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결정학은 결정의 원자 배열과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X선, 전자, 중성자 등의 빔을 결정에 조사하여 회절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재료 과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기여한다. 17세기 면각불변의 법칙 발견을 시작으로, X선과 전자의 발견을 통해 20세기에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현재 결정학은 학제 간 연구 분야로, 회절계, 전자 현미경, 싱크로트론 방사광원 등 다양한 과학 기기를 활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결정학 - 점군
점군은 도형의 병진 조작을 제외한 대칭 조작들의 집합으로 군론의 공리를 만족하며, 쉐인플리스 기호나 허먼-모건 기호로 표기되고, 대칭 조작에 대응하는 행렬 표현은 가약 표현과 기약 표현으로 분해될 수 있다. - 결정학 - 역격자
역격자는 브라베 격자의 쌍대 개념으로, 해당 격자의 모든 벡터와의 내적이 정수가 되는 벡터들의 집합으로 정의되며, 결정 구조 분석 및 블로흐 정리와 관련된 브릴루앙 영역 연구에 활용되는 또 다른 브라베 격자이다. - 화학에 관한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 화학에 관한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정학 | |
---|---|
결정학 | |
학문 분야 | |
분야 | 물리학, 화학, 광물학 |
하위 분야 | 재료 과학 고체 화학 고체 물리학 |
주요 대상 | 결정 구조 |
어원 | |
어원 | 그리스어 κρύσταλλος (krystallos, '결정') + γράφειν (graphein, '쓰다') |
의미 | '결정에 대해 쓰는 것' |
결정 구조 연구 | |
주요 연구 방법 | X선 회절 전자 회절 중성자 회절 |
관련 연구 분야 | 분자동역학 제1원리 계산 미세 구조 분석 |
연구 대상 물질 | 광물 세라믹 금속 고분자 생체 분자 |
2. 역사와 연표
20세기 이전 결정 연구는 결정의 기하학적, 물리적 측정을 회절계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데 기반을 두었다.[4] 이는 서로 상대적이고 이론적 기준 축(결정축)에 대한 결정면의 각도를 측정하고 해당 결정의 대칭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했다. 3차원 공간에서 각 결정면의 위치는 입체 투영 망, 예를 들어 Wulff net 또는 Lambert net에 표시되었다. 각 면에 대한 극점이 망에 표시되고, 각 점은 밀러 지수로 표시되었다. 최종 그림을 통해 결정의 대칭성을 설정할 수 있었다.[5][6]
19세기 말 X선과 전자의 발견은 원자 규모에서 결정 구조를 결정할 수 있게 하였고, 이는 결정학의 현대 시대를 열었다. 최초의 X선 회절 실험은 1912년 막스 폰 라우에에 의해 수행되었고,[7] 전자 회절은 1927년 데이비슨-거머 실험[8]과 조지 패짓 톰슨과 알렉산더 레이드의 병행 연구에서 처음으로 실현되었다.[9] 이는 결정학의 두 가지 주요 분야인 X선 결정학과 전자 회절로 발전했다.
20세기 후반에는 맞춤형 기기와 위상 알고리즘의 개발로 결정 구조 해결의 질과 처리량이 크게 향상되었다. 오늘날 결정학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론적 및 실험적 발견을 지원하는 학제 간 분야이다.[10] 현대 결정학용 과학 기기는 회절계와 전자 현미경과 같은 실험실 규모의 장비부터 광전자총, 싱크로트론 방사광원, 자유 전자 레이저와 같은 전용 대형 시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결정학은 결정의 형태 분류, 광학적 성질, 그리고 예상되는 원자 및 분자 배열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고전적인 결정학과 X선 회절 등의 방법으로 원자 배열을 연구하는 현대적인 결정학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는 원자 배열 결정을 위한 방법론으로서 생화학 및 재료 공학 분야로의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결정학의 주요 방법은 특정 빔(물리학)을 쬐었을 때 발생하는 회절 패턴 분석이다. 이 빔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X선이다. 목적에 따라 전자나 중성자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입자가 파동으로서의 성질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오래전부터 사용된 방법으로는 현미경이 있으며, 특히 편광 현미경은 결정 관찰에 자주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빛의 파장은 원자와 원자 간 결합에 비해 너무 길다. 전자 현미경으로도 자세한 모습을 조사하기는 어렵다. 더 짧은 파장을 사용하면 현미경으로 실제 이미지를 얻을 수 없다. 이러한 단파장의 파를 집속할 수 있는 재료(렌즈와 같은 것)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하지만 최근 금으로 만든 X선 현미경용 프레넬 존 플레이트로 X선을 집속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해졌다).
회절 패턴으로부터 이미지를 만들어내려면 수학적 방법(푸리에 변환 등)과 모델링 및 그 개선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가상적인 "모델" 구조로부터 수학적으로 예측되는 회절 패턴을 시료로부터 실제로 얻은 패턴과 비교하여, 예측 패턴과 일치하는 정도까지 모델의 개선을 반복한다.
회절 패턴은 파가 규칙적인 배열에 의해 회절될 때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결정학은 기본적으로 결정(또는 측정 목적으로 결정화할 수 있는 분자)에만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섬유나 분말로부터 얻은 패턴으로 분자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은 고체 결정만큼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질서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정도의 질서라도 분자의 대략적인 성질을 구하는 데는 충분하다. 예를 들어 DNA의 이중 나선 구조는 섬유상 샘플로부터 얻은 X선 회절 패턴으로 구해졌다.
결정학 연구에는 결정 내 원자 배열에 기인하는 대칭 패턴(대칭군)을 포괄하는 것도 필요하며, 이 때문에 군론 및 기하학과 깊은 관련이 있다.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수정과 같은 결정의 독특한 형태는 예로부터 주목받았으며, 결정학은 그 형태를 연구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즉, 광물학의 한 분야였다). 17세기에 덴마크의 니콜라우스 스테노는 결정의 각 면이 이루는 각도는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는 면각불변의 법칙을 발견했다. 방해석과 같은 복굴절은 예로부터 알려져 있었다.2. 2. 근대 결정학의 탄생 (17세기 ~ 19세기)
17세기에 덴마크의 니콜라우스 스테노는 결정의 각 면이 이루는 각도는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는 "면각불변의 법칙"을 발견했다. 18세기 후반인 1780년에는 카랑조가 결정면의 각도를 측정하는 장치(고니오미터)를 발명했다. 같은 시기에 프랑스의 르네-쥐스트 아위(결정학의 아버지라 불린다)는 결정면의 치수에 정수비가 성립한다는 "유리지수의 법칙"을 발견하고, 결정은 작은 단위(원자 또는 분자가 나란히 배열된)의 반복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했다. 이를 바탕으로 19세기 초 영국의 윌리엄 헬로스 밀러는 결정면을 "밀러 지수"로 표현하기 시작했다. 방해석과 같은 복굴절은 예로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이를 응용하여 스코틀랜드의 윌리엄 니콜이 편광현미경을 발명했고, 이후 결정 관찰에 편광현미경이 많이 사용되었다.결정은 형태적 대칭성에서 7정계로 분류되었지만, 프랑스의 수학자 오귀스트 브라베가 자세한 기하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모든 결정이 14종류의 공간격자(브라베 격자, 결정격자)로 분류된다는 것을 1848년에 밝혔다. 더욱이 대칭성에 군론을 응용한 연구가 진행되어 32정족(단위격자의 대칭성에 관한 32종의 점군에 대응하는)이 명확해졌다. 19세기 말에는 독일의 물리학자 아서 모리츠 쇤플리스 등에 의해 결정 전체의 대칭성이 연구되어 230종의 공간군에 의한 세세한 분류가 완성되었다.
2. 3. 현대 결정학의 발전 (20세기 이후)
20세기에 들어 X선이 발견되면서 X선이 결정에서 회절되어 독특한 패턴(라우에 반점)을 나타낸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1912년 윌리엄 헨리 브래그와 윌리엄 로런스 브래그 부자는 브래그 반사 조건(브래그 법칙)을 발견하여, 회절 패턴으로부터 구체적인 원자의 공간 배치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이 방법은 분자결정에서 분자 구조를 파악하는 데에도 응용되었다. 1930년대 이후 도로시 호지킨 등은 페니실린과 비타민 B12의 구조를 밝혀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단백질, DNA와 같은 생체 고분자의 구조 해석에도 활용되기 시작했다.
3. 방법론
결정학 연구에는 현미경, 특히 편광 현미경이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지만, 빛의 파장은 원자 간 결합에 비해 너무 길어 한계가 있었다. 전자 현미경도 자세한 관찰이 어려웠고, 더 짧은 파장을 사용하면 실제 이미지를 얻기 어려웠다. 이는 단파장을 집속할 수 있는 렌즈와 같은 재료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금으로 만든 X선 현미경용 프레넬 존 플레이트를 통해 X선을 어느 정도 집속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푸리에 변환과 같은 수학적 방법과 모델링 및 개선 과정은 회절 패턴으로부터 이미지를 얻기 위해 필요하다. 가상 "모델" 구조에서 예측되는 회절 패턴과 실제 시료에서 얻은 패턴을 비교하여 모델을 개선해 나간다.
회절 패턴은 파동이 규칙적인 배열에 의해 회절될 때만 얻을 수 있으므로, 결정학은 기본적으로 결정 또는 결정화 가능한 분자에만 적용된다. 그러나 섬유나 분말에서 얻은 패턴으로도 분자 정보를 얻을 수 있는데, 이들은 어느 정도 질서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DNA의 이중 나선 구조는 섬유상 샘플의 X선 회절 패턴으로 밝혀졌다.
결정학은 결정 내 원자 배열의 대칭 패턴(대칭군)을 포함하므로, 군론 및 기하학과 깊은 관련이 있다.
3. 1. 주요 방법
결정학적 방법은 주로 특정 유형의 빔을 조사한 시료의 회절 패턴 분석에 의존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X선이며, 다른 빔으로는 전자 또는 중성자가 사용된다. 결정학자들은 종종 "X선 회절", "중성자 회절" 및 "전자 회절"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된 빔의 유형을 명시적으로 명시한다. 이 세 가지 유형의 방사선은 시료와 다르게 상호 작용한다.- X선은 시료 내 전자의 공간 분포와 상호 작용한다.[11]
- 중성자는 강한 핵력을 통해 원자핵에 의해 산란되지만, 중성자의 자기 모멘트는 0이 아니므로 자기장에 의해서도 산란된다. 중성자가 수소를 포함하는 물질에서 산란될 때, 높은 노이즈 레벨을 가진 회절 패턴을 생성하는데, 이는 때때로 중수소를 수소로 치환하여 해결할 수 있다.[12]
- 전자는 하전 입자이므로 시료의 원자핵과 전자 모두의 총 전하 분포와 상호 작용한다.[13]
X선이나 중성자는 초점을 맞추기 어렵지만, 전자는 하전 입자이기 때문에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전자 현미경에서 확대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투과 전자 현미경 및 주사 투과 전자 현미경, 고해상도 전자 현미경과 같은 관련 기술을 사용하여 많은 경우 원자 해상도를 가진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정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저에너지 전자 회절, 저에너지 전자 현미경 및 반사 고에너지 전자 회절과 같이 표면에 대한 결정학적 정보를 얻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도 있다.
결정학은 결정의 형태 분류, 광학적 성질, 그리고 예상되는 원자 및 분자 배열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고전적인 결정학과 X선 회절 등의 방법으로 원자 배열을 연구하는 현대적인 결정학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는 원자 배열 결정을 위한 방법론으로서 생화학 및 재료 공학 분야로의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결정학의 주요 방법은 특정 빔(물리학)을 쬐었을 때 발생하는 회절 패턴 분석이다. 이 빔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X선이다. 목적에 따라 전자나 중성자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입자가 파동(양자역학에서 기술됨)으로서의 성질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오래전부터 사용된 방법으로는 현미경이 있으며, 특히 편광 현미경은 결정 관찰에 자주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빛의 파장은 원자와 원자 간 결합에 비해 너무 길다. 전자 현미경으로도 자세한 모습을 조사하기는 어렵다. 더 짧은 파장을 사용하면 현미경으로 실제 이미지를 얻을 수 없다. 이러한 단파장의 파를 집속할 수 있는 재료(렌즈와 같은 것)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하지만 최근 금으로 만든 X선 현미경용 프레넬 존 플레이트로 X선을 집속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해졌다).
회절 패턴으로부터 이미지를 만들어내려면 수학적 방법(푸리에 변환 등)과 모델링 및 그 개선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가상적인 "모델" 구조로부터 수학적으로 예측되는 회절 패턴을 시료로부터 실제로 얻은 패턴과 비교하여, 예측 패턴과 일치하는 정도까지 모델의 개선을 반복한다.
회절 패턴은 파가 규칙적인 배열에 의해 회절될 때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결정학은 기본적으로 결정(또는 측정 목적으로 결정화할 수 있는 분자)에만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섬유나 분말로부터 얻은 패턴으로 분자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은 고체 결정만큼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질서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정도의 질서라도 분자의 대략적인 성질을 구하는 데는 충분하다. 예를 들어 DNA의 이중 나선 구조는 섬유상 샘플로부터 얻은 X선 회절 패턴으로 구해졌다.
결정학 연구에는 결정 내 원자 배열에 기인하는 대칭 패턴(대칭군)을 포괄하는 것도 필요하며, 이 때문에 군론 및 기하학과 깊은 관련이 있다.
3. 2. 회절 패턴 분석
결정학적 방법은 주로 특정 유형의 빔을 조사한 시료의 회절 패턴 분석에 의존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X선이며, 다른 빔으로는 전자 또는 중성자가 사용된다. 결정학자들은 종종 "X선 회절", "중성자 회절" 및 "전자 회절"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사용된 빔의 유형을 명시적으로 명시한다. 이 세 가지 유형의 방사선은 시료와 다르게 상호 작용한다.- X선은 시료 내 전자의 공간 분포와 상호 작용한다.[11]
- 중성자는 강한 핵력을 통해 원자핵에 의해 산란되지만, 중성자의 자기 모멘트는 0이 아니므로 자기장에 의해서도 산란된다. 중성자가 수소를 포함하는 물질에서 산란될 때, 높은 노이즈 레벨을 가진 회절 패턴을 생성하는데, 이는 때때로 중수소를 수소로 치환하여 해결할 수 있다.[12]
- 전자는 하전 입자이므로 시료의 원자핵과 전자 모두의 총 전하 분포와 상호 작용한다.[13]
X선이나 중성자는 초점을 맞추기 어렵지만, 전자는 하전 입자이기 때문에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전자 현미경에서 확대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투과 전자 현미경, 주사 투과 전자 현미경, 고해상도 전자 현미경과 같은 관련 기술을 사용하여 많은 경우 원자 해상도를 가진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결정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저에너지 전자 회절, 저에너지 전자 현미경, 반사 고에너지 전자 회절과 같이 표면에 대한 결정학적 정보를 얻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도 있다.
결정학의 주요 방법은 특정 빔(물리학)을 쬐었을 때 발생하는 회절 패턴 분석이다. 이 빔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X선이다. 목적에 따라 전자나 중성자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입자가 파동으로서의 성질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회절 패턴으로부터 이미지를 만들어내려면 수학적 방법(푸리에 변환 등)과 모델링 및 그 개선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가상적인 "모델" 구조로부터 수학적으로 예측되는 회절 패턴을 시료로부터 실제로 얻은 패턴과 비교하여, 예측 패턴과 일치하는 정도까지 모델의 개선을 반복한다.
회절 패턴은 파가 규칙적인 배열에 의해 회절될 때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결정학은 기본적으로 결정(또는 측정 목적으로 결정화할 수 있는 분자)에만 적용할 수 있다.
4.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결정학은 재료 공학과 생화학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결정학의 주요 방법은 시료에 특정 빔(주로 X선)을 쬐어 발생하는 회절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목적에 따라 전자나 중성자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입자가 파동의 성질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회절 패턴을 얻기 위해서는 푸리에 변환 등 수학적 방법과 모델링 및 개선 과정이 필요하다.
결정학은 기본적으로 결정에만 적용할 수 있지만, 섬유나 분말로부터 얻은 패턴으로도 분자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DNA의 이중 나선 구조는 섬유상 샘플의 X선 회절 패턴으로 밝혀졌다.
결정학 연구에는 결정 내 원자 배열에 기인하는 대칭 패턴(대칭군)을 포괄하는 것도 필요하며, 이 때문에 군론 및 기하학과 깊은 관련이 있다.
4. 1. 재료 과학
결정학은 재료 과학자들이 다양한 재료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단결정에서는 원자의 결정 배열 효과가 종종 거시적으로 쉽게 관찰되는데, 이는 결정의 자연적인 모양이 원자 구조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또한 물리적 특성은 종종 결정 결함에 의해 제어된다. 결정 구조에 대한 이해는 결정 결함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대부분의 재료는 단결정으로 존재하지 않고 다결정(다양한 방향의 작은 결정들의 집합체)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많은 결정을 가진 시료의 회절 패턴을 얻는 분말 회절 기법은 구조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다른 물리적 특성 또한 결정학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점토의 광물은 작고 편평한 판 모양의 구조를 형성한다. 점토는 판 모양 입자가 판의 평면에서 서로 미끄러질 수 있지만 판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강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결정학적 조직 측정을 통해 연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철은 가열될 때 체심입방(bcc) 구조인 페라이트에서 면심입방(fcc) 구조인 오스테나이트로 변환된다.[14] fcc 구조는 bcc 구조와 달리 밀집 구조이므로 이 변환이 일어날 때 철의 부피가 감소한다.
결정학은 상 확인에 유용하다. 재료를 제조하거나 사용할 때는 일반적으로 재료에 어떤 화합물과 상이 존재하는지 아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그들의 조성, 구조 및 비율이 재료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각 상은 특징적인 원자 배열을 가지고 있다. X선 또는 중성자 회절을 사용하여 재료에 어떤 구조가 존재하는지, 따라서 어떤 화합물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4. 2. 생물학
X선 결정학은 단백질, DNA, RNA와 같은 생물학적 거대분자의 분자 형태를 파악하는 주된 방법이다. DNA의 이중 나선 구조도 결정학적 데이터를 통해 밝혀졌다. 1958년에는 X선 분석을 통해 미오글로빈 분자의 3차원 모델이 최초로 규명되었다.[15] 단백질 데이터 은행(PDB)은 단백질 및 기타 생물학적 거대분자의 구조 정보를 공개적으로 제공하는 저장소이다. RasMol, PyMOL, VMD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러한 생물학적 분자 구조를 시각화할 수 있다.중성자 결정학은 X선 방법으로 얻은 구조를 정밀하게 만들거나 특정 결합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X선은 전자의 위치에 민감하고 무거운 원자에서 강하게 산란되는 반면, 중성자는 핵의 위치에 민감하고 수소, 중수소를 포함한 여러 가벼운 동위원소에서도 강하게 산란되기 때문에, 이 두 방법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된다.
전자 회절은 일부 단백질 구조, 특히 막 단백질과 바이러스 캡시드의 구조를 밝히는 데 사용되었다.
5. 주요 결정학자
주요 결정학자 |
---|
6. 참고 문헌
International Tables for Crystallography영어는 결정의 형식, 설명 및 검정을 위한 표준 표기법을 설명하는 8권짜리 시리즈이다.[16] 이 시리즈에는 X선 결정학, 전자 회절 및 중성자 회절을 통한 유기 구조 결정을 위한 분석 방법과 수학적 절차를 다루는 책들이 포함되어 있다. International Tables영어는 절차, 기술 및 설명에 중점을 두며 개별 결정 자체의 물리적 특성은 나열하지 않는다. 각 책은 약 1000페이지 분량이며, 책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 A권 - Space Group Symmetry영어 (공간군 대칭)
- A1권 - Symmetry Relations Between Space Groups영어 (공간군 사이의 대칭 관계)
- B권 - Reciprocal Space영어 (상호 공간)
- C권 - Mathematical, Physical, and Chemical Tables영어 (수학적, 물리적 및 화학적 표)
- D권 - Physical Properties of Crystals영어 (결정의 물리적 특성)
- E권 - Subperiodic Groups영어 (부주기적 군)
- F권 - Crystallography of Biological Macromolecules영어 (생물학적 거대분자의 결정학)
- G권 - Definition and Exchange of Crystallographic Data영어 (결정학적 데이터의 정의 및 교환)
참조
[1]
웹사이트
Online Dictionary of Crystallography
https://dictionary.i[...]
International Union of Crystallography
2024-05-22
[2]
웹사이트
Online Dictionary of Crystallography
https://dictionary.i[...]
2024-03-11
[3]
웹사이트
International Year of Crystallography
http://www.iycr2014.[...]
2012-07-12
[4]
논문
The Evolution of the Goniometer
1915-07-01
[5]
논문
Chemical Crystallography before X-ray Diffraction
https://onlinelibrar[...]
2014-01-13
[6]
논문
Crystallography before the Discovery of X-Ray Diffraction
2020-03-02
[7]
논문
Interferenz-Erscheinungen bei Röntgenstrahlen
https://commons.wiki[...]
1912
[8]
논문
The Scattering of Electrons by a Single Crystal of Nickel
https://www.nature.c[...]
1927
[9]
논문
Diffraction of Cathode Rays by a Thin Film
https://www.nature.c[...]
1927
[10]
논문
The Nobel Science: One Hundred Years of Crystallography
https://journals.sag[...]
2015-07-03
[11]
서적
Elements of X-ray diffraction
https://en.wikipedia[...]
Prentice Hall
2001
[12]
웹사이트
ISIS Neutron Diffraction with Isotopic Substitution
https://www.isis.stf[...]
2024-07-02
[13]
서적
Diffraction physics
https://en.wikipedia[...]
Elsevier Science B.V
1995
[14]
웹사이트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n Introduction, 10th Edition Wiley
https://www.wiley.co[...]
2022-09-10
[15]
논문
A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Myoglobin Molecule Obtained by X-Ray Analysis
[16]
서적
International Tables for Crystallography Vol. C: Mathematical, Physical and Chemical Tables
https://openlibrary.[...]
Wi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