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N-결합 글리코실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결합 글리코실화는 단백질에 당 사슬을 부착하는 생화학적 과정이다. 이 과정은 글리코단백질의 생성에 필수적이며, 글리칸 내 글리코시드 결합과 글리칸 사슬과 단백질 분자 간의 연결을 포함한다.

N-결합 글리코실화는 돌리콜-결합 전구체 올리고사카라이드의 합성, 단일 블록 단백질로의 전달, 올리고사카라이드의 가공의 세 단계를 거쳐 일어난다. 소포체에서 시작하여 골지체에서 완성되며, 세포 내 효소의 접근성에 따라 생성되는 N-글리칸의 유형이 결정된다. 핵심 글리칸 구조는 두 개의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세 개의 만노스로 구성되며, 다양한 N-글리칸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정교화되고 변형된다.

N-결합 글리코실화는 단백질의 구조, 안정성, 용해도를 변경하고 단백질 응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송 지시, 세포 신호 전달 매개 등 외부 기능을 수행하며, 면역 반응과 자가면역 질환에 관여한다. N-결합 글리코실화의 이상은 류마티스 관절염, 제1형 당뇨병, 크론병, 암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으며, 유전자 변이는 신경계 질환을 포함한 유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용 단백질의 생산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인간형 글리칸을 가진 치료용 단백질을 생산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화학 - 부패
    부패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체의 사후 분해 과정으로, 악취 물질 생성, 시신 외형 변화를 동반하며 환경적·내적 요인에 따라 속도가 달라지고 법의학 등에서 연구된다.
  • 생화학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N-결합 글리코실화
개요
정의N-결합 글리코실화는 올리고당을 질소 원자에 부착하는 것
관련 정보단백질
글리코실화
상세 정보
설명단백질에 올리고당이 결합되는 과정
결합 위치아스파라긴 잔기의 아미드 질소
특징적인 아미노산 서열Asn-X-Ser 또는 Asn-X-Thr (X는 프롤린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
관련 질병선천성 당화 이상 (CDG)
당단백질 구조에 영향
중요성글리코펩타이드 및 당단백질 구조에 영향

2. 결합 형성의 에너지

글리코단백질에는 두 가지 유형의 결합이 관여한다. 하나는 글리칸 내 당류 잔기 사이의 결합이고, 다른 하나는 글리칸 사슬과 단백질 분자 간의 연결이다.

부분은 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글리칸 사슬에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결합은 일반적으로 당 분자의 탄소 1번과 4번 사이에서 형성된다. 글리코시드 결합의 형성은 에너지적으로 불리하므로, 이 반응은 두 개의 ATP 분자의 가수분해와 결합된다.

반면에, 단백질에 글리칸 잔기를 부착하려면 컨센서스 서열의 인식이 필요하다. ''N''-결합 글리칸은 거의 항상 아스파라긴(Asn)–X–Ser/Thr 컨센서스 서열의 일부로 존재하는 아스파라긴(Asn) 측쇄의 질소 원자에 부착된다. 여기서 X는 프롤린(Pro)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이다.

동물 세포에서 아스파라긴에 부착된 글리칸은 거의 항상 β-구조의 ''N''-아세틸글루코사민(GlcNAc)이다. 이 β-결합은 위에서 설명한 글리칸 구조에서 당 부분 사이의 글리코시드 결합과 유사하다. 의 수산기에 부착되는 대신, 아노머 탄소 원자는 아미드 질소에 부착된다. 이 연결에 필요한 에너지는 피로인산 분자의 가수분해로부터 얻는다.

3. 생합성

N-결합 글리칸의 생합성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N''-결합 당단백질의 생합성 경로: ''N''-결합 글리칸의 합성은 소포체에서 시작하여 골지체에서 계속되고, ''N''-결합 당단백질이 분비되거나 세포막에 삽입되는 세포막에서 끝난다.


1. 돌리콜-결합 전구체 올리고사카라이드의 합성

2. 전구체 올리고사카라이드의 단일 블록 단백질로의 전달

3. 올리고사카라이드의 가공

전구체 올리고사카라이드의 합성, 단일 블록 전달 및 초기 트리밍은 소포체(ER)에서 일어난다. 올리고사카라이드 사슬의 후속 가공 및 변형은 골지체에서 수행된다.

당단백질 합성은 서로 다른 세포 구획에서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합성되는 N-글리칸의 유형은 이러한 세포 구획 내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효소에 대한 접근성에 따라 달라진다.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N-글리칸은 공통적인 핵심 글리칸 구조를 갖는 공통 경로를 통해 합성된다. 핵심 글리칸 구조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세 개의 만노스 잔기로 구성된다. 이 핵심 글리칸은 추가적으로 정교하게 만들어지고 변형되어 다양한 N-글리칸 구조를 생성한다.

3. 1. 전구체 올리고당 합성

''N''-결합 글리코실화는 돌리콜에 연결된 GlcNAc 당이 형성되면서 시작된다. 돌리콜은 반복되는 이소프렌 단위로 구성된 지질 분자로, 소포체 막에 부착되어 있다. 당 분자는 파이로인산 결합을 통해 돌리콜에 부착된다 (하나의 인산염은 돌리콜에, 다른 하나는 뉴클레오티드 당에서 유래). 이후 올리고당 사슬은 여러 당 분자가 단계적으로 추가되어 전구체 올리고당을 형성한다.

전구체 올리고당의 합성은 I상과 II상, 두 단계로 나뉜다. I상은 소포체의 세포질 쪽에서, II상은 소포체의 내강 쪽에서 일어난다.

단백질로 옮겨질 준비가 된 전구체 분자는 2개의 GlcNAc, 9개의 만노스, 3개의 글루코스 분자로 구성된다.

''N''-결합 글리코실화 동안 소포체 내강에서 전구체 올리고당의 단계별 합성: 그림은 표에 설명된 대로 I상과 II상에서 모두 일어나는 단계를 보여준다.


I상
단계위치
소포체의 세포질 쪽
이 시점에서, 지질 결합된 글리칸은 막을 가로질러 단백질 이동되어 소포체 내강 내 효소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 전위 과정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플리파제라고 알려진 효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II상
단계위치
소포체의 내강 쪽


3. 2. 단백질로의 글리칸 전이

올리고사카릴전이효소는 컨센서스 서열을 인식하고 소포체 루멘에서 번역되는 폴리펩타이드 수용체로 전구체 글리칸을 전이시키는 효소이다. 따라서 ''N''-결합 글리코실화는 동시 번역 현상이다.

글리칸이 생성 폴리펩타이드로 전이되기 전에 충족해야 할 세 가지 조건이 있다.

  • 아스파라진은 1차 구조의 특정 컨센서스 서열(Asn–X–Ser 또는 Asn–X–Thr 또는 드문 경우 Asn–X–Cys)에 위치해야 한다.
  • 아스파라진은 단백질의 3차 구조에서 적절하게 위치해야 한다(당은 극성 분자이므로 단백질 표면에 위치한 아스파라진에 부착되어야 하며 단백질 내부에 묻혀 있으면 안 된다).
  • ''N''-결합 글리코실화를 시작하려면 아스파라진이 소포체의 루멘 쪽에 있어야 한다. 표적 잔기는 분비 단백질 또는 루멘을 향하는 막횡단 단백질 영역에서 발견된다.

3. 3. 글리칸 가공

''N''-결합 글리칸 처리는 소포체골지체에서 수행된다. 전구체 분자의 초기 트리밍은 소포체에서 발생하며, 이후 처리는 골지체에서 일어난다.

완성된 글리칸을 새로 합성된 폴리펩타이드에 전달한 후, 두 개의 포도당 잔기가 구조에서 제거된다. 글리코시다제라고 알려진 효소는 일부 당 잔기를 제거한다. 이러한 효소는 물 분자를 사용하여 글리코시드 결합을 끊을 수 있다. 이 효소는 글리칸의 비환원 말단에 위치한 단당류 잔기에만 작용하므로 엑소글리코시다제이다. 이 초기 트리밍 단계는 단백질 접힘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소포체에서 품질 관리 단계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단백질이 올바르게 접히면, 글루코시다제 I과 II에 의해 두 개의 포도당 잔기가 제거된다. 마지막 세 번째 포도당 잔기의 제거는 당단백질이 소포체에서 ''시스''-골지체로 이동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 ER 만노시다제는 이 마지막 포도당의 제거를 촉매한다. 그러나 단백질이 제대로 접히지 않으면 포도당 잔기가 제거되지 않으므로 당단백질은 소포체를 떠날 수 없다. 샤페론 단백질(칼넥신/칼레티큘린)은 접히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접힌 단백질에 결합하여 단백질 접힘을 돕는다.

다음 단계는 시스-골지체에서 당 잔기의 추가 및 제거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은 각각 글리코실전이효소와 글리코시다제에 의해 촉매된다. ''시스''-골지체에서 일련의 만노시다제는 α-1,2 결합에서 네 개의 만노스 잔기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한다. 반면 골지체의 중간 부분에서는 글리코실전이효소가 핵심 글리칸 구조에 당 잔기를 첨가하여 고만노스, 하이브리드, 복합 글리칸의 세 가지 주요 유형을 생성한다.

글리칸의 세 가지 주요 유형

  • 고만노스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많은 만노스 잔기로 구성되며, 종종 단백질에 부착되기 전의 전구체 올리고당과 거의 동일한 수이다.
  • 복합 올리고당은 원래 두 개의 ''N''-아세틸글루코사민보다 더 많은 다른 유형의 당을 거의 무제한으로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되었다.
  • 하이브리드 올리고당은 가지의 한쪽에 만노스 잔기를 포함하는 반면, 다른 쪽에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이 복합 가지를 시작한다.


성장하는 글리칸 사슬에 당이 첨가되는 순서는 효소의 기질 특이성과 분비 경로를 통해 이동하면서 기질에 접근하는 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세포 내에서 이 기계 장치의 구성은 어떤 글리칸이 만들어지는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원핵생물에서의 N-결합 글리코실화

원핵생물과 고세균에서도 유사한 ''N''-글리칸 생합성 경로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진핵생물에 비해 진정세균과 고세균의 최종 글리칸 구조는 소포체에서 만들어진 초기 전구체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진핵생물에서는 원래의 전구체 올리고당이 세포 표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광범위하게 변형된다. [12] [8]

5. 기능

N-결합 글리칸은 고유 기능과 외부 기능을 모두 갖는다.[2]

면역계에서 면역 세포 표면의 N-결합 글리칸은 세포의 이동 패턴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피부로 이동하는 면역 세포는 해당 부위로의 호밍(homing)을 선호하는 특정 당화(glycosylation)를 갖는다.[1] IgE, IgM, IgD, IgA, IgG를 포함한 다양한 면역글로불린의 당화 패턴은 Fc 및 기타 면역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을 변경하여 고유한 이펙터 기능을 부여한다.[1] 또한 글리칸은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하는 데 관여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자가면역 질환의 병태생리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1]

N-결합 글리칸의 기능
고유 기능
외부 기능



어떤 경우에는 N-글리칸과 단백질 간의 상호 작용이 복잡한 전자 효과를 통해 단백질을 안정화시킨다.[4]

6. 임상적 의의

N-결합 글리코실화의 변화는 류마티스 관절염,[1] 제1형 당뇨병,[1] 크론병,[1] 및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다.[1]

N-결합 글리코실화와 관련된 18개의 유전자 돌연변이는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며, 이 중 대부분은 신경계와 관련이 있다.[1]

7. 치료용 단백질에서의 중요성

시장에 출시된 많은 치료용 단백질은 ''N''-결합된 당단백질인 항체이다. 에타너셉트, 인플릭시맙 및 리툭시맙은 ''N''-글리코실화된 치료용 단백질이다.[20]

사람과 동물 세포에서 생산되는 당쇄의 차이. 사람 세포는 Neu5Gc 캡을 갖지 않는다.


''N''-결합 글리코실화의 중요성은 제약 분야에서 점점 더 분명해지고 있다.[20] 세균 또는 효모 단백질 생산 시스템은 높은 수율과 저렴한 비용과 같은 상당한 잠재적 이점이 있지만, 관심 있는 단백질이 당단백질인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E. coli'' 와 같은 대부분의 원핵생물 발현 시스템은 번역 후 변형을 수행할 수 없다. 반면에, 효모 및 동물 세포와 같은 진핵생물 발현 숙주는 서로 다른 글리코실화 패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발현 숙주에서 생성된 단백질은 종종 인간 단백질과 동일하지 않아 환자에게 면역원성 반응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S.cerevisiae''(효모)는 종종 면역원성인 고-만노스 글리칸을 생성한다.[20]

CHO 또는 NS0 cell|NS0 세포영어와 같은 비-인간 포유류 발현 시스템은 복잡한 인간형 글리칸을 추가하는 데 필요한 기기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서 생성된 글리칸은 인간에서 생성된 글리칸과 다를 수 있는데, 이는 ''N''-글리코릴뉴라민산(Neu5Gc)과 ''N''-아세틸뉴라민산(Neu5Ac)으로 캡핑될 수 있는 반면, 인간 세포는 ''N''-아세틸뉴라민산을 포함하는 당단백질만 생성하기 때문이다. 또한, 동물 세포는 갈락토오스-알파-1,3-갈락토스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당단백질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알파-갈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포함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20]

이러한 단점은 이러한 글리칸 구조를 생성하는 경로를 유전자 녹아웃을 통해 제거하는 것과 같은 여러 접근 방식으로 해결되었다. 또한, 다른 발현 시스템은 인간과 유사한 ''N''-결합 글리칸을 가진 치료용 당단백질을 생산하도록 유전적으로 조작되었다. 여기에는 ''Pichia pastoris''[21], 곤충 세포주, 녹색 식물[22] 및 심지어 박테리아와 같은 효모가 포함된다.[20]

참조

[1] 웹사이트 Glycosylation https://www.uniprot.[...]
[2] 웹사이트 GlyGen glycan structure dictionary https://wiki.glygen.[...] GlyGen 2021-04-01
[3] 논문 N-glycosylation as a eukaryotic protective mechanism against protein aggregation 2024
[4] 논문 Stereoelectronic effects in stabilizing protein– N -glycan interactions revealed by experiment and machine learning 2021-03-15
[5] 웹사이트 Glycosylation https://www.uniprot.[...] 2021-02-13
[6] 논문 Effect of N-linked glycosylation on glycopeptide and glycoprotein structure https://pubmed.ncbi.[...] 1999-12
[7] 논문 Metabolic mimics: the disorders of N-linked glycosylation https://pubmed.ncbi.[...] 2005-09
[8] 서적 Introduction to glycobiology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9] 서적 Introduction to glycobiology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0] 논문 The amino acid following an asn-X-Ser/Thr sequon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N-linked core glycosylation efficiency https://pubmed.ncbi.[...] 1998-05-12
[11] 서적 Introduction to glycobiology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2] 논문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glycosylation mechanisms in prokaryotes and eukaryotes https://pubmed.ncbi.[...] 2010
[13] 논문 Glycoengineering: the effect of glycosylation on the properties of therapeutic proteins https://pubmed.ncbi.[...] 2005-08
[14] 논문 Glycans in the immune system and The Altered Glycan Theory of Autoimmunity: a critical review https://pubmed.ncbi.[...] 2015-02
[15] 논문 Detection of altered N-glycan profiles in whole serum from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https://pubmed.ncbi.[...] 2007-06-15
[16] 논문 N-Glycan Profile and Kidney Disease in Type 1 Diabetes https://pubmed.ncbi.[...] 2018-01
[17] 논문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sociates with proinflammatory potential of the immunoglobulin G glycome https://pubmed.ncbi.[...] 2015-06
[18] 논문 Immunoglobulin G Fc N-glycan profiling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by LC-ESI-MS: relation to tumor progression and survival https://pubmed.ncbi.[...] 2012-01
[19] 논문 Change in IgG1 Fc N-linked glycosylation in human lung cancer: age- and sex-related diagnostic potential https://pubmed.ncbi.[...] 2013-08
[20] 논문 Emerging principles for the therapeutic exploitation of glycosylation https://pubmed.ncbi.[...] 2014-01-03
[21] 논문 Production of complex human glycoproteins in yeast https://pubmed.ncbi.[...] 2003-08-29
[22] 논문 Controlled glycosylation of plant-produced recombinant proteins https://pubmed.ncbi.[...] 2014-12
[23] 웹인용 Glycosylation https://www.uniprot.[...]
[24] 저널 인용 Effect of ''N''-linked glycosylation on glycopeptide and glycoprotein structure 1999-12
[25] 저널 인용 Metabolic mimics: the disorders of ''N''-linked glycosylation 2005-09
[26] 서적 인용 Introduction to Glycobiolog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