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든위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골든위크는 1951년 일본 영화사 대영이 영화 흥행 성공을 기념하여 만든 용어로,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의 공휴일 기간을 의미한다. 이 기간은 쇼와의 날, 헌법기념일, 그리너리 데이, 어린이날을 포함하며, 2019년에는 나루히토 천황 즉위로 인해 10일 연휴가 되기도 했다. 골든위크는 일본 국민들의 국내외 여행 수요를 촉진하며, 교통 혼잡, 숙박비 상승 등의 현상을 동반한다.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축제가 취소되었으나, 2022년부터 다시 열리고 있다. 중국에도 비슷한 대규모 연휴인 황금주가 존재하며, 일본에서는 지역별 분산 연휴를 제안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월의 세시 - 삼위일체 대축일
삼위일체 대축일은 서방 기독교에서 삼위일체 교리를 기념하는 축일로, 오순절 다음 주일에 지켜지며 다양한 교파에서 예배와 전례에 차이가 있지만 아타나시우스 신경 낭송이나 특별 기도문 등으로 삼위일체 신앙을 고백하는 날이다. - 5월의 세시 -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은 가톨릭교회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성체성사 제정을 기념하는 중요한 축일로, 줄리아나 드 코르니용의 노력과 교황 우르반 4세의 제정을 거쳐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이 미사와 성체 행렬, 그리고 토마스 아퀴나스가 작곡한 찬미가 등을 통해 기념하며 많은 국가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 4월의 세시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4월의 세시 - 삼짇날
삼짇날은 음력 3월 3일에 다양한 이름과 유래를 가진 전통 명절로,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여러 풍습이 이어져 왔으며, 봄맞이 놀이, 음식, 농경 의례 등의 풍속과 함께 한국과 중국에서 기념되고, 최근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 일본의 공휴일 - 성년의 날
성년의 날은 매년 5월 셋째 주 월요일에 사회인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일깨우고 성인으로서의 자긍심을 부여하기 위해 기념하는 날로, 삼한시대부터 유래하여 조선시대의 관례와 계례를 거쳐 현대에는 여성가족부 주관 기념행사와 선물 문화로 이어진다. - 일본의 공휴일 - 국민의 휴일
국민의 휴일은 징검다리 연휴로 인한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해 공휴일 사이에 낀 평일을 휴일로 지정하는 제도이며, 5월 4일에 주로 적용되었으나 법 개정으로 날짜가 특정되지는 않아 다양한 공휴일 조합에 따라 지정될 수 있다.
골든위크 | |
---|---|
골든위크 | |
![]() | |
관련 기념일 | 4월 29일 쇼와의 날 5월 3일 헌법기념일 5월 4일 미도리의 날 5월 5일 어린이날 |
시작일 | 4월 29일 |
종료일 | 5월 5일 |
관측 대상 | 일본 |
종류 | 공휴일 |
빈도 | 매년 |
기간 | 7일 |
명칭 | |
로마자 표기 | Gōruden Wīku |
다른 표기 | Gōruden Uīku |
별칭 | Ōgon Shūkan (황금주간) Haru no Ōgata Renkyū (봄의 장기 연휴) |
영어 | Golden Week |
일본어 | ゴールデンウィーク |
한자 | 黄金週間 |
한국어 | 골든위크 |
한국어 (로마자) | Gollen Wikeu |
일본어 (로마자) | Ōgon Shūkan |
일본어 (로마자) | Haru no Ōgata Renkyū |
한국어 (로마자) | Ōgonjukan |
한국어 (로마자) | Haruno Ogatarenkyu |
관련 정보 | |
관련 공휴일 | 쇼와의 날 헌법기념일 미도리의 날 어린이날 |
기타 관련 날짜 | 국민의 휴일 |
관련 용어 | GW |
기타 정보 | (골든 위크) (황금 주간) (봄의 대형 연휴) (미도리의 날) (쇼와의 날) (헌법 기념일) (국민의 휴일) (어린이날) |
2. 명칭의 유래
"골든위크(ゴールデンウィーク)"라는 명칭은 1951년 영화사 대영(大映)이 쇼치쿠(松竹)와 경쟁하며 동시 상영된 영화 『자유학교(自由学校)』가 대영 창립 이래 최고 매출(당시)을 기록하고,[21] 정월영화(正月映画)나 오봉 영화 이상의 흥행성적(興行成績)을 거둔 것을 계기로,[22] 이 시기에 관객을 대거 동원하여 활성화시키려는 목적으로 당시 대영 사장(社長)이었던 나가타 마사이치(永田雅一)가 만든 선전 용어이며,[22][23] 일본식 영어(和製英語)이다. 1952년 - 1953년경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23]하여 다른 업계로도 확산되었다. 동시에 대영은 이어 가을의 문화의 날(文化の日)을 중심으로 한 기간을 “실버위크(シルバーウィーク)”라고 명명했지만, 당시에는 정착되지 않았다.[22][23]
1948년 7월 「국민의 축일 관련 법률」(축일법)이 시행되면서 4월 29일부터 5월 5일까지 휴일·국민의 축일이 집중되었고, 이 기간(평일과 토요일 포함)을 골든위크라고 부르게 되었다.[1] 직전·직후에 토요일·일요일·대체휴일이 있으면 이를 포함하여 부르기도 한다. 이 기간에는 쇼와의 날(4월 29일)[17], 헌법기념일(5월 3일)[18], 미도리의 날(5월 4일)[19], 어린이날(5월 5일)[20]이 국민의 축일이다. 5월 1일이 메이데이이기 때문에 휴일이 되는 회사도 적지 않아, 중간의 평일을 휴일로 하여 장기 연휴로 만들기 쉽다.
3. 일본의 골든 위크
1985년 축일법 개정으로 5월 4일이 일요일이나 대체휴일이 아니더라도 '국민의 휴일'이 되면서 이전의 '돌연휴'라는 표현은 줄었다.[21] 2005년 축일법 개정으로 헌법기념일이나 미도리의 날이 일요일과 겹치면 어린이날 다음 날인 5월 6일이 대체휴일이 되어 골든위크가 연장된다. 2008년 5월 4일이 일요일이 되면서 처음 적용되었고, 대체휴일은 처음으로 월요일이 아닌 화요일이 되었다. 2009년에도 대체휴일이 처음으로 수요일이 되었다.
“골든위크(ゴールデンウィーク)”라는 명칭은 1951년 영화사 대영(大映)이 쇼치쿠(松竹)와 경쟁하며 동시 상영한 영화 『자유학교(自由学校)』가 대영 창립 이래 최고 매출을 기록하고,[21] 정월영화(正月映画)나 오봉 영화 이상의 흥행성적(興行成績)을 거둔 것을 계기로,[22] 이 시기에 관객을 대거 동원하여 활성화시키려는 목적으로 당시 대영 사장(社長)이었던 나가타 마사이치(永田雅一)가 만든 선전 용어이며,[22][23] 일본식 영어(和製英語)이다. 1952년-1953년경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23]하여 다른 업계로도 확산되었다. 대영은 가을의 문화의 날(文化の日)을 중심으로 한 기간을 “실버위크(シルバーウィーク)”라고 명명했지만, 당시에는 정착되지 않았다.[22][23]
NHK와 일부 민영방송들은 “(봄의) 대형 연휴”라는 표현으로 통일하고 있다. NHK방송문화연구소는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골든위크”라는 표현에 대한 시청자들의 항의 증가, “외래어·가타카나어는 가능한 한 피하고 싶다”, “너무 길어 표기할 때 불편하다” 등 방송 제작 현장의 목소리, “골든위크”라는 표현이 영화업계의 광고 용어였던 점, 주휴 2일제 정착으로 기간이 일주일에 그치지 않게 된 점 등을 이유로 제시하고 있다.[23] “실버위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표현 변경( “(가을의) 대형 연휴”)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신문 업계에서는 “골든위크”, “대형 연휴” 표현이 반반이고, 잡지 업계에서는 “골든위크”, “GW” 표현이 주류라고 한다.[23] 참고로, “골든위크”라는 말은 2004년에 손해보험재팬이 (제4824147호), 2014년에 보홀딩스가 (제5713010호) 상표등록했다.
골든위크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한 시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텔레비전 보급 전 일본 영화의 황금기였으며, 영화관도 많이 존재했다. 영화 관람, 근처 백화점에서의 쇼핑, 근교 유원지로의 나들이, 주변 행락지로의 하이킹 등 당일치기 여행이 일반적이었고, 1970년대 이전에는 평상시 일요일이나 공휴일을 보내는 것과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대체휴일 제도 도입과 토요일 휴무 보급에 따라 이 기간 전체를 이용한 숙박을 포함한 여행이나 귀성이 늘었고, 1990년대 이후에는 일본 국외로의 해외여행도 일반화되었다.
하와이 등 일본인 관광객이 많은 해외 관광지에서는 호텔, 버스, 레스토랑 등 관광업 종사자들의 경우, 일본과 인연이 없는 현지 출신이라도 “Golden Week”로 의미가 통할 정도로 인지되고 있다.
귀성이나 행락 등을 위해 장거리 이동을 하는 사람도 많으며, 그 수는 여름방학(특히 옛날 추석)·연말연시와 거의 비슷하다. 매년 골든위크 초반과 종반에 주요 터미널 역, 공항, 장거리 열차 등에서는 많은 승객을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경우, 본·연말연시와 공통되는 다음과 같은 교통 상황이 되며, 그 때문에 그 기간에 준하는 제도가 적용된다.
철도의 다이어 면에서는, 골든위크 중 평일은 원칙적으로 평일 다이어로 운전되며, 본 기간 중 평일이 일부 철도 사업자(주로 긴키 지방·주쿄권의 사철·지하철)에서 토요일 또는 휴일 다이어로 운행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학교는 일부 사립학교를 제외하고는 평상시대로 수업이 진행되며, 본과 달리 통학 수요가 있다.
번화가나 관광지 등에 있는 코인 파킹은 상한 요금이 적용되지 않고, 특별 주차 요금이 되는 곳이 있다. 주간지에서는 연휴 전에 합병호 발행이 일반적이지만, 이는 대형 연휴에 맞춘 영업 전략이라기보다는 인쇄소의 연휴에 맞추기 때문이다.
우편물 배달 업무는 2015년까지는 연휴 중 후반에 하루 정도, 휴일이지만 모든 우편물을 배달하는 날을 두었었지만[25], 2016년 이후로는 이러한 방식은 없어졌다.[26]. 2018년 이후로는 최대 4일 연속( 속달·등기·소포 등을 제외) 일반 우편물이 배달되지 않는 해가 발생하고 있다.[27]. 2019년에는 새로운 천황 즉위로 10일간의 장기 연휴가 되어, 4월 27일(토)에 배달한 후 5월 2일에 모든 우편물을 배달하는 날을 정했다.[28][29]. 2021년 10월 토요일 배달 중단[30]을 거쳐, 2023년에는 달력상 5일간 배달 휴지일이 이어지는 배열이었던 5월 5일에 배달을 실시했다.[31].
불황기에는 제조 부문을 가진 기업에서 이 기간을 생산 조정·재고 조정에 활용하여, 통상적인 휴일에 며칠을 더해 더욱 장기 휴업이 되는 직원도 볼 수 있다.[32]
관광지나 유원지 등에 있는 음식점이나 배달, 테이크아웃 음식점에서는 대형 연휴 중에 점심시간 휴식, 고가격대 메뉴만 제공, 특별 요금이 되는 곳도 있다.
날씨가 좋은 이 시기에 전국 각지에서 이벤트가 개최된다.
이 시기는 북동토호쿠(北東北)나 도난(道南) 등에서는 소메이요시노(ソメイヨシノ) 벚꽃이 피는 시기로, 꽃놀이(花見)의 계절이기도 하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벚꽃뿐만 아니라 매화나 꽃복숭아꽃도 동시에 피는 경우가 많다. 그 외 지역에서는 대부분 벚꽃이 진 후이지만, 대신 등나무, 장미(バラ) 등의 늦봄 꽃이 피는 시기이며, 신록(新緑)의 계절이기도 하다.
3. 1. 공휴일
골든 위크는 다음과 같은 공휴일을 포함한다.[3]
명칭 | 날짜 |
---|---|
쇼와의 날 (昭和の日), 2007년~현재[4] | 4월 29일 |
헌법기념일 (憲法記念日), 1949년~현재 | 5월 3일 |
그리너리 데이 (みどりの日), 2007년~현재[4] | 5월 4일 |
어린이날 (子供の日), 소년의 날 또는 깃발 축제로도 알려져 있으며, 전통적으로 단오절로 기념됨. | 5월 5일 |
国民の休日|Kokumin no Kyūjitsu일본어은 모든 공식 휴일을 위한 일반적인 용어이다. 2006년까지 5월 4일은 두 휴일 사이의 날을 새로운 휴일로 전환하는 규칙 때문에 명칭이 없었지만 공식 휴일이었다. 일본은 메이데이와 비슷한 목적의 휴일인 노동감사절을 기념한다. 공휴일이 일요일에 해당하는 경우, 이미 휴일이 아닌 다음 날이 그 해의 휴일이 된다.[5] 골든 위크 휴일이 일요일에 해당하는 경우 4월 30일 또는 5월 6일에 振替休日|Furikae Kyūjitsu일본어(대체 휴일)이 시행된다.
1948년 7월 「국민의 축일 관련 법률」(축일법) 시행으로 4월 29일부터 5월 5일까지 휴일·국민의 축일이 집중되면서 이 기간(평일과 토요일 포함)을 골든위크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기간에는 쇼와의 날(4월 29일)[17], 헌법기념일(5월 3일)[18], 그리너리 데이(5월 4일)[19], 어린이날(5월 5일)이 국민의 축일[20]이다.
이전에는 휴일이 띄엄띄엄 있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돌연휴'라는 말이 사용되었다.[21] 1985년(쇼와 60년) 축일법 개정으로 5월 4일이 일요일이나 대체휴일이 아니더라도 '국민의 휴일'이 된 이후로는 이러한 표현은 줄었다.
2005년(헤이세이 17년) 축일법 개정으로 휴일 명칭 및 대체휴일 규정이 변경되어, 헌법기념일이나 그리너리 데이가 일요일과 겹치면 어린이날 다음 날인 5월 6일이 대체휴일이 되어 골든위크도 연장된다.
3. 2. 역사
1948년 7월에 공포된 국민의 휴일 법률에 따라 9개의 공식 공휴일이 지정되었다.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많은 공휴일이 집중되어, 여가 관련 산업은 수익이 크게 증가했다. 영화 산업도 예외는 아니었는데, 1951년 영화 자유학교(Jiyū Gakkō)는 이 기간 동안 설날과 오봉을 포함한 다른 어떤 시기보다 높은 티켓 판매량을 기록했다. 다이에이 영화의 상무이사는 이를 바탕으로 일본 라디오 용어 "황금 시간대"를 참고하여 "골든 위크"라고 명명했다.[6]당시 4월 29일은 쇼와 천황의 탄생일을 기념하는 국경일이었다. 1989년 쇼와 천황 서거 후, 이 날은 쇼와의 날(Greenery Day)|미도리노히|Midori no Hi일본어로 변경되었다.[4] 2007년에는 쇼와의 날(Greenery Day)이 5월 4일로 이동되었고, 4월 29일은 쇼와의 날(Shōwa Day)로 지정되었다.[4] 1927년부터 1948년까지는 천황탄생일(The Emperor's Birthday)|덴초세쓰|Tenchō Setsu일본어가 기념되었으며, 현재는 천황탄생일(The Emperor's Birthday)|덴노탄조비|Tennō Tanjōbi일본어로 불린다. 나루히토 천황의 생일은 2월 23일이다.[7]
1948년 7월 「국민의 축일 관련 법률」(축일법) 시행으로 4월 29일부터 5월 5일까지 휴일·국민의 축일이 집중되면서 이 기간(평일과 토요일 포함)을 골든위크라고 부르게 되었다. 직전·직후에 토요일·일요일·대체휴일이 있으면 이를 포함하여 부르기도 한다. 이 기간에는 4월 29일(쇼와의 날(Shōwa Day))[17], 5월 3일(헌법기념일)[18], 5월 4일(미도리의 날)[19], 5월 5일(어린이날)[20]이 국민의 축일이다. 5월 1일 메이데이에 휴일이 되는 회사(종업원)도 있어, 중간의 평일을 휴일로 하여 장기 연휴로 만들기 쉽다.
이전에는 휴일이 띄엄띄엄 있어 「돌연휴」라는 말이 사용되었다.[21] 1985년(쇼와 60년) 축일법 개정으로 5월 4일이 일요일이나 대체휴일이 아니더라도 「국민의 휴일」이 되면서 이 표현은 줄었다.
2005년(헤이세이 17년) 축일법 개정으로 휴일 명칭 및 대체휴일 규정이 변경되어, 헌법기념일이나 미도리의 날이 일요일과 겹치면 어린이날 다음 날인 5월 6일이 대체휴일이 되어 골든위크가 연장된다. 2008년(헤이세이 20년) 5월 4일이 일요일이 되면서 처음 적용되었고, 대체휴일은 처음으로 월요일이 아닌 화요일이 되었다. 2009년(헤이세이 21년)에도 대체휴일이 처음으로 수요일이 되었다.
3. 3. 2019년의 특별 골든 위크
2019년 골든위크는 새로운 천황 나루히토의 즉위로 인해 특히 길었다. 상황과 미치코 상황황후의 아들인 나루히토 천황은 2019년 5월 1일에 즉위식을 거행하였고, 이 날은 추가적인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이 날은 새로운 일본 연호인 레이와 시대의 공식적인 시작을 알리는 날이었다. 4월 29일부터 5월 5일까지는 이미 공휴일이었기 때문에, 4월 30일과 5월 2일도 공휴일로 지정되어 2019년 골든 위크는 토요일인 4월 27일부터 월요일인 5월 6일까지 약 10일간 이어졌다.[8]2017년에 제정된 황실전범 특례법에 따라, 2019년 4월 30일 제125대 천황이 황위를 물러나고, 다음 날인 5월 1일에 황태자 나루히토 친왕이 즉위했다. 특례법 제정을 받아들여, 2018년 제197회 임시국회에서 즉위 및 개원 당일인 5월 1일과 즉위례 정전의 의식이 거행되는 10월 22일을 2019년 한정으로 공휴일로 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33] 그 결과, 4월 30일과 5월 2일이 국민의 휴일이 되었고, 토요일과 일요일 및 대체휴일을 포함하면 4월 27일(토요일)부터 5월 6일(월요일, 대체휴일)까지 10일간의 휴일이 되었다.[34]
일요일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토요일 |
---|---|---|---|---|---|---|
2019년 4월 27일 (토요일) | ||||||
4월 28일 (일요일) | 4월 29일 쇼와의 날 | 4월 30일 국민의 휴일 (퇴위례 정전의 의식) | 2019년 5월 1일 천황의 즉위일 | 5월 2일 국민의 휴일 | 5월 3일 헌법기념일 | 5월 4일 녹색의 날 |
5월 5일 어린이날 | 5월 6일 대체휴일 |
전례 없는 10일 연휴였기 때문에, 생활에 영향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다음과 같은 대응이 이루어졌다.
- 금융기관은 각 은행의 ATM이 잔액 부족이 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잔액 감시 강화와 ATM 내 현금량 3할 증가(전년 대비) 등의 대응을 실시했다.[35]
- 후생노동성은 연휴 중에 진료 가능한 의료기관을 정리했다.[36]
- 새 연호 첫날인 5월 1일에는 혼인신고가 많이 접수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임시로 창구를 설치하는 자치체도 있었다.[37]
- 신선식품을 취급하는 도쿄의 도요스 시장은 임시 개장일을 설정했다.[38]
- 일본우편은 일반적으로 일요일, 공휴일에는 실시하지 않는 일반 우편물 배달을 특례로 5월 2일에도 실시했다.[28][29]
3. 4.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2020-2021)
2020년 1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일본에서 코로나19 범유행이 발생하면서, 당시 일본 총리였던 아베 신조는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처음으로 긴급사태를 선포하고 골든위크 축제를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긴급사태는 4월 7일부터 5월 29일까지 지속되었다. 고이케 유리코 도쿄 도지사는 모든 학교와 대학교를 폐쇄하고, 간토 지방의 기업들에게는 골든위크 기간 동안 여행을 자제할 것을 요청했다. 도쿄 주민들에게는 ステイホーム週間|Sutei hōmu shūkan|스테이 홈 위크일본어를 지키도록 권고했다.[9][10] "생명을 구하기 위한 스테이 홈 위크"로 이름이 바뀐 이 기간은 4월 25일부터 5월 6일까지였다.[11][12] 요시무라 히로후미 오사카 부지사는 5월 7일부터 8일까지 학교를 폐쇄하고, 간사이 지방의 기업들에게는 주말까지 휴가 기간을 5월 11일까지 연장할 것을 권장했다.[13] 2021년 4월 말, 당시 일본 총리였던 스가 요시히데는 코로나19 감염 급증으로 인해 정부가 세 번째 긴급사태를 선포하면서 골든위크 축제를 다시 한번 취소한다고 발표했다.3. 5. 현재의 관행
많은 일본 국민들이 이 연휴 기간에 유급 휴가를 사용하며, 일부 회사는 문을 닫고 직원들에게 휴가를 제공한다. 골든 위크는 많은 일본 근로자들에게 일 년 중 가장 긴 휴가 기간이다.NHK와 일부 민영방송들은 원칙적으로 “(봄의) 대형 연휴”라는 표현으로 통일하고 있다. NHK방송문화연구소는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골든위크”라는 표현에 대해 시청자들의 항의가 늘었고, “외래어·가타카나어는 가능한 한 피하고 싶다”, “너무 길어 표기할 때 불편하다” 등 방송 제작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했으며, 원래 “골든위크”라는 표현이 영화업계라는 민간 기업의 광고 용어였고, 주휴 2일제 정착으로 기간이 위크(일주일)에 그치지 않게 된 점 등을 이유로 제시하고 있다.[23] “실버위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표현 변경( “(가을의) 대형 연휴”)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신문 업계에서는 “골든위크”, “대형 연휴” 표현이 반반이고, 잡지 업계에서는 “골든위크”, “GW” 표현이 주류라고 한다.[23]
참고로, “골든위크”라는 말은 보험 등의 분야에서는 2004년에 손해보험재팬이 (제4824147호), 주류 분야에서는 2014년에 보홀딩스가 (제5713010호) 상표등록했다.
골든위크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한 시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텔레비전이 보급되기 전 일본 영화의 황금기였으며, 영화관도 많이 존재했다. 영화 관람, 근처 백화점에서의 쇼핑, 근교 유원지로의 나들이, 주변 행락지로의 하이킹 등 당일치기 여행이 이 시기의 일반적인 보내는 방법이었고, 1970년대 이전에는 평상시 일요일이나 공휴일을 보내는 것과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그 이후 대체휴일 제도의 도입과 토요일 휴무의 보급에 따라 점차 이 기간 전체를 이용한 숙박을 포함한 여행이나 귀성이 늘었고, 1990년대 이후에는 일본 국외로의 해외여행도 일반화되었다.
일본인 관광객이 많은 하와이 등 해외 관광지에서는 호텔, 버스, 레스토랑 등 관광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경우, 일본과 인연이 없는 현지 출신 사람이라도 “Golden Week”로 의미가 통할 정도로 인지되고 있다.
귀성이나 행락 등을 위해 장거리 이동을 하는 사람도 많으며, 그 수는 여름방학(특히 옛날 추석)·연말연시와 거의 비슷하다. 매년 골든위크 초반과 종반에 주요 터미널 역, 공항, 장거리 열차 등에서는 많은 승객을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경우, 본·연말연시와 공통되는 다음과 같은 교통 상황이 되며, 그 때문에 그 기간에 준하는 제도가 적용된다.
- 주요 일본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에 정체가 발생한다. 10~100km 이상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 전석 지정석 열차가 아닌 신칸센이나 주요 특급 열차, 고속버스의 혼잡, 열차 지정석 특급권이나 항공권 입수의 어려움.
- 따라서 JR의 경우, 지정석 특급권에는 혼잡기가 적용되고, 신칸센·특급열차를 사용하는 많은 특별 기획 승차권에 이용 제한이 걸린다(단, 방일 외국인 여행자를 위한 재팬 레일 패스와 일부 특별 기획 승차권은 이용 가능).
- 도시 근교를 잇는 쾌속 열차에서는 행락객 증가로 출퇴근 시간대와 같은 혼잡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각지의 관광지·번화가의 혼잡, 호텔 등 숙박비, 국내외 할인 항공권 가격, 렌터카 요금 등에서 여행 경비의 급등도 볼 수 있다. 반면, 많은 항공사의 국내선 정규 운임은 성수기 운임이 되지 않는다. 또한 노선버스·노면 전차 등 근거리 교통기관 이용에서는 반대로 이 시기에 저렴한 기획 승차권·요금이 적용되는 예도 많아, 반드시 다른 시기에 비해 비싼 것은 아닌 사례도 존재한다. 다른 성수기와 달리, 청춘 18 티켓은 이 시기에 발매되지 않는다. 이것은 처음에 이 상품이 학생 등의 휴업 기간을 고려한 것이며, 이 시기는 봄·여름·겨울 휴업 기간과 달리, 원래 그 시기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성격상의 것이었다. 하지만 일본국유철도 시대에 처음 발매된 「청춘 18 느긋하게 티켓」은 유효 기간이 골든위크까지 있었다.
하지만 철도의 다이어 면에서는, 골든위크 중 평일은 원칙적으로 평일 다이어로 운전되고 있으며, 본 기간 중 평일이 일부 철도 사업자(주로 긴키 지방·주쿄권의 사철·지하철)에서 토요일 또는 휴일 다이어로 운행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학교는 일부 사립학교를 제외하고는 평상시대로 수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본과 달리 통학 수요가 있다.
또한, 번화가나 관광지 등에 있는 코인 파킹은 상한 요금이 적용되지 않고, 특별 주차 요금이 되는 곳이 있다. 주간지에서는 연휴 전에 합병호 발행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이는 대형 연휴에 맞춘 영업 전략이라기보다는 인쇄소의 연휴에 맞추기 때문이다.
우편물 배달 업무는 2015년까지는 연휴 중 후반에 하루 정도, 휴일이지만 모든 우편물을 배달하는 날을 두었었지만[25], 2016년 이후로는 이러한 방식은 없어졌다.[26]. 2018년 이후로는 최대 4일 연속( 속달·등기·소포 등을 제외) 일반 우편물이 배달되지 않는 해가 발생하고 있다.[27]. 2019년에는 새로운 천황의 즉위가 있어 10일간의 장기 연휴가 되었다. 고객 편의성과 우편물 보관 장소 부족 방지의 관점에서 4월 27일(토)에 배달한 후 5월 2일에 모든 우편물을 배달하는 날을 정했다.[28][29]. 그 후, 2021년 10월 토요일 배달 중단[30]을 거쳐, 달력상 5일간 배달 휴지일이 이어지는 배열이었던 2023년에는 중간인 5월 5일에 배달을 실시했다.[31].
불황기의 경우, 제조 부문을 가진 기업에서는 이 기간을 생산 조정·재고 조정에 활용하여, 통상적인 휴일에 며칠을 더해 더욱 장기 휴업이 되는 직원도 볼 수 있다.[32]
관광지나 유원지 등에 있는 음식점이나 배달, 테이크아웃 음식점에서는 대형 연휴 중에는 점심시간 휴식, 고가격대 메뉴만 제공, 특별 요금이 되는 곳도 있다.
3. 6. 주요 행사
일본에서는 날씨가 좋은 이 시기에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 주요 행사는 다음과 같다.- 유다 도기시(有田陶器市)
- 아사히 레가타(朝日レガッタ)
- 오다와라 호조 5대 축제(小田原北條五代祭り)
- 쿠라야미 마쓰리(くらやみ祭)
- 토나미 튤립 페어(となみチューリップフェア)
- 나하 할리(那覇ハーリー)
- 하마마쓰 마쓰리(浜松まつり)
- 하카타 돈타쿠(博多どんたく)
- 히로시마 플라워 페스티벌(ひろしまフラワーフェスティバル)
- 히로사키 벚꽃 축제(弘前さくらまつり)
- 맘모스 프리 마켓(マンモスフリーマーケット) (가을에도 개최)
이 시기는 북동토호쿠(北東北)나 도난(道南) 등에서는 소메이요시노(ソメイヨシノ) 벚꽃이 피는 시기로, 꽃놀이(花見)의 계절이기도 하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벚꽃뿐만 아니라 매화나 꽃복숭아꽃도 동시에 피는 경우가 많다. 그 외 지역에서는 대부분 벚꽃이 진 후이지만, 대신 등나무, 장미(バラ) 등의 늦봄 꽃이 피는 시기이며, 신록(新緑)의 계절이기도 하다.
골든 위크 기간에 열리는 행사 중 하나로 다카쓰키 재즈 스트리트 페스티벌이 있다.[14] 이 페스티벌은 이틀 동안 72개의 다양한 장소에서 300개의 공연과 3,000명이 넘는 아티스트들이 참여하는 라이브 재즈 공연을 선보인다. 공연 장소는 오사카 북부의 다카쓰키 중심부와 그 주변에 위치해 있다.[14]
슈퍼 GT 후지 500km 레이스(Fuji 500 km)는 5월 4일에 개최되어 골든 위크의 대명사가 되었지만, COVID-19 감염 급증으로 취소되었다.[15]
2010년 당시 민주당 정권은 골든위크(춘계)와 실버위크(추계) 연휴를 지역별로 분산하여 설정하는 내용의 공휴일법 개정안을 계획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공휴일이 되는 국민의 공휴일"의 일수를 늘리지 않는다.
- "골든위크와 해피먼데이에 있는 국민의 공휴일"에 대해서는 "기념일"로서의 의미와 "휴일"로서의 의미를 구분하여 생각한다.
- 이러한 "국민의 공휴일"은 기념일로 간주하여 종전의 날짜에 남겨두고, 공휴일 대체 휴일은 5월과 10월에 각각 지역별로 나누어 설정한다.
골든위크는 기본적으로 헌법기념일, 미도리의 날, 어린이날의 3연휴를 하나의 묶음으로, 실버위크는 기본적으로 해피먼데이 해당일인 바다의 날, 경로의 날, 체육의 날을 종전의 날짜에 기념일로 위치 지정하고, 휴일은 문화·스포츠·관광에 적합한 시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패턴을 계획하고 있었다.[39]
- 해당 휴일을 월요일부터 수요일로 분배함으로써, 토, 일요일을 포함한 5연휴를 각 지역 1주씩, 전체 5주 확보하는 방안(패턴 A)
- 지역별로 월요일부터 수요일 또는 수요일부터 금요일에 분배하여, 토, 일요일(전자 전주, 후자 당해 주)을 포함한 5연휴를 전체 2주 반 확보하는 방안(패턴 B)
주 | 토요일 | 일요일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
제1주 | 규슈오키나와·중국·시코쿠 지방의 휴일 | colspan="2" rowspan="5" | | |||||
제2주 | 킨키 지방의 휴일 | ||||||
제3주 | 주부·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휴일 | ||||||
제4주 | 남칸토 지방의 휴일 | ||||||
제5주 | 북칸토·도호쿠·홋카이도 지방의 휴일 |
제1주 | 제2주 | 제3주 | ||||||||||||||||||
---|---|---|---|---|---|---|---|---|---|---|---|---|---|---|---|---|---|---|---|---|
토요일 | 일요일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토요일 | 일요일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토요일 | 일요일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규슈 오키나와·중국 시코쿠 지방의 휴일 | colspan="16" | | |||||||||||||||||||
colspan="4" | | 킨키 지방의 휴일 | colspan="12" | | ||||||||||||||||||
colspan="7" | | 주부·호쿠리쿠 신에쓰 지방의 휴일 | colspan="9" | | ||||||||||||||||||
colspan="11" | | 남칸토 지방의 휴일 | colspan="5" | | ||||||||||||||||||
colspan="14" | | 북칸토·도호쿠·홋카이도 지방의 휴일 | colspan="2" | |
그러나 일본 국내에서 지역에 따라 평일과 휴일이 다름으로써 상거래나 금융 시스템 등의 경제 활동, 원거리의 독신 부임자가 귀성해도 현지에서는 평일이기 때문에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40]
4. 한국의 연휴 및 유사 사례
한국에서는 5월 초에 어린이날, 석가탄신일 등이 몰려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징검다리 연휴가 발생하여 일본의 골든위크와 비슷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하지만, 한국의 공휴일은 일본과 달리 대부분 특정 날짜에 고정되어 있어, 연휴가 길게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4. 1. 중국의 황금주 (黄金周)
중국에도 일본의 골든위크와 유사한 대형 연휴가 있으며, 중국어로 '''황금주'''(黄金周|huángjīn zhōu중국어)라고 불린다. 이는 중국 정부가 경제 효과를 노리고 1999년 10월 1일부터 도입한 제도이다.중국의 황금주는 2023년 현재, 연 2회 설정되어 있다.
어느 경우든 3일간의 법정 공휴일에 2일간의 대체휴일을 더하고, 주말을 이어 7일 연휴로 하고 있다. 2일간의 대체휴일은 직전의 주말을 이 기간으로 옮긴다.
2007년도까지는 “노동절(5월 1일)부터 시작하는 1주일”도 황금주였지만, 중국 정부의 의향으로 2008년도 이후에는 3일 연휴로 단축되었다. 단, 2009년도에는 광둥성만 7일 연휴가 시행되었다.
5. 지역별 분산 연휴 제안 (일본)
2010년 당시 민주당 정권은 골든위크(춘계)와 실버위크(추계) 연휴를 지역별로 분산하여 설정하는 내용의 공휴일법 개정안을 계획했다.[39]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공휴일이 되는 국민의 공휴일"의 일수를 늘리지 않는다.
- "골든위크와 해피먼데이에 있는 국민의 공휴일"에 대해서는 "기념일"로서의 의미와 "휴일"로서의 의미를 구분하여 생각한다.
- 이러한 "국민의 공휴일"은 기념일로 간주하여 종전의 날짜에 남겨두고, 공휴일 대체 휴일은 5월과 10월에 각각 지역별로 나누어 설정한다.
골든위크는 기본적으로 헌법기념일, 미도리의 날, 어린이날의 3연휴를 하나의 묶음으로, 실버위크는 기본적으로 해피먼데이 해당일인 바다의 날, 경로의 날, 체육의 날을 종전의 날짜에 기념일로 위치 지정하고, 휴일은 문화·스포츠·관광에 적합한 시기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패턴을 계획하고 있었다.[39]
- 해당 휴일을 월요일부터 수요일로 분배함으로써, 토요일, 일요일을 포함한 5연휴를 각 지역 1주씩, 전체 5주 확보하는 방안(패턴 A)
- 지역별로 월요일부터 수요일 또는 수요일부터 금요일에 분배하여, 토요일, 일요일(전자 전주, 후자 당해 주)을 포함한 5연휴를 전체 2주 반 확보하는 방안(패턴 B)
주 | 토요일 | 일요일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
제1주 | 규슈오키나와·중국·시코쿠 지방의 휴일 | colspan="2" rowspan="5" | | |||||
제2주 | 킨키 지방의 휴일 | ||||||
제3주 | 주부·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휴일 | ||||||
제4주 | 남칸토 지방의 휴일 | ||||||
제5주 | 북칸토·도호쿠·홋카이도 지방의 휴일 |
제1주 | 제2주 | 제3주 | ||||||||||||||||||
---|---|---|---|---|---|---|---|---|---|---|---|---|---|---|---|---|---|---|---|---|
토요일 | 일요일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토요일 | 일요일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토요일 | 일요일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규슈 오키나와·중국 시코쿠 지방의 휴일 | colspan="16" | | |||||||||||||||||||
colspan="4" | | 킨키 지방의 휴일 | colspan="12" | | ||||||||||||||||||
colspan="7" | | 주부·호쿠리쿠 신에쓰 지방의 휴일 | colspan="9" | | ||||||||||||||||||
colspan="11" | | 남칸토 지방의 휴일 | colspan="5" | | ||||||||||||||||||
colspan="14" | | 북칸토·도호쿠·홋카이도 지방의 휴일 | colspan="2" | |
그러나 일본 국내이면서 지역에 따라 평일과 휴일이 다름으로써 상거래나 금융 시스템 등의 경제 활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 원거리의 독신 부임자가 귀성해도 현지에서는 평일이기 때문에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40]
참조
[1]
웹사이트
Do Not Come To Japan This Week
https://kotaku.com/d[...]
[2]
웹사이트
Do Not Come To Japan This Week
https://kotaku.com/d[...]
[3]
웹사이트
Les jours fériés du calendrier japonais
https://www.nippon.c[...]
2015-04-28
[4]
웹사이트
Golden Week
http://www.japan-gui[...]
Japan-guide.com
2009-05-13
[5]
웹사이트
Golden Week in Japan - Japanese Golden Week
https://web.archive.[...]
Gojapan.about.com
1947-05-03
[6]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ウィーク – 語源由来辞典
http://gogen-allguid[...]
Gogen-allguide.com
2004-04-27
[7]
웹사이트
「国民の祝日」について
https://www8.cao.go.[...]
2021-02-23
[8]
뉴스
Government to designate May 1, day of new Emperor's accession, as public holiday, creating 10-day Golden Week in 2019
https://www.japantim[...]
2018-10-12
[9]
웹사이트
「ステイホーム週間」初日の各地 "ゴルフ"やパチンコ店は大勢の人
https://web.archive.[...]
Fuji News Network
2020-04-26
[10]
웹사이트
「STAY HOME 週間」ポータルサイト|東京都
https://web.archive.[...]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2020-04-26
[11]
웹사이트
Coronavirus Cases in Japan by Prefecture
https://www.nippon.c[...]
2020-04-27
[12]
웹사이트
「ステイホーム週間」初日 都内の商店街では自主休業
https://www3.nhk.or.[...]
NHK
[13]
웹사이트
大阪府立学校 来月8日まで休校|NHK 関西のニュース
https://www3.nhk.or.[...]
NHK
2020-04-27
[14]
웹사이트
Takatsuki Jazz Street Festival
https://jp.alongwalk[...]
2022-03-01
[15]
웹사이트
2021 Fuji 500km Preview: The Golden Week Tradition Returns!
http://www.dailyspor[...]
2021-05-02
[16]
웹사이트
黄金週間(オウゴンシュウカン)とは
https://kotobank.jp/[...]
2023-03-30
[17]
웹사이트
[18]
웹사이트
[19]
웹사이트
[20]
웹사이트
[21]
서적
獅子文六の二つの昭和
朝日新聞出版
[22]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ウィーク
http://gogen-allguid[...]
[23]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ウイーク」「大型連休」どちらを使う?
https://www.nhk.or.j[...]
NHK放送文化研究所
2020-08-02
[24]
서적
東海道新幹線
JTBパブリッシング
2000-08-01
[25]
보도자료
祝日等における郵便物等の配達
https://www.post.jap[...]
日本郵便
2018-09-16
[26]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ウィーク期間中における郵便物等の配達
https://www.post.jap[...]
日本郵便
2016-04-01
[27]
웹사이트
祝日等における郵便物等の配達
http://www.post.japa[...]
日本郵便
2018-02-21
[28]
웹사이트
来春の10連休中に配達日 日本郵政「保管場所ない」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04-17
[29]
웹사이트
祝日等における郵便物等の配達
https://www.post.jap[...]
日本郵便
2019-04-17
[30]
웹사이트
2021年10月から郵便物(手紙・はがき)・ゆうメールのサービスを一部変更します。
https://www.post.jap[...]
日本郵便
2023-05-08
[31]
웹사이트
2023年度の祝日等における郵便物等の配達
https://www.post.jap[...]
日本郵便
2023-05-08
[32]
뉴스
GW:不況下、喜び半分? 生産調整で最長12日 人出97万2000人予想 /宮崎
http://mainichi.jp/a[...]
毎日jp
2009-04-24
[33]
웹사이트
「国民の祝日」について
https://www8.cao.go.[...]
[34]
웹사이트
2019年に10連休、国会で成立 新天皇即位の日を1年限りの祝日に
https://nlab.itmedia[...]
2018-12-09
[35]
웹사이트
ATMの残高不足回避=10連休対応、政府が更新
https://web.archive.[...]
2019-04-16
[36]
웹사이트
2019年4月27日から5月6日までの10連休における各都道府県の医療提供体制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37]
뉴스
5月1日 婚姻届増見込み臨時開庁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04-18
[38]
웹사이트
市場開場日・休業日年間カレンダー
http://www.shijou.me[...]
東京都 豊洲市場
[39]
웹사이트
休暇分散パターン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40]
웹사이트
大迷惑!メリットどこ? 「休日分散化案」世紀の愚策か
http://www.zakzak.co[...]
zakzak
2010-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