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겔리볼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겔리볼루는 고대 마케도니아의 도시 칼리폴리스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통치자들의 지배를 받았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겔리볼루 산자크의 수도였다. 비잔틴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쳤으며, 1354년 터키에 정복되어 오스만 제국의 유럽 첫 거점이 되었다. 1915년에는 갈리폴리 전역이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는 터키 차나칼레 주의 행정 중심지이며, 정어리 통조림으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나칼레주 - 라프세키
    라프세키는 기원전 6세기에 그리스인들이 건설한 도시로, 다르다넬스 해협에 위치하며 농업, 어업,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벚꽃 축제, 레슬링 대회, 차나칼레 1915 다리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다.
  • 차나칼레주 - 카라비가
    카라비가는 고대 미시아 지역의 도시로, 동로마 제국 시대에는 페가이로 불렸으며 비잔틴 요새가 있었고, 밀레투스 또는 키지쿠스의 식민지였으며 좋은 항구 덕분에 고대 작가들의 언급이 있었고, 알렉산더 대왕과 연합군에게 점령된 역사가 있다.
  • 겔리볼루반도 - 갈리폴리 전역
    갈리폴리 전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다르다넬스 해협을 장악하고 오스만 제국을 붕괴시키려 했으나 오스만 제국의 방어에 막혀 철수하면서 양측에 막대한 피해를 남기고 호주와 뉴질랜드의 국가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준 군사 작전이다.
  • 겔리볼루반도 - 카르디아
    카르디아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헬레스폰트 연안에서 지정학적 요충지 역할을 했으며, 페르시아 전쟁 지원,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전략적 가치, 헬레니즘 및 로마 제국 시기 교역 중심지로서의 번성, 그리고 현재 다양한 유적을 통해 과거 문명의 흔적을 보여주는 역사적인 도시이다.
  • 마르마라해의 항구 도시 - 테키르다
    테키르다는 터키 마르마라해 북쪽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비산테, 라에데스토스, 로도스토, 테크푸르다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비잔티움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만 제국 등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이스탄불 근교의 휴양 도시로 발전했다.
  • 마르마라해의 항구 도시 - 얄로바
    튀르키예 북서부 마르마라해 연안에 있는 얄로바는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이자 얄로바 주의 주도로, 특히 아타튀르크가 사랑한 도시로 온천과 수목원 등의 관광 명소가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겔리볼루
개요
겔리볼루 항구, 다르다넬스 해협
겔리볼루 항구, 다르다넬스 해협
공식 명칭겔리볼루
다른 이름갈리폴리
로마자 표기Gelibolu
그리스어Καλλίπολις (Kallipolis)
라틴어Callipolis
행정 구역
국가터키
광역자치체차나칼레 주
하위 행정 구역겔리볼루
인구 통계
총 인구 (2021년 기준)31,782명
지리
면적3km² (추정)
해발 고도0m
위치다르다넬스 해협 연안
정치
시장알리 카밀 소유악 (Ali Kamil Soyuak)
소속 정당정의개발당 (AKP)
식별 정보
우편 번호17500
지역 번호0286
차량 번호17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겔리볼루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다르다넬스 해협 지도 (차나칼레, 랍세키, 겔리볼루 위치)


겔리볼루 항구 전경


항구 근처의 역사적인 건물


겔리볼루는 고대부터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으며 발전해왔다. 고대에는 마케도니아의 도시 칼리폴리스가 있었고, 중세에는 비잔틴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등의 지배를 받았다. 1354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어 유럽 진출의 교두보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 겔리볼루는 겔리볼루 산자크의 수도이자 카푸단 파샤 에얄레트의 중심지였다. 19세기에는 크림 전쟁과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1878)을 거치며 군사적 요충지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20세기 초, 겔리볼루는 제1차 세계 대전갈리폴리 전역의 주요 무대가 되었으며, 이후 그리스-터키 전쟁 (1919-1922)과 로잔 조약을 거쳐 터키 공화국의 영토로 확정되었다.

2. 1. 고대

기원전 5세기, 고대 마케도니아의 도시 칼리폴리스가 건설되었다.[1] 이 도시는 다양한 통치자들의 해군 기지로 활용되었다.

2. 2. 중세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는 갈리폴리에 옥수수와 포도주를 위한 중요한 군사 창고를 건설하고 요새화했으며, 일부 비잔틴 유적은 여전히 남아있다.[1][4]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점령 이후, 갈리폴리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다. 1294년 제노바 공화국은 인근에서 베네치아 군대를 격파했다. 1306년 로제 드 플로르 휘하의 알모가바르 용병 단체인 카탈루냐 용병대가 이곳에 자리를 잡았으나, 지도자가 사망한 후 거의 모든 시민을 학살했다. 베네치아와 비잔틴 제국 연합군은 이들을 포위했지만 함락시키지 못했고, 카탈루냐 용병대는 요새를 해체한 후 1307년에 철수했다.[1][4] 1354년 지진으로 도시 방어 시설이 손상되자, 터키인에게 정복되어 오스만 제국의 유럽 최초 거점이 되었다.[4] 바예지드 1세 술탄(1389–1403)은 성과 탑을 건설했으며, 이는 여전히 남아있다.[1] 1416년 피에트로 로레단 휘하의 베네치아인들은 갈리폴리 해전에서 터키군을 격파했다.[1] 갈리폴리에는 "트라키아 왕들의 무덤"이 있는데,[1] 이는 이슬람 작가 아흐메드 비칸 (1466년 사망)과 그의 형제 메흐메드 비칸 (1451년 사망)의 무덤을 가리킨다.

2. 3. 근세

오스만 제국 시대에 겔리볼루는 겔리볼루 산자크의 수도이자 카푸단 파샤 에얄레트의 중심지였다. 1864년부터 1920년까지는 오스만 제국의 에디르네 빌라예트에 속했다.[4] 17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는 스페인 종교 재판을 피해 온 세파라드 유대인들이 겔리볼리에 거주했다.

2. 4. 근대

1854년 크림 전쟁 당시, 프랑스군과 영국군이 이 도시를 점령하여 방어 시설을 강화했다.[1] 그러나 많은 병사들이 콜레라로 사망하여 지역 묘지에 안장되었다.[4] 1878년에는 러시아-튀르크 전쟁으로 러시아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할 위협 때문에 더 많은 요새가 건설되었다.[1]

제1차 발칸 전쟁 중에는 불가리아군이 겔리볼루를 위협하며 1912년에 볼라이르까지 진격했다.

2. 5. 현대

제1차 발칸 전쟁불가리아군은 겔리볼루를 위협하며 볼라이르까지 진격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갈리폴리 전역으로 알려진 연합군과 오스만 제국 간의 격전이 벌어졌다.[1] 1920년부터 1922년까지는 그리스-터키 전쟁으로 그리스군이 점령했다가, 1923년 로잔 조약에 따라 터키에 반환되었다.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에 관한 협약 (1923)에 따라, 임브로스 섬과 마찬가지로 예외 조항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겔리볼리의 그리스 거주자들은 터키 독립 전쟁 중에 추방되거나 살해되었다. 1922년과 1926년 사이에 겔리볼루는 에제아바트, 케샨, 샤르쿄이 구역을 포함하는 지방의 중심지였다.

크림 전쟁 중인 1854년, 겔리볼루는 영국-프랑스 연합군의 야영지이자 이스탄불로 가는 항로의 정박지였다.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이 지역에서 전쟁은 없었지만, 영국러시아가 오스만 제국에 주목하자 오스만 제국은 독일의 원조로 겔리볼루 반도에 요새를 건설했다. 1914년에는 갈리폴리 전투가 벌어졌다. 1920년 러시아 백군이 패배하자, 표트르 브란겔 사령관과 병사, 그리고 그 가족은 크림반도에서 겔리볼루로 피난하여 유고슬라비아 등 유럽 각국으로 이동했다. 겔리볼루에는 병사들을 추모하기 위해 "겔리볼루의 십자가"라는 석비가 건립되었다. 이 석비는 지진으로 파괴되었지만, 2008년 1월부터 터키 정부의 지원으로 재건되었다.

3. 종교

겔리볼루는 기독교 주교 관구로, 로마 제국 유로파 속주의 수도이자 대교구였던 헤라클레아의 수프라간이었다. 동서 교회 분열 이전 시대의 주교로는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 참석한 키릴루스, 536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 참여한 하르모니우스,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 참석한 멜키세데크가 있었다.[5][6]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 이후까지 그리스 정교회의 관구로 남아 있었으며,[7] 13세기 초부터 라틴 교회의 칼리폴리스 주교도 존재했다.[8] 현재 칼리폴리스는 가톨릭 교회에 의해 명목 교구로 등재되어 있다.[9]

3. 1. 역대 주교

겔리볼루는 기독교 주교 관구로, 로마 제국 유로파 속주의 수도이자 대교구였던 헤라클레아의 수프라간이었다. 현존하는 문서에는 동서 교회 분열 이전 시대의 주교 3명의 이름이 전해진다.[5][6]

  • 키릴루스: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 참석했다.[6]
  • 하르모니우스: 536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메나스가 단성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안티무스 1세를 단죄하기 위해 개최한 시노드에 참여했다.
  • 멜키세데크: 제2차 니케아 공의회 (787년)에 참석했다.[5][6]


주교 관구는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 이후까지 그리스 정교회의 관구로 남아 있었다.[7] 13세기 초부터 라틴 교회의 칼리폴리스 주교도 있었다.[8] 르 캥은 14세기와 15세기에 살았던 이 주교 3명을 언급한다.[6]

더 이상 거주 주교 관구가 아닌 칼리폴리스는 오늘날 가톨릭 교회에 의해 명목 교구로 등재되어 있다.[9]

가톨릭 명의 주교는 다음과 같다:

이름임명일기타
요셉  
바울루스  
알렉시우스  
하인리히 크라츠(Heinrich Kratz)1484년 1월 28일
에드워드1494년
디에고1507년 8월 21일1509년 사망
존 영(John Young)1513년 7월 3일1526년 3월 28일 사망
페트루스 데오다토(Petrus Deodato)1638년 2월 13일1641년 6월 15일 사르디카(Sardica, Sredek, 소피아) 주교로 승계
제임스 스미스(James Smith)1688년 1월 28일1711년 5월 13일 사망
히아킨투스 아르키오폴리(Hyacinthus Archiopoli)1757년1789년 4월 7일 사망
주세페 멘디토(Giuseppe Menditto)1828년 6월 23일 
존 버나드 피츠패트릭(John Bernard Fitzpatrick)1843년 11월 21일1846년 8월 11일 보스턴 주교로 승계
장-브누아 트뤼페(Jean-Benoît Truffet)1846년 12월 11일1847년 11월 23일 사망
장-르네 베시외(Jean-René Bessieux)1848년 6월 20일1876년 4월 30일 사망
로사리오 마리아 프룽질로(Rosario Maria Frungillo)1877년 12월 31일1886년 2월 5일 사망
빈센초 몰로(Vincenzo Molo)1887년 9월 20일1904년 3월 15일 사망
카렐 비스나르(Karel Wisnar)1904년 11월 14일1926년 4월 18일 사망
호세 마리아 베탄소스 이 오르마에체바리아(José María Betanzos y Hormaechevarría)1926년 7월 17일1948년 12월 27일 사망
조셉-피에르-알베르 위테볼스(Joseph-Pierre-Albert Wittebols)1949년 3월 10일1959년 11월 10일 왐바(Wamba) 주교 임명
베르나르트 실링(Bernard Schilling)1959년 12월 19일1992년 6월 16일 사망


4. 오늘날의 겔리볼루

겔리볼루는 현재 차나칼레 주의 행정 중심지이다. 시장은 뮈니르 무스타파 외자르(공화인민당)이다. 겔리볼루는 정어리 통조림으로 유명하다.

5. 주목할 만한 인물


  • 피리 레이스(): 튀르키예의 지도 제작자이자 지리학자이다.
  • 하이레딘 바르바롯사(1478–1456): 오스만 제국의 해적이자 오스만 해군 제독이었다.
  • 아흐메드 비잔 야즈지오글루(): 바이라미예의 데르비시이자 작가였다.
  • 무스타파 알리(1541–1600): 튀르키예의 역사가였다.
  • 소피아 쳄보(1910–1978): 그리스 가수였다.
  • 베르킴 투메르: 양궁 선수이다.

참조

[1] 서적 Gallipoli (Turkey)
[2] 웹사이트 İlçe Belediyesi https://www.e-icisle[...] Turkey Civil Administration Departments Inventory 2023-03-01
[3] 웹사이트 Address-based population registration system (ADNKS) results dated 31 December 2021 https://www.tuik.gov[...] TÜİK 2023-03-01
[4] 뉴스 Callipoli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Encyclopedia
[5] 간행물 Series episcoporum Ecclesiae Catholicae http://www.wbc.pozna[...] Leipzig 1931
[6] 서적 Oriens christianus
[7] 논문 La hiérarchie ecclésiastique dans le diocèse de Thrace http://www.persee.fr[...] 1959
[8] 서적 Hierarchia Catholica Medii Aevi http://sul-derivativ[...] 2019-07-09
[9]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
[10] 웹사이트 Callipolis http://www.gcatholic[...] GCatholic.org
[11] 웹사이트 Callipolis http://www.catholic-[...] catholic-hierarchy.org
[12]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