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운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운대학교는 1934년 조광운이 설립한 조선무선강습소를 모태로 1987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교이다. 전자·정보 공학 분야에 특성화된 교육 및 연구를 진행하며, 8개의 단과대학과 7개의 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1964년 광운전자공과대학으로 개칭되었고, 이후 광운공과대학을 거쳐 1983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운대학교 - 남대문중학교
남대문중학교는 조광운 박사가 1934년 설립한 조선무선강습소에서 시작하여 전자 공업 분야 기능인 양성에 기여한 사립 중학교로, 1952년 교명 변경 후 1969년 현재 위치로 이전, 2022년까지 총 27,665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광운대학교 - 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
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는 1934년 조선무선강습소로 시작하여 광운대학교와 역사를 같이하며 STEM 분야, 특히 공학 분야를 전문으로 훈련하는 인공지능 분야 특성화 고등학교로, 인공지능컴퓨팅과, 인공지능전기과, 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 전자융합과, 네트워크통신과를 운영하고 축구 선수 장혁진, 하석주, 노행석, 박주호 등을 배출했다. - 서울 노원구의 학교 -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4년제 군사 교육 기관으로, 1946년 개교하여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인·용을 교훈으로 일반 학문, 군사학, 강도 높은 군사 훈련을 통해 정예 육군 장교를 양성하고, 1998년부터 여성 생도 입학을 허용하여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한다. - 서울 노원구의 학교 - 서울동천학교
서울동천학교는 1980년 충현복지학교로 개교하여 서울충현학교를 거쳐 199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학교이다. - 서울총장포럼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총장포럼 -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는 1946년 설립된 조선정치학관을 모체로 하여 1959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서울과 충주에 캠퍼스를 두고 13개 학부와 13개 대학원, 7개 학부와 4개 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 혁신을 위해 노력한다.
광운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광운대학교 |
영문 이름 | Kwangwoon University |
한자 표기 | 光云大學校 |
로마자 표기 | Gwang-un Daehakgyo |
모토 | 근면과 절약을 실천하고, 스스로 일을 찾으라 |
모토 (라틴어) | Practice diligence and economy, Seek thyself a work |
마스코트 | 페가수스 |
설립일 | 1934년 5월 20일 |
개교일 | 1934년 5월 20일 |
종류 | 사립 종합대학 |
설립자 | 조광운 |
총장 | 천장호 |
국가 | 대한민국 |
규모 | 8대학, 7대학원 |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광운로 20 |
웹사이트 | 광운대학교 홈페이지 |
상징 | 비마 |
학교법인 | 광운학원 |
대학 설치 년도 | 1963년 |
창립 년도 | 1934년 |
학교 종별 | 사립 |
설치자 | 학교법인 광운학원 |
본부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447-1 |
학교 현황 | |
전체 학생 수 (2020년) | 13,100명 |
학부생 수 (2020년) | 11,672명 |
대학원생 수 (2020년) | 1,428명 |
학부생 수 (2023년) | 8,447명 |
대학원생 수 (2023년) | 1,361명 |
전임교원 수 (2020년) | 331명 |
겸임교원 수 (2020년) | 108명 |
강사 수 (2020년) | 419명 |
전임교원 수 (2023년) | 323명 |
기타 교원 수 (2023년) | 665명 |
행정 직원 수 (2020년) | 327명 |
기타 | |
재단 이사장 | 조선영 |
2. 역사
광운대학교한국어는 1934년 조광운이 설립한 '''조선무선강습소'''가 모태이다. 1964년 '''광운전자공과대학'''으로 정식 고등교육기관으로 설치되었으며, 1987년 종합대학인 '''광운대학교'''로 승격되었다.[39]
광운대학교의 역사는 창립기, 발전기, 도약기, 성장기로 구분된다.[39]
- 창립기 (1934년~1963년): 조광운이 1934년 설립한 '''조선무선강습소'''에서 1963년 '''동국전자공과대학''' 설립까지의 시기.
- 발전기 (1964년~1986년): 1964년 '''광운전자공과대학'''으로 인가받은 후 1987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기 전까지의 시기.
- 도약기 (1987년~2003년): 1987년 종합대학 승격 이후 2003년까지의 시기.
- 성장기 (2004년~현재): 광운학원 창립 70주년인 2004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
1987년 10월 19일 종합대학으로 승격하였다.[41]
2. 1. 창립기 (1934년~1963년)
조광운이 1934년 설치한 '''조선무선강습소'''가 광운대학교의 모태이다.[39] 1920년경,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 본토로 건너가 근현대 문물의 가치를 알아본 조광운은, 1923년 한반도에 귀국하여 얼마간의 자본으로 전기상회를 설립하였다. 조광운은 전기와 전자제품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을 보고, 관련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기술인력 양성의 필요성에 주목하였고, 1934년부터 상회 내에서 전기와 전파에 대한 자체적인 교육을 시작했는데, 이것이 '''조선무선강습소'''의 시작이다.[40] 일본인 강사까지 초빙하여 체계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했고, 교육과정 기간은 1년으로 했다. 다만, 시대적 여건과 사회적 인식 상, 정식 교육기관급 규모의 교육을 실시하기에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1940년, 강습소를 '''조선무선공학원'''으로 개편한다.[40] 이는 유능한 강사진을 확보하고,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1945년 일제강점기가 해제되고, 정식 교육기관으로 등록을 위해 조광운 등은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1947년 자본을 모아 재단법인을 출연하고, 당해 4월, '''조선무선중학교'''(조선무선초급중학교)를 개교한다.[40] 설립한 학교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법인 역시 규모가 커졌고, 최고교육기관 설립을 꿈꾸던 법인은 1962년, 대학설립 신청을 교육 당국에 제출한다. 당해 3월 31일 설립 허가가 떨어져 현재 광운대학교의 직접적인 모태인 '''동국전자초급대학'''을 설립했다.[40] 학교가 발전함에 따라 현재의 광운대학교 교사 위치에 '''동국전자공과대학''' 설립을 1963년 교육당국에 신청하여 이듬해 설립 허가를 받는다.[40] 이에 따라, 동국전자초급대학은 야간대학으로 전환되어 운영되었으며, 명칭 역시, 동국전자공과대학 병설 동국전자초급대학으로 변경되었다. 병설 초급대학은 이후 동국전자공과대학이 광운전자공과대학으로 변경되고 2년 후인 1966년까지 초급대학으로써 교육에 전념했다.2. 2. 발전기 (1964년~1986년)
광운대학교한국어는 1964년 '''광운전자공과대학'''으로 정식 고등교육기관으로 설치되었으며, 1987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기 전까지 발전기로 구분된다.[39] 1966년부터 3개년 계획을 실시하여 교육기관의 특성화와 고도화를 꾀했으며, 1969년부터 1972년까지 2차 3개년 계획을 실시하여 종합대학으로 발전을 준비했다.[41]1970년부터는 학내 기획실을 설치하고 기존의 3개년 계획을 확장시켜 5개년, 10개년 계획 등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대학 캠퍼스의 시설, 교육과정을 준비하고 대대적인 발전을 도모하였다. 1976년 '''광운공과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1981년 이후 박정희 정부의 유신 조치 등이 해제되는 등 대내외적 승격 요구가 있자, 본격적으로 종합대학 승격을 준비하기 시작한다.[41]
1983년부터 '''광운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학내 자유화 물결에 따라 학생 복지를 위한 조치를 취하고 부조리한 문제점을 청산하기 위해 노력했다.[41]
2. 3. 도약기 (1987년~2003년)
1987년 10월 19일, 교육 당국으로부터 종합대학으로 승격을 허가받고, '''광운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41] 승격 이후, 제2캠퍼스 설치 계획과 발전 계획을 수립하여 학교의 본격적인 도약을 준비했다. 종합대학으로서 해외 대학과의 교류를 확충하고, BK-21사업 등 국책 사업에 선정되는 등 발전 성과가 있었다. 이 외에도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한 학생들의 학내 민주화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대학본부는 학내 부조리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광운대학교의 모태인 조선무선강습소부터, 직접적인 전신인 동국전자공과대학 시절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자·정보통신·공학 분야의 연구력을 이용하여, 정부통신분야의 특성화를 꾀하게 된다. 종합대학 시기에 이루어진 이 시도는 1997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2003년까지 계속되었고, 현재의 광운대학교가 대한민국 정보통신 연구 분야에서 선구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되었다. 한편, 2000년 9월 7일에는 새천년을 맞이하여 신규 UI를 선포했다.[42]2. 4. 성장기 (2004년~현재)
광운학원은 창립 70주년인 2004년부터 현재까지를 '''성장기'''라고 한다.[39] 학교법인 광운학원은 창립 70주년을 맞아 투명하고 공정한 경영으로 학교 발전을 견인할 것을 다짐했다. 광운대학교는 2020년 취·창업 대학평가 종합 10위[43], 2020 라이덴 랭킹(교수 논문의 질 평가인 Leiden Ranking) 상위 1%[44], 2018년 창업 공간 규모 전국 대학 1위[45], 2014~2015 QS 아시아 대학 평가 ICT분야 특성화 56위[46], 2016 삼성전자 임원배출 대학 톱10 대학[47], 2013 서울시내 주요대학 중 취업률 7위[48], 2013 동아일보 청년드림 대학평가 최우수대학[49], 2011~2012 중앙일보 전국 대학 종합평가에서 28위(전임교원 1인당 외부연구비 실적 2위, 논문게재 실적 3년연속 2위)[50]를 차지하는 등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여주었다. 2008년 교육역량강화사업, 2005년 수도권 대학 특성화 지원사업 등 교육부가 실시하는 국책사업에도 지속적으로 선정되어 대학의 경쟁력을 과시했다. 2024년 5월 20일에는 개교 90주년을 맞이하였다.3. 역대 학장 및 총장
광운대학교는 1964년 개교 이래 여러 차례 교명 변경과 함께 성장해왔다. 광운전자공과대학, 광운공과대학, 광운대학 시절에는 학장이 학교를 이끌었으며, 1988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면서 총장 체제가 시작되었다.[41]
초대 학장은 조웅천이며, 1964년부터 1971년까지 재임하였다. 이후 서정홍, 김영권, 전풍진, 양인응, 서국철 학장이 광운대학교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양인응 학장 재임 중에는 광운공과대학에서 광운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었다.[41]
1988년 종합대학 승격 이후 초대 총장으로는 인문사회과학대학 조무성 교수가 임명되었다.[41] 이후 윤성천, 강준길, 박영식, 이상철, 김기영, 천장호, 유지상, 김종헌 총장이 광운대학교를 이끌었다. 천장호 총장은 광운대학교 동문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총장에 임명되었으며, 2024년에 다시 제12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3. 1. 학장
역대 | 이름 | 임기 | 비고 |
---|---|---|---|
광운전자공과대학 학장 | |||
초대 | 조웅천 | 1964년-1971년 | |
제2대 | 서정홍 | 1971년-1972년 | |
제3대 | 김영권 | 1972년-1976년 | |
광운공과대학 학장 | |||
제4대 | 전풍진 | 1976년-1981년 | |
광운대학 학장 | |||
제5대 | 양인응 | 1981년-1985년 | |
제6대 | 서국철 | 1985년-1988년 |
3. 2. 총장
광운전자공과대학, 광운공과대학, 광운대학 시절에는 학장이 임명되다가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1988년, 인문사회과학대학의 조무성 교수부터 총장이 임명되고 있다.광운대학교 총장은 교수 등 교직원의 업무를 감독하고, 교무를 총괄하며 학생을 지도하고 학교를 대표한다. 학교법인 광운학원 이사장이 임명하며, 임기는 4년이다.
역대 | 이름 | 단과대학 | 임기 | 비고 |
---|---|---|---|---|
초대 | 조무성 | 인문사회과학대학 | 1988년-1992년 | |
제2대 | 1992년-1993년 | |||
제3대 | 윤성천 | 정책법학대학 | 1993년-1994년 | |
제4대 | 강준길 | 전자정보공과대학 | 1994년-1997년 | |
제5대 | 박영식 | 인문사회과학대학 | 1997년-2001년 | |
제6대 | 2001년-2005년 | |||
제7대 | 이상철 | 전자정보공과대학 | 2005년-2009년 | |
제8대 | 김기영 | 경영대학 | 2009년-2013년 | |
제9대 | 천장호 | 전자정보공과대학 | 2014년-2018년 | |
제10대 | 유지상 | 전자정보공과대학 | 2018년-2021년 | |
제11대 | 김종헌 | 전자정보공과대학 | 2022년-2023년 | |
제12대 | 천장호 | 전자정보공과대학 | 2024년- |
4. 교육 및 연구
광운대학교는 전자·정보 공학 특성화 교육기관을 모태로 하는 대한민국의 종합대학이다. 전자, 소프트웨어, 공학 계열에 특성화되어 관련 분야 연구와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과거 종합대학의 지위에 걸맞게 자연과학, 인문사회 등 일부 순수학문에 대한 연구와 교육 과정 역시 편제되어 있다.
광운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6개의 특수대학원(경영대학원, 스마트융합대학원, 교육대학원, 환경대학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정보통신대학원, 건설법무대학원)을 설립하여 총 7개 대학원 과정을 설치하고 있다.
2011년을 기준으로 영어 인증 시스템을 도입하고 주요 과목 수업의 33%를 영어로 진행하고 있다. 2011년부터 신입생들은 졸업 전에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중 제2외국어 능력을 인정받아야 한다. 또한 전 세계 대학들과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 미국, 일본, 중국을 포함한 25개국 127개 대학 및 2개 교육 컨소시엄과 학생 교류 프로그램 운영.[9][10]
- 미국 아칸소 대학교와 무제한 학생 교류 협정 체결.
- 중국 칭다오 과학기술대학교와 건축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공동 과정 설립.

4. 1. 학부
광운대학교는 2019년 기준 7개의 단과대학을 설립하여 학부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전자, 소프트웨어, 공학 계열 특성화에 맞춰 교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광운대학교의 전자정보공과대학 및 전자공학과는 대한민국 최초이다.[1] 이는 조선(한국)에 전자공학이라는 학문을 들여온 사람이 화도 조광운 박사이고, 1934년에 설립된 광운대학교의 전신인 조선무선강습소에서 전자공학을 처음 가르쳤다는 의미이다.[1]- 전자정보공과대학
현장 중심의 공학 교육을 제공하며, 21세기를 이끌어갈 실용적이고 창의적이며,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기술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1]
학과 |
---|
전자공학과 |
전자통신공학과 |
전자융합공학과 |
전기공학과 |
전자재료공학과 |
로봇학부 (정보제어, 지능시스템) |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국내 최대 규모의 소프트웨어 관련 단과대학으로, 현대 산업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소프트웨어 융합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1]
학과 |
---|
소프트웨어학부 |
컴퓨터정보공학부 |
정보융합학과 |
- 공과대학
기본적인 이론 지식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현장 적용 가능한 지식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교육과 창의력 개발을 촉진하는 집중적인 실습을 통해 국제적인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1]
학과 |
---|
건축공학과 |
화학공학과 |
환경공학과 |
건축학과 |
- 자연과학대학
‘새로운 지식을 갖춘 독립적이고 자립적인 개인을 육성’하고 ‘실용성, 창의성, 현장 중심 교육을 중시하는 교육 제공’이라는 목표 아래, 사회가 요구하는 학문적 지식과 응용에 대한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사회와 인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훌륭한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학과 |
---|
수학과 |
전자바이오물리학과 |
화학과 |
스포츠레저학과 |
정보콘텐츠학과 (야간) |
- 경영대학
급변하는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이끌어갈 전문 경영인 양성을 목표로 한다.[1]
학과 |
---|
경영학과 |
국제무역학과 (한일무역전공, 한중무역전공) |
- 인문사회과학대학
정보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인문학적 통찰과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래와 사회를 열어갈 리더를 양성하고, 사회 현상을 창의적으로 탐구하고 분석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학과 |
---|
국어국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미디어정보학, 디지털미디어학, 전략적소통) |
산업심리학과 |
동북아문화산업학부 (문화교류, 문화콘텐츠개발) |
- 법과정책대학
한국과 국제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글로벌 인재와 훌륭한 법적 판단력, 행정 능력, 그리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균형 있는 인재를 양성한다.[1]
4. 2. 대학원
광운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 6곳을 설립하여 총 7개 대학원 과정을 설치하고 있다.[16]특수대학원 |
---|
경영대학원 |
스마트융합대학원 |
교육대학원 |
환경대학원 |
상담복지정책대학원 |
정보통신대학원 |
건설법무대학원 |
5. 학생 활동
광운대학교에는 총학생회와 더불어 광운대학교 글로벌 챌린저스, 광운대학교 청소년 로봇 캠프 등의 학생 활동이 있다. 광운대학교 글로벌 챌린저스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라오스, 몽골, 네팔 등에서 활동하는 광운대학교 글로벌 자원봉사단이며, 광운대학교 청소년 로봇 캠프는 2008년부터 시작되었다.
5. 1. 총학생회
41대42대
43대
44대
45대
46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