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난의 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난의 종은 이사야서 52:13-53:12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종에 대한 내용으로, 학대받았지만 결국 정당성을 인정받는 인물이다. 종은 인간에게 멸시받고 고난을 겪지만, 그의 고통은 핍박자들에게 평안과 치유를 가져다주며, 죄에서 해방하고 의를 확장한다. 이 구절은 히브리어 원본과 다양한 번역본으로 존재하며, 문학적, 신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종의 정체성에 대한 해석은 개인, 이스라엘의 의로운 잔류자, 국가 등 다양하며,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상이한 관점으로 해석되어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 본문은 현대 사회에서도 억압받는 사람들과의 연대, 사회 변혁을 위한 헌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반도 평화와 통일 문제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약 신학 - 아다마 (성경)
    아다마는 히브리어로 "붉은 땅"을 의미하며, 아담의 창조와 관련되어 인류와 땅의 상호 의존적 관계를 나타내고 생명을 상징하는 여성적인 속성을 지닌 성경의 중요한 개념이다.
  • 죄의 성립과 형의 감면 - 대한민국 형법 제17조
    대한민국 형법 제17조는 죄의 요소가 되는 위험 발생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한 조항으로, 학계에서는 판례의 모호성과 객관성 결여를 비판하며 법 개정 논의가 제기되고 있지만 입법 여부는 불투명하다.
  • 죄 - 대한민국 형법 제17조
    대한민국 형법 제17조는 죄의 요소가 되는 위험 발생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한 조항으로, 학계에서는 판례의 모호성과 객관성 결여를 비판하며 법 개정 논의가 제기되고 있지만 입법 여부는 불투명하다.
  • 죄 - 회개
    회개는 여러 종교에서 죄를 뉘우치고 잘못된 길에서 돌아서는 중요한 개념으로, 윤리적 자기 변화, 죄의 속죄, 신과의 관계 회복 등 다양한 목적을 강조한다.
고난의 종
개요
구분이사야서 53장
위치구약성경, 이사야서
내용
주제고난받는 종의 노래
주요 내용고난받는 종의 모습 묘사
죄악을 대신 짊어지는 종의 역할
종의 희생을 통한 구원
기독교적 해석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의 예언으로 해석
기독교 신학에서 중요한 위치 차지
유대교적 해석이스라엘 민족 또는 의로운 개인을 상징한다고 해석
메시아 예언으로 해석하지 않음
역사적 맥락
배경바빌론 유수 이후의 시대적 상황 반영
저자일반적으로 이사야의 제2이사야 (또는 익명의 예언자)로 추정
중요성
기독교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구원 사역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구절
유대교유대교 내에서 다양한 해석 존재

2. 본문

이사야서 52장 13절부터 53장 12절은 이사야서에 나타난 네 개의 "종의 노래" 중 마지막 부분으로, 고난받는 종의 모습을 묘사한다.[3]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 '''종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과 인간의 반대''': 종은 하나님 보시기에 존귀하지만, 사람들은 그를 멸시하고 하나님께 미움받는 존재로 여긴다.(이사야 52:13-53:3)
  • '''종의 폭력적인 고문과 죽음''': 이 구절은 종의 운명을 묘사하기 위해 고난, 매 맞음, 괴로움, 상함, 짓눌림, 타박상, 잘림, 고뇌, 죽음 등 폭력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 '''예언적 불신''': 선지자는 자신이 전하는 것을 믿을 사람이 있는지 질문한다.(이사야 53:1)
  • '''종의 순수함''': 위기의 순간에 종은 보복(이사야 53:7), 폭력, 사기(이사야 53:9)에 결백한 것으로 묘사된다.
  • '''박해자들에게 축복을''': 종의 고난으로 인해 그를 핍박하는 자들이 평안(이사야 53:5)과 치유(이사야 53:5)를 얻고, 죄에서 해방되며(이사야 53:6, 12), 형벌에서 면제된다.(이사야 53:8)
  • '''죽음 이후 종의 변호''': 핍박과 죽임을 당한 종은 장수하여 여호와의 뜻을 이루게 된다.(이사야 53:10)
  • '''다른 사람에게 의를 확장''': 의로운 종은 "많은 사람을 의롭게" 하여 그의 의를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확장한다.(이사야 53:11)
  • '''용서와 중보기도''': 종의 행위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의 죄"가 그들에게서 제거되고(이사야 53:6, 12) 그들은 종으로부터 그들을 대신하여 중재를 받는다.(이사야 53:12)


이 구절은 죄책감, 무죄, 폭력, 불의, 신성한 뜻에 대한 고착, 회개 및 의로움 등 다양한 윤리적 주제를 다룬다.

고난받는 종에 대한 내용은 원래 고대 히브리어로 기록되었다. 이사야서 53장은 12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문 단락은 52장 13절부터 시작하므로 총 15절로 구성된다. 이 구절은 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 등 다양한 필사본 전통을 통해 전해진다.

'''히브리어'''

현대 번역의 기초가 되는 표준 히브리어 판은 레닌그라드 코덱스(1008년)이다. 마소라 본문 전통의 다른 필사본으로는 카이로 코덱스(895년), 페테르부르크 예언서 코덱스(916년), 알레포 코덱스(10세기)가 있다.

사해 문서에서 이 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파편들이 발견되었다. 다음은 이 장의 히브리어 본문에 대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증거이다.

  • 1QIsa(기원전 2세기): 모든 절[3]
  • 1QIsa(기원전 1세기): 모든 절[4]
  • 4QIsab (4Q56): 현존하는 11–12절
  • 4QIsac (4Q57): 현존하는 1–3, 6–8절
  • 4QIsad (4Q58): 현존하는 8–12절


'''그리스어'''

코이네 그리스어로 번역된 70인역은 기원전 마지막 몇 세기에 제작되었다. 70인역 버전의 현존하는 고대 필사본으로는 바티칸 코덱스(''B''; \mathfrak{G}B; 4세기), 시나이 사본(''S''; BHK: \mathfrak{G}S; 4세기), 알렉산드리아 코덱스(''A''; \mathfrak{G}A; 5세기) 및 마르찰리아누스 코덱스(''Q''; \mathfrak{G}Q; 6세기)가 있다. 본문의 여러 구절은 신약성경에 포함되어(신약성경 참조) 1세기의 그리스어 본문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 역할을 한다. 오리게네스의 헥사플라는 아퀼라, 테오도티온, 시마쿠스의 2세기에 해당하는 텍스트의 다양한 그리스어 번역을 보존했다.[5]

'''라틴어'''

제롬은 4세기에 그가 사용할 수 있었던 히브리어 필사본에서 그의 불가타를 번역했다. 라틴어를 히브리어로 되돌리면 당시 그의 히브리어 필사본이 무엇을 말했는지 알 수 있다.

'''기타 언어'''

이사야 53장의 버전은 다른 많은 언어로 존재하지만, 결정적인 본문을 확립하는 데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아람어 타르굼 이사야는 종종 의역이며 번역이 자유롭다. 기독교인들이 제작한 다른 많은 초기 번역(예: 에티오피아어, 슬라브어 등)은 70인역에 의존하며 히브리어를 복원하는 데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כִּי־חֳלָיֵנוּ ה֣וּא נָשָׂ֗א וּמַכְאֹבֵינוּ֙ סְבָלָ֔ם וַאֲנַ֣חְנוּ חֲשַׁבְנֻ֔הוּ נָג֛וּעַ מֻכֵּ֥ה אֱלֹהִ֖ים וּמְעֻנֶּֽה׃ וְהוּא֙ מְחֹלָ֣ל מִפְּשָׁעֵ֔נוּ מְדֻכָּ֖א מֵעֲו‍ֹנֹתֵ֑ינוּ מוּסַ֤ר שְׁלוֹמֵ֨נוּ֙ עָלָ֔יו וּבַחֲבֻרָת֖וֹ נִרְפָּא־לָֽנוּ׃ כֻּלָּ֨נוּ֙ כַּצֹּ֣אן תָּעִ֔ינוּ אִ֥ישׁ לְדַרְכּ֖וֹ פָּנִ֑ינוּ וַֽיהוָה֙ הִפְגִּ֣יעַ בּ֔וֹ אֵ֖ת עֲו‍ֹ֥ן כֻּלָּֽנוּ|키 홀라예누 후 나사 우마크오베이누 세발람 바아나흐누 하샤브누후 나구아 무케 엘로힘 우메우네. 베후 메홀랄 미프샤에누 메두카 메아보노테이누 무사르 쉘로메누 알라브 우바하부라토 니르파 라누. 쿨라누 카촌 타이누 이쉬 레다르코 파니누 바도나이 히프기아 보 에트 아본 쿨라누.he

Surely, it was our sickness that he was bearing, Our suffering that he endured. We accounted him plagued, Smitten by God, and afflicted; But he was wounded because of our sins, Crushed because of our iniquities. He bore the chastisement that made us whole, And by his bruises we were healed. We all went astray like sheep, Each going his own way; But the Lord visited upon him The guilt of all of us.”|진실로 그는 우리의 병을 짊어지고 있었고, 우리의 고통을 견디고 있었다. 우리는 그를 역병에 걸리고, 하나님께 맞고, 고난받는 자로 여겼다. 그러나 그는 우리의 죄 때문에 상처를 입었고, 우리의 죄악 때문에 짓눌렸다. 그는 우리를 온전하게 하는 징계를 받았고, 그의 상처를 통해 우리는 치유되었다. 우리 모두는 양처럼 길을 잃었고, 각자 자기 길을 갔지만, 주님께서는 그에게 우리 모두의 죄를 덮어씌우셨다.영어 - 이사야 53:4-6, 신 유대 출판 협회 번역[1]

이 구절에서 "종"이 누구를 가리키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 '''개인''': 랍비 아키바[7], 모세[8], 메시아[9], 예레미야[16], 나사렛 예수 등 역사 속 특정 인물을 지칭한다는 견해이다.
  • '''의로운 이스라엘 잔류자''': 특정 의로움의 기준을 충족하는 일부 이스라엘 백성을 대표한다는 견해이다.
  • '''국가''': 이스라엘 국가 전체를 비유적으로 나타낸다는 견해이다. 이 견해는 3세기경부터 유대교 내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19]

2. 1. 이사야서 52:13-53:12의 히브리어 원문과 번역

이사야서 52장 13절부터 53장 12절은 이사야서에 나타난 네 개의 "종의 노래" 중 마지막 부분으로, 고난받는 종의 모습을 묘사한다. 이 부분의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3]

  • '''종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과 인간의 반대''': 종은 하나님 보시기에 존귀하지만, 사람들은 그를 멸시하고 하나님께 미움받는 존재로 여긴다.(이사야 52:13-53:3)
  • '''종의 폭력적인 고문과 죽음''': 이 구절은 종의 운명을 묘사하기 위해 폭력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여기에는 고난, 매 맞음, 괴로움, 상함, 짓눌림, 타박상, 잘림, 고뇌, 죽음 등이 포함된다.
  • '''예언적 불신''': 선지자는 자신이 전하는 것을 믿을 사람이 있는지 질문한다.(이사야 53:1)
  • '''종의 순수함''': 위기의 순간에 종은 보복(이사야 53:7), 폭력, 사기(이사야 53:9)에 결백한 것으로 묘사된다.
  • '''박해자들에게 축복을''': 종의 고난으로 인해 그를 핍박하는 자들이 평안(이사야 53:5)과 치유(이사야 53:5)를 얻고, 죄에서 해방되며(이사야 53:6, 12), 형벌에서 면제된다.(이사야 53:8)
  • '''죽음 이후 종의 변호''': 핍박과 죽임을 당한 종은 장수하여 여호와의 뜻을 이루게 된다.(이사야 53:10)
  • '''다른 사람에게 의를 확장''': 의로운 종은 "많은 사람을 의롭게" 하여 그의 의를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확장한다.(이사야 53:11)
  • '''용서와 중보기도''': 종의 행위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의 죄"가 그들에게서 제거되고(이사야 53:6, 12) 그들은 종으로부터 그들을 대신하여 중재를 받는다.(이사야 53:12)


이 구절은 죄책감, 무죄, 폭력, 불의, 신성한 뜻에 대한 고착, 회개 및 의로움 등 다양한 윤리적 주제를 다룬다.

고난받는 종에 대한 내용은 원래 고대 히브리어로 기록되었다. 이사야서 53장은 12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문 단락은 52장 13절부터 시작하므로 총 15절로 구성된다. 이 구절은 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 등 다양한 필사본 전통을 통해 전해진다.

'''히브리어'''

현대 번역의 기초가 되는 표준 히브리어 판은 레닌그라드 코덱스(1008년)이다. 마소라 본문 전통의 다른 필사본으로는 카이로 코덱스(895년), 페테르부르크 예언서 코덱스(916년), 알레포 코덱스(10세기)가 있다.

사해 문서에서 이 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파편들이 발견되었다. 다음은 이 장의 히브리어 본문에 대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증거이다.

  • 1QIsa(기원전 2세기): 모든 절[3]
  • 1QIsa(기원전 1세기): 모든 절[4]
  • 4QIsab (4Q56): 현존하는 11–12절
  • 4QIsac (4Q57): 현존하는 1–3, 6–8절
  • 4QIsad (4Q58): 현존하는 8–12절


'''그리스어'''

코이네 그리스어로 번역된 70인역은 기원전 마지막 몇 세기에 제작되었다. 70인역 버전의 현존하는 고대 필사본으로는 바티칸 코덱스(''B''; \mathfrak{G}B; 4세기), 시나이 사본(''S''; BHK: \mathfrak{G}S; 4세기), 알렉산드리아 코덱스(''A''; \mathfrak{G}A; 5세기) 및 마르찰리아누스 코덱스(''Q''; \mathfrak{G}Q; 6세기)가 있다. 본문의 여러 구절은 신약성경에 포함되어(신약성경 참조) 1세기의 그리스어 본문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 역할을 한다. 오리게네스의 헥사플라는 아퀼라, 테오도티온, 시마쿠스의 2세기에 해당하는 텍스트의 다양한 그리스어 번역을 보존했다.[5]

'''라틴어'''

제롬은 4세기에 그가 사용할 수 있었던 히브리어 필사본에서 그의 불가타를 번역했다. 라틴어를 히브리어로 되돌리면 당시 그의 히브리어 필사본이 무엇을 말했는지 알 수 있다.

'''기타 언어'''

이사야 53장의 버전은 다른 많은 언어로 존재하지만, 결정적인 본문을 확립하는 데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아람어 타르굼 이사야는 종종 의역이며 번역이 자유롭다. 기독교인들이 제작한 다른 많은 초기 번역(예: 에티오피아어, 슬라브어 등)은 70인역에 의존하며 히브리어를 복원하는 데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2. 2. 본문의 문학적, 신학적 특징

이사야서 52장 13절부터 53장 12절은 이사야서에 나타난 네 개의 "종의 노래" 중 마지막 부분으로, 여기서 "종"은 극심한 학대를 받지만 결국에는 하나님의 인정을 받는 존재로 묘사된다.[2] 이 본문은 문학적, 신학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지닌다.

  • 하나님의 목적과 인간의 반대: 종은 하나님께서 높이 평가하시지만, 사람들은 그를 멸시하고 하나님께 버림받은 존재로 오해한다 (이사야 52:13-53:3).
  • 폭력적인 고문과 죽음: 본문은 종의 고난을 묘사하기 위해 고통, 매 맞음, 상함, 짓눌림, 잘림, 죽음 등 매우 강렬하고 폭력적인 표현들을 사용한다.
  • 예언적 의심: 예언자는 자신이 전하는 이 놀라운 소식을 과연 누가 믿을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한다 (이사야 53:1).
  • 종의 무죄: 종은 극심한 고난 속에서도 보복하거나(이사야 53:7), 폭력을 행사하거나, 속임수를 쓰지 않는(이사야 53:9) 결백한 모습을 보인다.
  • 박해자들에게 주어지는 축복: 놀랍게도 종의 고난은 그를 핍박하는 자들에게 평화(이사야 53:5), 치유(이사야 53:5), 죄 사함(이사야 53:6, 12), 형벌 면제(이사야 53:8)를 가져다준다.
  • 죽음 이후의 정당성 회복: 종은 핍박과 죽음 이후에 장수하며 하나님의 뜻을 이룬다 (이사야 53:10).
  • 의의 확장: 의로운 종은 "많은 사람을 의롭게" 하며, 자신의 의로움을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확장시킨다 (이사야 53:11).
  • 용서와 중보: 종의 희생은 많은 사람의 죄를 제거하고(이사야 53:6, 12), 그들을 위해 중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사야 53:12).


이 본문은 죄, 무죄, 폭력, 불의, 하나님의 뜻에 대한 순종, 회개, 의로움 등 다양한 윤리적 주제를 다루고 있다.

כִּי־חֳלָיֵנוּ ה֣וּא נָשָׂ֗א וּמַכְאֹבֵינוּ֙ סְבָלָ֔ם וַאֲנַ֣חְנוּ חֲשַׁבְנֻ֔הוּ נָג֛וּעַ מֻכֵּ֥ה אֱלֹהִ֖ים וּמְעֻנֶּֽה׃ וְהוּא֙ מְחֹלָ֣ל מִפְּשָׁעֵ֔נוּ מְדֻכָּ֖א מֵעֲו‍ֹנֹתֵ֑ינוּ מוּסַ֤ר שְׁלוֹמֵ֨נוּ֙ עָלָ֔יו וּבַחֲבֻרָת֖וֹ נִרְפָּא־לָֽנוּ׃ כֻּלָּ֨נוּ֙ כַּצֹּ֣אן תָּעִ֔ינוּ אִ֥ישׁ לְדַרְכּ֖וֹ פָּנִ֑ינוּ וַֽיהוָה֙ הִפְגִּ֣יעַ בּ֔וֹ אֵ֖ת עֲו‍ֹ֥ן כֻּלָּֽנוּ|키 홀라예누 후 나사 우마크오베이누 세발람 바아나흐누 하샤브누후 나구아 무케 엘로힘 우메우네. 베후 메홀랄 미프샤에누 메두카 메아보노테이누 무사르 쉘로메누 알라브 우바하부라토 니르파 라누. 쿨라누 카촌 타이누 이쉬 레다르코 파니누 바도나이 히프기아 보 에트 아본 쿨라누.he

Surely, it was our sickness that he was bearing, Our suffering that he endured. We accounted him plagued, Smitten by God, and afflicted; But he was wounded because of our sins, Crushed because of our iniquities. He bore the chastisement that made us whole, And by his bruises we were healed. We all went astray like sheep, Each going his own way; But the Lord visited upon him The guilt of all of us.”|진실로 그는 우리의 병을 짊어지고 있었고, 우리의 고통을 견디고 있었다. 우리는 그를 역병에 걸리고, 하나님께 맞고, 고난받는 자로 여겼다. 그러나 그는 우리의 죄 때문에 상처를 입었고, 우리의 죄악 때문에 짓눌렸다. 그는 우리를 온전하게 하는 징계를 받았고, 그의 상처를 통해 우리는 치유되었다. 우리 모두는 양처럼 길을 잃었고, 각자 자기 길을 갔지만, 주님께서는 그에게 우리 모두의 죄를 덮어씌우셨다.영어 - 이사야 53:4-6, 신 유대 출판 협회 번역[1]

이 구절에서 "종"이 누구를 가리키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 '''개인:''' 랍비 아키바[7], 모세[8], 메시아[9], 예레미야[16], 나사렛 예수 등 역사 속 특정 인물을 지칭한다는 견해이다.
  • '''의로운 이스라엘 잔류자:''' 특정 의로움의 기준을 충족하는 일부 이스라엘 백성을 대표한다는 견해이다.
  • '''국가:''' 이스라엘 국가 전체를 비유적으로 나타낸다는 견해이다. 이 견해는 3세기경부터 유대교 내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19]

3. 해석사

이사야서 53장, '고난받는 종'의 노래에 대한 해석은 시대와 종교 전통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섹션에서는 주요 해석 자료들을 텍스트 기원 순서대로 정리한다.[23]

3. 1. 유대교 전통의 해석

초기 유대교 문헌인 탈무드, 미드라쉬, 조하르 등은 이사야서 53장에 나타난 '고난받는 종'을 다양하게 해석했다.

  • 탈무드: 《브라코트》 5a는 이사야 53장을 이스라엘 백성과 토라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적용하여, 고난을 통해 정화되고 보상을 받는다고 해석한다. 《소타》 14a는 이사야 53장 12절을 모세와 연결하고, 예루살렘 탈무드 쉐칼림 5:1은 랍비 아키바에게 적용한다. 《산헤드린》 98b는 메시아의 이름에 대한 추측에서 이사야 53장 4절을 언급한다.
  • 미드라쉬: 《미드라쉬 탄후마》는 이사야 52장 13절을 메시아의 위대함에 대한 구절로 해석한다. 《룻기 랍바》 5.6은 룻기 2장 14절을 해석하면서 이사야 53장 5절을 인용하여 메시아의 고난을 언급한다. 《시프레 민수기》 131은 비느하스이사야 53장 12절의 속죄하는 자와 동일시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시프레 신명기》 355는 이사야 53장 12절을 모세의 영광에 대한 종말론적 묘사로 해석한다. 《민수기 랍바》는 이사야 53장 12절을 이스라엘의 최종 구원과 연결한다.
  • 조하르: 조하르카발라 문학의 기초적인 작품으로, 이사야 53장을 다양한 방식으로 인용한다. 메타트론(제1권 182a), 엘리야(제2권 115b), 모시아흐 벤 요세프(제3권 276b), 모세(제3권 153b, 280a 등), 이스라엘의 의인들(제1권 181a, 제3권 218a 등)에게 적용하는 등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이처럼 초기 유대교 문헌들은 이사야서 53장을 메시아, 이스라엘 백성, 의인 등 다양한 대상으로 해석하며, 고난의 의미와 속죄, 구원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3. 2. 기독교 전통의 해석

이사야서 53장은 '고난받는 종'의 노래로, 기독교 전통에서 매우 중요한 본문으로 여겨진다. 이 본문은 학대받고 고난받지만 결국에는 의로움이 입증되는 하나님의 종에 대해 이야기한다.
신약성경의 해석신약성경은 이사야서 53장의 고난받는 종을 예수 그리스도와 연결 짓는다.

이사야 53장과 신약성경의 연관성
이사야서 구절신약성경 구절내용
53:48:17예수께서 질병을 고치심
53:7-88:32-33에티오피아 내시에게 복음을 전하는 빌립
53:1222:37예수께서 죄인들과 함께 취급받으심



마태복음 8장 17절은 예수의 치유 사역이 이사야서 53장 4절("그는 우리의 질고를 지고")의 성취라고 말한다. 사도행전 8장 32-33절은 에티오피아 내시가 이사야서 53장을 읽다가 빌립에게서 예수에 대한 설명을 듣는 장면을 묘사한다. 누가복음 22장 37절에서 예수는 이사야서 53장 12절("죄인 중 하나로 헤아림을 받음")을 자신에게 적용한다.
초대교회 교부들의 해석초대교회 교부들도 이사야서 53장을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예언으로 해석했다. 유스티노 순교자는 이 본문을 사용하여 예수가 구약성경에 예언된 메시아임을 논증했다. 오리게네스는 이사야서 53장을 기독교 신앙의 핵심 진리로 보았다.
중세 기독교의 해석중세 시대에는 이사야서 53장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타났다. 알레고리적 해석은 본문의 숨겨진 영적 의미를 찾는 데 집중했다. 문자적 해석은 본문의 역사적 맥락과 단어의 의미를 강조했다.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의 해석종교개혁 이후 마르틴 루터장 칼뱅 등 개신교 신학자들은 이사야서 53장을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을 강조하는 데 사용했다.
현대 기독교의 해석현대 기독교에서는 다양한 신학적 관점에 따라 이사야서 53장에 대한 해석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자유주의 신학은 본문의 윤리적, 사회적 의미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복음주의 신학은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과 개인의 구원을 강조한다. 해방신학은 억압받는 자들을 위한 하나님의 정의와 해방을 강조한다.
한국 기독교의 해석 (진보적 관점)한국의 진보적 기독교인들은 이사야서 53장을 사회적 약자와 연대하고, 민주주의와 인권을 옹호하는 데 중요한 본문으로 여긴다. 이들은 고난받는 종의 모습에서 억압받고 소외된 사람들의 고통을 보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 사회 변혁의 희망을 찾는다.

특히, 한국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이 본문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등 민주화 운동 지도자들은 이사야서 53장의 고난받는 종의 이미지를 통해 독재 정권의 억압에 맞서 싸우는 용기를 얻고,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었다. 이들은 고난 속에서도 정의를 추구하고, 약자를 위해 헌신하는 삶을 통해 이사야서 53장의 정신을 실천하고자 했다.

3. 3. 유대교와 기독교의 논쟁

유스티누스 순교자와 랍비 타르폰으로 추정되는 트리폰의 대화인 트리폰과의 대화(서기 155년경)는 이사야 53장에 대한 초기 기독교와 유대교 간 논쟁을 보여준다. 유스티누스는 이사야 53장이 고난받는 메시아, 즉 예수를 예언한다고 주장한 반면, 트리폰은 메시아가 고난받을 수는 있지만, 십자가형은 신명기 21:23에 따라 저주받은 죽음이므로 예수가 메시아일 수 없다고 반박했다.[59] 트리폰은 메시아가 고난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인정했지만, 그러한 고난이 십자가형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강력히 반대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는 수치스러운 죽음으로 자신의 메시아를 저주하지 않으실 것이기 때문이다(신명기 21:23).[58]

오리겐은 그의 저서 켈수스 반박(248년경)에서 그가 알고 지내던 유대인들이 이사야 53장을 이스라엘 민족 전체의 고난으로 해석했다고 기록했다. 이들은 이방 민족에게 멸시받고 고통받는 이스라엘을 묘사하며, 그 고난이 유대교 개종자 증가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64] 오리겐은 이사야 53장 8절(칠십인역)을 근거로 "내 백성"은 종과 구별된다고 반박했다.[63]

1263년 바르셀로나 논쟁에서 나흐마니데스는 이사야 53장과 예수의 히브리 성경에서의 역할에 대한 기독교 신앙과 관련된 다른 문제들에 대한 유대교의 관점을 표명했다. 이 논쟁은 아라곤의 하이메 1세에 의해 그에게 유리하게 판결되었고, 그 결과 도미니코회는 그가 남은 생애 동안 스페인에서 도망치도록 강요했다.

4. 현대적 의의

이사야서 53장은 현대 사회에서도 깊은 의미를 지닌다. 특히 고난받는 사람들과의 연대, 불의에 대한 저항, 희생을 통한 사회 변혁이라는 중도진보적 가치는 이사야서 53장의 핵심 메시지와 맞닿아 있다.

한국 사회의 특수한 맥락에서 이사야서 53장은 더욱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세월호 참사 희생자,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 등 역사적 아픔을 겪은 이들의 고난과 희생은 이사야서 53장의 종의 모습과 연결된다. 이들의 고통에 공감하고,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관심과 연대를 실천하는 것은 이사야서 53장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다.

이사야서 53장은 국제 관계, 특히 한반도 평화와 통일 문제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남북 화해와 협력, 평화로운 통일을 위해서는 희생과 헌신이 필요하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대북 정책 기조와도 일맥상통한다.

이사야서 53장은 "도살장에 끌려가는 양처럼"이라는 표현을 통해 홀로코스트와 같은 역사적 비극 속에서 유대인들이 겪은 고난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도 한다.[83] 이 구절은 억압받고 고통받는 이들에 대한 깊은 공감과 연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Isaiah 53:4 https://www.sefaria.[...] 2022-12-02
[2] 서적 The Suffering Servant: Isaiah 53 in Jewish and Christian Sources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8-07-13
[3] 간행물 Radiocarbon Dating of Scrolls and Linen Fragments from the Judean Desert https://journals.uai[...] 2014-11-26
[4] 서적 Qumran cave 1. II, The Isaiah scrolls
[5] 서적 Origenis Hexaplorum https://archive.org/[...] E typographeo Clarendoniano 1875
[6] 웹사이트 Jewish Publication Society's 1917 edition of the Hebrew Bible in English http://mechon-mamre.[...] 2019-02-14
[7] 웹사이트 Jerusalem Talmud Shekalim 5:1 https://www.sefaria.[...] 2022-12-03
[8] 웹사이트 Sotah 14a https://www.sefaria.[...] 2022-12-03
[9] 웹사이트 Targum Jonathan on Isaiah 52:13 https://www.sefaria.[...] 2022-12-03
[10] 웹사이트 Sanhedrin 98a https://www.sefaria.[...] 2022-12-03
[11] 웹사이트 Ruth Rabbah 5:6 https://www.sefaria.[...] 2022-12-03
[12] 웹사이트 Midrash Tanchuma, Toldot 14 https://www.sefaria.[...] 2022-12-03
[13] 웹사이트 Yalkut Shimoni on Nach 476 https://www.sefaria.[...] 2022-12-03
[14] 웹사이트 Midrash Tehillim 2:9 https://www.sefaria.[...] 2022-12-03
[15] 웹사이트 Iggerot HaRambam, Iggeret Teiman 13 https://www.sefaria.[...] 2022-12-03
[16] 웹사이트 Saadiah and Isaiah 53 http://www.judaismsa[...] 2022-12-03
[17] 웹사이트 Berakhot 5a https://www.sefaria.[...] 2022-12-03
[18] 웹사이트 Berakhot 57b https://www.sefaria.[...] 2022-12-03
[19] 웹사이트 Isaiah 53:3 https://www.sefaria.[...] 2022-12-03
[20] 웹사이트 Rashi on Isaiah 52:13 https://www.sefaria.[...] 2022-12-03
[21] 웹사이트 Ibn Ezra on Isaiah 52:13:1 https://www.sefaria.[...] 2022-12-03
[22] 웹사이트 Radak on Isaiah 52:13:1 https://www.sefaria.[...] 2022-12-03
[23] 서적 The Suffering Servant: Isaiah 53 in Jewish and Christian Sources Eerdmans 2004
[24] 서적 The Suffering Servant Eerdmans 2004
[25] 서적 The Suffering Servant Eerdmans 2004
[26]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Isaiah 53 Kregel Academic 2012
[27] 웹사이트 The Dead Sea Scrolls - 4Q Apocryphon of Levi https://www.deadseas[...] 2022-12-07
[28] 문서 Hengel and Bailey, 115.
[29] 서적 The Dead Sea Scrolls Study Edition (Translations) Brill 1997–98
[30] 문서 Gard Granerød ''Abraham and Melchizedek: Scribal Activity of Second Temple Times'' 23 p208 2010 "The Melchizedek document from Qumran (11Q13) offers no explicit reference to [[Psalm 110]] or to Genesis 14. That is, its main protagonist, ''qdc yklm,'' is not explicitly connected with the only two biblical texts that contain the identical ..."
[31] 문서 John R. Hinnells ''A handbook of ancient religions'' 2007 p241 "In a fragmentary text from cave 11 at Qumran (11q13 in Vermes 1997: 500–2) the role of Michael as leader of God's angels and destroyer of the angels of darkness is taken over by Melchizedek. The text is a commentary on the Jubilee law ..."
[32] 문서 James H. Charlesworth The Dead Sea scrolls: Hebrew, Aramaic, and Greek texts vol.4 p7 – 1994 "Speculation about Melchizedek is attested at Qumran in Melchizedek (11Q13)"
[33] 문서 Martı́nez and Tigchelaar, 2:1207-09
[34] 문서 Hengel and Bailey, 119
[35] 서적 The Parallel Aligned Hebrew-Aramaic and Greek Texts of Jewish Scripture Lexham Press 2003
[36] 서적 Invitation to the Septuagint Baker Academic 2015
[37] 서적 The Suffering Servant Eerdmans 2004
[38] 문서 Hengel and Bailey, 125-26
[39] 문서 Lexham English Septuagint, Isaiah 53:4-6
[40] 서적 Invitation to the Septuagint Baker Academic 2015
[41] 문서 Hengel and Bailey, 123-24
[42] 문서 F. Hahn, Christologische Hoheitstitel, 2nd ed., FRLANT 83 (1964), 154 n. 1. Quoted in Hengel and Bailey, 136.
[43] 문서 Hengel and Bailey, 128-29, 136.
[44] 서적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Prophets IVP Academic 2012
[45] 서적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Baker Academic 2007
[46] 서적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Use of the Old Testament Baker Academic 2007
[47] 문서 Carson, D.A. "1 Peter," p. 1034.
[48] 서적 Jewish Believers in Jesus: The Early Centuries Hendrickson Publishers 2007
[49] 서적 Early Judaism: Texts and Documents on Faith and Piety Fortress Press 2009
[50] 문서 Lexham English Septuagint, Wisdom 2:14
[51] 문서 Lexham English Septuagint, Wisdom 2:19-20
[52] 서적 The Eerdmans Dictionary of Early Judaism Eerdmans 2010
[53] 문서 Bailey, ''Suffering Servant'', 1257.
[54] 문서 Lexham English Septuagint, Wisdom 3:1
[55] 서적 The Suffering Servant: Isaiah 53 in Jewish and Christian Sources
[56] 문서 Bailey, "Our Suffering" p.324.
[57] 문서 Bailey, "Our Suffering" p.334-36. Bailey lists the passages as follows: 13.2–9; 14.8; 17.1; 32.1; 32.2; 34.2; 36.1; 36.6; 39.7; 41.1; 42.2–3; 43.3; 49.2 = 49.2; 49.7; 52.1; 63.2; 68.4; 68.9; 70.4; 72.3; 74.1; 76.2; 76.6; 85.1; 85.2; 88.8; 89.2; 89.3; 90.1; 95.3; 97.2; 99.2; 100.2 = 100.2; 102.7; 110.2 = 110.2; 111.2; 111.3; 114.2; 118.4; 121.3; 126.1; 137.1
[58] 서적 The First Apology, The Second Apology, Dialogue with Trypho, Exhortation to the Greeks, Discourse to the Greeks, The Monarchy or The Rule of God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1948
[59] 문서 Paul also cites Deuteronomy 21:23 in Galatians 3:13, affirming that Christ became a curse as the Torah laid out. Paul sees this as a point in Jesus's favor, rather than a liability. Justin never cites Galatians 3:13 and avoids speaking about Christ being cursed. Tertullian, writing a generation later than Justin, reported that Jews had the same objection, and Tertullian responded to it directly, yet not in the way laid out by Paul (Adversus Judaeos 10).
[60] 문서 Bailey, "Our Suffering," p. 374.
[61] 문서 T.J. Horner, Listening to Trypho, p. 12, quoted in Bailey, "Our Suffering," p. 392-93.
[62] 문서 Origen, De Principiis 2.6.4, Contra Celsus 2.59, 7.16, 8.54, Philocalia 15.13.
[63] 문서 Origen, Contra Celsus 1.55, "Origen Against Celsus," in ''The Ante-Nicene Fathers'', Volume 4, p.420.
[64] 서적 Crossing Over Sea and Land: Jewish Missionary Activity in the Second Temple Period Baker Academic 2013
[64] 서적 The Conflict of the Church and the Synagogue Atheneum 1969
[65] 웹사이트 Midrash Tanchuma Buber, translated by John T. Townsend, 1989, https://www.sefaria.org/Midrash_Tanchuma_Buber%2C_Toldot.20.1?lang=en&with=About&lang2=en https://www.sefaria.[...] 2022-12-21
[66] 문서 Ruth Rabbah 5.6, Soncino translation
[67] 웹사이트 Sifrei Bamidbar 131:5 https://www.sefaria.[...] 2022-12-21
[68] 웹사이트 Sifrei Devarim 355:8 https://www.sefaria.[...] 2022-12-21
[69] 문서 Numbers Rabbah 13.2, Soncino translation
[70] 문서 William G. Braude and Israel J. Kapstein, Pĕsiḳta Dĕ-Rab Kahăna: R. Kahana’s Compilation of Discourses for Sabbaths and Festal Days, 2nd ed. (Philadelphia, PA: Jewish Publication Society, 2002), 147.
[71] 서적 The Apocalypse of Joh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1-03-09
[72] 서적 Jesus and the Old Testament: His Application of Old Testament Passages to Himself and His Mission https://books.google[...] Regent College Publishing 2000-02
[73]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0-12-31
[74] 서적 Theology of the Prophetic Books: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Israel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75] 서적 Unlock the Bible: Keys to Understanding the Scripture https://books.google[...] Thomas Nelson Inc 2011-05-30
[76] 서적 The ''Sensus Plenior'' of Sacred Scripture St. Mary's University
[77] 서적 Approaches to Old Testament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Clements Publishing Group
[78] 웹사이트 Contra Celsum http://gnosis.org/li[...]
[79] 간행물 In Search of Kohelet http://www.maqom.com[...] Ecclesiastes Rabbah
[80] 웹사이트 Who is God's Suffering Servant? The Rabbinic Interpretation of Isaiah 53 https://outreachjuda[...] 2014-04-30
[81] 서적 Faith Strengthened https://jewsforjudai[...]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20-03-24
[82] bibleverse Kings
[83] 서적 Jewish Resistance Against the Nazis Vaughn Seward edition 2014
[84] 웹사이트 3) Mistranslated Verses "Referring" to Jesus; C. Suffering Servant http://www.simpletor[...] SimpleToRemember.com - Judaism Online 2012-07-02
[85] 웹사이트 Isaiah 53 and the "Suffering Servant." https://jewsforjudai[...] 2009-06-22
[86] 간행물 Handel's Messiah: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http://www.sbts.edu/[...] 2011-07-19
[87] 서적 Der babylonische Talmud Bd. VI Jüdischer Verl. im Suhrkamp-Verl.
[88] 백과사전 Midrash (from the root, "to study", "to investigate") http://www.jewishenc[...] 2012-07-03
[89] 웹사이트 Ruth Rabbah http://www.jewishvir[...] 2012-07-03
[90] 백과사전 Ruth: Midrash and Aggadah http://jwa.org/encyc[...] Jewish Women's Archive 2009 2012-07-03
[91] 웹사이트 Parashat Bamidbar 5760/2000 https://www.biu.ac.i[...] 2012-12-13
[92] 백과사전 Tanna debe Eliyahu http://www.jewishenc[...] 1906
[93] 간행물 Zohar
[94] 웹사이트 Contra Brown—Answering Dr. Brown's Objections to Judaism. Rabbi Yisroel Chaim Blumenthal http://www.jewsforju[...] 2012-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