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107 자주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107 자주포는 1950년대에 개발되어 1961년부터 1980년까지 생산된 미국 육군의 자주포이다. 175mm 구경의 포를 탑재하며, M110 자주포와 동일한 차체를 사용한다. M107은 베트남 전쟁에서 실전 투입되어 활약했으나, 장거리 사격 시 정확도가 떨어지고 포신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스라엘은 욤 키푸르 전쟁 등 여러 분쟁에서 M107을 운용했으며, 이란-이라크 전쟁에도 투입되었다. 대한민국은 24문을 도입하여 운용했으나 2008년에 퇴역했다. 현재 키프로스, 그리스, 이란, 베트남 등에서 운용 중이며, M578 구난차량이 지원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자주포 - M7 프리스트
    M7 프리스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미국 육군이 개발한 자주포로, M3 리 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105mm 곡사포를 탑재하여 기갑 부대의 화력 지원을 담당했으며, 다양한 전장에서 활약하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고 "프리스트"라는 별칭을 얻었다.
  • 미국의 자주포 - M110 자주포
    M110 자주포는 미국에서 개발되어 냉전 시대에 전술 핵포탄 발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베트남 전쟁과 걸프 전쟁 등에서 사용되었지만, M270 다연장 로켓 시스템으로 대체되어 퇴역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M107 자주포
개요
네덜란드군 M107 175mm 자주포
네덜란드군 복무 중인 M107 자주포
종류자주포
원산지미국
제원
중량전투 중량: 28.3톤
길이차체: 6.46m
전체: 11.30m
3.15m
높이3.47m
승무원13명 (차량 탑승 가능 인원: 5명)
구경175mm
포신 길이L/60
발사 속도급속: 1분당 1발
일반: 2분당 1발
최대 사거리40km
고각-5° ~ +65°
좌우 회전각60°
주무장1 x 175mm M113 또는 M113A1 포
엔진제너럴 모터스 8V71T; 8기통, 2행정, V형, 과급 디젤 엔진
엔진 출력405 마력
현가 장치토션 바
지상고44cm
최고 속도80km/h
항속 거리720km
생산 및 사용 정보
설계 년도1956년 ~
제조사FMC Corp. (FMC), Bowen-McLaughlin-York, 제너럴 모터스 (변속기)
생산 년도1961년 ~ 1980년
생산 대수524대
사용 국가사용자 참고
참전 전쟁베트남 전쟁
욤키푸르 전쟁
이란-이라크 전쟁
1982년 레바논 전쟁
남부 레바논 분쟁 (1985–2000)
사용 기간미국 (1962년–1978년)
파생형M110 203mm 자주 곡사포 외

2. 개발 및 생산 내력

1950년대 미 육군의 표준 203mm 자주포는 M55 자주포였으나, 44ton에 달하는 무게로 항공 수송이 불가능했고 가솔린 엔진의 작전 거리 제한 및 화재 위험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12] 이에 미 육군은 항공 수송이 가능할 정도로 가볍고, 동일 차체를 사용하여 정비 및 훈련을 용이하게 할 새로운 자주포 개발을 추진했다.

퍼시픽 카 앤 파운드리(Paccar) 사는 이러한 요구에 맞춰 디젤 엔진을 탑재한 175mm T235 자주포와 203mm T236 자주포 시제품을 개발했다. 이 두 시제품은 무장만 다를 뿐 기본적인 차체는 동일했다. T235는 1959년 엔진 개량 후 T235E1으로 명명되었고, 1961년 '''M107'''이라는 제식 명칭으로 미 육군에 채택되었다. T236은 1963년 M110으로 채택되었다.[12][14] M107의 개발은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개발된 M40 자주포나 1950년대 초반의 M53, M55 등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14] 개발 당시부터 항공 수송 능력과 부품 공통화가 중요하게 고려되었다.[14]

Paccar는 디트로이트 조병창으로부터 M107 및 M110의 설계 계약과 초기 생산을 담당했다. 이후 FMC (1965-1980)와 보웬-맥로린-요크도 생산에 참여하여, 1961년부터 1980년까지 총 524대의 M107이 생산되었다.[14] M107과 M110은 M578 경량 구난 차량과 동일한 구동계 부품을 사용했으며, M578은 이들 자주포의 정비 및 구난 임무를 지원했다.

M107은 최대 32.7km에 달하는 사거리로 당시 자주포 중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자랑했다.[16] 미국 육군베트남 전쟁에서 1965년부터 M107을 실전 투입하여 케산 전투(1968년) 등에서 운용했다.[16] 그러나 1970년대 후반, 미 육군은 탄약 공통화 등을 이유로 운용 기종을 M110으로 통일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많은 M107이 M110A1 또는 M110A2 사양으로 개조되거나 우방국에 수출되었다.[13][12]

수출된 M107 중 이스라엘은 약 200대를 도입하여 "רומח|로마크he"()라는 이름으로 제4차 중동 전쟁(1973년)에서 운용하며 시리아이집트지대공 미사일 진지 제압에 활용했다. 이란에 수출된 M107은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M1978 콕산 170mm 자주포와 함께 사용되기도 했다.

2. 1. 차체

M107 자주포와 M110 자주포는 공통의 차체를 기반으로 한다. 차체 양쪽에는 다섯 개의 로드 휠이 있으며, 이는 토션 바에 연결된 아이들러 암과 연결된다. 궤도는 차체 전면에 위치한 구동 스프로킷에 의해 움직인다.

엔진과 변속기는 차체 오른쪽 앞쪽에 장착되어 있으며, 운전석은 그 왼쪽에 위치한다. 엔진은 450마력의 출력을 내는 제너럴 모터스 터보 슈퍼차저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 이 엔진의 터보차저는 강철 펜슬 크기의 퀼 샤프트를 통해 슈퍼차저에 연결된다. 엔진에는 유압 펌프가 부착되어 있으며, 수동 조작을 위한 핸드 크랭크도 갖추고 있다.

유압 펌프는 주로 포신을 장전 위치로 이동시키고, 탄약과 장약을 장전하며, 차체 후방의 스페이드를 올리거나 내리는 데 사용된다. 또한 사수가 대략적인 방위각을, 부포수가 대략적인 고각을 신속하게 조정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그러나 유압 펌프를 후방 스페이드를 땅에 박는 데 잘못 사용하면 유압 실린더가 손상될 수 있었고, 유압 제어가 다소 거칠어 정밀한 조작에는 수동 백업 장치가 사용되기도 했다.

차체의 장갑은 13mm 두께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어, 기본적으로 소화기 사격이나 포탄 파편 정도만 막을 수 있다. 운전수에게만 제한적인 방호력을 제공하며, 포 운용 인원들은 외부에 노출된다. 이후 케블라 방탄판이 추가적인 방호력 향상을 위해 지급되기도 했으나, 사용이 불편하여 차량 측면에 보관되거나 실제 야전 배치 전에 제거되는 경우가 많았다.[3]

M107과 M110은 개발 당시 공중 수송이 가능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이 있었기 때문에, 탑재된 포에 비해 차체는 비교적 작고 가볍게 설계되었다. 이로 인해 장갑화된 전투실과 같은 별도의 방호 설비는 갖추지 못했다. 또한 차체가 작아 휴대할 수 있는 포탄은 2발[14](자료에 따라 4발)에 불과하여, M548 탄약운반장갑차와 같은 탄약 운반 차량이 필수적이었다. 자주포 운용에는 총 13명의 인원이 필요하지만, 차체에는 5명만 탑승할 수 있어 나머지 인원도 수반 차량에 탑승해야 했다.[13]

차체 자체는 M107/M110을 위해 새로 설계되었지만, 부품 공통화를 통한 비용 절감을 위해 노력했다. 탑재된 디젤 엔진은 먼저 개발된 M108 105mm 자주곡사포 및 M109 155mm 자주곡사포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으며, 서스펜션 구조는 M113 장갑차의 설계를 활용했다.[14]

2. 2. 운용 및 정비

네덜란드 포병들이 M107 자주포를 발사할 준비를 하고 있다.


M107은 M109 자주포와 같은 폐쇄된 포탑형 자주포에 비해 개방된 구조로 더 넓은 작업 공간을 제공한다. 이는 빠른 재장전 속도로 이어져, 높은 기동성과 함께 사격 후 이동 전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즉, 사격 후 적에게 위치가 노출되기 전에 신속하게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포를 정확한 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차량 전체를 미세하게 움직이는 숙련된 조작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포수는 운전병에게 수신호를 보내고, 운전병은 왼쪽 후방 거울을 통해 이를 확인하며 스티어링 바를 조작하여 차량을 좌우로 미세하게 조정한다. 다른 포반원들은 포수의 지시에 따라 조준기와 조준 말뚝을 설치하여 사격 준비를 완료한다.

M107 차체에는 단 두 발의 포탄만 적재할 수 있다.[4][5][6][7][14] 이 포탄은 차량에 탑승하는 5명의 승무원(반장, 운전병, 포수, 부포수, 1번 포병)만으로도 발사가 가능하다. 총 13명의 운용 인원 중 나머지 8명과 추가 탄약은 M548 탄약 수송차에 탑승하여 이동한다.[13] 적의 대포병 사격에 대응해야 할 경우, M107은 사격 후 즉시 위치를 변경하고, M548에 탑승한 인원들이 새로운 위치에서 신속하게 재장전하여 적의 반격을 피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M107의 승무원 각자는 사격 시 다음과 같은 특정 임무를 수행한다.

직책주요 임무
반장유압식 장전 및 램(Ram) 작동, 포수 쿼드런트 확인, 후방 및 좌측 스페이드(Spade) 잠금 해제
운전병위치 스페이드 및 포신 이동 잠금 장치 작동
포수포의 편향(수평 방향) 조절
부포수포의 고각(수직 방향) 조절
1번 포병포미(Breech) 개폐, 램 로드(Ram Rod) 및 화약 장전 확인 (화약 점화 패치 확인), 프라이머 장전, 격발끈(Lanyard) 연결 및 격발, 우측 스페이드 잠금 해제[7][4][5][6]
2~9번 포병조준기 및 조준 말뚝 설치, 구경 정렬(직사 시), 통신 설정, 추가 탄약(신관 포함) 및 화약 준비, 경계, M548 운전, 링 마운트 M2 중기관총 운용, 위장망 설치, 소각 구덩이 구축, 탄약 재보급



초기 M107의 포신 수명은 최대 구역 3 추진제 사용 시 300회 발사로 제한되었으나, 이후 미 육군 병기 부대의 정밀 검사를 통해 700회에서 1,200회 발사까지 연장되었다.

포신은 수명이 다했거나 균열이 발견되었을 때, 또는 M107을 M110으로 개조할 필요가 있을 때 교체되었다. 미 육군에서는 포병 대대의 정비 부대에서 포신 교체가 이루어졌으며, 더 상위 부대인 애니스톤 육군 병기창, 피카티니 조병창이나 독일의 미사우 육군 병기창 등에서도 수행되었다. 대대급에서 교체 작업 시에는 M578 경량 회수 차량 두 대가 필요했다. 포신의 무게와 손상 방지를 위해 정밀한 위치 조정이 필요했기 때문에 M578 한 대로 작업하는 것은 불가능했으며, 각 크레인이 포신의 양 끝을 잡아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포신 교체 작업을 통해 175mm 포를 탑재한 M107을 203mm 포를 탑재한 M110으로 개조할 수도 있었다. 다만 M110으로의 개조는 E2 포신에 맞는 섀시 개조와 오버헤드 전기 레일 윈치가 필요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위 지원 부대나 고정된 병기창에서 수행되었다.

정기적인 정비로는 한 달에 한 번, M578 한 대를 사용하여 엔진과 변속기를 차체에서 들어 올려 엔진실과 변속기실을 청소하는 작업이 포함되었다. 이 공간은 두 개의 알루미늄 데크 플레이트로 덮여 있었다.

3. 주요 특징

M107 자주포는 M110 203 mm 자주포와 동일한 차체를 기반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진다.


  • 포신: 연기 배출기나 포구 제퇴기가 없는 길고 얇은 형태이다.
  • 포 마운트 및 삽: 포는 차체 후방의 보호받지 않는 마운트에 장착되어 있다. 후방에는 이동 시 들어올리는 커다란 삽이 부착되어 있다.
  • 차체 및 구동계: M110 203 mm 자주포와 동일한 차체를 사용한다. 각 측면에는 5개의 대형 로드 휠이 있고, 구동 스프로킷은 전방에 위치하며, 궤도 반환 롤러는 없다. 서스펜션은 토션 바에 연결된 아이들러 암 방식이다. 엔진은 차체 오른쪽 앞쪽에 장착된 450마력 제너럴 모터스 터보 슈퍼차저 디젤 엔진이며, 운전석은 그 왼쪽에 위치한다. 엔진의 터보차저는 강철 펜슬 크기의 "퀼" 샤프트를 통해 슈퍼차저에 연결된다. 엔진과 변속기는 M108 105mm 자주곡사포, M109 155mm 자주곡사포와 공통 부품을 사용하며, 서스펜션 구조는 M113 장갑차의 설계를 활용하여 부품 공통화와 비용 절감을 추구했다[14].
  • 유압 시스템: 엔진에 부착된 유압 펌프는 포탑 회전, 포신을 장전 상태로 만들고 탄약 및 장약을 장전하는 작업, 후방 삽 조작, 그리고 사수와 부포수가 대략적인 방위각 및 고각을 신속하게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수동 조작을 위한 백업 핸드 크랭크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유압 제어가 다소 거칠어 실제 포를 설치할 때는 수동 백업 방식이 선호되기도 했으며, 유압 펌프를 후방 삽을 땅에 박는 용도로 부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유압 실린더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 경량화 및 한계점: 개발 당시 공중 수송이 가능해야 한다는 요구 조건에 따라 차체가 비교적 작고 가볍게 설계되었다. 이 때문에 장갑화된 전투실과 같은 별도의 방호 설비는 갖추지 못했다. 또한 차체 크기의 제약으로 휴대할 수 있는 포탄은 단 2발[14](일부 자료에서는 4발)에 불과하여, 지속적인 작전을 위해서는 M548과 같은 탄약운반차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운용에 필요한 전체 인원은 포병 13명이지만, 차체에는 5명만 탑승할 수 있어 나머지 인원은 별도의 수송 차량으로 이동해야 했다[13].

4. 운용 역사

M107 자주포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개발된 M40 155mm 자주포, M53 155mm 자주포, M55 203mm 자주곡사포 등을 대체하기 위해 1956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었다[14]. 개발 초기에는 '''T235'''라는 형식명을 가졌으며, 시제 차량은 1958년에 완성되었다. 이후 디젤 엔진으로 교체되면서 '''T235E1'''으로 변경되었고, 1961년에 '''M107 175mm 자주포'''로 정식 채용되었다[14]. M107과 함께 개발된 M110 자주포는 당시 '''T236'''이라는 형식명을 가졌다. 한편, 1950년대 초반 M53/M55와 동일 계열 차체에 175mm 포를 탑재한 '''T162 175mm 자주포'''가 시제 제작되었으나 양산되지는 않았다[15].

M107은 M110 자주포와 차체 구성품을 상당 부분 공유했으며, 공중 수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때문에 포의 크기에 비해 차체는 비교적 작고 가볍게 만들어졌으며, 장갑화된 전투실 같은 별도의 방호 설비는 갖추지 않았다. 차체가 소형화되면서 휴대 가능한 포탄 수도 2발[14](자료에 따라 4발)에 불과하여, 탄약 보급을 위한 M548과 같은 지원 차량 운용이 필수적이었다. 운용에는 총 13명의 포병이 필요했지만, 차체에는 5명만 탑승할 수 있어 나머지 인원은 지원 차량에 탑승해야 했다[13].

차체는 M107/M110 전용으로 새로 설계되었지만, 비용 절감을 위해 엔진은 M108 105mm 자주곡사포 및 M109 155mm 자주곡사포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고, 현수 장치는 M113 장갑차의 설계를 활용했다[14].

M107은 1961년부터 1980년까지 총 524대가 생산되어 미국 육군을 비롯한 여러 우방국에서 운용되었다[14]. 당시 M107의 최대 사거리는 32.7km로, 동시대 자주포 중 가장 긴 수준이었다[16].

미국 육군베트남 전쟁에서 1965년부터 M107을 실전에 투입하여 케산 전투(1968년) 등에서 운용했다[16]. 그러나 1970년대 후반, 탄약 규격 통일 등의 이유로 M110 계열 자주포로 운용 기종을 단일화하면서 M107은 점차 퇴역하였다. 퇴역한 M107은 우방국에 공여되거나, 포신을 203mm 포로 교체하여 '''M110A1''' 또는 '''M110A2''' 사양으로 개수되었다[13].

주요 운용국 중 하나인 이스라엘은 약 200대의 M107을 도입하여 "Romach"(רומח|로마크he, 히브리어로 창을 의미)라는 별칭으로 운용했다. 이스라엘군은 1973년 제4차 중동 전쟁에서 M107을 투입하여 시리아군이집트군지대공 미사일 기지를 효과적으로 제압하는 데 활용했다. 이란 역시 M107을 도입하여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운용했으며, 때로는 북한의 M1978 콕산 170mm 자주포와 함께 사용하기도 했다.

4. 1. 베트남 전쟁

1968년 캄보디아 국경 근처에서 미군을 지원하기 위해 M107이 발사되고 있으며, 이는 Operation San Angelo의 일환이었다.


M107 자주포가 미국 육군에서 실전 경험을 쌓은 것은 대부분 베트남 전쟁에서였다. 당시 M107은 압도적인 화력으로 인해 베트남어로 Sấm Sét|섬솃vie("번개") 또는 Vua Chiến Trường|부아 찌엔 쯔엉vie("전장의 왕")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포신에 이러한 문구를 새기기도 했다.[8]

M107은 냉전 시대에 운용된 이동식 포 중 가장 긴 사거리를 자랑했으며, 이는 베트남 인민군(PAVN)이 사용하던 소련제 130mm M-46 중야포보다 우위에 있었다. M437A2 또는 M437A1 포탄을 사용했을 때 최대 사거리는 약 32.8km에 달했다. 이러한 장거리 타격 능력과 신속한 진지 변환 능력 덕분에, M107은 북베트남 인민군과 베트콩의 지휘 통제 시설, 통신 시설, 보급 기지를 파괴하는 데 효과적인 무기로 평가받았다. 또한, 북베트남군이 운용하는 소련제 포의 대포병 사격을 피하는 데 유리했다. 이러한 장점은 1968년 케산 전투에서 잘 드러났는데, 당시 미군은 북베트남군의 장기간에 걸친 격렬한 포위 공격과 포격 속에서 M107의 지원을 받았다.

하지만 M107에는 단점도 존재했다. 특히 장거리 사격 시 명중률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 때문에 M107은 주로 군단급 포병 부대에 배치되었고, 상황에 따라 더 긴 사거리가 필요할 때는 M107을, 더 높은 명중률이 필요할 때는 M110을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M107과 M110을 함께 운용하는 혼성 부대가 다수 편성되었다. 또한, 초기 모델의 경우 포신 마모가 심해 잦은 교체가 필요했다. 개별 포대에는 포신 교환에 필요한 장비와 부품이 없어 상급 부대의 정비 지원이 필요했고, 이 과정은 운송 시간을 포함하여 약 2시간이 소요되었다. M107은 발사 속도도 분당 2발로 매우 느렸으며, 포탄의 크기가 커서 차체 내부에는 단 2발의 포탄만 적재할 수 있었다. 추가 탄약은 탄약 운반 장갑차인 M548을 통해 보급받아야 했다.[13]

베트남 전쟁 중 M107은 상당수 손실되었고, 일부는 북베트남 인민군에 의해 파괴되었다. 또한 북베트남 인민군(NVA)은 주로 베트남 공화국군(ARVN)으로부터 여러 대의 M107을 노획했다. 1972년 4월 꽝찌 전투에서 4대가 노획되었고, 전쟁 말기인 1975년 중부 고원 공세에서는 12대가 추가로 노획되었다. 이렇게 노획된 M107은 1975년 3월과 4월 사이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에 대한 최종 공세에 PAVN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전쟁 후 PAVN은 이 M107들을 기반으로 전략 포병 대대를 창설하기도 했다.[1]

4. 2. 이스라엘

M107 자주포는 이스라엘 방위군(IDF)에 의해 여러 아랍-이스라엘 분쟁에서 운용되었다. 특히 1973년 제4차 중동 전쟁(욤 키푸르 전쟁) 당시, M107은 이집트와 시리아의 지대공 미사일 기지를 파괴할 수 있는 중요한 전력 중 하나였다. 수에즈 운하 동쪽 둑에 배치된 이집트군 SA-2 포대 15개 중 13개가 M107에 의해 파괴되는 성과를 거두었다.[9] 또한 IDF가 수에즈 운하를 건너는 가젤 작전을 수행할 때, M107은 탱크 및 장갑차와 함께 가장 먼저 도하한 무기 체계 중 하나였다.[9] M107은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까지 타격할 수 있는 충분한 사거리를 갖추고 있었다.[9]

이스라엘은 1973년부터 1982년 사이에 108대의 M107을 추가로 도입했으며,[9] 갈릴리 평화 작전에도 투입되었다.[9] IDF는 총 200대 이상의 M107을 확보하여 운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IDF는 M107에 "Romach"(רומח|로마크he, 을 의미)라는 별칭을 붙여 운용했다. 티레 지역에서 발사되는 로켓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사거리 연장의 필요성이 제기되자, 캐나다의 포병 공학자 제럴드 불이 설립한 우주 연구 공사의 기술 지원을 받아 성능 개량이 이루어졌다. 이 개량을 통해 사거리 연장탄, 풀 보어(full bore) 탄약, 신형 화약 등이 적용되었고, 그 결과 50km 이상의 거리에서도 향상된 정확도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10]

4. 3. 기타

미국 육군베트남 전쟁에서 1965년부터 M107을 실전 투입했으며, 1968년 케산 전투 등에서 운용하였다.[16] 이스라엘은 M107을 약 200대 도입하여 "Romach" (רומח|로마크he, 히브리어로 창을 의미)라는 별명을 붙였다. 이스라엘군은 1973년 제4차 중동 전쟁에서 M107을 실전 투입하여 시리아군이집트군지대공 미사일 기지를 제압하는 데 효과를 보았다.

이란에 수출된 M107은 이란-이라크 전쟁 기간 동안 이란군에 의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제 M1978 콕산 170mm 자주포와 함께 운용되기도 했다.

영국 육군 소속 M107 자주포의 사격 모습


M107은 1970년대 후반 미국 육군에서 퇴역하기 시작했다. 이는 탄약 공통화 등을 목적으로 운용 기종을 M110 계열로 통일하기 위함이었다. 기존 M107의 175mm 포신을 더 구경이 큰 203mm 포신으로 교체하여 M110A1 또는 M110A2로 개수하거나[13], 우방국에 공여되었다.

4. 4.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은 1970년대 초 M107 24문을 도입하여 운용하였다. 당시 M107은 북한장사정포 위협에 대응하는 주요 전력이었다. 대한민국 육군의 M107은 2008년에 K-9 자주포로 대체되며 퇴역했다.

5. 운용 국가

5. 1. 현 운용국

5. 2. 과거 운용국

6. 파생형

M107 자주포와 동일한 차체를 기반으로 하는 파생형 차량들이 개발되었다. 대표적으로 M578 경구난차가 있으며, 이는 M107 및 M110의 정비 지원, 고장 나거나 작동 불능 상태가 된 차량의 구난 등 다양한 기술 지원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운용되었다.

또한, 기존에 운용되던 M107 자주포 중 상당수는 성능 개량을 거쳐 M110A2 사양으로 개조되기도 하였다.

참조

[1] 간행물 Defense Industry Bulletin https://babel.hathit[...] April 1968
[2] 웹사이트 M107 175 mm Self-Propelled Gun - Military-Today.com http://www.military-[...] 2011-04-28
[3] 웹사이트 M107 175mm Self Propelled Gun http://www.military-[...] 2016-01-15
[4] 문서 TM 9-2300-216 1962-1977
[5] Youtube ITN Newsreel, 26.2.68 Khe Sahn (The Vietnam Collection) https://www.youtube.[...] 2014-11-13
[6] Youtube M107 175 mm SP Gun https://www.youtube.[...] 2014-11-13
[7] Youtube UK M110 Artillery in action Gulf War 1991 https://www.youtube.[...] 2014-11-13
[8] 웹사이트 Pháo binh Việt Nam thuần phục "vua chiến trường" M107 Mỹ http://soha.vn/quan-[...] 2014-11-13
[9] 서적 Tank battles of the Mid-East Wars (2): The wars of 1973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Concord Publications
[10] 연구 Studies The Institute for National Security 2014-11-20
[11] 웹사이트 Εξοπλισμός Εθνικής Φρουράς (Κύπρος) https://www.elliniko[...] 2023-07-03
[12] 백과사전 Canon automoteur de 175 mm M107 Atlas
[13] 웹사이트 http://www.military-[...]
[14] 웹사이트 http://combat1.sakur[...]
[15] 웹사이트 http://combat1.sakur[...]
[16] 웹사이트 http://www.tamiya.co[...]
[17] Youtube イラン・イラク戦争で砲撃を行うM107の動画 https://www.youtube.[...]
[18] 서적 Iran at war, 1500-1988 https://books.google[...]
[19] 웹사이트 http://www.uskowioni[...]
[20] 웹사이트 M107 http://www.milit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