폰 빌레브란트 인자 결핍 또는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출혈 질환이다.5. 4. 2. 유전성 제11인자 결핍증 (D68.1)
유전성 제11인자 결핍증은 혈액 응고에 필요한 단백질 중 하나인 제11인자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출혈이 멈추지 않거나 지연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5. 4. 3. 기타 응고 인자의 유전성 결핍증 (D68.2)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응고 인자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전성 출혈 질환이다.5. 4. 4. 순환 항응고제에 의한 출혈성 장애 (D68.3)
혈액 내 항응고 물질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출혈 질환이다.5. 4. 5. 후천성 응고 인자 결핍증 (D68.4)
후천성 응고 인자 결핍증(D68.4)은 간 질환이나 비타민 K 결핍과 같이 다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고 인자의 결핍을 의미한다.5. 4. 6. 기타 명시된 응고 장애 (D68.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응고 장애이다.5. 4. 7. 응고 장애, 상세 불명 (D68.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응고 장애이다.5. 5. 자반병 및 기타 출혈성 병태 (D69)
5. 5. 1. 알레르기성 자반병 (D69.0)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반병이다.5. 5. 2. 혈소판 기능 이상증 (D69.1)
혈소판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출혈 질환이다.5. 5. 3. 기타 혈소판 비감소성 자반병 (D69.2)
혈소판 감소 없이 발생하는 자반병이다.5. 5. 4.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D69.3)
원인을 알 수 없는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이다.5. 5. 5. 기타 원발성 혈소판 감소증 (D69.4)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발성 혈소판 감소증이다.5. 5. 6. 속발성 혈소판 감소증 (D69.5)
다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증이다. 예를 들어, 특정 약물이나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5. 5. 7. 혈소판 감소증, 상세 불명 (D69.6)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혈소판 감소증이다.5. 5. 8. 기타 명시된 출혈성 병태 (D69.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출혈성 질환이다.5. 5. 9. 출혈성 병태, 상세 불명 (D69.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출혈성 질환이다.6. 기타 혈액과 조혈기관의 질병 (D70-D77)
D70 무과립구증은(는) 다형핵호중구 기능 장애를 일으킨다. D72 백혈구의 기타 장애에는 백혈구의 유전성 이상, 호산구 증가증, 기타 명시된 백혈구의 장애, 그리고 상세불명의 백혈구의 장애가 있다. D73 비장 질환에는 비장 기능 저하증, 비장 기능 항진증, 만성 울혈성 비종, 비장 농양, 비장의 낭<낭>포, 비장 경색, 기타 비장 질환, 그리고 상세불명의 비장 질환이 있다. D74 메트헤모글로빈혈증에는 선천성 메트헤모글로빈혈증, 기타 메트헤모글로빈혈증, 그리고 상세불명의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있다. D75 혈액 및 조혈 기관의 기타 질환에는 가족성 적혈구 증가증, 속발성<이차성> 적혈구 증가증<다혈증>, 본태성 혈소판 증가증, 혈액 및 조혈 기관의 기타 명시된 질환, 그리고 상세불명의 혈액 및 조혈 기관의 질환이 있다. D76 림프세망 조직 및 세망 조직구계의 질환에는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달리 분류되지 않는 것, 혈구 탐식성 림프 조직구증, 혈구 탐식 증후군, 감염증과 관련된 것, 그리고 기타 조직구증 증후군이 있다. D77 달리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혈액 및 조혈 기관의 기타 장애도 포함된다.
6. 1. 무과립구증 (D70)
6. 2. 다형핵호중구 기능 장애 (D71)
6. 3. 백혈구의 기타 장애 (D72)
6. 3. 1. 백혈구의 유전성 이상 (D72.0)
백혈구의 유전성 이상은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백혈구 이상이다.6. 3. 2. 호산구 증가증 (D72.1)
백혈구 중 호산구 수가 증가하는 질환이다.6. 3. 3. 기타 명시된 백혈구의 장애 (D72.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백혈구 이상이다.6. 3. 4. 백혈구의 장애, 상세 불명 (D72.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백혈구 이상이다.6. 4. 비장 질환 (D73)
6. 4. 1. 비장 기능 저하증 (D73.0)
비장 기능 저하증은 비장의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6. 4. 2. 비장 기능 항진증 (D73.1)
비장 기능 항진증은 비장의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상태를 말한다.6. 4. 3. 만성 울혈성 비종 (D73.2)
만성 울혈성 비종은 만성적인 울혈로 인해 비장이 커지는 질환이다.6. 4. 4. 비장 농양 (D73.3)
비장에 농양이 생기는 질환이다.6. 4. 5. 비장의 낭포 (D73.4)
비장에 낭종이 생기는 질환이다.6. 4. 6. 비장 경색 (D73.5)
비장 혈관이 막혀 조직이 괴사하는 질환이다.6. 4. 7. 기타 비장 질환 (D73.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비장 질환이다.6. 4. 8. 비장 질환, 상세 불명 (D73.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비장 질환이다.6. 5. 메트헤모글로빈혈증 (D74)
6. 5. 1. 선천성 메트헤모글로빈혈증 (D74.0)
선천성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은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다.6. 5. 2. 기타 메트헤모글로빈혈증 (D74.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다.6. 5. 3. 메트헤모글로빈혈증, 상세 불명 (D74.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다.6. 6. 혈액 및 조혈 기관의 기타 질환 (D75)
6. 6. 1. 가족성 적혈구 증가증 (D75.0)
가족성 적혈구 증가는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적혈구 수가 증가하는 질환이다.6. 6. 2. 속발성 적혈구 증가증 (D75.1)
다른 질환이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적혈구 수가 증가하는 질환이다.6. 6. 3. 본태성 혈소판 증가증 (D75.2)
원인을 알 수 없이 혈소판 수가 증가하는 질환이다.6. 6. 4. 혈액 및 조혈 기관의 기타 명시된 질환 (D75.8)
이 섹션에는 제공된 소스(source)가 없으므로, 요약(summary)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합니다.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혈액 및 조혈 기관 질환이다.
6. 6. 5. 혈액 및 조혈 기관의 질환, 상세 불명 (D75.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혈액 및 조혈 기관의 질환이다.6. 7. 림프세망 조직 및 세망 조직구계의 질환 (D76)
6. 7. 1.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D76.0)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랑게르한스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질환이다.6. 7. 2. 혈구 탐식성 림프 조직구증 (D76.1)
림프구와 조직구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어 혈구를 탐식하는 질환이다.6. 7. 3. 혈구 탐식 증후군, 감염증과 관련된 것 (D76.2)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혈구 탐식 증후군이다.6. 7. 4. 기타 조직구증 증후군 (D76.3)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조직구증 증후군이다.6. 8. 달리 분류되는 질환에서의 혈액 및 조혈 기관의 기타 장애 (D77)
7. 면역 기구의 장애 (D80-D89)
면역 체계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다룬다.
D80은 주로 항체 결핍을 동반하는 면역 부전증으로, 유전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D80.0), 비가족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D80.1), 선택적 면역글로불린 A[IgA] 결핍증(D80.2), 선택적 면역글로불린 G[IgG] 하위 클래스 결핍증(D80.3), 선택적 면역글로불린 M[IgM] 결핍증(D80.4) 등이 있다. 면역글로불린 M[IgM] 증가를 동반하는 면역 부전증(D80.5), 정상 또는 고 면역글로불린혈증을 동반하는 항체 결핍증(D80.6), 영아 일과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D80.7)도 여기에 포함된다.
D81은 복합 면역 부전증을 나타내며, 세망계 이형성을 동반하는 중증 복합 면역 부전증[SCID](D81.0), T 세포 및 B 세포 감소를 동반하는 중증 복합 면역 부전증[SCID](D81.1), B 세포 수가 감소 또는 정상인 중증 복합 면역 부전증[SCID](D81.2) 등이 있다. 아데노신 데아미나제<탈아미노 효소>[ADA] 결핍증(D81.3), 네젤로프 증후군(D81.4), 퓨린 뉴클레오시드 포스포릴라제<인산화 효소>[PNP] 결핍증(D81.5)도 복합 면역 부전증에 해당한다.
D82는 기타 큰 결손과 관련된 면역 부전증으로, 위스콧-알드리치 증후군(D82.0), 디조지 증후군(D82.1), 단신증을 동반하는 면역 부전증(D82.2), EB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적 반응 이상에 속발하는 면역 부전증(D82.3), 고 면역글로불린 E[IgE] 증후군(D82.4) 등이 있다.
D83은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을 의미하며, B 세포 수 및 기능의 현저한 이상을 동반하는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D83.0), 현저한 면역 조절성 T 세포 장애를 동반하는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D83.1), B 세포 또는 T 세포에 대한 자가 항체를 동반하는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D83.2) 등이 여기에 속한다.
D84는 기타 면역 부전증으로, 림프구 기능 항원-1[LFA-1] 결핍증(D84.0), 보체계의 결핍증(D84.1) 등이 있다.
D86은 사르코이드증을 나타내며, 폐 사르코이드증(D86.0), 림프절 사르코이드증(D86.1), 림프절 사르코이드증을 동반하는 폐 사르코이드증(D86.2), 피부 사르코이드증(D86.3) 등이 있다.
D89는 기타 면역 기구의 장애(다른 곳에 분류되지 않는 것)를 의미하며, 다클론성 고감마글로불린혈증(D89.0), 크리오글로불린혈증(D89.1), 고감마글로불린혈증(상세 불명)(D89.2) 등이 포함된다.
7. 1. 주로 항체 결핍을 동반하는 면역 부전증 (D80)
7. 1. 1. 유전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 (D80.0)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감마글로불린이 감소하는 질환이다.7. 1. 2. 비가족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 (D80.1)
유전적 요인 없이 감마글로불린이 감소하는 질환이다.7. 1. 3. 선택적 면역글로불린 A (IgA) 결핍증 (D80.2)
면역글로불린 A가 선택적으로 결핍되는 질환이다.7. 1. 4. 선택적 면역글로불린 G (IgG) 하위 클래스 결핍증 (D80.3)
면역글로불린 G의 특정 하위 클래스가 결핍되는 질환이다.7. 1. 5. 선택적 면역글로불린 M (IgM) 결핍증 (D80.4)
면역글로불린 M이 선택적으로 결핍되는 질환이다.7. 1. 6. 면역글로불린 M (IgM) 증가를 동반하는 면역 부전증 (D80.5)
면역글로불린 M (IgM)이 증가하면서 다른 면역글로불린이 감소하는 질환이다.7. 1. 7. 정상 또는 고 면역글로불린혈증을 동반하는 항체 결핍증 (D80.6)
면역글로불린 수치는 정상이거나 높지만 항체 기능에 문제가 있는 질환이다.7. 1. 8. 영아 일과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 (D80.7)
영아 일과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은 영아기에 일시적으로 감마글로불린이 감소하는 질환이다.7. 1. 9. 주로 항체 결핍을 동반하는 기타 면역 부전증 (D80.8)
주로 항체 결핍을 동반하는 기타 면역 부전증 (D80.8)은 다른 곳에 분류되지 않은 유형의 항체 결핍성 면역 부전증이다.7. 1. 10. 주로 항체 결핍을 동반하는 면역 부전증, 상세 불명 (D80.9)
주로 항체 결핍을 동반하는 면역 부전증으로, 상세 불명(D80.9)은 그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항체 결핍성 면역 부전증을 의미한다.7. 2. 복합 면역 부전증 (D81)
7. 2. 1. 세망계 이형성을 동반하는 중증 복합 면역 부전증 (SCID) (D81.0)
T 세포, B 세포, 자연 살해(NK) 세포 모두 결핍되는 가장 심각한 형태의 복합 면역 부전증이다.7. 2. 2. T 세포 및 B 세포 감소를 동반하는 중증 복합 면역 부전증 (SCID) (D81.1)
T 세포와 B 세포 수가 모두 감소하는 복합 면역 부전증이다.7. 2. 3. B 세포 수가 감소 또는 정상인 중증 복합 면역 부전증 (SCID) (D81.2)
T 세포는 결핍되지만 B 세포 수는 정상이거나 감소하는 중증 복합 면역 부전증이다.7. 2. 4. 아데노신 데아미나제 (ADA) 결핍증 (D81.3)
아데노신 데아미나제(ADA) 효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복합 면역 부전증이다.7. 2. 5. 네젤로프 증후군 (D81.4)
흉선 발육 부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복합 면역 부전증이다.7. 2. 6. 퓨린 뉴클레오시드 포스포릴라제 (PNP) 결핍증 (D81.5)
퓨린 뉴클레오시드 포스포릴라제(PNP) 효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복합 면역결핍증이다.7. 2. 7.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 클래스 I 결핍증 (D81.6)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MHC) 클래스 I 분자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면역 부전증이다.7. 2. 8.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 클래스 II 결핍증 (D81.7)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MHC) 클래스 II 분자 결핍은 면역 부전증의 일종이다.7. 2. 9. 기타 복합 면역 부전증 (D81.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복합 면역 부전증이다.7. 2. 10. 복합 면역 부전증, 상세 불명 (D81.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복합 면역 부전증이다.7. 3. 기타 큰 결손과 관련된 면역 부전증 (D82)
7. 3. 1. 위스콧-알드리치 증후군 (D82.0)
위스콧-알드리치 증후군은 X-연관 유전병으로, 혈소판 감소, 습진, 면역 부전을 특징으로 한다.
7. 3. 2. 디조지 증후군 (D82.1)
디조지 증후군은 22번 염색체의 장완(22q11.2) 미세 결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결실은 흉선 발육 부전, 심장 기형, 특징적인 얼굴 모양 등을 유발한다.7. 3. 3. 단신증을 동반하는 면역 부전증 (D82.2)
면역 부전과 함께 저신장을 동반하는 질환이다.7. 3. 4.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B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적 반응 이상에 속발하는 면역 부전증 (D82.3)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감염에 대한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면역 부전증이다.7. 3. 5. 고 면역글로불린 E (IgE) 증후군 (D82.4)
고 면역글로불린 E (IgE) 증후군은 혈중 IgE 수치가 매우 높고 재발성 피부 감염, 폐렴 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7. 3. 6. 기타 명시된 큰 결손과 관련된 면역 부전증 (D82.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큰 결손 관련 면역 부전증이다.7. 3. 7. 큰 결손과 관련된 면역 부전증, 상세 불명 (D82.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큰 결손 관련 면역 부전증이다.7. 4.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 (D83)
7. 4. 1. B 세포 수 및 기능의 현저한 이상을 동반하는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 (D83.0)
B 세포 수나 기능에 심각한 이상이 있는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이다.7. 4. 2. 현저한 면역 조절성 T 세포 장애를 동반하는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 (D83.1)
면역 조절 T 세포 기능에 심각한 이상이 있는 면역 부전증이다.7. 4. 3. B 세포 또는 T 세포에 대한 자가 항체를 동반하는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 (D83.2)
B 세포 또는 T 세포에 대한 자가 항체가 생성되는 면역 부전증이다.7. 4. 4. 기타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 (D83.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이다.7. 4. 5.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 상세 불명 (D83.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분류 불능형 면역 부전증이다.7. 5. 기타 면역 부전증 (D84)
7. 5. 1. 림프구 기능 항원-1 (LFA-1) 결핍증 (D84.0)
림프구 기능 항원-1 (LFA-1) 결핍증은 LFA-1 분자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면역 부전증이다.7. 5. 2. 보체계의 결핍증 (D84.1)
보체계 구성 요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면역 부전증이다.7. 5. 3. 기타 명시된 면역 부전증 (D84.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면역 부전증이다.7. 5. 4. 면역 부전증, 상세 불명 (D84.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면역 부전증이다.7. 6. 사르코이드증 (D86)
7. 6. 1. 폐 사르코이드증 (D86.0)
폐를 침범하는 사르코이드증이다.7. 6. 2. 림프절 사르코이드증 (D86.1)
림프절을 침범하는 사르코이드증이다.7. 6. 3. 림프절 사르코이드증을 동반하는 폐 사르코이드증 (D86.2)
폐와 림프절을 모두 침범하는 사르코이드증이다.7. 6. 4. 피부 사르코이드증 (D86.3)
피부를 침범하는 사르코이드증이다.7. 6. 5. 기타 및 복합 부위의 사르코이드증 (D86.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장기나 여러 장기를 동시에 침범하는 사르코이드증이다.7. 6. 6. 사르코이드증, 상세 불명 (D86.9)
침범 부위가 명확하게 특정되지 않은 사르코이드증이다.7. 7. 기타 면역 기구의 장애, 다른 곳에 분류되지 않는 것 (D89)
7. 7. 1. 다클론성 고감마글로불린혈증 (D89.0)
여러 종류의 면역글로불린이 증가하는 질환이다.7. 7. 2. 크리오글로불린혈증 (D89.1)
크리오글로불린은 저온에서 침전되는 비정상적인 단백질이다. 크리오글로불린혈증은 혈액 내에 이러한 크리오글로불린이 증가하는 질환을 의미한다.7. 7. 3. 고감마글로불린혈증, 상세 불명 (D89.2)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감마글로불린 증가증이다.7. 7. 4. 기타 명시된 면역 기구의 장애, 다른 곳에 분류되지 않는 것 (D89.8)
위에 분류되지 않은 다른 유형의 면역 기구 장애이다.7. 7. 5. 면역 기구의 장애, 상세 불명 (D89.9)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면역 기구 장애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