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기능 검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 기능 검사는 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는 다양한 혈액 검사들을 의미한다. 주요 검사에는 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ALT),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AST), 알칼라인 인산분해효소(ALP) 등이 포함되며, 빌리루빈, 알부민, 응고 인자 검사 등을 통해 간의 배설, 대사 및 합성 능력을 평가한다. ALT와 AST는 간세포 손상 지표로, ALP는 담관 관련 질환을, 빌리루빈은 황달 및 간의 배설 기능을, 알부민과 응고 인자 검사는 간의 합성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검사 결과는 AST/ALT 비율, 추가 검사(5'-뉴클레오티데이스, 세룰로플라스민, 알파 태아 단백질, 혈청 포도당 등)와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되어 간 질환의 진단 및 감별에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과학 - 감염내과
    감염내과는 복잡한 감염병에 대한 자문 및 면역 결핍 환자 관리를 담당하며, 다양한 진단 검사와 항생제 등을 통해 감염원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제시하는 내과 또는 소아청소년과의 하위 분과이다.
  • 내과학 - 신경과
    신경과는 뇌, 척수, 말초신경, 근육 등 신경계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로, 뇌졸중, 치매, 간질,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 등을 주요 진료 대상으로 하며, 신경학적 검진과 다양한 치료를 통해 환자의 증상 완화와 기능 회복을 돕는다.
  • 위장병학 - 간염
    간염은 바이러스 감염, 알코올 남용, 약물, 자가면역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며 A형, B형 간염은 백신으로 예방 가능하고 C형 간염은 효과적인 치료제가 개발되었다.
  • 위장병학 - 크론병
    크론병은 위장관에 만성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 면역계 이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복통, 설사, 합병증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약물 요법, 영양 요법, 수술 등으로 치료하며 완치 치료법은 없다.
  • 의학 검사 - 신체검사
    신체검사는 건강 상태 평가를 위한 의료 행위로 병력 청취, 신체 진찰, 필요시 추가 검사 등을 포함하며, 정기 건강검진의 효과에 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 의학 검사 - 뇌자도
    뇌자도(MEG)는 뇌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자기장을 감지하여 뇌 활동을 측정하는 신경 영상 기술이며, 뇌파 검사보다 공간 해상도가 뛰어나 뇌전증, 뇌종양 등의 진단 및 연구에 활용된다.
간기능 검사
간기능 검사
다양한 상태에서 상승된 간 기능 및 마커
간 기능 및 다양한 조건에서 상승된 마커
ICD-10K70-K77
ICD-9570–573
MeSH IDD008111
MedlinePlus003436

2. 주요 간 기능 검사

표준 간 기능 검사에는 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ALT),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AST),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가 포함된다. 빌리루빈은 간의 배설 기능을 평가하고, 응고 검사 및 알부민 수치는 간의 대사 활동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8]

검사 결과는 검사실에서 사용하는 분석 방법, 연령, 성별, 민족성, 기타 건강 요인에 따라 달라지므로, 항상 검사를 시행한 검사실에서 제공하는 참고 범위를 사용하여 해석해야 한다.[6]

간 기능 검사에서 주요 지표는 다음과 같다.


  • '''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ALT):''' 간 손상 시 수치가 증가하며, 간에 특이적인 지표이다.
  •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AST):''' 간 외에 심장, 근육 등에도 존재하여 ALT보다 간 특이성이 낮다.
  •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 담관 폐쇄나 담즙 정체 시 수치가 상승하며, 뼈 질환과도 관련 있다.
  • '''빌리루빈:''' 적혈구 파괴로 생성되는 황색 색소로, 간 기능 저하나 담도 폐쇄 시 수치가 증가하여 황달을 유발한다.
  • '''알부민:'''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만성 간 질환에서 수치가 감소한다.

2. 1. 효소 수치

간 기능 검사에서 효소 수치는 간 손상 여부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주요 효소로는 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ALT),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AST),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GGT), 젖산 탈수소효소(LDH) 등이 있다.

  • 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ALT)와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AST): 이 효소들은 간세포 손상 시 혈중으로 방출되어 수치가 증가한다. 특히 ALT는 간에 더 특이적인 지표로 간주된다.
  •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 ALP는 담관 폐쇄나 담즙 정체 시 수치가 상승하며, 뼈 질환과도 관련이 있다.
  •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GGT): GGT는 ALP와 마찬가지로 담즙 정체 시 상승하며, 알코올 섭취와도 관련이 깊다.
  • 젖산 탈수소효소(LDH): LDH는 간을 포함한 여러 조직에 존재하며, 간 손상 시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효소 수치들은 간 질환의 진단 및 경과 관찰에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임신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수치 변화에 대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ALP는 임신 3분기에 생리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13]

2. 1. 1. 알라닌 아미노기 전달 효소 (ALT)

알라닌 아미노기 전달 효소(ALT)는 간세포 내의 효소로, 혈청 글루탐 피루빈산 아미노기 전달 효소(SGPT) 또는 알라닌아미노기전달효소(ALAT)라고도 한다. 간세포가 손상되면 혈액으로 유출되어 수치가 증가한다. ALT는 바이러스성간염 같은 급성 간 손상에서 크게 상승한다.[8]

ALT는 간 외에도 신장, 심장, 근육에서도 발견된다. 모든 종류의 간 손상은 ALT 수치를 높일 수 있다. 최대 300 IU/L까지의 상승은 간에 특이적이지 않으며, 신장이나 근육 등 다른 장기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ALT가 500 IU/L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원인은 대개 간에서 비롯된다. 이는 간염, 허혈성 간 손상 및 간 손상을 유발하는 독성 물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C형 간염의 ALT 수치는 A형 및 B형 간염보다 더 많이 상승한다. 6개월 이상 지속적인 ALT 상승은 만성 간염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성 간 질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소아 비만 시 간에 지방 축적, 지방간염은 ALT 상승과 관련이 있다. ALT 상승은 또한 감소된 인슐린 반응, 감소된 포도당 내성, 증가된 유리 지방산 및 트리글리세리드와 관련이 있다. ALT가 상승한 밝은 간 증후군(초음파에서 밝은 간은 지방간을 시사함)은 대사 증후군을 시사한다.[8]

임신 중에는 ALT 수치가 임신 2분기에 상승한다. 한 연구에서 임신 오조와 같은 임신 관련 상태에서 측정된 ALT 수치는 103.5 IU/L였고, 자간전증은 115, HELLP 증후군은 149였다. ALT 수치는 출산 후 3일 이내에 50% 이상 감소한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카페인 섭취가 알코올을 섭취하는 사람, 과체중인 사람, 포도당 대사 장애가 있는 사람, 바이러스성 간염 환자에서 ALT 상승 위험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8]

2. 1. 2.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기 전달 효소 (AST)

아스파르트산염 아미노기 전달 효소 (AST)는 SGOT(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혈청글루타민산옥살로초산트란스아미네이스) 또는 아스파라진산 아미노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AT)로도 불리며, ALT와 유사하게 간 조직 세포와 관련된 효소이다. 이 효소는 급성 간 손상이 있을 때 증가하지만, 적혈구와 심근, 골격근에서도 나타나 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ST/ALT 비율은 간 손상의 원인을 구별할 때 유용하게 쓰이기도 한다.[20][21] 상승된 AST 수치는 심장병의 표지로 사용되기도 한다.

AST는 미토콘드리아 형태와 세포질 형태의 두 가지 동위효소로 존재한다. 간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발견되며, 그 다음으로 심장, 근육, 신장, 뇌, 췌장 및 폐에서 발견된다.[10] 이처럼 AST는 다양한 장기에 분포하기 때문에 ALT에 비해 간 손상의 특이적인 지표는 아니다. 혈액 내 미토콘드리아 AST의 증가는 심근 경색 및 만성 간 질환에서 조직 괴사를 시사한다. 간 AST 활성의 80% 이상이 동위효소의 미토콘드리아 형태에 의해 기여하며, 혈액 내 순환 AST는 AST의 세포질 형태에 의해 기여한다. AST는 특히 간경변 환자에서 현저하게 상승한다.[8]

임신 관련 질환의 경우 AST는 다음과 같이 상승할 수 있다.[8]

  • 임신 오조: 73IU/L까지 상승
  • 자간전증: 66IU/L까지 상승
  • HELLP 증후군: 81IU/L까지 상승


참고 범위
0-35 IU/L[8]


2. 1. 3.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 (ALP)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ALP)는 간의 담관을 싸고 있는 세포 내부에 있는 효소이다. ALP의 혈장 내 농도는 담관 폐색, 간 내부의 담즙 분비 중지 또는 침투성 세균으로 인한 질병과 함께 상승한다.[8] ALP는 태반 조직에도 존재하며, 자라나는 어린이나 파제트병 환자에서는 높게 나타난다.

ALP는 소장의 점막 상피, 신장의 근위 세뇨관, 뼈, 간 및 태반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ALP는 소장에서의 지질 이동과 뼈의 석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액 내 모든 혈청 ALP 활성의 50%는 뼈에서 기인한다.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은 대개 정상 ALP 또는 증가된 ALP를 보인다. 예를 들어, A형 간염은 담즙 정체(담즙 형성 장애 또는 담즙 흐름 폐쇄)로 인해 ALP가 증가하며, 지속적인 가려움증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원인으로는 침윤성 간 질환, 육아종성 간 질환, 농양, 간의 아밀로이드증 및 말초 동맥 질환 등이 있다. 경미한 ALP 증가는 간경변증, 간염 및 울혈성 심부전에서 나타날 수 있다. 일시적인 고인산혈증은 영아에서 나타나는 양성 질환으로, 4개월 이내에 정상 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다. 반대로, ALP의 낮은 수준은 갑상선 기능 저하증, 악성 빈혈, 아연 결핍 및 저인산혈증에서 발견된다.[8]

ALP 활성은 임신 3분기에 유의하게 증가한다.[13] 이는 태반에서의 합성과 많은 양의 에스트로겐에 의해 유도된 에서의 합성 증가 때문이다.[13][11][12] 3분기에는 ALP 수치가 비임신 여성보다 2배 이상 높을 수 있다.[13] 결과적으로 ALP는 임신 여성에서 간 기능의 신뢰할 수 있는 지표가 아니다.[13]

임신 중 입덧과 같은 상태에서는 ALP 수치가 215IU/L에 달할 수 있으며, 자간전증에서는 14IU/L, HELLP 증후군에서는 15IU/L에 달할 수 있다.[8]

2. 1. 4.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 (GGT)

감마-글루타밀전이효소(GGT)는 간세포, 담관 상피 세포, 신세뇨관, 췌장 및 장에서 발견되는 미세 소체 효소이다. 글루타티온 대사를 돕고, 세포막을 가로질러 펩타이드를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ALP)와 마찬가지로 GGT 수치는 담즙 정체가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승한다.[10] 특히 알코올 중독 시 10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8]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의 경우 GGT 수치는 질병 발생 2~3주차에 최고조에 달할 수 있으며, 질병 발생 6주차까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C형 간염 환자의 30%에서도 GGT 수치가 상승한다. 비알코올성 간 질환 환자의 50%에서 2~3배 증가할 수 있다. GGT 수치가 상승하면 트리글리세리드 수치도 상승하며, 인슐린 치료를 통해 GGT 수치를 낮출 수 있다.[8]

GGT 수치 상승의 다른 원인으로는 당뇨병, 급성 췌장염, 심근 경색, 신경성 식욕 부진증, 길랭-바레 증후군, 갑상선 기능 항진증, 비만 및 근긴장성 영양 장애와 같은 질환들이 있다.[8]

임신 시 GGT 활성은 임신 2, 3분기에 감소한다. 임신오조증의 경우 GGT 수치가 45 IU/L에 이를 수 있으며, 전자간증의 경우 17 IU/L, HELLP 증후군의 경우 35 IU/L에 이를 수 있다.[8]

2. 1. 5. 젖산탈수소효소 (LDH)

젖산 탈수소효소(LDH 또는 LD)는 젖산을 산화시키는 효소이다. 허파, 심장, 간, 혈액에서 발견되며 여러 형태의 동종 효소들이 있다. 간 수치 LDH는 종양과 같은 질환의 예후와 관련해서 참고할 수 있다.[18] LDH는 간을 포함한 많은 신체 조직에서 발견된다. LDH 수치가 상승하면 간 손상을 나타낼 수 있다. LDH 아이소타입-1(또는 심장)은 심장 조직의 손상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지만, 트로포닌 및 크레아틴 키나아제 검사가 더 선호된다.[19]

2. 2. 빌리루빈 수치

빌리루빈(bilirubin)은 적혈구가 파괴될 때 생성되는 황색 색소로, 간에서 처리되어 담즙으로 배설된다. 간 기능이 저하되거나 담도가 막히면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하여 황달이 나타날 수 있다.

간 손상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 간 기능 검사에는 알라닌 아미노전달효소(ALT),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달효소(AST),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가 포함된다. 빌리루빈은 간의 배설 기능을, 응고 검사 및 알부민은 간의 대사 활동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8]

결합 빌리루빈의 상승 정도는 간세포 손상 정도에 비례한다. 바이러스성 간염 또한 결합 빌리루빈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실질적인 간 질환과 불완전한 간외 폐쇄의 경우, 악성 원인으로 인한 완전한 총담관 폐쇄보다 결합 빌리루빈 상승 정도가 적다. 두빈-존슨 증후군에서는 다중 약물 저항 단백질 2 (MRP2)의 돌연변이가 결합 빌리루빈 상승을 유발한다.[8]

급성 충수염의 경우 총 빌리루빈이 20.52μmol/L에서 143μmol/L로 상승할 수 있으며, 임산부의 경우 세 번의 임신 기간 모두 총 빌리루빈 수치가 낮다.[8]

신생아의 빌리루빈 수치는 빌리미터 또는 경피 빌리루빈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고위험 아기의 경우, 생후 첫 주 동안 총 혈청 빌리루빈이 연령별 95번째 백분위수를 초과하여 증가하면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으로 알려져 있으며, 광선 요법이 필요하다. 신생아의 병적 황달은 혈청 빌리루빈 수치가 하루 5mg/dL 이상 상승하고, 혈청 빌리루빈이 생리적 범위를 초과하며, 임상적 황달이 2주 이상 지속되고, 결합 빌리루빈(어두운 소변이 옷에 착색됨)이 나타날 때 의심해야 한다. 용혈성 황달은 병적 황달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Rh 용혈성 질환, 어머니와의 ABO 부적합성, 포도당-6-인산 탈수소 효소 (G-6-PD) 결핍 및 경미한 혈액형 부적합성이 있는 아기는 용혈성 황달의 위험이 증가한다.[9]

검사 결과는 검사를 수행하는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분석 방법에 따라 다르며, 연령, 성별, 민족성 및 잠재적으로 관련 없는 건강 요인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개별 결과는 항상 검사를 수행한 실험실에서 제공하는 참조 범위를 사용하여 해석해야 한다.[6]

성인 기준 참고 범위[7][8]
매개변수mg/dLμmol/L
총 빌리루빈0.1–1.02.0–21
비결합 빌리루빈0.2–0.7< 12
결합 빌리루빈0.1–0.4< 8


2. 2. 1. 총 빌리루빈

빌리루빈 측정에는 비결합(간접) 빌리루빈과 결합(직접) 빌리루빈이 모두 포함된다.[8] 비결합 빌리루빈은 혈색소의 일부인 의 분해 산물이다. 간은 UDP-글루쿠로닐-전이효소라는 효소를 통해 비결합 빌리루빈을 '결합'(수용성으로 변형)시켜 혈액에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8] 총 빌리루빈 수치가 17μmol/L를 초과하면 간 질환을 나타내며, 40μmol/L를 초과하면 빌리루빈이 공막, 피부, 점막에 침착되어 황달이 나타난다.[8]

성인 기준 참고 범위
단위총 빌리루빈
mg/dL0.1–1.0[7]
μmol/L2.0–21[8]


2. 2. 2. 직접 빌리루빈 (결합 빌리루빈)

빌리루빈은 빌리루빈 수치를 통해 고빌리루빈혈증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이다.

2. 2. 3. 간접 빌리루빈 (비결합 빌리루빈)

빌리루빈의 분해 산물로, 간에서 처리되기 전에는 지용성 형태인 비결합 빌리루빈(간접 빌리루빈) 상태이다. 간은 UDP-글루쿠로닐-전이효소라는 효소를 이용해 비결합 빌리루빈을 수용성인 결합 빌리루빈으로 변형시켜 혈액에서 제거한다.

비결합 빌리루빈이 주로 증가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과다 생산: 혈종 재흡수, 비효율적인 적혈구 생성 등으로 적혈구 파괴가 증가하는 경우
  • 간 섭취 감소
  • 빌리루빈 결합 감소: 길버트 증후군, 크리글러-나자르 증후군과 같이 UDP-글루쿠로닐-전이효소 효소에 결함이 있는 경우[8]


성인의 비결합 빌리루빈 참고 범위는 아래 표와 같다.[7][8]

성인 기준 참고 범위
단위비결합 빌리루빈
mg/dL0.2–0.7
μmol/L< 12


2. 3. 알부민 수치

알부민은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저렴하고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알부민은 전체 단백질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글로불린을 제외한 나머지를 차지한다. 간경변과 같은 만성 간 질환이나 신증후군에서 알부민 수치가 감소한다.[14][15] 영양 실조나 단백질 대사 장애 상태에서도 저알부민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알부민의 반감기는 약 20일이다.

알부민 수치는 간의 합성 기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표이지만, 응고 인자가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알부민이 낮으면 혈관 내 교질 삼투압이 혈관 외 공간보다 낮아져 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프리알부민은 알부민 측정의 대안이며, 급성 변화를 감지하는 데 더 적합하다. (알부민과 프리알부민의 반감기는 각각 약 2주와 약 2일이다).[14][15]

알부민의 정상 범위는 3.5 ~ 5.5 g/dL 또는 3.5 ~ 5.3 g/dL 이지만,[6] 검사를 수행하는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분석 방법, 연령, 성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개별 결과는 항상 검사를 수행한 실험실에서 제공하는 참조 범위를 사용하여 해석해야 한다.[6]

2. 4. 응고 인자 검사 (프로트롬빈 시간, PT/INR)

간은 대부분의 응고 인자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간 질환 환자에서 국제 정상화 비율(INR)은 간의 합성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데, INR에서 측정되는 모든 응고 인자 중 가장 짧은 반감기(2~6시간)를 갖는 제VII인자를 포함하기 때문이다.[8] 그러나 INR이 상승했다고 해서 간 질환 환자가 반드시 출혈 경향이 있는 것은 아닌데, INR은 혈액 응고 촉진 인자만 측정하고 항응고 인자는 측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간 질환에서는 두 가지 모두의 합성이 감소하며, 일부 환자는 INR이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과응고 상태(혈전 경향 증가)인 것으로 밝혀지기도 한다.

프로트롬빈 시간(PT)과 이로부터 파생된 프로트롬빈 비율(PR) 및 INR은 외인성 응고 경로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 검사는 "프로타임 INR" 및 "INR PT"라고도 불린다. 이는 와파린 복용량, 간 손상 및 비타민 K 상태를 측정하여 혈액의 응고 경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8]

3. 추가 검사

위에 언급된 주요 검사 외에도, 간 질환의 원인 감별 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추가 검사가 시행될 수 있다.

알칼리성 인산 분해 효소(ALP)는 간의 담관을 덮고 있는 세포 내에 있는 효소이다. ALP는 소장에서의 지질 이동과 뼈의 석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은 대개 정상 ALP 또는 증가된 ALP를 보인다. 예를 들어, A형 간염은 담즙 정체(담즙 형성 장애 또는 담즙 흐름 폐쇄)로 인해 ALP가 증가하며, 지속적인 가려움증을 특징으로 한다. 경미한 ALP 증가는 간경변증, 간염 및 울혈성 심부전에서 나타날 수 있다. ALP 활성은 임신 3분기에 유의하게 증가하는데, 이는 태반에서의 합성과 많은 양의 에스트로겐에 의해 유도된 에서의 합성 증가 때문이다.[13][11][12]

알부민은 간에서 특별히 생성되는 단백질로, 간경변과 같은 만성 간 질환에서 수치가 감소한다. 또한 소변으로 손실되는 신증후군에서도 감소한다. 알부민이 낮으면 혈관 내 교질 삼투압이 혈관 외 공간보다 낮아져 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14][15]

3. 1. 5'-뉴클레오티데이스 (5'-NT)

5'-뉴클레오티데이스(5'-NT)는 신체 전반에서 발견되는 당단백질로, 세포질 막에서 뉴클레오사이드-5-인산염을 무기 인산염으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한다.[8] 5'-NT 수치는 폐쇄성 황달, 실질성 간 질환, 간 전이, 골 질환과 같은 상태에서 상승한다.[8] 혈청 NT 수치는 임신 중 2, 3분기에 더 높다.[8]

3. 2. 세룰로플라스민

세룰로플라스민은 간에서 합성되는 급성 반응 단백질로, 구리 이온 운반체 역할을 한다. 감염, 류마티스 관절염, 임신, 비-윌슨 간 질환 및 폐쇄성 황달 시에는 수치가 증가한다. 윌슨병에서는 세룰로플라스민 수치가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구리가 축적된다.[8]

세룰로플라스민 참고 범위[8]
200–600 mg/L


3. 3. 알파 태아 단백질 (AFP)

알파 태아 단백질(Alpha-fetoprotein영어, AFP)은 태아 간에서 현저하게 발현된다. 성인에서 AFP 합성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은 완전히 알려지지 않았다. 간이 발암 물질에 노출되거나, 소아기에 간의 성숙이 멈추면 AFP가 상승할 수 있다. AFP는 간세포암에서 400μg/L~500μg/L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8] 400μg/L 이상의 AFP 농도는 더 큰 종양 크기, 간의 양쪽 엽 침범, 문맥 침윤 및 더 낮은 중앙 생존율과 관련이 있다.[8]

참고 범위
0μg/L~15μg/L[8]


3. 4. 혈청 포도당

혈청 포도당 검사(BG 또는 Glu로 약칭)는 간이 포도당을 생산하는 능력(포도당 신생합성)을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급성 전격성 간부전 상황에서 마지막으로 손실되는 기능이다.[17]

4. 간 기능 검사의 해석

간 기능 검사 결과는 AST와 ALT 수치, 그리고 이들의 비율을 통해 해석한다. AST는 ALT보다 반감기가 짧고, ALT는 AST보다 간에 더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따라서 AST와 ALT 수치가 평균값을 벗어나 불안정할 때, 이 비율이 1보다 작으면 급성 간 손상을, 1보다 크면 지속적인 간 손상을 의심할 수 있다.

AST/ALT 비율은 간 손상의 원인을 구별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20][21]

4. 1. AST/ALT 비율

AST/ALT (AST 및 ALT 비율)는 간 기능 손상을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AST의 반감기가 ALT보다 짧고, 상대적으로 ALT가 AST보다 간에 더 집중적으로 분포한다는 점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평균값을 벗어나는 불안정한 AST와 ALT 데이터에서 값이 1보다 작다면 급성 간 손상을, 1보다 크다면 지속적인 간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다.

AST/ALT 비율은 간 손상의 원인을 구별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20][21] 간 기능 장애가 있는 경우 AST/ALT 비율이 증가한다. 알코올성 간 질환의 경우 평균 비율은 1.45이며, 괴사 후 간경변증의 경우 평균 비율은 1.33이다. 바이러스성 간경변증에서는 비율이 1.17보다 크고, 알코올성 간염에서는 2.0보다 크며, 비알코올성 간염에서는 0.9이다. 윌슨병 또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경우 비율이 4.5보다 크다.[8]

참조

[1] 서적 Basic Skills in Interpreting Laboratory Data https://books.google[...] ASHP 2009-03-10
[2] 간행물 Special considerations in interpreting liver function tests
[3] 서적 Clinical laboratory medicin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 서적 Family medicine: ambulatory care & prevention https://books.google[...] McGraw-Hill Professional
[5] 간행물 ACG Clinical Guideline: Evaluation of Abnormal Liver Chemistries https://dx.doi.org/1[...] 2017-01
[6] 웹사이트 Laboratory Test Reference Ranges https://www.testing.[...] 2024-12-15
[7] 간행물 Evaluating Elevated Bilirubin Levels in Asymptomatic Adults 2015-02-03
[8] 간행물 A review on laboratory liver function tests 2009-11-22
[9] 간행물 Hyperbilirubinemia in Neonates: Types, Causes, Clinical Examinations, Preventive Measures and Treatments: A Narrative Review Article 2016-05
[10]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 Hill LLC 2018-02-06
[11] 서적 Alkaline Phosphatase Springer US "1979"
[12] 간행물 Estrogen pharmacology. I. The influence of estradiol and estriol on hepatic disposal of sulfobromophthalein (BSP) in man 1964-10
[13] 서적 Handbook of Clinical Laboratory Testing During Pregnancy Humana Press "2004"
[14] 간행물 Using albumin and prealbumin to assess nutritional status https://dx.doi.org/1[...] 2017-04
[15] 웹사이트 Prealbumin Blood Test: MedlinePlus Medical Test https://medlineplus.[...] 2021-02-25
[16] 웹사이트 Prothrombin Time Test and INR (PT/INR): MedlinePlus Medical Test https://medlineplus.[...] 2021-02-25
[17] 웹사이트 Liver Function Test: How Often Should you Check Your Liver Function? https://www.letsgetc[...]
[18] 웹사이트 Lactate Dehydrogenase (LDH) Test: MedlinePlus Medical Test https://medlineplus.[...] 2021-02-25
[19] 간행물 Cardiac troponin T and I and creatine kinase-MB as markers of myocardial injury and predictors of outcome follow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20] 저널 http://alcalc.oxford[...]
[21] 저널 http://www3.intersci[...] 2011-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