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곰탕은 소의 뼈나 고기를 오랫동안 끓여서 만든 국이다. 고려 시대에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몽골식 조리법을 통해 유래되었으며, 맹물에 고기를 넣고 끓인 '슈루'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곰탕은 재료에 따라 사골 곰탕, 꼬리곰탕, 토란곰탕 등으로 나뉘며, 설렁탕, 갈비탕, 육개장 등도 곰탕의 종류에 속한다. 지역별로 서울의 설렁탕, 현풍 곰탕, 나주 곰탕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국 - 추어탕
추어탕은 미꾸라지를 삶아 뼈를 제거하고 고추장, 된장, 채소를 넣어 끓인 한국의 전통 음식이며, 지역에 따라 조리법과 부재료에 차이가 있다. - 한국의 국 - 대구탕
대구탕은 대구를 주재료로 하여 끓인 탕으로, 경상도의 대표적인 음식이며 부산광역시 가덕도의 대구탕이 유명하다. - 한국의 쇠고기 요리 - 불고기
불고기는 얇게 썬 쇠고기를 간장 양념에 재워 굽거나 끓여 먹는 한국의 대표 음식이며, 고구려 시대 맥적에서 유래되어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다. - 한국의 쇠고기 요리 - 떡갈비
떡갈비는 다진 고기를 양념하여 빚어 구운 한국 요리로, 떡과 비슷한 모양과 식감에서 유래했으며, 지역 특산물로 자리매김하기도 했지만 궁중 요리라는 설에 대한 근거는 부족하다. - 고기국 - 아히아코
아히아코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스튜로, 쿠바에서는 타이노족 전통 음식으로 여겨지며 지역 축제와 관련 있고, 콜롬비아 보고타에서는 닭고기와 세 종류의 감자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이는 등 각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는 요리이다. - 고기국 - 카울
카울은 웨일스의 국민 음식으로 여겨지는 전통 스튜 요리로, 양고기나 소고기와 제철 채소를 넣어 장시간 끓여 만들며 빵과 치즈를 곁들여 먹고 한국의 곰탕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곰탕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국 |
음식 종류 | 탕 |
주재료 | 쇠고기 뼈, 소꼬리, 머리, 족발, 무릎 연골, 양, 곱창, 양지머리 |
한국어 | |
한국어 표기 | 곰국; 곰탕 |
한자 표기 | (없음); 곰湯 |
로마자 표기 | gomguk; gomtang |
한국어 발음 (IPA) | ; |
조리 정보 | |
최소 조리 시간 | 미상 |
최대 조리 시간 | 미상 |
관련 정보 | |
유사 음식 | 미상 |
2. 유래
고려도경에는 고려 사람들이 사신을 대접하기 위해 양과 돼지를 도살하는데, 네 다리를 묶고 불 위에 던져 넣어 요리한 고기에서 고약한 냄새가 났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를 통해 통일신라 시대까지 육류를 즐겨 먹지 않았던 한민족이 고기 손질 기술이 부족했음을 알 수 있다.[1]
곰탕은 사용되는 재료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고려 이전까지 고기 손질 기술은 크게 발전하지 않았지만, 고려 말 원나라의 지배를 받으며 몽골인으로부터 도살법을 배우게 되었다. 이로 인해 불교에서 신성시하는 동물인 소를 가장 즐겨 먹게 되었다. 고려인은 도살법뿐만 아니라 고기 요리법도 몽골인에게 배웠다.[2]
1768년 몽학훈장 이억성이 간행한 《몽어유해》에서는 "몽골에서는 맹물에 고기를 넣고 끓인 것을 공탕(空湯)이라 적고 '슈루'라 읽었다"고 한다. 슈루는 오늘날의 곰탕이나 설렁탕처럼 맹물에 고기를 넣고 삶는 조리법으로 끓인 국과 비슷한 것으로 여겨진다.[3]
3. 종류
종류 설명 꼬리곰탕 소의 꼬리로 만든다.[7] 사골곰탕 소의 다리 뼈를 고아 만든다. 토란곰탕 소 양지 부위에 토란을 넣고 끓인다. 설렁탕 소 사골을 10시간 이상 끓여 국물이 뽀얗게 우러난 탕으로, 소면과 쇠고기 편육을 넣어 먹는다. 파와 후추를 양념으로 사용하며, 국수 대신 밥을 넣어 먹기도 한다.[8] 갈비탕 갈비로 만든다. 육개장 매운 양념을 추가한다. 도가니탕 소 무릎 연골이 추가된다. 추포탕 잘게 간 들깨를 넣는다.[9] 삼계탕 인삼, 찹쌀, 대추, 마늘, 밤을 넣은 닭고기 요리이다. 가물치 곰탕 가물치와 찹쌀, 생강, 인삼, 대추로 만든다. 감자탕 돼지 뼈, 감자, 고추로 만든 매운탕이다. 주문진 물곰탕 주문진 지역 음식으로, 곰치, 김치, 파로 만든다.[10] 현풍 곰탕 현풍 지역 곰탕으로, 소꼬리, 양지, 소 발, 내장으로 육수를 만든다.[5] 나주 곰탕 나주 지역 곰탕으로, 발꿈치살과 양지를 육수에 넣는다.[6]
3. 1. 재료별
3. 2. 지역별
참조
[1]
웹사이트
곰-국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2-15
[2]
웹사이트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http://www.korean.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4-07-30
[3]
웹사이트
Gomguk
http://100.nate.com/[...]
[4]
웹사이트
Gomtang
http://100.nate.com/[...]
[5]
웹사이트
Hyeonpung gomtang
http://100.naver.com[...]
[6]
웹사이트
Naju gomtang
http://100.naver.com[...]
[7]
웹사이트
Kkori gomtang
http://100.naver.com[...]
[8]
웹사이트
Seolleongtang
http://100.naver.com[...]
[9]
웹사이트
Chupotang
http://100.naver.com[...]
[10]
웹사이트
Jumunjin mulgomtang
http://gangneung.gra[...]
[11]
웹인용
현풍곰탕
https://terms.naver.[...]
2019-05-13
[12]
웹인용
나주곰탕
https://terms.naver.[...]
2019-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