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레고리오 16세는 1765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까말돌리회 수도사로 활동하며 마우로라는 수도명을 받았다. 1825년 추기경이 되었으며, 외교적 활동을 펼쳤다. 1831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근대화에 반대하며 철도 등 기술 혁신을 거부했다. 교황령의 혼란과 정치적 격변 속에서 여러 회칙을 발표하고,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1846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 벨파스트 세인트 맬러키스 컬리지
    벨파스트 세인트 맬러키스 컬리지는 1833년 윌리엄 크롤리 주교가 설립한 북아일랜드의 가톨릭 학교이며, 32개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으로 장식된 예배당을 갖추고 높은 학업 성취도와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1844년
이름그레고리오 16세
본명바르톨로메오 알베르토 카펠라리
출생1765년 9월 18일
출생지베네치아 공화국, 벨루노
사망1846년 6월 1일
사망지교황령, 로마
직책
교황제254대 로마 교황
임기 시작1831년 2월 2일
임기 종료1846년 6월 1일
선임자비오 8세
후임자비오 9세
성직
서품1787년
주교 서임1831년 2월 6일
주교 서임자바르톨로메오 파카
추기경 임명1826년 3월 13일
추기경 서임자레오 12세
경력
이전 직책카말돌리 수도회 총대리 (1814–1826)
산 칼리스토 성당의 추기경 사제 (1826–1831)
포교성성 장관 (1826–1831)
기타
서명

2. 생애 초기

1765년 9월 18일 카펠라리는 벨루노에서 이탈리아 하위 귀족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프리울리의 페살리스 인근에 있는 작은 마을 출신이었다. 1783년 까말돌리회(베네딕도회의 분파)에 입회하여 베네치아 근처 무라노에 있는 성 미카엘 수도원에 들어가면서 '''마우로'''(Mauro)라는 수도명을 받았다.[1]

1787년 사제 서품을 받은[1] 카펠라리는 1795년 로마로 파견되어 수도회 총장의 보좌관이 되었고, 1799년에는 이탈리아 얀센주의자들의 주장을 반박한 《성좌의 승리》(II Trionfo della Santa Sede)라는 책을 출판하였다.[2] 이 책은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유럽 각국의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배포될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1800년 교황 비오 7세가 설립한 가톨릭 종교 아카데미에 들어가 신학적·철학적인 질문들에 대한 회고록을 제출하기도 했다. 1805년에는 로마 첼리오 언덕 위에 있는 산 그레고리오 마노 알 첼리오 수도원의 아빠스가 되었다.

1809년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로마를 점령하고 교황 비오 7세를 추방시키자, 카펠라리는 이에 반대하여 무라노로 쫓겨났다. 1814년 파도바에 있는 수도원으로 거처를 옮겼다가, 나폴레옹이 최종적으로 패배하고 빈 회의의 결의에 따라 이탈리아 중부에 교황령의 주권이 다시 세워지자 카마돌리회의 총대리로 임명되어 로마로 돌아왔다.[3]

로마로 돌아온 후, 카펠라리는 이단심문 변호사, 포교성성(오늘날 인류복음화성의 전신) 장관 등을 역임했다. 당시 포교성성은 유럽의 비가톨릭 국가들을 포함하여, 스페인 제국에 속한 지역 외의 모든 지역에 대한 전교 활동을 관리하고 있었다.

1825년 3월 21일 교황 레오 12세에 의해 추기경에 서임되었으며,[4] 저지대 국가에 거주하는 가톨릭 신자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조약 협상 대표, 아르메니아 가톨릭 신자들을 대신하는 오스만 제국과의 평화협상 대표로 활동하는 등 외교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다만, 11월 봉기 때 들고 일어난 폴란드 시위대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기도 했는데, 이는 폴란드의 봉기가 프랑스의 가톨릭 왕당파를 지원하려는 러시아니콜라이 1세 황제에게 군대를 돌려 봉기를 진압하도록 원인을 제공했기 때문이었다.[4]

2. 1. 출생과 가문

1765년 9월 18일 카펠라리는 벨루노에서 이탈리아 하위 귀족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프리울리의 페살리스 인근에 있는 작은 마을 출신이었다. 1783년 어린 나이에 그는 까말돌리회(베네딕도회의 분파)에 입회하여 베네치아 근처 무라노에 있는 성 미카엘 수도원에 들어갔다. 수도회에 입회할 때 그는 '''마우로'''(Mauro)라는 수도명을 받았다.[1]

2. 2. 카말돌리회 입회와 수도 생활

1765년 9월 18일 카펠라리는 베네치아 공화국 벨루노에서 이탈리아 하위 귀족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프리울리의 페살리스 인근에 있는 작은 마을 출신이었다. 1783년 어린 나이에 그는 베네딕도회의 분파인 까말돌리회에 입회하여 베네치아 근처 무라노에 있는 성 미카엘 수도원에 들어갔다. 수도회에 입회할 때 그는 '''마우로'''(Mauro)라는 수도명을 받았다.[1] 카펠라리는 신학과 언어학을 공부하며 지적 능력을 키워 나갔으며, 1787년사제 서품을 받았다.[1]

1795년 로마에 파견되어 수도회 총장의 보좌관이 되었다가 1799년에 이탈리아 얀센주의자들의 주장들을 반박한 《성좌의 승리》(II Trionfo della Santa Sede)라는 책을 집필하여 출판하였다.[2] 이 책은 큰 반향을 불러일으켜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유럽 각국의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배포되었다. 1800년 교황 비오 7세가 설립한 가톨릭 종교 아카데미에 들어간 카펠라리는 그곳에서 신학적·철학적인 질문들에 대한 회고록을 제출하였다. 1805년에는 로마 첼리오 언덕 위에 있는 산 그레고리오 마노 알 첼리오 수도원의 아빠스가 되었다.

1809년 카펠라리는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로마를 점령한 후 교황 비오 7세를 추방시키자 이에 반대하였다가 무라노로 쫓겨났다. 무라노에 한동안 지낸 후에 그는 1814년 파도바에 있는 수도원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러다가 나폴레옹이 최종적으로 패배하게 되자 빈 회의의 결의에 따라 이탈리아 중부에 교황령의 주권이 다시 세워졌으며, 카펠라리도 카마돌리회의 총대리에 임명됨에 따라 로마로 귀환하였다.

2. 3. 로마 파견과 저술 활동

1795년 로마로 파견되어 수도회 총장의 보좌관이 되었다. 1799년에는 이탈리아 얀센주의자들의 주장을 반박하는 《성좌의 승리》(II Trionfo della Santa Sede)라는 책을 집필하여 출판하였다.[2] 이 책은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유럽 각국의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배포될 정도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2] 1800년 교황 비오 7세(1800–1823)가 설립한 가톨릭 종교 아카데미에 들어가 신학적·철학적인 질문들에 대한 회고록을 제출하였다.

2. 4. 산 그레고리오 마노 알 첼리오 수도원장

1805년 카펠라리는 로마 첼리오 언덕 위에 있는 산 그레고리오 마노 알 첼리오 수도원의 아빠스(수도원장)가 되었다.[1]

2. 5. 나폴레옹 점령기

1809년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이 로마를 점령하고 교황 비오 7세를 추방시키자, 카펠라리는 이에 반대하여 무라노로 쫓겨났다.[1] 무라노에서 한동안 지낸 후 1814년 파도바에 있는 수도원으로 거처를 옮겼다.[3] 나폴레옹이 최종적으로 패배하고 빈 회의에서 이탈리아 중부에 교황령의 주권이 다시 세워지자, 카펠라리는 카말돌리회의 총대리로 임명되어 로마로 귀환하였다.[3]

2. 6. 추기경 서임

교황 레오 12세는 1825년 3월 21일 카펠라리를 추기경에 서임했다.[4] 이후 카펠라리는 저지대 국가에 거주하는 가톨릭 신자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조약 협상 대표로 활동하며 외교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아르메니아의 가톨릭 신자들을 대신해 오스만 제국과 평화협상을 진행했다. 그는 11월 봉기 때 폴란드 시위대를 공개적으로 비난했는데, 이는 폴란드 봉기가 프랑스의 가톨릭 왕당파를 지원하려는 러시아 니콜라이 1세 황제에게 군대를 돌려 봉기를 진압하도록 원인을 제공했기 때문이었다.[4]

3. 교황 선출

1831년 2월 2일, 64일 동안 진행된 콘클라베에서 카펠라리 추기경이 교황 비오 8세의 뒤를 이어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이는 모두의 예상을 깬 결과였는데, 가장 유력한 교황 후보였던 자코모 주스티니아니 추기경이 스페인의 페르난도 7세 국왕의 반대에 부딪혔고, 엠마누엘레 데 그레고리오 추기경과 바르톨로메오 파카 추기경 간의 교착 상태가 계속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추기경들은 카펠라리 추기경에게 주목하게 되었다.

교황으로 선출될 당시 카펠라리 추기경은 주교품을 받지 않은 상태였다. 그는 교회 역사상 주교 서품을 받지 않은 채 교황으로 선출된 마지막 인물이다.[12] 추기경단에 의해 주교로 서임된 그는 그레고리오 16세라는 새 이름을 선택했는데, 이는 그가 20년 동안 첼리노 언덕의 산 그레고리오 수도원의 아빠스(수도원장)로 지냈기 때문이다.

그레고리오 16세 교황의 1834년 주화

3. 1. 교황령의 혼란과 정치적 격변

1830년 프랑스 혁명으로 부르봉 왕조가 무너지면서 프랑스의 가톨릭 왕당파는 큰 타격을 입었다. 새 프랑스 정부는 안코나를 장악하였고, 이로 인해 이탈리아, 특히 교황령은 혼란과 정치적 소용돌이에 휩싸였다.[7] 당시 이탈리아는 국가 독립과 통일을 위해 주세페 마치니가 이끄는 자유주의적 공화주의 운동과 조베르티와 카포니가 이끄는 신교황주의로 나뉘어 있었다. 신교황주의는 교황청의 지지를 받았지만, 공화주의 운동은 배척당했다. 그러나 정세는 공화주의 운동이 더 우세했다. 교황령에서는 붉은 셔츠 공화당원들로 구성된 유격대와 여러 차례 교전을 벌이며 혼란스러운 상황이 계속되자, 결국 오스트리아의 군사력까지 빌리게 되었다. 당시 보수적이었던 교황청에서는 폭탄 테러와 암살 시도가 끊이지 않자, 교황청은 사람들에게 약속한 개혁을 연기했다. 1836년 교황청 국무원장을 톰마소 베르네티 추기경에서 루이지 람브루스키니 추기경으로 교체했지만, 상황을 진정시키는 데는 역부족이었다.[5]

3. 2. 근대화에 대한 반대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와 국무원장 람브루스키니 추기경은 조명기구와 철도와 같은 기본적인 기술 혁신에 반대하였다. 그들은 교황령에 이러한 현대 문명을 도입하면 교역량이 늘어나 부르주아 계층이 더 강한 권력을 갖게 되고, 자유주의 개혁 요구가 급증하여 교황의 통치력이 약화될 것이라고 우려하였다. 특히 그레고리오 16세는 철도를 이탈리아어로 ‘chemins d'enfer’, 즉 ‘지옥으로 가는 길’(프랑스에서 철도를 ‘철의 길’이라고 부른 것을 풍자한 것)이라고 부르며 강력하게 반대하고 금지하였다고 전해진다.[13]

3. 3. 교황령 통치와 재정

그레고리오 16세와 국무원장 람브루스키니 추기경은 조명 기구와 철도 같은 기본적인 기술 혁신에 반대하였다. 그들은 교황령에 이러한 현대 문명을 도입하면 교역량이 늘어나 부르주아 계층이 더 강한 권력을 갖게 되고, 이는 자유주의 개혁 요구를 급증시켜 교황의 통치력을 무너뜨릴 것이라고 우려하였다. 특히 그레고리오 16세는 철도를 이탈리아어로 ‘chemins d'enfer’, 즉 ‘지옥으로 가는 길’(프랑스에서 철도를 ‘철의 길’이라고 부른 것을 풍자)이라고 부르며 강력하게 반대하고 금지하였다고 전해진다.[13]

1836년 비테르보, 1840년 여러 공관 앞, 1843년 라벤나, 1845년 리미니에서 반란과 소요가 일어났다.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반란자들에 대한 대규모 처형, 중노동형, 국외 추방령 등 강압적이고 공포적인 판결이 내려졌다. 그러나 이러한 사건들에도 불구하고 교황령 전체에 대한 교황권의 통제력은 유지되었다. 그레고리오 16세는 수비 강화와 건축에 많은 투자를 하였고, 안젤로 마이, 주세페 마체오파티, 가에타노 모로니와 같은 학자들을 후원하였다. 그러나 과도한 지출로 인해 교황령의 재정 상태는 악화되었다.

3. 4. 주요 회칙과 활동

1830년 프랑스 혁명으로 부르봉 왕조가 무너지면서 프랑스의 가톨릭 왕당파는 큰 타격을 입었다. 새 프랑스 정부는 안코나를 장악했고, 이로 인해 이탈리아, 특히 교황령은 혼란에 빠졌다. 당시 이탈리아는 주세페 마치니의 자유주의적 공화주의 운동과 조베르티와 카포니의 신교황주의로 나뉘어 있었다. 신교황주의는 교황청의 지지를 받았지만 공화주의 운동은 배척당했다. 그러나 정세는 공화주의 운동에 더 유리했다. 교황령에서 붉은 셔츠 공화당원 유격대와 여러 차례 교전이 벌어지면서 혼란이 계속되자, 결국 오스트리아 군의 도움을 받게 되었다. 교황청은 폭탄 테러와 암살 시도에 대응하여 약속했던 개혁을 연기했다. 1836년 교황청 국무원장을 톰마소 베르네티 추기경에서 루이지 람브루스키니 추기경으로 교체했지만 큰 효과는 없었다.[13]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와 람브루스키니 추기경은 조명기구와 철도 같은 기본적인 기술 혁신을 반대했다. 그들은 이러한 현대 문명이 교황령에 도입되면 부르주아 계층의 권력이 강해져 자유주의 개혁 요구가 커지고, 결국 교황의 통치력이 약화될 것을 우려했다. 그레고리오 16세는 철도를 이탈리아어로 ‘chemins d'enfer’, 즉 ‘지옥으로 가는 길’이라고 부르며 금지했다.[13]

1836년 비테르보, 1940년 여러 공관 앞, 1843년 라벤나, 1845년 리미니에서 반란과 소요가 일어났고, 진압 과정에서 대규모 처형, 중노동형, 추방령 등 강압적인 판결이 내려졌다. 그러나 교황령 전체에 대한 교황권의 통제력은 유지되었다. 그레고리오 16세는 수비 강화와 건축에 많은 투자를 했고, 안젤로 마이, 주세페 마체오파티, 가에타노 모로니 같은 학자들을 후원했다. 하지만 과도한 지출로 교황령의 재정 상태는 악화되었다.

1839년 그레고리오 16세는 대서양 노예 매매를 반대하는 회칙 《In Supremo Apostolatus》를 반포하고, 베로니카 율리아니 수녀를 성녀로 시성했다. 그 외 중요한 회칙으로는 1832년 8월 15일 자유주의와 종교 무차별주의를 비판한 《Mirari Vos》, 1833년 10월 4일 라인란트 헌법에 반대한 《Quo Graviora》, 1834년 6월 25일 프랑스 사제 위그 펠리시테 로베르 드 람네의 신학을 비판한 《Singulari Nos》 등이 있다.[8]

그레고리오 16세는 신학과 전교에 관심이 많아 성 아우구스티노와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가르침을 되살리고자 했다. 여러 대리구를 설정하고 성사 집전을 허용했다. 1831년 9월 9일 천주교 조선 교구를 독립된 교구로 승격시키고, 파리 외방전교회의 브뤼기에르 주교를 초대 교구장 주교로 임명했다. 하지만 브뤼기에르 주교는 병으로 입국하지 못하고, 앵베르 주교가 그 뒤를 이었다. 캐나다에는 교구 네 개를 설정하고 1844년 퀘백 교구를 승인했다. 미국에는 교구 열 개를 세우고 볼티모어 교구를 재조정했다.

1827년 교황청은 종교 자유 선언을 근거로 네덜란드와 정교 협정을 맺고, 1829년 아일랜드의 주교 임명 방식을 정했으며, 프로이센에서 문제된 혼종 혼인에 대해서는 교황 비오 8세의 칙서를 참고했다.

포르투갈에서는 돈 페드루와 돈 미구엘이 왕위를 다투었다. 그레고리오 16세는 돈 미구엘을 지지했으나 돈 페드루가 실권을 잡으면서 교황청과 사이가 멀어졌다. 그러나 주교 임명권은 유지되었고, 점차 정세가 호전되어 교황청 사절단을 파견했다. 돈 미구엘은 로마로 피신하여 그레고리오 16세의 우대를 받았다. 스페인에서는 페르난도 7세가 1833년 서거하자 돈 카를로스와 마리아 크리스티나 사이에 문제가 생겼다. 그레고리오 16세는 교황 사절을 소환하고 교회의 자유와 재산 침해에 대해 항의했다.

프랑스는 1801년에 맺은 정교 협정에 의해 정부가 교회의 권리를 인정했다.

스위스는 1834년 1월 21일 바덴 조항들을 입법화하여 교회를 정부에 예속시키고 교황청의 권리를 제한했다. 교황은 1835년 5월 19일 칙서 《Commissum divinitus》를 통해 교회의 독립을 요구하며 반대했다.[8]

폴란드에서는 러시아 제국 점령 지역에서 가톨릭교회가 박해받았다. 니콜라이 1세 황제는 가톨릭 신자들을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시키기 위해 가톨릭교회를 탄압했다. 나중에 니콜라이 1세가 로마를 방문하여 그레고리오 16세를 알현하고 정교 협정을 맺었지만, 폴란드와 러시아는 그 이후로도 사이가 좋지 않았다.

그레고리오 16세는 1831년 8월 5일 헌장 《Sollicitubo ecclesiarum》을 발표하여 정치적 변화와 관계없이 교황의 영적인 요구는 방해받지 말아야 한다는 원칙을 주장했다.

5년의 재위기간 동안 그는 33명의 하느님의 종을 성인 또는 복자로 시복했으며, 여러 수도회 창설을 인가하거나 지원했다.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이 커서 이를 널리 장려했다.[14]

3. 5. 시성 및 시복

그레고리오 16세는 5년의 재위기간 동안 33명의 하느님의 종성인으로 시성 내지는 시복하였으며, 여러 수도회의 창설을 인가하거나 지원해주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이 컸기 때문에 이를 널리 장려하였다.[14] 1839년에는 이탈리아의 신비가인 베로니카 율리아니 수녀를 성녀로 시성하였다.[13]

그레고리오 16세 재위 기간 동안 알폰소 리구오리를 포함한 다섯 명의 성인이 시성되었으며, 아우구스티노회의 카시아의 시몬을 포함한 33명의 하느님의 종이 복자로 시복되었다.[1] 또한 많은 새로운 가톨릭 수도회가 설립되거나 지원을 받았으며, 신자들의 성모 마리아에 대한 공경심이 증가했다.[1]

3. 6. 죽음

그레고리오 16세는 1846년 6월 1일 안면 단독으로 고생한 끝에 선종하였다.[14] 1846년 5월 20일, 교황은 건강이 악화되고 있음을 느꼈다. 며칠 후, 그는 안면 단독에 걸렸다. 처음에는 그다지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되었지만, 5월 31일 그의 기력이 갑자기 쇠약해지면서 임종이 가까워졌음을 알 수 있었다.[1]

그레고리오 16세는 1846년 6월 1일 오전 9시 15분에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날 아침, 그는 부제의 직을 맡은 아고스티노 프로야로부터 종부성사를 받았다. 장례식 후, 그는 성 베드로 대성당에 안장되었다.[11]

참조

[1] 서적 Pope Gregory XV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5-11-20
[2] 서적 Il trionfo della Santa Sede e della Chiesa: contro gli assalti dei novatori combattuti e respinti colle stesse loro armi https://books.google[...] G. Battaggia
[3] 웹사이트 Biographical notes on Mauro Cappellari http://www2.fiu.edu/[...] 2016-05-10
[4] 웹사이트 Pope Gregory XVI to Bring about a Decision https://web.archive.[...] C Korten 2017-07-13
[5] 서적 A History of the Popes, 1830–1914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Sede Vacante 1830–1831 http://www.csun.edu/[...] 2016-05-10
[7] 웹사이트 Proclama: Chiamati Dalla Divina https://www.vatican.[...] 2024-08-22
[8] 웹사이트 Commissum divinitus http://www.papalency[...] 1835-05-17
[9] 웹사이트 In supremo apostolatus http://www.papalency[...] Papalencyclicals.net 2013-06-23
[10] 웹사이트 Gregory XVI (1831–1846) https://cardinals.fi[...]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2022-02-20
[1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12] 서적 Heirs of the Fisherman
[13] 서적 Money and the Rise of the Modern Papacy
[14] 웹사이트 Pope Gregory XVI https://en.wikisourc[...] Robert Appleton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