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호는 국가를 나타내는 명칭으로, 한반도에서는 부족명에서 유래한 경우가 많고, 일본은 "해 뜨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일본의 국호는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초에 정해진 것으로 추정되며, '일본'이라는 명칭은 701년 다이호 율령에서 처음 나타난다. 이후 일본은 다양한 국호를 사용하다가, 메이지 유신 이후 외교 문서상 '대일본제국'으로 통일되었고, 일본국 헌법에서는 '일본국'을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명 - 인민공화국
    인민공화국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지도 이념으로 하는 국가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회주의 국가와 유사하게 사용되지만, 특정 국가에서는 통치 수단으로 이용되거나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국명 - 나라 이름의 약칭
    나라 이름의 약칭은 국가의 정식 명칭을 간략하게 줄여 부르는 방식으로, 한자 문화권에서는 한자 음역어나 정식 국명의 첫 글자를 따서 사용하며, 일부 국가는 한글 약칭이 별도로 존재한다.
국호

2. 연원

2. 1. 한국

한반도에서 국호의 발생은 부족명에서 시작한 것이 많다.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이 그 대표적인 것이다. 부여라는 이름은 그 어원이 ‘사슴’을 뜻하는 만주어('puhu')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듯이, 사슴을 토템으로 믿던 부여족이 주거 지역을 옮겨 동부여, 북부여를 세우기도 하였다.

2. 2. 일본

일본의 국호는 "일본"이며, "해 뜨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국호 제정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다이카에서 다이호 시기(7세기 후반~8세기 초)로 추정된다.[2] 다이호 율령(701년)에 "명신어우일본천황"이라는 표현이 처음으로 명확하게 나타난다. 『일본서기』(720년 완성)에는 645년 고구려백제에 보인 조서에 "명신어우일본천황"이라는 문구가 등장한다. 『삼국사기』(12세기 편찬)에는 671년에 왜국이 국호를 일본으로 바꾸었다는 기록이 있다.

중세 일본에서는 "대일본국"을 "대일여래의 본국"으로 해석하기도 했다.[4] 근대 이후에는 "대일본제국", "일본국" 등 다양한 국호가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일본국"이 공식 국호이다.[5][6] 메이지 유신 이후 국호 사용에 통일성이 없었으나, 1935년 외무성에서 외교 문서상의 국호를 "대일본제국"으로 통일했다.[8][9] 1946년 일본국 헌법에서는 "일본국"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다.

2. 3. 중국

전근대 중국에서는 중원에 위치한 국가의 국호는 한 글자이며, 주변 이민족 국가는 국호가 두 글자라는 인식이 있었다.[10] 따라서 후한부터 남북조 시대에 걸쳐 일본이 ""라는 국호로 사절을 파견한 것은 중국 측에 위화감을 주었다. 쇼토쿠 태자가 국호를 "일본"으로 고쳐 국서를 보낸 것은 중국 측에서도 납득할 수 있는 것이었다는 견해가 있다.[11]

3. 한국 국호의 변천과 의미

한반도에서 국호는 대부분 부족명에서 시작되었다. 부여,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부여라는 이름은 '사슴'을 뜻하는 만주어('puhu')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을 정도로, 사슴을 토템으로 믿던 부여족이 주거 지역을 옮겨 동부여, 북부여를 세우기도 하였다.

4. 일본 국호의 변천과 의미

일본의 국호는 야마토 정권 통일 이후 "야마토", "오야마토" 등으로 불렸으나, "일본"이 국호로 정해진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다이카부터 다이호 시기까지로 추정된다.[2] 701년 시행된 다이호 율령의 "명신어우일본천황(아키츠미카미토아메노시타시라스야마토노스메라미코토)"에서 이 용어가 처음으로 확실하게 나타난다. 일본서기(720년 완성)에는 645년 8월 고구려백제 사신에게 보인 조서에 "명신어우일본천황"이라는 문구가 있다. 607년 중국 역사책 수서에는 "해 뜨는 곳의 천자"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12세기 편찬된 삼국사기 "신라본기" 문무왕 10년(671년) 12월 조항에는 "왜국이 국호를 일본으로 고쳤다. 스스로 해 뜨는 곳에 가깝다고 하여 이름을 지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아스카이케 유적 출토 677년 목간에서 "천황" 호칭이 이미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천황"과 "일본" 국호 사용은 같은 시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2011년 7월, 녜군이라는 백제인 무장 묘지에서 "일본" 글자가 발견되었다는 논문이 중국에서 발표되었다. 묘지는 678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사실이라면 일본 국호가 기록된 가장 오래된 사례가 된다.[3]

중세 일본에서는 "대일본국"을 "'''대일'''여래의 '''본국'''"으로 해석했으며, 석일본기 권5에도 이 설이 기술되어 있다.[4]

근대 이후 일본 국호는 법령으로 정해진 바 없으나, 대일본제국 헌법에서는 "대일본제국", 일본국 헌법에서는 "일본국"이 사용된다.[5][6] 1871년 주조된 국새에는 "대일본국새"가 새겨져 있으며, 1874년 개주에서도 인문은 변경되지 않고 현재까지 사용된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은 국내외 문서에 국호를 통일하지 않고, 대일본제국 헌법 제정 후에도 "일본", "일본국", "일본제국", "대일본국", "대일본제국" 등 여러 명칭을 병용했다.[7] 1935년 제국 의회에서 국호 불통일 문제가 제기되었고, 7월 외무성은 외교 문서상 국호를 "대일본제국"으로 통일하기로 결정했으며, 궁내성도 이에 맞춰 비슷한 국호 표기를 사용했다.[8][9]

1946년 공포된 일본국 헌법에서는 "일본국"이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1983
[2] 웹사이트 日本の国の名は、古代から現代までどのように呼ばれていたのか。 https://crd.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4-10-15
[3] 뉴스 「日本」呼称、最古の例か 678年の墓誌?中国で発見 - 文化 https://archive.is/2[...] 朝日新聞 2011-10-22
[4] 서적 六国史 -日本書紀に始まる古代の「正史」 中公新書 2016
[5] 사전 大日本帝国 http://dic.yahoo.co.[...] 大辞林
[6] 간행물 日本像を探る http://www.lang.nago[...] 名古屋大学 2006-03
[7] 문서
[8] 문서 我国国号問題ニ関スル資料 外務省
[9] 문서
[10] 서적 中国の歴史(二) 講談社文庫 1997
[11] 서적 中国の歴史(二) 講談社文庫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