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자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자감은 한국, 중국, 베트남, 일본 등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운영되었던 국립 고등 교육 기관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에 개경에 설립되어 유교 경전, 역사, 문학 등을 가르쳤으며, 조선 시대 성균관으로 이어졌다. 중국에서는 서진 시대에 처음 설치되어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발전했으며, 당나라 시대에는 장안과 낙양에 설치되었다. 베트남에서는 리 왕조 시기에 하노이에 설립되어 베트남 최초의 대학으로 기능했으며, 일본에서도 중국의 영향을 받아 국자감이 설치되었다. 각 국의 국자감은 시대와 왕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었으며, 동아시아 교육 제도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고려의 국자감은 992년(성종 11)에 설립된 국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 수도 개경에 위치했다.
서진 무제 때인 276년에 국자(귀족과 관료의 자제) 교육 기관으로 설치되었으나, 실제로 교육 기관으로 기능한 것은 혜제 때인 293년 무렵이며, 당시에는 태상이나 태학의 관할 아래 있었다.[7]
2. 한국의 국자감
2. 1. 고려의 국자감
성종 11년(992년)에 설립된 고려 시대 국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 개경에 위치했다.
3. 중국의 국자감
북제 시대에 국자사로 설치된 이후 교육 행정 관청이자 태상 등으로부터 독립된 조직을 갖추게 되었으며, 수나라 때인 593년에 "국자학", 607년에 "국자감"으로 개칭되었다. 당대 장안에는 국자학(박사 2명, 조교 2명, 오경박사 5명, 학생 300명), 태학(박사 3명, 조교 3명, 학생 500명), 사문학(박사 3명, 조교 3명, 학생 500명, 준사 800명), 율학, 서학, 산학, 광문관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있었고, 이를 통괄하는 행정 기관으로 국자감이 설치되어 국자줏주, 국자사업 등의 직원이 배치되었다. 낙양에도 "동도"라 불린 국자감이 설치되었다. 당대에는 입학 자격에 부조의 품계가 깊이 관련되어, 서민은 준사가 되는 것 외에는 학생이 될 수 없었지만, 송대에는 태학과 사문학까지 입학이 가능하게 되었다.
원대에는 한족의 국자감과는 별도로 몽골인과 서역 출신자를 위한 "몽골국자감"과 "회회국자감"이 설치되었다.
명나라에는 국자감이 교육 행정과 실제 교육을 모두 수행하게 되면서 국자학, 태학, 사문학 등의 교육 기관이 국자감으로 통합되었다. 청나라에는 최고 책임자로 국자감 관리감사대신이 배치되었고, 그 아래에 한족과 만주족 국자줏주가 1명씩 배치되었다. 명대 남경 국자감은 청나라 초에 강녕부학으로 개칭되었다.
청나라 말기에는 태평천국 이후 여러 과정을 거쳐 양강사범학당이 이 자리에 설치되었고, 서양식 건축물이 세워졌다. 중화민국 시대에는 남경고등사범학교가 되었다. 남경고등사범학교는 1921년 국립 동남대학, 1928년 국립 중앙대학으로 개칭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49년 국립 남경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50년부터 남경대학으로 불렸다. 국자감 부지에 있던 것은 공학원이었지만, 1952년 전국적인 대학 조정에 따라 남경대학에서 분리되어 남경공학원이 되었고, 1988년 동남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1. 역사
과거에는 태학(皇室 大學|황실 대학중국어)으로 불렸다. 민간에서 온 공생(공납 학생)을 위한 태학은 귀족 학생을 위한 국자학과 함께 국자감의 일부였다. 태학의 중앙 학교는 기원후 3년에 한나라 평제 치세에 전국적인 표준 학교 시스템이 설립되고 자금을 지원받으면서 설립되었다.[3] 이 기관은 수나라 때부터 국자감으로 알려졌다. 명나라 때 홍무제는 국자감에서 법학, 수학, 서예, 마술, 궁술 연구를 장려했다.[4]
서진 무제의 276년에 국자(귀족・관료의 자제)의 교육 기관으로 설치되었지만, 실제로 교육 기관으로 기능하는 것은 혜제의 293년 무렵의 일이며, 당시에는 태상이나 태학의 관할 하에 있었다.[7]
교육 행정 관청이자 태상 등으로부터 독립한 조직을 가지게 된 것은 북제 시대에 국자사로 설치된 이후의 일이며, 수나라의 593년에 "국자학", 607년에 "국자감"으로 개칭되었다. 당대에는 장안에 국자학(박사 2명・조교 2명・오경박사 5명・학생 300명), 태학(박사 3명・조교 3명・학생 500명), 사문학(박사 3명・조교 3명・학생 500명・준사 800명), 율학・서학・산학・광문관 등의 교육 기관이 있었고, 이를 통괄하는 행정 기관으로 국자감이 설치되어 국자줏주・국자사업 이하의 직원이 배치되었다. 또한, "동도"라고 불린 낙양에도 국자감이 설치되어 있었다. 당대에는 각각 입학하는 자격에 부조의 품계가 깊이 관련되어 있었고, 서민은 준사가 되는 것 외에는 학생이 될 수 없었지만, 송대에는 태학・사문학까지 입학이 가능하게 되었다.
원대에는 한족의 국자감과는 별도로 몽골인과 서역 출신자를 위해 "몽골국자감", "회회국자감"이 설치되어 있었다.
명나라에는 국자감이 교육 행정과 실제 교육을 모두 수행하게 되어, 국자학・태학・사문학 등의 교육 기관이 국자감으로 일원화되었다. 청나라에는 최고 책임자로서 국자감 관리감사대신이 배치되었고, 그 아래에 한족과 만주족의 국자줏주가 1명씩 배치되었다. 명대의 남경 국자감은 청나라 초에는 강녕부학으로 개칭되었다.
1905년에 국자감은 폐쇄되었다. 청나라의 1898년 개혁 동안 국자감의 교육 및 행정 기능은 주로 제국 수도 대학(베이징 제국 대학으로도 번역)으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나중에 현대 베이징 대학이 되었다.
청나라 말기에는 태평천국 이후, 우여곡절을 거쳐 양강사범학당이 이 땅에 설치되었고, 서양식 건축물이 세워졌다. 중화민국 시대에는 남경고등사범학교의 원내가 되었다. 또한 남경고등사범학교는 1921년, 국립 동남대학이 되었고, 1928년에는 국립 중앙대학으로 개칭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는 1949년에 국립 남경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50년부터는 남경대학으로 칭했다. 국자감 부지에 있었던 것은 공학원이었지만, 1952년에는 전국 규모의 원계 조정에 의해, 남경대학에서 분리되어 남경공학원이 되었고, 남경공학원은 1988년, 이름을 동남대학으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2. 위치
중국 역대 왕조의 수도인 장안, 뤄양, 카이펑, 항저우 등에 위치했다. 명나라 초기에는 난징에 국자감이 설치되었다. 이후 명나라는 수도를 두 곳 두었으므로 국자감도 난징과 베이징 두 곳에 설치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국자감이 베이징에 있었다.[5]
3. 3. 베이징 국자감
베이징 국자감은 베이징시 둥청구 국자감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시대의 황실 대학이었다. 현재 건물 대부분은 명나라 시대에 지어졌다.[5] 이곳은 중국의 마지막 국자감이이자 베이징 대학의 전신이었다.
베이징 국자감은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어 있으며, 베이징시의 국자감 거리는 2010년 제1회 "중국 역사 문화 명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4. 베트남의 국자감
베트남에서 국자감(國子監)은 리 인종이 유교 과거제도를 처음 실시한 1년 뒤인 1076년에 문묘 부지에 세워졌다.
4. 1. 역사
리 인종이 최초의 유교 과거제도를 실시한 지 1년 후인 1076년에 국자감(Quốc tử giám|국자감vi)이 문묘 부지에 세워졌다.[6] 이곳은 베트남 최초의 대학으로 1076년부터 1779년까지 존속했다. 1802년, 응우옌 왕조는 후에에 수도를 건설하면서 새로운 수도에 새로운 황립학원을 설립했다. 하노이의 국자감에서 유명한 총장으로는 쯔 반 안, 응우옌 피 칸, 부 미엔 등이 있었다.하노이 시내 문묘에 있는 베트남 최초의 대학은 1076년 이조 제4대 황제 리 냔 톤에 의해 창건되었으며, 항불 전쟁 중인 1946년에 파괴되었고, 2000년에 재건되었다.[9]
4. 2. 유명 총장
쯔 반 안, 응우옌 피 칸, 부 미엔은 하노이 국자감의 유명한 총장이었다.5. 일본의 국자감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일본의 국자감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5. 1. 해설
서진 무제가 276년에 국자(귀족・관료의 자제)를 교육하는 기관으로 설치하였으나, 실제로 교육 기관으로 기능한 것은 혜제 때인 293년 무렵이었다. 당시에는 태상이나 태학의 관할 아래에 있었다.[7]북제 시대에 국자사로 설치된 이후 교육 행정 관청이자 태상 등으로부터 독립된 조직을 갖게 되었다. 수나라 593년에는 "국자학", 607년에는 "국자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당대에는 장안에 국자학(박사 2명・조교 2명・오경박사 5명・학생 300명), 태학(박사 3명・조교 3명・학생 500명), 사문학(박사 3명・조교 3명・학생 500명・준사 800명), 율학, 서학, 산학, 광문관 등의 교육 기관이 있었고, 이를 통괄하는 행정 기관으로 국자감이 설치되어 국자줏주, 국자사업 이하의 직원이 배치되었다. 또한, "동도"라고 불린 낙양에도 국자감이 설치되었다. 당대에는 각각 입학하는 자격에 부조의 품계가 깊이 관련되어 있었고, 서민은 준사가 되는 것 외에는 학생이 될 수 없었지만, 송대에는 태학, 사문학까지 입학이 가능하게 되었다.
원대에는 한족의 국자감과는 별도로 몽골인과 서역 출신자를 위해 "몽골국자감", "회회국자감"이 설치되었다.
명나라에는 국자감이 교육 행정과 실제 교육을 모두 수행하게 되어, 국자학, 태학, 사문학 등의 교육 기관이 국자감으로 통합되었다. 청나라에는 최고 책임자로서 국자감 관리감사대신이 배치되었고, 그 아래에 한족과 만주족의 국자줏주가 1명씩 배치되었다. 명대의 남경 국자감은 청나라 초에 강녕부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청나라 말기에는 태평천국 이후, 여러 과정을 거쳐 양강사범학당이 이 땅에 설치되었고, 서양식 건축물이 세워졌다. 중화민국 시대에는 남경고등사범학교의 원내가 되었다. 또한 남경고등사범학교는 1921년, 국립 동남대학이 되었고, 1928년에는 국립 중앙대학으로 개칭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는 1949년에 국립 남경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50년부터는 남경대학으로 칭했다. 국자감 부지에 있었던 것은 공학원이었지만, 1952년에는 전국 규모의 원계 조정에 의해, 남경대학에서 분리되어 남경공학원이 되었고, 남경공학원은 1988년, 이름을 동남대학으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5. 2. 구지(旧址)・건물
베이징 국자감은 원나라, 명나라, 청나라 3대에 걸쳐 설치되었으며 현재 베이징시 둥청구의 국자감 거리에 있다. 건물은 현재까지 남아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어 있다.[1] 또한, 베이징시의 국자감 거리는 2010년 제1회 "중국 역사 문화 명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참조
[1]
문서
Yuan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02-26
[3]
문서
Yuan
[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02-26
[5]
웹사이트
Guozijian
http://www.geissfoun[...]
James P. Geiss Foundation
2008-08-07
[6]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ization in Vietnam: unintended socio-political impacts of joint programs seen as special free academic zones
https://dulieu.itrit[...]
2016
[7]
논문
西晋における国子学の創立に関する考察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12
[8]
뉴스
歴史ある街並み中国保護へ本腰
毎日新聞
2010-03-15
[9]
웹사이트
ハノイの観光スポット「文廟」は孔子を祀るベトナム最古の大学跡
https://walking-han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