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노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노시스는 '지식' 또는 '인식'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로, 개인적인 앎을 뜻한다. 영지주의는 1세기 후반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 시작된 종교적 사상으로, 내면의 영적 지식(그노시스)을 강조하며, 물질 세계의 창조주인 데미우르고스와 가장 높고 알 수 없는 신 사이의 구분을 제시한다. 영지주의는 다양한 분파로 나뉘었으며, 만다교는 현존하는 유일한 영지주의 종교이다. 기독교에서는 영적인 지식을 의미하는 긍정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며, 동방 정교회에서는 신적 조명을 받은 인간의 영적 지식, 즉 초월적이고 경험적인 지식을 의미한다. 이슬람 수피즘에서는 신에 대한 지식을, 유대교에서는 히브리어 '다아트'를 그리스어로 번역하는 데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적 능력 - 예지
예지는 미래에 일어날 일을 미리 아는 현상을 의미하며, 종교, 무속 신앙 등에서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과학적으로는 유사과학으로 간주된다. - 영적 능력 - 직관
직관은 논리적 추론이나 의식적 분석 없이 문제 해결 및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으로, 심리학에서는 인간 심리의 중요한 기능으로, 철학에서는 인식론적 능력으로, 인지 과학에서는 직관적 추론으로 연구되며 인공지능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 지식 - 정보
정보는 의사결정을 위해 데이터를 가공한 형태로, 목적 적합성, 신뢰성, 적시성을 갖춘 훌륭한 정보는 첩보나 지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화하고 경제적 가치를 지니면서 정보 활용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 지식 - 이해
이해는 지식에 기반하여 대상이나 현상의 의미와 관계를 파악하는 능력으로, 비유나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며 인지심리학과 인공지능 분야에서 연구되는 개념이다. - 영지주의 - 데미우르고스
데미우르고스는 그리스어로 장인을 의미하며, 플라톤 철학에서 물질 세계를 창조한 선량한 존재를 지칭하며, 유대교, 기독교, 영지주의, 신플라톤주의 등 다양한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영지주의 - 드루즈
드루즈는 11세기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레반트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자 종교 공동체로, 파티마 칼리프 하킴을 신격화하며 이슬람 신비주의 등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신앙 체계를 가지고 있고, 비밀주의적 성향을 띄며 레반트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그노시스 |
|---|
2. 어원
'그노시스'(γνῶσις)는 '지식'이나 '인식'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여성 명사이다. 광범위한 지혜 또는 지식보다는 Kennen|케넨de과 같이 개인적인 앎을 뜻한다.[48][49] 이는 지적 지식(εἴδειν ''eídein'')과 비교하여 개인적인 지식으로 자주 사용되며, 프랑스어의 ''connaître''가 ''savoir''와, 포르투갈어의 ''conhecer''가 ''saber''와, 스페인어의 ''conocer''가 ''saber''와, 이탈리아어의 ''conoscere''가 ''sapere''와, 독일어의 ''wissen''보다는 ''kennen''이, 또는 현대 그리스어 γνωρίζω가 ξέρω와 비교되는 것과 같다.[9]
에피그노시스(ἐπίγνωσιςel)와 그노시스는 모두 '지식'을 의미하지만, 그 의미와 용법에 차이가 있다. 한 가지 해석에 따르면, 그노시스는 추상적이고 절대적인 지식을, 에피그노시스는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지식을 의미한다. 다른 해석에서는 베드로후서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에피그노시스"를 언급하고 있으며, J. B. 라이트풋은 이를 "더 크고 더 철저한 지식"이라고 묘사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기독교 개종은 거짓 교리로부터 보호하는 더 깊은 지식의 증거로 여겨진다.[17]
영지주의는 서기 1세기 후반 비 랍비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 종파에서 시작되었다.[3][6][7][18] 초기 기독교 역사 형성 과정에서 반대자들에 의해 "영지주의자"로 불린 다양한 분파들은 기독교 공동체의 가르침과 전통에 대한 믿음 (''피스티스'')보다 내면의 신성한 불꽃에 대한 영적 지식(''그노시스'')을 강조했다. 영지주의는 가장 높고 알 수 없는 신과 물질 세계의 "창조자"인 데미우르고스 사이의 구분을 제시한다.[3][6][7][19] 영지주의자들은 구원 과정의 가장 본질적인 속성은 이 개인적인 지식이며, 세계관에서 교회 권위에 대한 믿음과는 대조적이라고 보았다.[3][6][7][19]
관련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상당히 흔한 형용사 '인지(gnostikos)'이다.[50][10][11] 이 용어는 플라톤의 작품에서 신비주의적이고 난해하거나 숨겨진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지 않고, 대신 재능과 유사한 일종의 높은 지능과 능력을 표현했다.[12]
플라톤의 ''정치가'' 258e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낯선 이:''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학문을 두 개의 기술로 나누어 하나는 실용적인(''praktikos'') 것으로, 다른 하나는 순전히 지적인(''gnostikos'') 것으로 부르십시오.
:''젊은 소크라테스:'' 모든 학문이 하나이며 이것이 두 가지 형태라고 가정합시다.[13]
헬레니즘 시대에 이 용어는 비밀 종교와 관련되었다.
이레네우스는 그의 저서 ''가짜 지식의 탐지 및 전복에 관하여''의 제목에 "가짜로 불리는 지식"(pseudonymos gnosis|프세우도니모스 그노시스grc)이라는 구절을 사용했으며(디모데전서 6:20), 이 책에는 17세기 영어 용어 "영지주의"의 근원이 되는 형용사 ''gnostikos''가 포함되어 있다.[16]
3. 에피그노시스와의 비교
4. 영지주의

영지주의에서 에덴 동산의 성경 속 뱀은 아담과 하와에게 지식(''그노시스'')을 가져다주고, 그들을 사악한 데미우르고스의 통제에서 해방시킨 것에 대해 칭찬과 감사를 받았다.[19] 영지주의 기독교 교리는 선과 악 사이의 영원한 갈등을 암시하는 이원론적 우주론에 의존하며, 뱀을 데미우르고스 또는 창조주 신에 반대하는 구원을 가져다주는 구원자이자 인류에게 지식을 부여하는 존재로 여긴다. 데미우르고스는 히브리 신과 구약 성경과 동일시된다.[6][19] 영지주의 기독교인들은 구약의 히브리 신을 악하고 거짓 신이며 물질 세계의 창조자로, 복음서의 알 수 없는 신,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이자 영적 세계의 창조주를 참되고 선한 신으로 여겼다.[3][6][19][20] 아르콘파, 세트파, 오피테파 체계에서 얄다바오트 (야훼)는 물질 세계를 창조하고 영혼을 육체에 가두어 그가 창조한 고통과 고난으로 가득 찬 세상에 갇히게 하는 사악한 데미우르고스이자 구약의 거짓 신으로 간주된다.[21][22][23]
그러나 모든 영지주의 운동이 물질 세계의 창조자를 본질적으로 악하거나 사악하다고 여기지는 않았다.[20][24] 예를 들어, 발렌티누스파는 데미우르고스가 단지 무지하고 무능한 창조주이며, 할 수 있는 한 세상을 좋게 만들려고 노력하지만, 그 선함을 유지할 적절한 힘이 부족하다고 믿었다.[20][24] 모든 영지주의자들은 원시 정통 기독교의 초기 기독교 교부들에 의해 이단으로 여겨졌다.[3][6][7][19]
4. 1. 만다교
만다교에서 ''만다''("지식", "지혜", "지성")의 개념은 대략 영지주의의 영지(gnosis) 개념과 유사하다.[25] 만다교('지식을 갖는 것')[30]는 고대부터 이어져 온 유일한 영지주의 종교이다.[26][27] 만다교도들은 자신들을 비밀 의식과 지식의 수호자 또는 소유자라는 뜻의 ''나소라인''(나소라인)이라고 부른다.[28][29] 만다교는 영적인 기원에 대한 비밀 지식(영지)을 통해 영혼의 구원을 강조하며, "우리가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가는지에 대한 지식을 제공한다."[32][30][31]
5. 기독교에서의 용법
교부들은 '그노시스'(지식)를 영적인 지식 또는 신성에 대한 특정한 지식을 의미하는 데 사용했다. 이는 영지주의 분파들이 이 단어를 사용하는 방식과 대조하기 위한 것이었다.[34][35]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와 같은 반(反)영지주의 작가조차도 "그노스티케 테오리아"의 개념을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하기도 했다.[36]
5. 1. 동방 정교회 사상
동방 정교회 사상에서 ''그노시스''(Gnosis)는 성인(테오시스를 얻은 자) 또는 신적으로 조명된 인간의 영적 지식이다.[37] 비잔틴 및 헬레니즘 문화에서 ''그노시스''는 유한하고 자연적이거나 물질적인 세계에 대한 지식이 아니라, 무한하고 신적이며 창조되지 않은 것에 대한 지식 또는 통찰력이었다.[38][39] 그노시스는 초월적이며 성숙한 이해이기도 하다. 그것은 직접적인 영적, 경험적 지식[40]과 직관적 지식, 즉 합리적이거나 이성적인 사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신비적 지식을 나타낸다. 그노시스 자체는 내적 경험이나 묵상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이해를 통해 얻어진다.''필로칼리아''에서는 그러한 지식이 묵상(헤시카즘 수행의 결과인 ''테오리아'')에서 파생된 성숙하고 초월적인 형태의 지식임을 강조한다. 지식은 ''테오시스''(신격화/하나님과의 개인적 관계) 및 ''테오리아''(신의 계시, 하나님의 비전)와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42] 영적이거나 정신적인 능력의 적절한 사용으로서의 그노시스는 동방 정교회 신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6. 이슬람에서의 용법
수피즘에서 그노시스(영지)는 자기 자신과 신에 대한 지식을 의미한다. 영지주의자는 "알-아리프 비라" 또는 "신에 의해 아는 자"라고 불린다. 수피 수행자의 목표는 신에 대한 지식에 대한 내적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진리를 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수피즘은 수피 시인 만수르 알-할라지가 "나는 진리이다"(아나'알 하크)라고 말한 죄로 처형된 것처럼, 자기 자신의 분리된 존재가 진리에 의해 소멸되도록 추구하는 것이다.[43]
7. 유대교에서의 용법
그리스어 단어 '그노시스(γνῶσις, 지식)'는 70인역에서 히브리어 단어 "지식"(דעת|da'athhe)의 번역으로 사용되었다.[44]
주님|he은 지혜|he( ħokhma, ''sophia'')를 주시고, 그의 얼굴에서 지식|he(da'ath|he, ''그노시스'')과 이해|he(tevuna|he, ''synesis'')가 나온다." (잠언 2:6)
필로 또한 "하나님"의 "지식"(''그노시스'')과 "지혜"(''소피아'')에 대해 언급한다.[44]
참조
[1]
간행물
Gnosis/Knowledge
Brill Publishers
[2]
서적
Paul and Gnosis
Brill Publishers
[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Volume 1: Origins to Constant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Gnosis: The Nature and History of Gnosticism
https://books.google[...]
A&C Black
[5]
간행물
Gnosticism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1998-07-20
[6]
서적
Lost Christianities: The Battles for Scripture and the Faiths We Never Knew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Gnostics: Myth, Ritual, and Diversity in Early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8]
문서
γνῶσις, εως, ἡ,
https://www.perseus.[...]
Liddell Scott
[9]
서적
The Origin of Satan
Allen Lane, The Penguin Press
[10]
문서
γνωστ-ικός, ή, όν,
https://www.perseus.[...]
[11]
문서
In Perseus databank
https://www.perseus.[...]
Plato, Plutarch, Pseudo-Plutarch
[12]
문서
Introduction to Politikos.
Hackett Publishing Co., Inc.
[13]
문서
Plato. Plato in Twelve Volumes, Vol. 12
https://www.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14]
문서
The Complete Echoes from the Gnosis
Chthonios Books
[15]
문서
feminine nominative adjective
https://www.perseus.[...]
[16]
웹사이트
Gnostic | Origin and meaning of the name Gnostic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21-07-24
[17]
서적
2 Peter & Jude
https://books.google[...]
Eerdman's
[18]
서적
Doctrinal Diversity: Varieties of Early Christianity
Garland Publishing, Inc
[19]
서적
Eve and Adam: Jewish, Christian, and Muslim Readings on Genesis and Gender
Indiana University Press
[20]
간행물
[21]
서적
Desiring Divinity: Self-deification in Early Jewish and Christian Mythmaking
Oxford University Press
[22]
학술지
Yaldabaoth: The Gnostic Female Principle in Its Fallenness
Brill Publishers
1990-01
[23]
간행물
[24]
서적
The Early Christian World
Routledge
[25]
서적
The Mandaeans: ancient texts and modern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26]
Youtube
The First Baptists, The Last Gnostics: The Mandaeans
https://www.youtube.[...]
2022-02-08
[27]
서적
Iconography of Religions: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Chris Robertson
1977
[28]
웹사이트
MANDAEANS ii. THE MANDAEAN RELIGION
https://iranicaonlin[...]
2022-01-03
[29]
서적
The Haran Gawaita and the Baptism of Hibil-Ziwa
Biblioteca Apostolica Vaticana
[30]
웹사이트
Mandaeanism | religion
https://www.britanni[...]
2022-02-08
[31]
서적
The secret Adam, a study of Nasoraean gnosis
http://holybooks.lic[...]
Clarendon Press
2014-02-19
[32]
문서
Mandaean Literature
New Seeds Books
[33]
웹사이트
Lexicon: Strong's G1108 - gnōsis
https://www.bluelett[...]
Blue Letter Bible
[34]
문서
Westminster dictionary of theological terms
[35]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theology
https://books.google[...]
T. & T. Clark Publishers
[36]
웹사이트
Gnostic Return in Modernity and Gnostic Apocalypse
https://ndpr.nd.edu/[...]
Notre Dame
[37]
인용
https://archive.toda[...]
[38]
인용
[39]
인용
http://www.psyche.gr[...]
University of Athens - Department of Theology
[40]
서적
The [[Philokalia]] Volume Four
[41]
인용
[42]
서적
The Mystical Theology of the Eastern Church
SVS Press
1997
[42]
서적
The Mystical Theology of the Eastern Church
James Clarke & Co Ltd
2002
[43]
서적
The Garden of Truth: The Vision and Promise of Sufism, Islam's Mystical Tradition
Harper Collins
2007
[44]
간행물
New Testament studies: 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 1981
[45]
서적
Paul and Gnosis
https://books.google[...]
BRILL
[46]
웹사이트
Gnosticism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47]
서적
Gnosis: The Nature and History of Gnosticism
https://books.google[...]
A&C Black
[48]
사전
'''γνωστ-ικός, ή, όν,'''
http://www.perseus.t[...]
[49]
서적
Introduction to Politikos
Hackett Publishing Co., Inc.
1997
[50]
웹사이트
Plato. Plato in Twelve Volumes, Vol. 12 translated by Harold N. Fowler.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London, William Heinemann Ltd. 1921.
http://www.perseu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