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 (단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貫)은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화폐 단위로, 엽전 묶음이나 지폐의 액면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1관이 1000개의 엽전에 해당했으며, 지폐에서도 액면가로 사용되었다. 송나라 시대에는 지폐 교자가 발행되었고, 원나라에서는 지폐가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엽전과의 교환 가치를 잃었다. 명나라와 청나라에서도 지폐에 관이 사용되었으며, 중화민국 초기에도 지폐와 장표에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무게 단위로도 사용되었으며, 1관은 약 3.75kg에 해당한다. 서양의 기록에서는 엽전 묶음의 무게와 운반의 어려움에 대한 묘사가 있으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도 엽전 묶음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척관법 - 자 (단위)
척(尺)은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길이 단위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길이가 다양하게 변화했으며, 현재는 중국 등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 척관법 - 되
되는 동아시아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부피 단위로, 일본에서 다이호 율령 시기부터 사용되어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크기로 존재했으며, 에도 시대 신쿄 되가 표준으로 사용되다 메이지 시대 미터법에 따라 크기가 정의되었으나 현대에는 사용이 금지되었고, 일본 문화에서 번성을 기원하는 상징으로도 활용되었다. - 질량의 단위 - 킬로그램
킬로그램은 질량의 SI 단위로, 2019년 5월 20일부터 플랑크 상수를 기반으로 재정의되어 더 이상 국제 킬로그램 원기에 의존하지 않는다. - 질량의 단위 - 원자 질량 단위
원자 질량 단위는 원자 및 분자 질량 측정 단위로, 과거 amu로 불렸으나 탄소-12 원자 질량의 1/12을 기준으로 하는 통일 원자 질량 단위(u)로 정의되었고, 현재는 달톤(Da)과 함께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관 (단위) | |
---|---|
화폐 단위 | |
명칭 | 관 (貫), 삭 (索), 민 (緡), 繦 (qiǎng), 鏹 (qiāng) |
베트남어 명칭 | cưỡng (繦/鏹) |
다른 명칭 | 吊 (diào) 串 (chuàn) 錢貫 (qián guàn) 貫錢 (guàn qián) |
베트남어 다른 명칭 | quán tiền |
문 (文) 관련 명칭 | 貫文 (guàn wén), 吊文 (diào wén), 串文 (chuàn wén) |
프랑스어 명칭 | Ligature de sapèques (사페크 묶음) |
설명 | 일반적으로 1000 문 (文)이지만, 시기와 장소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로마자 표기 | 관: Gwan 삭: Sak 민: Min 찬: Chan 댱: Dyang |
개요 | |
정의 | 관 (貫)은 중국, 한국, 일본, 류큐 왕국, 베트남에서 사용된 역사적인 화폐 단위임. |
가치 | 꿰미에 꿴 동전의 수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1,000개의 동전 (文)을 의미함. |
꿰는 방법 | 동전을 꿰는 데 사용되는 끈을 민 (緡)이라고 함. |
역사 및 사용 | |
사용 목적 | 상인들은 종종 돈을 꿰어 휴대하고 보관했음. |
엽전 상점 | 엽전 상점 (錢鋪, qiánpù)에서 엽전을 꿰는 것이 일반적이었음. |
엽전 꿰미 | 꿰어진 엽전 꿰미 (串, chuàn)는 표준화된 가치를 가졌음. |
종류 | |
경전 (京錢, Jīngqián) | 수도에서 사용되는 돈 |
중전 (中錢, Zhōngqián) | 일반적인 돈 |
동전 (東錢, Dōngqián) | 특정 지역에서 사용되는 돈 |
지역별 사용 | |
베트남 | 베트남에서는 뜨득 통보 (嗣德寶鈔) 지폐가 발행되었으며, quán (貫) 단위로 가치가 매겨졌음 (準當一貫, chuẩn đang nhất quán). |
2. 역사적 배경
진나라 이전 중국에서는 조개 껍질과 청동 조개 껍질을 사용했으며, 이를 貝|패중국어로 표시하고 조개 껍질 묶음을 朋|붕중국어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현재 朋|붕중국어에 貝|패중국어가 얼마나 있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
2. 1. 엽전 묶음의 기원
진나라 이전 중국에서는 조개 껍질과 청동 조개 껍질을 사용했으며, 이는 貝|패중국어로 표시되었고, 조개 껍질 묶음을 朋|붕중국어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현재 朋|붕중국어에 貝|패중국어가 얼마나 있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2. 2. 청나라 시대의 엽전 묶음
청나라 시대에는 다양한 수의 동전이 묶여 한 묶음의 동전을 이루었다.[17] 1 '관'(串)은 1000 '문(文)'에 해당했다. '조'(吊)는 지역과 시대에 따라 1000문, 500문, 50문 등 다양한 값을 가졌다.그러나 실제 유통 과정에서 중국 역사 전반에 걸쳐 동전은 각 100개의 동전 10묶음으로 묶였으며, 이 묶음들은 각 묶음 사이에 매듭으로 구분되었다.[18] 청나라 시대에는 동전 묶음에 실제로 1000개의 동전이 들어있는 경우는 드물었고, 보통 950개나 980개 또는 그와 비슷한 수량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수량은 임의적인 형태가 아닌 지역별 선호도에 따른 것이었다.[18] 대도시에서는 전포에서 특정 시장을 위해 특정한 동전 묶음을 만들었다.[18] 당시 중국에는 이전 왕조의 오래된 중국 동전(古錢), 한국 동전, 일본 동전(倭錢), 베트남 동전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동전이 유통되었고, 정품 청나라 동전, 위조 동전(불법 사주 주조 동전 등) 등도 존재했기에 전포가 있었다.[18] 이러한 묶음 중 일부는 순수한 지전으로만 구성되었고, 다른 묶음은 30%에서 50%의 위조 동전과 중량 미달 동전으로 구성되기도 했다.[18] 묶음 내의 실제 동전 수와 위조 동전의 비율은 사용된 매듭의 종류에 따라 그 도시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졌다.[18] 이러한 각기 다른 종류의 동전 묶음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했다.[18] 예를 들어, 한 동전 묶음은 지역 곡물 시장에서 사용이 가능했지만 육류 시장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고, 다른 종류의 묶음은 두 시장 모두에서 사용 가능했지만 세금 납부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18] 전포에서는 모든 동전을 매우 구체적인 범주로 분류한 다음 특정 시장에서 사용하거나 정부에 세금을 납부하기 위한 적절한 종류의 묶음을 만들었다.[18]
3. 지폐
송나라 시대에 최초의 정부 지폐인 교자가 발행된 이후,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를 거쳐 중화민국 초기까지 '관'은 지폐의 액면 단위로 사용되었다. 14세기 초부터 16세기 초까지 일본에서도 로 알려진 지폐가 거래 등에 사용되었는데, 대부분 10 (10,000 문, 또는 1,000개의 구리 동전 10묶음)의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28]
3. 1. 송나라의 지폐
송나라 시대에는 1024년에 최초의 표준 정부 지폐인 교자가 발행되었다. 1관(貫)은 700문(文)에 해당했다. 회자 역시 이러한 통화 단위를 사용했다. 1161년에서 1166년 사이에 송나라 정부는 28,000,000관(貫)에 해당하는 회자 지폐를 발행했다.[19] 관자와 구리 엽전 간의 환율은 1관(貫)당 770문(文)이었다.[20][21][22]남송 시대 말기에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회자의 가치가 하락하여 1관(貫)이 300에서 400개의 엽전으로만 인정되었고, 이로 인해 사람들이 엽전을 축적하는 현상이 발생했다.[23]
3. 2. 원나라의 지폐
몽골 제국은 교초 지폐에 '관'(貫) 통화 단위를 사용했지만,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이러한 통화는 실제 엽전과 교환할 수 없게 되었다.[24][25][26][27] 몽골 통치 하에서는 비지폐 형태의 통화가 폐지되었다.[24][25][26][27]3. 3. 명나라와 청나라의 지폐
명나라는 대명보초라는 지폐를 사용했는데, 이 지폐의 액면가 단위로 '관'을 사용했다.[29][30] 1관 대명보초 지폐는 원래 구리 합금 엽전 1,000개와 같은 가치를 가졌다. 크기는 36.4cm×22cm로, 중국에서 만들어진 지폐 중 가장 컸다. 지폐 디자인 중앙에는 엽전 묶음(錢貫|전관중국어) 그림이 있어 가치를 나타냈다.대명보초 지폐 하단에는 (中書省|중서성중국어, '비밀 궁정')에서 발행했으며 구리 합금 엽전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유효한 화폐이고, 위조하면 처벌받고 위조 사실을 알리면 큰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처음에는 엽전과 함께 사용되었지만, 대명보초는 불환 화폐가 되어 나중에는 실제 엽전으로 바꿀 수 없게 되었다.[31]
청나라에서는 사적으로 만든 지폐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지역마다 ''Zhuangpiao'' (莊票|장표중국어), 憑帖|빙첩중국어), 兌帖|태첩중국어), 上帖|상첩중국어), 壺瓶帖|호병첩중국어), 또는 期帖|기첩중국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사용된 액면가는 5 吊|조중국어)까지 매우 다양했다.[14]
3. 4. 중화민국의 지폐
중화민국 초기에는 '관문'(串文)과 '조문'(吊文) 통화 단위가 여전히 지폐와 장표(莊票)에 사용되었다.[32] 호북성 은행(湖北官錢局)은 장즈동이 설립한 지방 정부 소유의 전장(錢莊)으로, 1927년까지 호북관표(湖北官票)로 알려진 테일과 '관'(串)으로 표시된 자체 지폐를 발행했다.[33]4. 대나무 부절
187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장쑤성, 저장성, 산둥성 등 중국 일부 지역에서 유통된 대나무 부절은 "엽전 묶음"을 통화 단위로 사용했지만, "일반" 엽전으로 지급되지 않을 것이라는 추가적인 문구를 포함하고 있었다.[34][35] 예를 들어, "串錢壹仟文|Chuàn qián yīqiān wén|엽전 1,000문 묶음중국어"이라는 문구가 있는 대나무 부절은 이를 상환할 경우 10문(文)짜리 대전(大錢)으로 지급된다는 추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었다. 이 대나무 부절은 10문(文)짜리 대전 100묶음으로 지급되었을 것이다.[34]
많은 대나무 부절에는 액면가 아래에 해당 부절이 명시된 (명목) 가치를 가질 만한 신뢰할 수 있는 것임을 나타내는 "信號|xin hao|보증중국어" 표시가 있었다.[34]
어떤 종류의 엽전이 지급될지를 나타내는 또 다른 방법은 대나무 부절 상단 구멍 아래에 10문(文)이라는 문구가 있는지 보는 것이었다.[34] "串錢貳百文|Chuàn qián èrbǎi wén|엽전 200문 묶음중국어"과 같은 문구는 1문(文)짜리 엽전 200문 대신 10문(文)짜리 엽전 20문 묶음으로만 지급하면 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발행 당국은 당시 중국에서 사용했던 "토큰" 화폐 개념 때문에 이렇게 했다.[34] 청나라 함풍제 시대부터 높은 액면가를 가지면서도 내재 가치는 낮은 액면가 동전보다 약간 더 가치 있는 대전을 제조하기 시작하면서, 대나무 부절 발행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해당 대나무 부절이 약속된 상환 가치보다 더 높은 가치를 가졌기 때문이었다.[34]
일반적으로 이 지역의 대나무 부절은 항상 상환되지는 않았으며, 지역 주민들이 대나무 토큰의 가치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는 한 일종의 대체 통화로 해당 지역에서 계속 유통되었다. 이는 부절 발행으로 얻은 이익이 발행 당국에 귀속되는 결과로 이어졌다.[34] 대나무 부절이 상환될 경우, 상환자는 대나무 부절 명목 가치의 훨씬 적은 양의 청동 또는 황동을 받게 되었다.[34]
5. 일본의 관(貫)
송나라 시대에 최초의 표준 정부 교자 지폐가 1024년에 발행되었으며, 1 貫|관중국어 (또는 700 문), 1 緡|민중국어 (또는 1000 wén|문중국어), 최대 10 貫|관중국어과 같은 액면가가 있었다. 1039년에는 5 貫|관중국어 및 10 貫|관중국어 지폐만 발행되었으며, 1068년에는 모든 유통 교자 지폐의 40%를 차지하는 1 貫|관중국어 액면가가 도입되었다.[19] 회자 역시 이러한 통화 단위를 계속 사용했다.
명나라에서는 대명보초도 액면가로 貫|관중국어을 계속 사용했다.[29][30] 1 貫|관중국어 대명보초 지폐는 원래 1,000개의 구리 합금 엽전에 해당했으며 크기는 36.4cm×22cm로, 중국에서 생산된 가장 큰 지폐였다. 디자인 중앙에는 그 가치를 나타내기 위해 엽전 묶음(錢貫|전관중국어)의 이미지가 있었다.
청나라의 사적으로 생산된 지폐는 중국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전국 각지에서 ''Zhuangpiao'' (莊票|장표중국어), Pingtie|평첩중국어, Duitie|태첩중국어, Shangtie|상첩중국어, Hupingtie|호병첩중국어, 또는 Qitie|기첩중국어)과 같은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사용된 액면가는 5 diào|조중국어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했다.[14]
중화민국 초에는 chuàn wén|관문중국어과 diào wén|조문중국어의 통화 단위가 여전히 지폐와 zhuangpiao|장표중국어에 사용되었다.[32]
5. 1. 무게 단위로서의 관
관(貫, 貫|칸일본어), 또는 관목(貫目, )은 일본의 단위로 양식 진주의 무게를 재는 데 사용된다.[36] 1관은 1,000 몬메(匁) 또는 3.75kg에 해당한다.[36] 1891년 일본 계량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제정되었으며,[36] 오늘날에도 양식 진주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위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다.[36]5. 2. 화폐 단위로서의 관
14세기 초부터 16세기 초까지 일본에서는 로 알려진 지폐가 거래, 결제, 원격 지역 간의 자금 이전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사이후 지폐의 대부분은 10 (10,000 문, 또는 1,000개의 구리 동전 10묶음)의 가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일반 대중에게도 유통되었다.[28]
6. 서양의 기록
청나라와 응우옌 왕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시대의 기록을 통해 서양에서도 엽전 묶음, 즉 '관'과 관련된 여러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의 자전거 선수 윌리엄 삭트레벤은 1892년 굴자에서 베이징까지 자전거 여행을 준비하면서 엽전 묶음을 운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기록했다. 그는 3,000마일이 넘는 여행에 필요한 중국 돈의 무게가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 삭트레벤은 중국 내륙에는 엽전을 환전해 주는 은행이 없었고, 모든 것은 무게를 달아 가치를 매겨야 했으며, 그 가치는 지역마다 달랐다고 설명했다.[37][38] 결국 삭트레벤과 러시아 영사는 엽전 묶음을 은화로 교환했지만, 그 돈의 무게는 여전히 카메라 장비보다 무거웠다.[37][38]
영국 탐험가 이자벨라 버드는 18실링(영국)을 놋쇠 엽전으로 환전했는데, 그 무게가 약 32.66kg에 달해 쿨리들이 짊어져야 했다고 기록했다.[39]
프랑스령 프랑스령 코친차이나 식민지 시대에 중국 사페크(리로 알려짐)는 도박장에서 카지노 토큰으로만 사용되었으며, 청나라와의 무역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다른 구매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샤를르 르미르는 사페크프랑스어 묶음의 무거운 성질과 이동의 어려움을 "스파르타의 리쿠르고스에 어울리는 화폐"이자 non numerantur, sed ponderanturla ("그것은 세는 것이 아니라 무게를 잰다")라고 묘사했다.[18]
6. 1. 청나라 시대
청나라 시대에는 다양한 수의 동전이 묶여 한 묶음을 이루었다.[17] 1 串|chuàn중국어은 1000 문(文)과 같았고, 1 대도시 吊|diào중국어는 1000 대도시 동전(京錢) 또는 "표준 동전"(制錢, 1853년 이전) 500개, 혹은 "큰 동전"(大錢, 1861년 이후) 50개와 같았다.[17]그러나 실제 유통 과정에서는 동전 100개씩 10묶음으로 묶고 각 묶음 사이에 매듭으로 구분했다.[18] 청나라 시대에는 동전 묶음에 실제로 1000개의 동전이 들어있는 경우는 드물었고, 보통 950개나 980개 정도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지역별 선호도에 따른 것이었다.[18] 대도시에서는 전포에서 특정 시장을 위해 특정한 동전 묶음을 만들었다.[18] 당시 중국에는 이전 왕조의 오래된 중국 동전(古錢), 한국 동전, 일본 동전(倭錢), 베트남 동전 등 다양한 종류의 동전이 유통되었고, 정품 청나라 동전, 위조 동전 등도 존재했기에 전포가 필요했다.[18]
미국 자전거 선수 윌리엄 삭트레벤은 1892년 굴자에서 베이징으로 자전거 여행을 준비하면서 엽전 묶음 운반의 어려움을 언급했다. 그는 3천 마일이 넘는 여행에 필요한 중국 돈의 무게가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였다고 말했다. 삭트레벤은 중국 내륙에는 엽전을 환전해주는 은행이 없었고, 모든 것은 무게를 달아 가치를 매겨야 했으며, 그 가치는 지역마다 달랐다고 설명했다.[37][38] 결국 삭트레벤과 러시아 영사는 엽전 묶음을 은화로 교환했지만, 그 돈의 무게는 여전히 카메라 장비보다 무거웠다.[37][38]
영국 탐험가 이자벨라 버드는 18실링(영국)을 놋쇠 엽전으로 환전했는데, 그 무게가 약 32.66kg에 달해 쿨리들이 짊어져야 했다고 기록했다.[39]
6. 2. 응우옌 왕조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프랑스령 프랑스령 코친차이나 식민지 시대에 중국 사페크(리로 알려짐)는 도박장에서 카지노 토큰으로만 사용되었으며, 청나라와의 무역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다른 구매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일반적인 환율은 1000 리 = 1 랑 = 7.50 프랑스 프랑이었다. 당시 프랑스령 코친차이나에서 유통된 사페크프랑스어는 아연으로 만들어졌으며, 1000개의 아연 사페크프랑스어 또는 600개의 구리 합금 사페크프랑스어를 묶을 수 있는 독특한 사각형 중앙 구멍이 있었다. 이 묶음은 베트남어로 quán tiền|관전vi이라고 불렸고, 프랑스어로는 ligatures프랑스어 또는 chapalets프랑스어라고 불렸다. 각 묶음은 60개의 사페크프랑스어로 구성된 10개의 tiền|전vi으로 세분되었으며, 이 동전은 무게보다는 수량으로 가치를 매겼다. 이 동전들은 일반적으로 당시 응우옌 왕조 통치자의 연호를 특징으로 했으며, 합금이 좋지 않아 제조 상태가 매우 좋지 않아 묶음이 자주 끊어졌다. 많은 사페크프랑스어가 부서져 소유자에게 상당한 손실을 입혔다. 샤를르 르미르는 사페크프랑스어 묶음의 무거운 성질과 이동의 어려움을 "스파르타의 리쿠르고스에 어울리는 화폐"이자 non numerantur, sed ponderanturla ("그것은 세는 것이 아니라 무게를 잰다")라고 묘사했다.[18]프랑스에게 아연 주화는 1859년 코친차이나 식민지화 이후에도 큰 불편함을 초래했는데, 프랑스 프랑과 아연 뜨득 통보văn|문vi 사이의 교환은 막대한 양의 아연 동전이 프랑스 프랑과 교환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아연 주화는 운송 중에 종종 부서졌는데, 동전을 함께 묶어두는 묶음이 자주 끊어졌기 때문이다. 동전들은 땅에 떨어져 많은 수가 조각으로 부서졌다. 이 동전들은 또한 산화에 덜 강하여 다른 주화보다 더 빨리 부식되었다.[18]
7. 속어
20세기 초 선떠이 성 속어에서 엽전 1관은 '로이'(Lòi)라고 불렸다. 19세기 말 사이공 하층민들이 사용하던 속어에서는 '꿰'(Què)와 '꿰'(Quẻ)가 '관'(Quán)의 줄임말로 사용되었다.[14]
참조
[1]
웹사이트
Weights and units in Chinese coinage
http://chinesecoins.[...]
Chinesecoins.lyq.dk
2018-02-05
[2]
웹사이트
From Cards to Tiles: The Origin of Mahjong(g)’s Earliest Suit Names
https://www.themahjo[...]
The Mahjong Tile Set
2018-02-05
[3]
웹사이트
zhiqian 制錢, standard cash
http://www.chinaknow[...]
2016-05-25
[4]
간행물
Money and Monetary System in China in 19-20th Century: an Overview
http://personal.lse.[...]
Department of Economic History -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12-01-05
[5]
서적
Family, Fields, and Ancestors: Constancy and Change in China's Social and Economic History, 1550-1949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6]
서적
Village Life in China: A study in sociology
Fleming H. Revell Company
1899
[7]
서적
Early Chinese coinage
The American numismatic society, New York
1951
[8]
웹사이트
Stringing Cash Coins.
http://primaltrek.co[...]
2016-09-28
[9]
웹사이트
Guttag’s Foreign Currency and Exchange Guide
https://archive.org/[...]
Guttag Bros. Numismatics New York, U.S.A.
1921
[10]
웹사이트
CURRENCY TYPES AND THEIR FACE VALUES DURING THE TỰ ĐỨC ERA.
http://art-hanoi.com[...]
Art-Hanoi
2018-04-15
[11]
웹사이트
Sapeque and Sapeque-Like Coins in Cochinchina and Indochina (交趾支那和印度支那穿孔錢幣)
https://issuu.com/je[...]
2016-04-20
[12]
서적
The historical Cash Coins of Viet Nam
2004
[13]
논문
Silver, Copper, Rice, and Debt: Monetary Policy and Office Selling in China during the Taiping Rebellion
https://www.academia[...]
Leiden: Brill
2015
[14]
웹사이트
Qing Period Paper Money.
http://www.chinaknow[...]
Chinaknowledge.de
2016-04-13
[15]
웹사이트
Vietnamese Coin - Tu Duc Bao Sao 9 Mach.
http://www.charm.ru/[...]
2001-11-30
[16]
서적
Catalogue des monnaies Vietnamiennes
Bibliotheque Nationale, Paris
1987
[17]
웹사이트
In Search of Power and Credibility - Essays on Chinese Monetary History (1851-1845).
http://etheses.lse.a[...]
Department of Economic History,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2015-03
[18]
서적
Money and Monetary Policy in China 1845-1895
Harvard University
1965
[19]
encyclopedia
jiaozi 交子 and qianyin 錢引, early paper money.
http://chinaknowledg[...]
2016-05-10
[20]
encyclopedia
guanzi 關子, a type of paper money.
http://chinaknowledg[...]
2016-05-10
[21]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Paper Money - History of Chinese Currency
https://www.thoughtc[...]
2017-03-08
[22]
논문
Study of the corrosion from the printing plates of `Guan Zi' by Raman spectroscopy
https://www.research[...]
ResearchGate
2005-12-13
[23]
encyclopedia
huizi 會子, a type of paper money.
http://chinaknowledg[...]
2016-05-10
[24]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Paper Money - History of Chinese Currency
https://www.thoughtc[...]
2017-03-08
[2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aper Money – Part 2: Not Just Noodles.
https://onepercentfi[...]
2017-02-16
[26]
웹사이트
Trade and Currency under the Yuan
https://www.boundles[...]
2014-06-17
[27]
웹사이트
10 March 2015 What Wall Street Can Learn From The Mongol Empire.
http://observer.com/[...]
2015-03-10
[2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Japanese Currency.
https://www.imes.boj[...]
Bank of Japan
2019
[29]
웹사이트
"大明寶鈔"七十年內貶值一百倍說明了什麼?.
http://history.peopl[...]
people.cn
2014-08-19
[30]
웹사이트
Episode 72 - Ming banknote.
http://www.bbc.co.uk[...]
2014
[31]
웹사이트
Paper Money in Premodern China.
http://chinaknowledg[...]
Chinaknowledge
2016-05-10
[32]
웹사이트
嘉德秋拍:增設石長有先生錢莊票收藏專場.
https://hmkcc.hk/%E5[...]
hmkcc.hk
2018
[33]
웹사이트
A City of Commerce and its Native Banks: Hankou Qianzhuang (1800s-1952).
https://www.research[...]
2013-08
[34]
웹사이트
Bamboo Tallies - 錢籌
http://primaltrek.co[...]
2016-11-16
[35]
웹사이트
Bamboo tallies
http://www.charm.ru/[...]
Charm.ru
2018-03-28
[36]
웹사이트
What is a Pearl Momme?
https://www.winterso[...]
2004-04-01
[37]
웹사이트
Cycling Across Imperial China.
http://primaltrek.co[...]
2013-09-06
[38]
서적
Across Asia on a Bicycle - The Journey of Two American Students from Constantinople to Peking
https://commons.wiki[...]
1895
[39]
웹사이트
Carrying Cash in Imperial China.
http://primaltrek.co[...]
2013-07-20
[40]
웹사이트
Saigon-Cholon in 1868, by Charles Lemire
http://www.historicv[...]
2015-12-29
[41]
간행물
CURRENCY TYPES AND THEIR FACE VALUES DURING THE TỰ ĐỨC ERA.
http://art-hanoi.com[...]
Art-Hanoi
[42]
문서
File:L'Argot Annamite - M. A. Chéon (Année 1905, Volume 5, Numéro 1)
https://commons.wiki[...]
[43]
문서
File:L'Argot Annamite - M. A. Chéon (Année 1905, Volume 5, Numéro 1)
https://commons.wik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